KR101296977B1 -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977B1
KR101296977B1 KR1020110138860A KR20110138860A KR101296977B1 KR 101296977 B1 KR101296977 B1 KR 101296977B1 KR 1020110138860 A KR1020110138860 A KR 1020110138860A KR 20110138860 A KR20110138860 A KR 20110138860A KR 101296977 B1 KR101296977 B1 KR 10129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accessory
loop
st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581A (ko
Inventor
최선희
Original Assignee
최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희 filed Critical 최선희
Priority to KR102011013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9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줄, 목걸이 열쇠고리 등 각종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aaccessory)로 사용되는 줄에 관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액세서리용 줄의 양쪽 끝에 고리를 형성하여 줄을 간편하게 묵어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한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에 별도의 고리를 설치하지 않고 매듭을 이용하여 고리를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듭으로 된 고리에 매듭을 이용하여 고정된 고리의 줄을 쉽게 당길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 액세서리용 줄을 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묶거나 풀 수 있도록 매듭이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나 안경 줄 또는 열쇠고리로도 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The string for accessories with the ring can be untie and tighten by using knot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안경 줄, 목걸이 열쇠고리 등 각종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aaccessory)로 사용되는 줄에 관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액세서리용 줄의 양쪽 끝에 고리를 형성하여 줄을 간편하게 묵어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한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줄이나 열쇠고리용 줄과 같은 장식을 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줄에는 각종 장식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고리는 일반적으로 금속의 링을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절곡하여 고리로 이용하였는바, 상기와 같은 금속의 고리는 액세서리를 당기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였을 경우 금속으로 된 고리의 연결부가 펼쳐지게 됨으로써, 장식품이 떨어져 분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다리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안경 줄은 안경 줄의 끝 부분에 안경다리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안경다리를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안경 줄은 안경 줄을 안경 다리에 고정하기 위하여 보통 탄력이 좋은 고무재질로 되어 있다.
즉 안경 줄이 탄력이 좋고 내부가 비어 있는 고무재질의 고무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줄의 끝 부분을 안경다리에 매듭을 지어 묶는 방식과 고무줄의 끝 부분에 안경 다리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전자의 고무줄을 매듭을 묶어 고정하는 방식은 안경 줄의 끝 부분을 안경테에 매듭을 지어 묶을 경우 어울리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장시간 안경을 착용할 경우 매듭으로 인하여 통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은 안경 줄을 자주 풀고 조여야 함으로써 안경 줄을 강하게 매듭을 지었을 경우 풀기가 힘들고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고무재질의 안경 줄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 매듭 부분이 취약해짐으로써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후자의 내부가 비어 있는 고무줄의 끝 부분에 안경 다리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안경 줄이 고무로 되어 있어 강한 탄성에 의하여 고무줄이 안경다리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안경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안경 줄이 고무줄로 되어 있어 안경테를 강하게 당기게 되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하여 안경다리에서 고무줄이 분리되어 안경이 지면에 떨어 저 파손되거거나 안경을 읽어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자주 사용할 경우 고무줄의 끝 부분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안경 줄을 폐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면사나 나이론 또는 한지 등 각종 재질로 되어 있는 액세서리용 줄을 쉽고 간편하게 다른 물체에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세서리용 줄의 양쪽 끝 부분의 중간부를 각각 원형으로 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 이 고리에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느슨하게 1차 매듭을 형성하는 1차 매듭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1차 매듭이 느슨하게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내측 끝 부분을 원형으로 감아 고리를 형성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고리를 잡고 고리의 끝 부분에 액세서리용 줄을 2바퀴 감은 다음 고리 부분에 상기 1차로 형성된 매듭이 삽입한 다음 원줄을 당겨 2차 매듭이 되게 함으로써 1차 매듭에 의하여 고리부가 2차매듭에서 분리되지 않고 1차 매듭을 당겨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당겨 고리를 조이고, 1차 매듭을 당김으로써 고리 부분이 풀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
액세서리용 줄의 한쪽 끝 부분 중간부를 원형으로 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 이 고리에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매듭을 형성하되 이와 같은 매듭을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형성하는 1차 매듭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1차 매듭이 느슨하게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다른 쪽 끝 부분의 중간부(장식이 있을 경우 장식 하단부)를 원형으로 감아 고리를 형성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고리를 잡고 고리의 끝 부분에 액세서리용 줄을 2바퀴 감은 다음 고리 부분에 상기 1차로 형성된 매듭이 삽입한 다음 원줄을 당겨 2차 매듭이 되게 함으로써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당겨 고리를 조이고, 1차 매듭을 당김으로써 고리 부분이 풀리도록 하되 이 고리 부분에 다른 쪽의 매듭 중간 부분을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1차 매듭에 의하여 원줄이 풀리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에 별도의 고리를 설치하지 않고 매듭을 이용하여 고리를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듭으로 된 고리에 매듭을 이용하여 고정된 고리의 줄을 쉽게 당길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 액세서리용 줄을 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묶거나 풀 수 있도록 매듭이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나 안경 줄 또는 열쇠고리로도 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줄을 보인 전체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1차 매듭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1차 매듭 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2차 매듭 부의 1차 공정으로써 원형의 고리부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2차 매듭 부의 2차 공정으로서 원형의 고리부에 외측에 2겹으로 줄을 감는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2차 매듭 부의 3차 공정으로서 원형의 고리부에 줄의 끝 부분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2차 매듭 부의 4차 공정으로써 2차 매듭부를 당긴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2차 매듭 부의 5차 공정으로써 1차 매듭부를 당긴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고리부가 조였을 때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고리부를 풀 때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의 고리부가 풀렸을 때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을 안경 줄로 사용할 때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로 사용할 때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로 사용할 때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로 사용할 때의 2차 매듭 부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줄을 열쇠고리로 사용할 때의 사용상태도로서 매듭을 조이기 전의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줄을 열쇠고리로 사용할 때의 사용상태도로서 매듭을 조인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에서와 같이 줄로 되어 있는 액세서리용 줄의 양쪽 끝 부분의 중간부를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에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느슨하게 1차 매듭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1차 매듭이 느슨하게 한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액세서리용 줄의 내측 끝 부분을 원형으로 감아 고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고리를 손으로 잡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고리의 끝 부분에 액세서리용 줄을 2바퀴 감은 다음 고리 부분에 상기 1차로 형성된 매듭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2차 매듭 부분의 원줄을 당겨 매듭을 조인 다음 다시 도 8에서와 같이 1차 매듭 부분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1차 매듭 부분을 당겨 조임으로써 매듭을 완성하는 것으로, 액세서리용 줄의 양측을 상기의 방식으로 각각 매듭을 완성한다.
이때 1차 매듭은 2차 매듭에서 고리부분을 이루고 있는 액세서리용 줄의 1차 매듭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2차 매듭에서 이탈하지 않음으로 고리부를 필요 이상으로 당겼을 경우 고리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줄을 안경 줄로 사용할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서와 같이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고리부분의 외측으로 돌출된 1차 매듭을 고리를 잡고 당기면 2차 매듭의 중앙부를 통하여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고리부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리부가 커지게 되면 안경 다리를 고리부에 넣고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당기게 되면 고리부의 액세서리용 줄 끝 부분이 2차 매듭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통과하면서 고리부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리부가 안경다리를 조여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에는 대나무나 별도의 장식품을 달아 고리부를 당기는 손잡이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안경다리에서 액세서리용 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고리부에 고정된 액세서리용 줄의 3차 매듭을 잡고 1차 매듭부분을 당기게 되면 손톱이나 손가락으로 당기게 되면 2차 매듭 부분의 중앙부를 통하여 액세서리용 줄이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고리부가 커지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안경다리를 고리부에서 빼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줄을 목걸이로 사용할 때를 보인 것으로 액세서리용 줄의 한쪽 중간부에 1차 및 2차 매듭을 형성하여 고리부를 구성하고, 이 고리부에 액세서리용 줄의 다른 쪽을 삽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매듭으로 구성된 고리부의 위치에 따라 목걸이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을 열쇠고리로 사용할 때를 보인 것으로,
액세서리용 줄의 한쪽 끝 부분에 형성된 2차 매듭에서 고리부를 당겨 고리부가 커지게 한 다음 액세서리용 줄에 열쇠를 끼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리부에 액세서리용 줄의 1차 매듭 부를 삽입한 다음 2차 매듭을 잡고 2차 매듭의 끈 부분의 원줄을 당기면 고리부가 줄어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리부가 1차 매듭과 매듭 사이에 끼게 됨으로써 1차 매듭이 있는 줄이 고리부에서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열쇠고리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리부에 고정되어 있는 열쇠를 꺼내고자 할 경우 2차 매듭 부위를 잡고 1차 매듭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2차 매듭에 있는 고리부분의 끝 부분이 2차 매듭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1차 매듭 부분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2차 매듭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고리부분이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리 부분이 커지게 되면 고리에서 1차 매듭 부위를 빼내어 열쇠를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액세서리용 줄의 양쪽 끝 부분의 중간부를 각각 원형으로 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 이 고리에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느슨하게 1차 매듭을 형성하는 1차 매듭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1차 매듭이 느슨하게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내측 끝 부분을 원형으로 감아 고리를 형성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고리를 잡고 고리의 끝 부분에 액세서리용 줄을 2바퀴 감은 다음 고리 부분에 상기 1차로 형성된 매듭이 삽입한 다음 원줄을 당겨 2차 매듭이 되게 함으로써 1차 매듭에 의하여 고리부가 2차매듭에서 분리되지 않고 1차 매듭을 당겨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당겨 고리를 조이고, 1차 매듭을 당김으로써 고리 부분이 풀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용 줄의 한쪽 끝 부분 중간부를 원형으로 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 이 고리에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매듭을 형성하되 이와 같은 매듭을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형성하는 1차 매듭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1차 매듭이 느슨하게 형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다른 쪽 끝 부분의 중간부(장식이 있을 경우 장식 하단부)를 원형으로 감아 고리를 형성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고리를 잡고 고리의 끝 부분에 액세서리용 줄을 2바퀴 감은 다음 고리 부분에 상기 1차로 형성된 매듭이 삽입한 다음 원줄을 당겨 2차 매듭이 되게 함으로써 액세서리용 줄의 끝 부분을 당겨 고리를 조이고, 1차 매듭을 당김으로써 고리 부분이 풀리도록 하되 이 고리 부분에 다른 쪽의 매듭 중간 부분을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1차 매듭에 의하여 원줄이 풀리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의 제작방법.
  3. 삭제
KR1020110138860A 2011-12-21 2011-12-21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KR10129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60A KR101296977B1 (ko) 2011-12-21 2011-12-21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60A KR101296977B1 (ko) 2011-12-21 2011-12-21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81A KR20130071581A (ko) 2013-07-01
KR101296977B1 true KR101296977B1 (ko) 2013-08-14

Family

ID=4898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860A KR101296977B1 (ko) 2011-12-21 2011-12-21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86A (ko) 2020-02-12 2021-08-20 서지영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16A (ko) 2017-08-31 2019-03-08 (주)아이디알 가정용 진공포장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393U (ko) * 1989-12-20 1991-08-27
KR200330890Y1 (ko) * 2003-04-02 2003-10-24 유화성 굵은묵음장신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393U (ko) * 1989-12-20 1991-08-27
KR200330890Y1 (ko) * 2003-04-02 2003-10-24 유화성 굵은묵음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86A (ko) 2020-02-12 2021-08-20 서지영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81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9271A (en) Hair holders
US8910347B1 (en) Rubber strap device
US20150164195A1 (en) Elastic hair, bracelet and anklet cord
KR101296977B1 (ko)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US20050109361A1 (en) Braided ponytail loops with unbraided decorated ends
US7637266B1 (en) Convoluted hair band for creating many varying hairstyles
KR20160002084U (ko) 조절 가능한 헤어파스너
GB2482131A (en) Magnetic Hair Accessory Device
US20210100387A1 (en) Device for securing ornaments to a tree
KR200471785Y1 (ko) 머리끈 체결용 고정부재
KR102254490B1 (ko) 목도리용 결속구
KR20130026954A (ko)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KR102615311B1 (ko) 낚시줄 매듭 형성용 보조기구
JP6083815B2 (ja) タッセル
KR100511775B1 (ko) 머리끈
JP3196483U (ja) ブレスレット
KR200473994Y1 (ko) 매듭 및 풀림이 용이한 머리끈
KR20140053067A (ko)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KR101531798B1 (ko) 이어폰줄 정리장치
KR20100000501A (ko) 머리끈
JP3119336U (ja) 帯結び補助具
AU2004100831A4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ecorative Knot
KR20090099925A (ko) 골프클럽의 그립 파지 지지구
KR20220049384A (ko) 걸이용 밴드 및 걸이용 밴드의 연결방법
JP3189973U (ja) 装飾用造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