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20A -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20A
KR20160071620A KR1020140178971A KR20140178971A KR20160071620A KR 20160071620 A KR20160071620 A KR 20160071620A KR 1020140178971 A KR1020140178971 A KR 1020140178971A KR 20140178971 A KR20140178971 A KR 20140178971A KR 20160071620 A KR20160071620 A KR 2016007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winding
housing
sho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401B1 (ko
Inventor
유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용
Priority to KR102014017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4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4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끈을 권취한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등으로 가압하면 간단하게 권취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전체 부피가 매우 작아도 가압부가 상방으로 볼록 도드라지게 형성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구성이 간단하며 권취와 권취해제 조작이 쉽고, 신발을 신을 때 회전조작 외에 권취가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권취해제시 상대적으로 조작에 필요한 힘이 덜든다. 또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일단 등과 같이 한 지점만 누르게 되면 자동으로 신발끈(1)에 대한 권취가 해제되므로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SHOE'S ROPE LENGTH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신발끈을 권취한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등으로 가압하면 간단하게 권취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전체 부피가 매우 작아도 가압부가 상방으로 볼록 도드라지게 형성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등산, 테니스, 탁구나 캠핑 등 각종 야외 취미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아웃도어를 포함한 스포츠 용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의류나 신발과 같은 개인 용품들의 기능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즉, 팽팽한 경쟁속에서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의류나 신발과 같은 개인 용품들에 대한 대표적인 기능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방수, 통풍 등과 같은 재질의 특수성 등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중 하나는 신발끈을 쉽게 묶고 풀 수 있게 하는 신발끈 조절장치이다.
등록특허 제 10-929587호도 ‘줄 길이조절장치’로서, 보다 쉽게 줄을 권취하고, 보다 쉽게 줄을 풀 수 있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에 제 1, 2 톱니치형(113,114)이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하우징(110)에 결합되는 회전하우징(120)을 제공하고, 회전하우징(120)의 측부에 소정개수 제 1, 2 톱니치형(113,114)과 결합되는 래치(121)를 구성함으로써 그 회전하우징(120)을 고정하우징(110)에 대해 하방으로 압박하면 래치(121)가 제 2톱니치형(114)에 결합되어 회전하우징(120)을 회전시킬 때 1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줄을 회전하우징(120)의 외주연 소정부에 권취하게 된다.
그 줄이 신발끈인 경우에는 신발끈을 조이는 효과가 있겠다.
그 상태에서, 줄을 풀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하우징(120)을 적어도 3손가락 이상으로 파지하고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1)가 상기 제 2 톱니치형(114)을 이탈하여 제 1 톱니치형(113)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톱니치형(113)은 상기 래치(121)를 잡아주지 못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회전하우징(120)을 파지하지 않게 되면 상기 회전하우징(120)은 줄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분명히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부분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몇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 첫째로, 종래의 기술은 상기 회전하우징(120)에 권취된 줄을 풀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하우징(120)을 적어도 3손가락 이상으로 파지해야 하므로 한 개 손가락이나 두 개의 손가락으로는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두 번째로, 상기 회전하우징(120)이 매우 작은 부피이므로 파지와 조작이 쉽지 않으며, 특히 장갑같은 것을 손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이 더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세 번째로, 종래 기술의 구조는 상기 회전하우징(120)의 4개 래치(121)와, 고정하우징(110)의 다수개의 제 2 톱니치형(114)이 치합된 상태에서, 제 2 톱니치형(114)에 치합된 래치(121)는 제 2 톱니치형(114)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크구조이므로 접촉 면적이 넓으며, 그로인해 사용자가 상기 회전하우징(120)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때 4개의 래치(121)와 제 2 톱니치형(114)이 빡빡하게 잘 분리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줄의 권취시에 래치(121)가 제 2 톱니치형(114)에 대해 강하게 밀착되어야만 회전하우징(120)을 돌리다가 손을 떼어도 권취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래치(121)는 제 2 톱니치형(114)에 강하게 밀착되어서, 그 이유로 인해 권취 해제시 래치(121)가 제 2 톱니치형(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쉽지 않고 빡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네 번째로, 종래 기술은 상기 고정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회전하우징(120)을 들어올림으로 인해 줄의 권취를 해제하게 되는 바, 그 다음에 다시 줄을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하우징(120)이 들어올려져 있다는 것을 쉽게 망각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120)을 돌리게 되며, 우선 수회를 돌려봐야지만 줄이 회전하우징(120)에 권취되지 않는다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된다.
즉, 줄을 감기 위해 번거로운 기억을 해야 하거나, 회전하우징(120)을 다시 고정하우징(110)측으로 가압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더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발끈을 권취한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등으로 가압하면 간단하게 권취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전체 부피가 매우 작아도 가압부가 상방으로 볼록 도드라지게 형성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내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톱니치형(24)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단 외주연의 권취부(32)에 신발끈(1)이 감기게 된 권취 하우징(20)과; 상기 권취 하우징(20)의 하부가 내부에 요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 몸체(42)의 내부에 회전 가이드부(44)가 구성되고, 중앙 소정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부(46)가 구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유동홈(52)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40)과; 상기 승강 가이드부(46)에 인입되어 승강되는 몸체(6)가 구성되고, 몸체(6)의 상단에는 상기 톱니치형(24)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돌기(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유동홈(52)에 결합되는 유동단부(14)가 돌출되고, 그 유동단부(14)의 외주연에 상시 상방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스프링(16)이 결합된 조작로드(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방으로 노출된 몸체(22)의 외주연에 마찰부재(26)가 덧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기 권취부(32)의 상단 외주연과 하단 외주연에 각각 신발끈(1)이 권취부(3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상부턱(28)과 하부턱(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상단이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45)이 형성되어 권취하우징(2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각각 상기 신발끈(1)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통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는 그 상단이 내부 중앙방향으로 절곡된 제 1턱(48)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로드(4)의 몸체(6) 외주연 소정부에는 상기 제 1턱(48)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제 2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로드(4)는 그 몸체(6)가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로드(4)는 그 상단에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8)가 구비되며, 그 가압부(8)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압이 용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구성이 간단하며 권취와 권취해제 조작이 쉽고, 신발을 신을 때 회전조작 외에 권취가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권취해제시 상대적으로 조작에 필요한 힘이 덜든다. 또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일단 등과 같이 한 지점만 누르게 되면 자동으로 신발끈(1)에 대한 권취가 해제되므로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포함된 톱니치형과 돌기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포함된 조작로드와 승강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포함된 톱니치형과 돌기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 포함된 조작로드와 승강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는 신발끈을 권취한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등으로 가압하면 간단하게 권취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전체 부피가 매우 작아도 가압부가 상방으로 볼록 도드라지게 형성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는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끈가이드를 통과하는 신발끈(1)을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기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의 내부에 신발끈(1)을 권취시킬 수 있고, 권취된 신발끈(1)을 장치의 외부로 유출시켜서 풀어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내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톱니치형(24)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단 외주연의 권취부(32)에 신발끈(1)이 감기게 된 권취 하우징(20)과; 상기 권취 하우징(20)의 하부가 내부에 요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 몸체(42)의 내부에 회전 가이드부(44)가 구성되고, 중앙 소정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부(46)가 구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유동홈(52)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40)과; 상기 승강 가이드부(46)에 인입되어 승강되는 몸체(6)가 구성되고, 몸체(6)의 상단에는 상기 톱니치형(24)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돌기(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유동홈(52)에 결합되는 유동단부(14)가 돌출되고, 그 유동단부(14)의 외주연에 상시 상방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스프링(16)이 결합된 조작로드(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40)과 권취하우징(20)은 그 몸통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신발끈(1)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50)이 형성되어 권취하우징(20)이 회전하면 그 외주연 소정부에 자연스럽게 신발끈(1)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40)의 내부에 권취하우징(20)의 하단부가 일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50)을 통해 신발끈(1)이 상기 하부하우징(30)과 권취하우징(20)을 모두 관통하게 설치된 이후, 상기 권취하우징(20)만 회전하게 되면 신발끈(1)이 권취하우징(20)의 외주연에 대해 비틀어지면서 밀착되고 권취된다. 그로인해, 외부의 신발끈(1)이 하부하우징(40)의 내측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방으로 노출된 몸체(22)의 외주연에 마찰부재(26)가 덧씌워져 사용자가 파지시 파지가 용이하고 회전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기 권취부(32)의 상단 외주연과 하단 외주연에 각각 신발끈(1)이 권취부(3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상부턱(28)과 하부턱(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중앙 소정부에는 상기 조작로드(4)가 상기 회전하우징(20)과 간섭되지 않고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가이드부(46)가 구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는 그 상단이 내부 중앙방향으로 절곡된 제 1턱(48)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로드(4)의 몸체(6) 외주연 소정부에는 상기 제 1턱(48)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제 2턱(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로드(4)가 스프링(16)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승강 가이드부(46)를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상단이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45)이 형성되어 권취하우징(2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권취하우징(20)의 하단 외주연에는 신발끈(1)이 권취되는 권취부(32)가 형성되는 바, 상기 권취하우징(20)이 회전하여 권취부(32)에 신발끈(1)이 감기면 상기 하부하우징(40)에 대한 신발끈(1)의 탄성이 발생하여 상기 권취하우징(20)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발생된다.
그 권취하우징(20)의 복원력을 억제하는 것이 고정돌기(10)이다.
상기 고정돌기(10)는 권취하우징(20)의 톱니치형(24)에 밀착되어 톱니치형(24)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권취하우징(20)의 회전을 통제한다.
이때, 상기 톱니치형(24)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하우징(20)을 미리 정해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10)가 그 톱니치형(24)을 타고 넘어가면서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권취하우징(20)에 대한 회전력을 제거하면 톱니치형(24)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가 구비된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신발끈(1)을 풀고자 할 때에는 상기 권취하우징(20)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신발끈(1)이 모두 풀리는 것이 아니고, 신발을 벗거나, 다시 신을 수 있을 정도로만 느슨하게 풀리면 된다.
신발끈(1)이 풀리는 것과는 반대로 신발끈(1)을 조이는 경우에는 신발끈(1)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견실하게 조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조작로드(4)는 권취하우징(20)의 회전과 무관하게 승강동작만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몸체(6)가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도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로드(4)는 그 상단에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8)가 구비되며, 그 가압부(8)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압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는 상기 권취 하우징(20)의 회전시 신발끈(1)의 권취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톱니치형(24)과 치합되는 고정돌기(10)는 조작로드(4)의 상단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조작로드(4)는 상시 스프링(16)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상시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권취하우징(20)에 대한 회전력을 제거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톱니치형(24)은 상기 고정돌기(10)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불가하게 회전이 통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하부하우징(40)의 내부에 상기 권취하우징(20)의 하단 일부가 조립되어져 있고, 상기 하부하우징(4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조작로드(4)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치형(24)의 외주연 소정부에 고정돌기(10)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권취하우징(30)의 내부 상단으로 상기 조작로드(4)가 스프링(16)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가 되고, 상기 톱니치형(24)의 외주연 소정부에 고정돌기(10)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신발끈(1)을 조이려면 상기 권취하우징(20)의 상단 외주연의 마찰부재(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권취하우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하우징(30)의 내부 상단으로 상기 조작로드(4)가 스프링(16)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가 되고, 상기 톱니치형(24)의 외주연 소정부에 고정돌기(10)가 밀착되어져 있으므로 고정돌기(10)가 그 톱니치형(24)을 타고 넘어가면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권취하우징(20)의 권취부(32)에 신발끈(1)이 권취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권취하우징(20)에 가해진 회전력을 제거하고 마찰부재(12)에대한 사용자의 파지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권취하우징(20)에 권취된 신발끈(1)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려고 회전을 시도한다.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도한다.
하지만, 상기 톱니치형(24)의 내주연 소정부에 고정돌기(10)가 밀착된 상태이고 역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로 치합되어져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하우징(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즉, 신발끈(1)은 꽉 조여지기만 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벗어야 될 시점이 도래하면, 사용자는 신발끈(1)의 권취를 해제하는 조작을 행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작로드(4)의 상단 가압부(8)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조작로드(4)의 하단에 구비된 스프링(16)은 압축되면서 조작로드(4)의 하단에 형성된 유동단부(14)가 유동홈(52)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로인해, 상기 톱니치형(24)의 내주연 소정부에 밀착된 고정돌기(10)의 밀착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되고, 상기 권취하우징(20)은 신발끈(1)의 탄성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서, 신발끈(1)은 권취하우징(20)의 권취부(32)로부터 풀리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발끈(1)이 권취 해제되는 것은 상기 권취하우징(20)에 권취된 모든 신발끈(1)이 다 풀리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신발에 발을 집어넣을 수 있을 정로로만 느슨하게 풀리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2)는 구성이 간단하며 권취와 권취해제 조작이 쉽고, 신발을 신을 때 회전조작 외에 권취가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권취해제시 상대적으로 조작에 필요한 힘이 덜든다.
또한, 손가락 하나 또는 볼펜 일단 등과 같이 한 지점만 누르게 되면 자동으로 신발끈(1)에 대한 권취가 해제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조작로드, 10:고정돌기
16:스프링, 20:권취하우징,
24:톱니치형, 32:권취부,
40:하부하우징, 46:승강가이드부.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내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톱니치형(24)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단 외주연의 권취부(32)에 신발끈(1)이 감기게 된 권취 하우징(20)과;
    상기 권취 하우징(20)의 하부가 내부에 요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 몸체(42)의 내부에 회전 가이드부(44)가 구성되고, 중앙 소정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부(46)가 구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유동홈(52)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40)과;
    상기 승강 가이드부(46)에 인입되어 승강되는 몸체(6)가 구성되고, 몸체(6)의 상단에는 상기 톱니치형(24)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돌기(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유동홈(52)에 결합되는 유동단부(14)가 돌출되고, 그 유동단부(14)의 외주연에 상시 상방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스프링(16)이 결합된 조작로드(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방으로 노출된 몸체(22)의 외주연에 마찰부재(26)가 덧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하우징(20)은 상기 권취부(32)의 상단 외주연과 하단 외주연에 각각 신발끈(1)이 권취부(3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상부턱(28)과 하부턱(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상단이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45)이 형성되어 권취하우징(2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각각 상기 신발끈(1)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통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는 그 상단이 내부 중앙방향으로 절곡된 제 1턱(48)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로드(4)의 몸체(6) 외주연 소정부에는 상기 제 1턱(48)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제 2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4)는 그 몸체(6)가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46)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4)는 그 상단에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8)가 구비되며, 그 가압부(8)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압이 용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1020140178971A 2014-12-12 2014-12-12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10165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71A KR101651401B1 (ko) 2014-12-12 2014-12-12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71A KR101651401B1 (ko) 2014-12-12 2014-12-12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20A true KR20160071620A (ko) 2016-06-22
KR101651401B1 KR101651401B1 (ko) 2016-08-26

Family

ID=563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71A KR101651401B1 (ko) 2014-12-12 2014-12-12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15A1 (ko) * 2017-02-02 2018-08-09 주식회사 박의지 끈 조임 장치
KR101962073B1 (ko) * 2018-08-24 2019-03-25 성락출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15A1 (ko) * 2017-02-02 2018-08-09 주식회사 박의지 끈 조임 장치
KR101962073B1 (ko) * 2018-08-24 2019-03-25 성락출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401B1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KR10124942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52744B1 (ko) 끈을 묶거나 풀기 위한 조절 장치
EP3498124B1 (en) Winding device
KR101438572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8434200B2 (en) Adjusting device for tightening or loosing laces and straps
KR101607690B1 (ko) 와이어 릴
KR20100111031A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648815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55044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GB2575384A (en) Shoe lace tightening device
KR101651402B1 (ko) 캔 레버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101651401B1 (ko)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100890216B1 (ko) 신발의 외줄 쾌속 결속구조
US20180132567A1 (en) Shoestring tightening device
KR20170001249A (ko) 신발끈 자동 조임 장치
KR101570811B1 (ko)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KR20120079489A (ko) 신발의 핸즈프리 와이어 조임 장치
KR101607695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20150131485A (ko) 잠금커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KR20160071622A (ko) 측부 조작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101563525B1 (ko) 신발끈 조임 구조체
KR101821302B1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8924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236326B1 (ko) 태엽을 이용한 넥타이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