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067A -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 Google Patents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067A
KR20140053067A KR1020140039975A KR20140039975A KR20140053067A KR 20140053067 A KR20140053067 A KR 20140053067A KR 1020140039975 A KR1020140039975 A KR 1020140039975A KR 20140039975 A KR20140039975 A KR 20140039975A KR 20140053067 A KR20140053067 A KR 2014005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tring
knot
ornaments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현
Original Assignee
장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현 filed Critical 장종현
Priority to KR102014003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3067A/ko
Publication of KR2014005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1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obile objects, e.g. portable tools, elevators, mining equipment, hoisting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춘 끈에 복수의 장신구를 각각 꿴 후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매듭으로 묶은 상태에서 그 매듭을 일측 장신구에 근접되게 하여 또 다른 장신구에 고정함으로써, 각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의 신축작용과 장신구의 걸림작용에 의해 이어폰의 줄에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면서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져 있는 줄을 일체로 결속할 수 있게 한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즉, 신축성을 갖춘 끈으로 제1 장신구와 제2 장신구에 각각 구비된 통공을 통과되게 한 후 상기 끈의 양단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 부위를 제1 장신구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매듭을 제3 장신구의 통공 내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하며, 상기 제1 장신구와 제3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에 이어폰 줄이 끼워지게 한 후 제3 장신구와 제2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으로 정리된 이어폰 줄을 결속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Band for arrangement of an earphone code}
본 발명은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을 갖춘 끈에 복수의 장신구를 각각 꿴 후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매듭으로 묶은 상태에서 그 매듭을 일측 장신구에 근접되게 하여 또 다른 장신구에 고정함으로써, 각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의 신축작용과 장신구의 걸림작용에 의해 이어폰의 줄에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면서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져 있는 줄을 일체로 결속할 수 있게 한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음악이나 방송을 들을 때 주위에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자신에게 집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귀에 끼울 수 있는 리시버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형태의 잭(jack)을 다양한 길이의 줄(code)로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어폰은 통신과 동영상 및 인터넷 지원 등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그 사용과 수요도 급증하고 있고, 또한 일상적인 생활 중에도 이어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기기에 연결되는 잭과 귀에 꽂는 리시버를 이어주는 줄이 주변이나 타인의 물건에 걸리게 되는 빈도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피해를 입거나 피해를 주는 등의 불미스런일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이어폰을 사용하는 중에도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줄이 외부로부터 간섭을 받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스스로 줄의 길이를 관리 및 정돈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 이어폰 줄의 정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코드 감개를 구비한 이어폰 케이스(등록특허 제10-0736535호) 및 이어폰 줄이 권선되는 릴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장치(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03689호) 등의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어폰 코트(줄)를 감기도록 하거나 풀리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이어폰 줄을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 또는 감기도록 하는 점에서 편리한 장점이 있었으나, 풀림과 감김 동작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되었음은 물론 케이스의 중량이 과중하여 귀에 리시버를 끼우게 될 때 케이스의 중량이 리시버에 가해지면서 귀와의 결합력을 떨어뜨리게 되어 청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른 종류의 이어폰 줄을 정리하기 위한 도구로서, 연질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실패 형태의 줄감개에 두루마리 식으로 이어폰 줄을 감기도록 한 제품이 등장한 바 있으나, 이러한 줄감개는 줄을 풀게 될 경우에는 줄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별도로 휴대해야 됨으로 인하여 휴대 및 보관과정에서 줄감개를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어폰 줄을 정리할 때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성 끈과 이에 구비된 다수의 장신구에 의해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져 있는 이어폰 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춘 끈으로 제1 장신구와 제2 장신구에 각각 구비된 통공을 통과되게 한 후 상기 끈의 양단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 부위를 제1 장신구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매듭을 제3 장신구의 통공 내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하며, 상기 제1 장신구와 제3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에 이어폰 줄이 끼워지게 한 후 제3 장신구와 제2 장신구의 사이에 위치한 끈으로 정리된 이어폰 줄을 결속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는 이어폰 줄의 소정 위치를 선정하여 신축성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신구에 의해 부착되게 한 상태에서 정리된 이어폰 줄의 중간부위를 감싸지도록 결속하게 됨으로써, 이어폰 줄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이어폰 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구성도,
도 3a 내지 3c는 상기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의 취급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4b는 상기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와 그 일부를 확대한 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춘 끈(10)을 준비하여 제1 장신구(20)에 구비된 통공(21)과 제2 장신구(30)에 구비된 통공(31)을 각각 통과되게 한 후 끈(10)의 양단을 묶어 고리형태를 이루는 매듭(11)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11) 부위를 제1 장신구(20)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그 매듭(11)을 제3 장신구(40)의 통공(41) 내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하였다.
즉, 신축성을 갖춘 끈(10)의 한 쪽 끝을 제1 장신구(20)의 통공(21)과 제3 장신구(40)의 통공(41) 및 제2 장신구(30)의 통공(31)을 순차적으로 통과되게 하였다가 다시 제3 장신구(40)의 통공(41)을 통과되게 한 후 신축성 끈(10)의 다른 쪽 끝을 묶어 매듭(11)을 형성하고 그 매듭 부위를 제3 장신구(40)의 통공(41)에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3 장신구(40)에 고정되어 있는 신축성 끈(10)을 매개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장신구(20)와 제2 장신구(30)를 신축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게 된 것이다.
상기 신축성 끈(10)의 매듭(11) 부위를 제1 장신구(20)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그 매듭(11)을 제3 장신구(40)의 통공(41) 내에 접착고정 함으로써,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는 신축성 끈(10)의 장력이 가해지면서 상호 외접상태를 유지하며, 제2 장신구(30)는 상기 제3 장신구(40)로부터 신축성 끈(10)을 매개로 상호 격리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정리된 이러폰 줄(C)을 감싸지게 결속할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의 취급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신축성 끈(10)의 장력에 의해 상호 외접되어 있는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를 상반된 방향으로 당기면 그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끈(10)이 늘어나면서 약간의 틈이 생기게되므로(도 3a 참조), 그 틈에 이어폰 줄(C)을 삽입한 후 끈(10)이 늘어나도록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끈(10)이 수축되면서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의 사이에서 이어폰 줄(C)이 밀착 되어진다.
그러므로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에 의해 본 발명의 밴드가 이어폰 줄(C)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3 장신구(40)의 타측에 끈(10)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장신구(30)를 당겨서 제1 장신구(20)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도 3c 참조) , 두루마리 형태로 정리된 이어폰 줄(C)을 감싸지게 결속하게 된 것이다.
도 4a 및 4b는 상기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는 이어폰 줄(C)의 소정 위치를 선정하여 신축성 끈(10)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의 밀착력에 의해 부착되게 하고, 이어서 이어폰 줄(C)을 손에 감아 두루마리 형태로 정리한 후 제2 장신구(30)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끈으로 정리된 이어폰 줄(C)의 중간부위를 감싸면서 제1 장신구(20)에 걸려지도록 하여 결속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밴드는 이어폰 줄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이어폰 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끈 11 : 매듭
20 : 제1 장신구 21, 31, 41 : 통공
30 : 제2 장신구 40 : 제3 장신구

Claims (1)

  1. 신축성을 갖춘 끈(10)으로 제1 장신구(20)와 제2 장신구(30)에 각각 구비된 통공(21)(31)을 통과되게 한 후 상기 끈(10)의 양단을 묶어 매듭(11)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11) 부위를 제1 장신구(20)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매듭(11)을 제3 장신구(40)의 통공(41) 내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하며, 상기 제1 장신구(20)와 제3 장신구(40)의 사이에 위치한 끈(10)에 이어폰 줄(C)이 끼워지게 한 후 제3 장신구(40)와 제2 장신구(30)의 사이에 위치한 끈(10)으로 정리된 이어폰 줄을 결속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KR1020140039975A 2014-04-03 2014-04-03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KR2014005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75A KR20140053067A (ko) 2014-04-03 2014-04-03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75A KR20140053067A (ko) 2014-04-03 2014-04-03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067A true KR20140053067A (ko) 2014-05-07

Family

ID=5088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975A KR20140053067A (ko) 2014-04-03 2014-04-03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30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6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carrying a portion of rope
US8908898B2 (en) Earphone easily facilitating the tying and untying of an earphone wire
US9648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US20110290532A1 (en) Headphone cord sleeve
US85884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angling for wired earphones
TWM335293U (en) Elastic pulling-force rope for the dragrope exercise machine
US20120314896A1 (en) Retractable Audio Cord Device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60002084U (ko) 조절 가능한 헤어파스너
KR20140053067A (ko) 이어폰 줄 정리용 밴드
US7219397B2 (en) Elastic foreshortening of cable or other linear structures
KR101296977B1 (ko)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US2857579A (en) Hearing aid connection
US20130244476A1 (en) Self-managing cord
KR20046271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US10412495B2 (en) Customizable jewelry and wireless audio headset system
CN205039994U (zh) 多功能耳机
KR101196854B1 (ko) 이어폰 줄 정리구
US9402123B1 (en) In-line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KR101531798B1 (ko) 이어폰줄 정리장치
GB2527742A (en) Cord and cable wrap
KR20190089107A (ko) 이어폰 와이어 정리용 노리개 겸용 참장식
JP4934753B1 (ja) パネル取付け装置およびそのパネル取付け装置を備えた天井埋込スピーカ
CN207968791U (zh) 绕线器头绳
KR200473994Y1 (ko) 매듭 및 풀림이 용이한 머리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