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695B1 - 볼링용 손목보호대 - Google Patents

볼링용 손목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695B1
KR101607695B1 KR1020150079914A KR20150079914A KR101607695B1 KR 101607695 B1 KR101607695 B1 KR 101607695B1 KR 1020150079914 A KR1020150079914 A KR 1020150079914A KR 20150079914 A KR20150079914 A KR 20150079914A KR 101607695 B1 KR101607695 B1 KR 10160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ire
wrist
bowling
prot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연욱
Original Assignee
구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욱 filed Critical 구연욱
Priority to KR102015007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팔목부와, 상기 팔목부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등부로 구성된 보호대 몸체; 상기 보호대 몸체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의 연결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호대 몸체에 지지되게 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보호대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상기 상기 보호대 몸체에 밀착시키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보호대 몸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게 하는 와이어 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 일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도록 밴드의 고정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손목보호대에 고정하고,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손목보호대에 연결되어 와이어 릴의 조작에 의한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손목보호대에 밀착시켜 안전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며, 보호대 몸체를 분할 구성하고 있는 팔목부와 손등부 중 손등부의 각도 조절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각도 조절부에 의해 가능하므로 단순 조작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볼링용 손목보호대 {Bowling wrist protector}
본 발명은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 몸체 중 손등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손목과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밴드 일단의 길이 조절과 함께 길이가 조절된 밴드 위치를 손목보호대에 고정시키고, 밴드의 타단을 와이어를 통해 손목보호대에 연결하여 와이어 릴에 의한 와이어의 당김시 이격된 밴드의 단부를 손목보호대로 당겨 견고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볼링을 할 때 볼링공에 스핀을 주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의 스냅을 구현하게 하면서 볼링공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손바닥이나 손목, 팔 근육이 다치기 쉬운데 이런 위험요소를 줄여주면서 부상을 방지해주는 중요한 볼링 장비 중에 하나이다.
더욱이,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일체형에서 착용자가 팔목에 대하여 손을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제품이 제작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2294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2294호에 개시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229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팔목덮개(11)와, 상기 팔목덮개(11)와 분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목덮개(11)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팔목덮개(11)에 결합된 손등덮개(12)와, 벽면이 상기 팔목덮개(11)와 상기 손등덮개(12)를 연결하는 방향을 향하고 상기 손등덮개(12)의 상면과 상기 팔목덮개(11)의 상면 중 어느 일방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스토퍼벽(41)과 일면이 상기 스토퍼벽(41)의 벽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손등덮개(12)와 상기 팔목덮개(11) 중 나머지 일방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50)을 가지고 상기 팔목덮개(11)에 대한 상기 손등덮개(12)의 상하방향회동각도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손등덮개상하각도조작부(40)를 갖는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50)은 안내장공(5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부(51)과 상기 안내판부(5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안내레일벽부(52)와 상기 안내레일벽부(52)에 나란하도록 상기 안내판부(51)의 저면에 형성된 랙타입의 고정블럭잠금기어(53)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안내레일벽부(52)가 상기 스토퍼벽(41)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손등덮개상하각도조작부(40)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벽부(6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벽부로(61)부터 상기 지지벽부(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압부(62)를 가지고 상기 지지벽부(61)가 상기 안내레일벽부(52) 사이에서 직선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블럭(60)과, 일단이 상기 안내판부(51)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벽부(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블럭바디부(71)와 상기 회동블럭바디부(71)가 상기 안내판부(51)에 접근하도록 회동할 때 상기 고정블럭잠금기어(53)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회동블럭바디부(71)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블럭잠금기어(72)를 갖는 회동블럭(60)과, 노브헤드부(81)와 상기 노브헤드부(81)로부터 연장형성된 노브다리부(82)를 가지고 상기 노브헤드부(81)가 상기 안내판부(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다리부(82)가 상기 안내장공(51a)을 통과하고 상기 노브다리부(82)를 통해 상기 회동블럭바디부(71)에 결합되는 조작노브(80)와, 상기 조작노브(80)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블럭잠금기어(53)와 상기 회동블럭잠금기어(72)의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블럭(70)을 상기 가동블럭(60)에 대하여 탄성지지하고 상기 고정블럭잠금기어(53)와 상기 회동블럭잠금기어(72)의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조작노브(80)를 가압할 때 복귀탄성력을 축적하면서 수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블럭(60)과 상기 회동블럭(7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는 손등에 대한 구속상태유지를 위해 팔목밴드(17)와 손등밴드(18)에 벨크로테이프(19)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구현하고 있는데, 사용자마다 손목의 두께가 다르므로 손목이 얇은 사람은 상기 벨크로테이프(19)와의 접촉 부위가 남고, 상대적으로 손목이 얇은 사람은 상기 벨크로테이프(19)와의 접촉 부위가 모자라 견고한 착용이 난해하며, 상기 팔목밴드(17)와 상기 손등밴드(18)는 벨크로테이프(19)와의 접촉 위치를 다르게 할 뿐 길이는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22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 일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도록 밴드의 고정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손목보호대에 고정하고,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손목보호대에 연결되어 와이어 릴의 조작에 의한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손목보호대에 밀착시켜 안전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며, 보호대 몸체를 분할 구성하고 있는 팔목부와 손등부 중 손등부의 각도 조절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각도 조절부에 의해 가능하므로 단순 조작에 의해 구현할 수 있게 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팔목부와, 상기 팔목부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등부로 구성된 보호대 몸체;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밴드 일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가 조절된 상기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호대 몸체에 지지되게 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보호대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상기 보호대 몸체에 밀착시키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게 하는 와이어 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단면 형상이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밴드가 감기도록 형성된 밴드 감김축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밴드 감김축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가 삽입되면서 통과하는 슬릿 홀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의 일단이 상기 밴드 감김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일단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또는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부재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밴드의 길이 조절이 요구될 때 상기 연장부를 잡아당겨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일단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또는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부재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되, 전면 양단에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양쪽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홀이 후면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하면에 밴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되, 전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양쪽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홀이 후면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통과홀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 통과홀과 평행한 슬릿 형태의 밴드 통과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밴드의 표면에는 거리별 눈금 또는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는 손목 부위와 손등 부위를 감싸도록 각각 구비되며, 손등 부위를 감싸는 밴드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의 폭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릴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래칫기어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면에 제1 결속 톱니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와이어의 양 끝단이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스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회전력을 상기 스풀에 전달하고 상승시 상기 스풀의 제1 결속 톱니에서 이격되도록 저면에 제2 결속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의 래칫기어에 치합될 수 있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같이 회전 및 승강하는 핸들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공 내주면에 탄성 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공이 상기 연결축의 돌출부를 통과할 때 상기 탄성 돌기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결속공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기 구속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속부재 삽입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재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톱니가 항시 상기 래칫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구속부재는 동일 재질 또는 상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팔목부 상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손등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손등부의 회전 기점과 직교 방향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직선 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 이동부재와 치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직선 이동부재가 상기 손등부의 후면을 향해 전후 이동하는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 일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도록 밴드의 고정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손목보호대에 고정하고,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손목보호대에 연결되어 와이어 릴의 조작에 의한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손목보호대에 밀착시켜 안전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며, 보호대 몸체를 분할 구성하고 있는 팔목부와 손등부 중 손등부의 각도 조절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각도 조절부에 의해 가능하므로 단순 조작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서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 밴드의 타단에서 제2 연결부재가 손목측에 밴드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 밴드의 타단에서 제2 연결부재가 손바닥측에 밴드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2 연결부재가 제2 걸림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2 연결부재가 제2 걸림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에 와이어가 매듭에 의해 묶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연결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구속부재와 연결부재 및 가이드홀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연결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분리방지부재가 연결부재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핸들커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연결축과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에 와이어가 매듭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서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제1 걸림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 밴드의 타단에서 제2 연결부재가 손목측에 밴드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 밴드의 타단에서 제2 연결부재가 손바닥측에 밴드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2 연결부재가 제2 걸림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제2 연결부재가 제2 걸림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에서 와이어 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에 와이어가 매듭에 의해 묶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스풀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연결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구속부재와 연결부재 및 가이드홀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연결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분리방지부재가 연결부재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핸들커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연결축과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구성 중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에 와이어가 매듭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볼링용 손목보호대(10)는 보호대 몸체, 제1 연결부재(20)(20'), 제2 연결부재(30)(30'), 각도 조절부 및 와이어 릴(100)(100')을 포함한다.
보호대 몸체는 착용자의 손목과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하며, 팔목부(10a), 연결부(10b) 및 손등부(10c)를 포함한다.
팔목부(10a)는 착용자의 팔목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지지 대상이 팔목임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밴드(B)의 양단부에 제1 연결부재(20)와 제2 연결부재(3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연결부재(20)는 제1 걸림부재(12)에 걸리게 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30)는 와이어(W)에 의해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0b)는 팔목부(10a)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부(10b)는 손목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팔목부(10a)의 전면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손등부(10c)는 착용자의 손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부(10b)의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손등부(10c)는 지지 대상이 손바닥임에 따라 두께가 얇은 밴드(B)의 양단부에 제1 연결부재(20')와 제2 연결부재(3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20')는 제2 걸림부재(16)에 걸리게 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30)는 와이어(W)에 의해 제2 와이어 가이드(18)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손등부(10c)는 좌우 회전시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단에 기어가 형성되어 수동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에 일단이 치합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의 타단에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스크루의 회전시 상기 손등부(10c)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연결부(10b)의 선한 아치부에 기어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20)(20')는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하면서 밴드(B)의 일단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밴드(B)의 연결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각각 지지되게 한다.
즉, 상기 제1 연결부재(20)(20')는 볼링 손목보호대의 밴드 길이 조절과 밴드 길이 조절 위치 고정용 구조물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밴드(B)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 후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22)(22'), 밴드 감김축부(24)(24') 및 슬릿 홀(26)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20)(20')는 일단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에 고정된 복수의 밴드(B) 타단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밴드(B)의 고정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가 조절된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 위치를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각각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재(20)(20')는 착용자의 손목 부위와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평행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밴드(B)를 상호 대각선 위치에서 볼링용 손목보호대(10) 상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각각 지지되도록 걸리게 하며, 대향 위치에 후술할 제2 연결부재(30)(30')가 장착된다.
연장부(22)(22')는 단면 형상이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밴드(B)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겨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서 각각 분리시킬 수 있다.
밴드 감김축부(24)(24')는 연장부(22)(22')의 배면 하단에서 밴드(B)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밴드(B)의 타단이 감기도록 일체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밴드 감김축부(24)(24')의 외주면에는 밴드(B)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릿 홀(slit hole: 26)은 연장부(22)와 밴드 감김축부(24)의 사이에 형성되어 밴드(B)의 타단이 삽입되면서 통과하는 홀(hole)로 상기 밴드(B)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4의 팔목부 상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20) 참조)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20)는 손목 부위에 위치된 밴드(B)의 두께가 손바닥 부위를 감싸는 밴드(B)의 두께보다 두꺼운 점을 감안하였을 때 손바닥 부위를 감싼 밴드(B)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될 뿐 형상은 동일하다.
즉, 상기 제1 연결부재(20)(20')는 착용자의 손목 부위와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B)의 단부에 연결되며,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B)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0)의 길이가 손바닥 부위를 감싸는 밴드(B)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0')의 길이보다 길뿐 구조적인 차이점은 없다.
더욱이, 밴드 감김축부(24)(24')에 감기는 밴드(B)의 표면에는 거리별 눈금 또는 숫자 또는 거리별 눈금과 숫자가 표시되어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을 세팅한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 재세팅이 요구되거나 최초 사용할 때 세팅이 요구되면 인지한 숫자 등에 맞춰 동일 위치로 조절이 가능하다.
제2 연결부재는 손목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30)와, 손바닥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30')로 구성되며, 제1 연결부재(20)(20')가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밴드(B)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20)(20')에 의해 밴드(B)의 연결 지점에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제2 연결부재(30)(30')에 의해 밴드(B)의 타단에 와이어(W)를 통해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B)를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 연결부재(30)(30')는 밴드(B)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W)를 통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연결되어 후술할 와이어 릴(100)(10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와이어(W)의 감김에 의해 제1 와이어 가이드(14), 제2 와이어 가이드(18)의 외벽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밴드(B)를 조이게 한다.
상기 제2 연결부재(30)(30')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고정된 타단을 와이어(W)에 의해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W)의 조임시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서 이격된 밴드(B)를 밀착시킴에 따라 조임력이 발생되도록 하며, 손목 부위와 손바닥 부위에 각각 착용이 가능하도록 평행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밴드(B)의 타단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연결부재(30)(30')는 착용자의 손목과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평행 방향으로 구비된 밴드(B)를 상호 대각선 위치에서 볼링용 손목보호대(10) 상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에 각각 밀착시켜 손목과 손바닥 부위를 조일 수 있도록 상기 밴드(B)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2 연결부재(30)(30')는 착용자의 손목 부위와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평행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밴드(B)를 상호 대각선 위치에서 볼링용 손목보호대(10) 상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로 각각 당겨져 밀착되게 하며, 대향 위치에 제1 연결부재(20)(2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손목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30)는 함몰부(32), 와이어 통과홀(34) 및 밴드 안착부(36)를 포함하며, 착용 부위가 손목 부위이므로 상기 밴드(B)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32)는 제2 연결부재(30)의 전면 양단에 슬릿(slit) 형상으로 각각 함몰 형성되면서 바닥면 양쪽에 한 쌍의 와이어 통과홀(34)이 각각 관통 형성됨으로써 일단과 타단에서 와이어(W)가 굴절되어 인입 방향과 인출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한다.
와이어 통과홀(34)은 함몰부(32)의 바닥면 양쪽에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각각 관통 형성된다.
밴드 안착부(36)는 제2 연결부재(30)의 상하면에 밴드(B)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밴드(B)의 말아진 단부가 안착되면서 고정된다.
더욱이, 밴드 안착부(36)에 감기는 밴드(B)의 표면에는 거리별 눈금 또는 숫자 또는 거리별 눈금과 숫자가 표시되어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을 세팅한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 재세팅이 요구되거나 최초 사용할 때 세팅이 요구되면 인지한 숫자 등에 맞춰 동일 위치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손바닥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30')는 함몰부(32'), 와이어 통과홀(34') 및 밴드 통과홀(36')을 포함하며, 착용 부위가 손바닥 부위이므로 상기 밴드(B)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32')는 제2 연결부재(30')의 전면에 슬릿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바닥면 양쪽에 한 쌍의 와이어 통과홀(34')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와이어(W)가 굴절되어 인입 방향과 인출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한다.
와이어 통과홀(34')은 함몰부(32')의 바닥면 양쪽에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밴드 통과홀(36')은 와이어 통과홀(34')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 통과홀(34')과 평행한 슬릿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홀(34')에 구비되는 와이어(W)의 연장 방향과 와이어(W)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밴드 통과홀(36')은 손목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30)와 달리 밴드(B)의 두께가 얇아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감안하였을 때 덧대는 구조로 구비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제1 연결부재(20)(20')가 연결된 밴드(B)의 반대쪽에 제2 연결부재(30)(30')를 연결하는 경우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일단이 고정된 밴드(B)의 타단에 와이어(W)를 통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에 연결되어 와이어(W)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B)를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에 밀착시켜 안전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한 부가적인 이점이 발생한다.
한편, 밴드 통과홀(36)(36')에 감기는 밴드(B)의 표면에는 거리별 눈금 또는 숫자 또는 거리별 눈금과 숫자가 표시되어 상기 밴드(B)의 길이 조절을 세팅한 후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 재세팅이 요구되거나 최초 사용할 때 세팅이 요구되면 인지한 숫자 등에 맞춰 동일 위치로 조절이 가능하다.
각도 조절부는 팔목부(10a) 상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10a')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손등부(10c)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직선 이동부재(40) 및 각도 조절부재(44)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10a')은 팔목부(10a)의 상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직선 이동부재(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전방에 각도 조절부재(44)의 정점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a')의 상면에 각도 조절부재(44)의 회전시 직선 이동부재(40)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전후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면취면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직선 이동부재(40)의 상면 역시 면취면이 형성된다.
직선 이동부재(40)는 합성주지재 또는 금속재 등의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손등부(10c)의 회전 기점과 직교 방향을 갖도록 하우징(10a')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직선 이동부재(40)는 저면에 이탈 방지홈(42)이 형성되어 하우징(10a')의 하부에 구비된 이탈방지부(4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각도 조절부재(44)는 직선 이동부재(40)와 치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직선 이동부재(40)가 손등부(10c)가 연결된 연결부(10b)의 후벽면을 향해 전후 이동하여 힌지를 기점으로 상기 손등부(10c)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와이어 릴(100)(100')은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된 제2 연결부재(30)(30')를 상기 와이어(W)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의 외측벽으로 당겨 볼링용 손목보호대(10)가 착용자의 손목과 손바닥 부분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릴(100)(100')은 하우징(110), 스풀(120), 연결축(130), 회전부재(140), 구속부재(150), 분리방지부재(160) 및 핸들커버(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대상물에 고정되며, 함몰부(112), 중심축부(114), 가이드 홀(116a, 116b) 및 래칫기어(118)를 포함한다.
함몰부(112)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에 원통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중심축부(114)는 함몰부(112)의 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연결축(13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된다.
가이드 홀(116a, 116b)은 하우징(110)의 하단에 함몰부(112)와 각각 연통되도록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W)의 감김 또는 풀림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통로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홀(116a, 116b)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직선 또는 소정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래칫기어(ratchet gear: 118)는 함몰부(112)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부재(14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도면(도 11) 기준 좌측이 수직면이 형성되고 우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스풀(spool: 120)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이면서 릴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함몰부(112) 내부에 형성된 중심축부(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홀이 관통 형성되며, 제1 결속 톱니(122), 제1, 2 와이어 고정홀(124a, 124b), 돌기(126) 및 와이어 단부 지지홀(128)을 포함한다.
제1 결속 톱니(122)는 스풀(12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부재(140)의 제2 결속 톱니(142)와 치합(meshing)된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회전부재(140)의 제2 결속 톱니(142)와 분리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결속 톱니(122)가 제2 결속 톱니(142)와 결합되면 와이어(W)를 감을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1 결속 톱니(122)가 상기 제2 결속 톱니(142)와 분리되면 와이어(W)를 풀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결속 톱니(122) 역시 래칫 형태로 형성되며, 도면(도 6) 기준 좌측이 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에 수직면이 형성된다.
제1, 2 와이어 고정홀(124a, 124b)은 스풀(120)의 둘레면에 와이어(W)의 양 끝단이 각각 매듭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스풀(120)이 회전되면서 권출(unroll) 상태의 상기 와이어(W)가 권취(roll) 상태로 전환되면서 감기게 된다.
즉,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은 스풀(120)의 대향된 양단에 각각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2 와이어 고정홀(124b)은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상측에 각각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은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와이어 고정홀(124b)은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와이어(W)가 두 번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W)가 한번 통과하는 제2 와이어 고정홀(124b)과 달리 통과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풀(120)에 고정되는 와이어(W)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선단이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일단을 통과한 후 반대 방향으로 접히면서 제1 접힘부(F1)가 형성된 상태로 제2 와이어 고정홀(124b)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타단을 통과하면서 제2 접힘부(F2)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접힘부(F1)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그 후, 제1 접힘부(F1)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된 와이어(W)의 단부는 와이어 단부 지지홀(128)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된 부분을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스풀(120)에 고정되는 와이어(W)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선단이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일단을 통과한 후 반대 방향으로 접히면서 제1 접힘부(F1)가 형성된 상태로 제2 와이어 고정홀(124b)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타단을 통과하면서 제2 접힘부(F2)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접힘부(F1)의 내부에 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바로 상기 와이어 단부 지지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돌기(126)는 제1 와이어 고정홀(124a)의 타단인 제1 접힘부(F1) 측 제1, 2 와이어 고정홀(124a, 124b)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 고정홀(124b)에 위치된 두 가닥의 와이어(W)가 직선 상태가 아닌 간섭을 받게 하여 상기 와이어(W)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어 단부 지지홀(128)은 제1 와이어 고정홀(124a)과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제1, 2 와이어 고정홀(124a, 124b)을 통해 매듭지어 고정된 와이어(W)의 단부가 삽입되게 하므로 노출에 따른 이웃한 구성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연결축(130)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되, 하우징(110)의 함몰부(112)의 중심축부(114) 상에 하단이 고정되어 핸들커버(170)가 결속된 회전부재(140)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며, 플랜지, 돌출부(132) 및 절개홈(134)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축(130)은 내부에서 볼트 등을 통해 하우징(110)의 중심축부(114)에 체결시켜 상기 연결축(130)을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축부(114)에 고정시킨다.
더욱이, 상기 연결축(130)을 통해 볼트가 하우징(110)의 중심축부(114)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축(130)을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축부(114)에 고정시킨다.
플랜지는 연결축(130)의 상단에 형성된다.
돌출부(132)는 플랜지의 하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승된 후술할 회전부재(14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132)는 회전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된 결속공(144)이 통과하여 상기 회전부재(140)의 상승 위치가 제한되도록 하므로 상승된 상기 회전부재(140)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절개홈(134)은 연결축(130)에 축 방향을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부분 형성되어, 회전부재(140)의 결속공(144)이 돌출부(132)를 통과할 때 오므리게 하고 상기 돌출부(132)를 통과하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절개홈(134)은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회전부재(140)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연결축(130)을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제2 결속 톱니(142)가 스풀(120)의 제1 결속 톱니(122)에 치합되면서 회전력을 상기 스풀(120)에 전달하고 상승시 제2 결속 톱니(142)가 상기 스풀(120)의 제1 결속 톱니(122)에서 이격되도록 하며, 함몰부(140a), 제2 결속 톱니(142), 결속공(144), 구속부재 결합홈(146), 위치고정편(146a), 탄성돌기(146b) 및 경사돌기(148)를 포함한다.
함몰부(140a)는 회전부재(140)의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후술할 분리방지부재(160)의 삽입시 강제로 끼워지도록 방사상의 끼움돌기(140b)가 돌출 형성된다.
제2 결속 톱니(142)는 회전부재(140)의 저면 중 결속공(144)을 따라 형성되어 스풀(120)의 제2 결속 톱니(122)와 대응되는 래칫이다.
결속공(144)은 회전부재(140)의 함몰부(140a)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연결축(130)의 돌출부(132)를 통과하며,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의 상승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고, 외력을 가해 상기 돌출부(132)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의 제2 결속 톱니(142)가 스풀(120)의 제1 결속 톱니(122)에 결합되는 것이다.
구속부재 결합홈(146)은 결속공(144)의 중심을 기점으로 구속부재(150)의 일단인 결합부(152)가 삽입되도록 회전부재(14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위치고정편(146a)은 구속부재(150)의 일단인 결합부(152)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속부재 결합홈(146)의 저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속부재(150)를 지탱하므로 상기 구속부재(150)가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돌기(146b)는 구속부재 삽입홈(146)에 삽입된 구속부재(150)의 타단인 대향면에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구속부재(150)의 톱니(154)가 항시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에 치합될 수 있도록 선단이 상기 구속부재(15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돌기(146b)는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선단이 구속부재(150)의 톱니(154)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핸들커버(17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140)가 연동되면 상기 구속부재(150)의 톱니(154)가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래칫기어(118)의 경사면 시작점에서 정점까지는 점차 중심 방향을 향해 눌려지지만 정점을 통과하여 수직면을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속부재(150)의 톱니(154)를 상기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에 밀착되게 한다.
경사돌기(148)는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핸들커버(17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회전부재 결합홈(174)에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부재(140)에 결속된다.
한편, 상기 구속부재 결합홈(146), 위치고정편(146a), 탄성돌기(146b) 및 경사돌기(148)는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구속부재(150)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되, 회전부재(140)의 구속부재 결합홈(146)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140)가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방향을 구속하며, 결합부(152) 및 톱니(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재(150) 역시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결합부(152)는 회전부재(140)의 구속부재 결합홈(146)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단이 형성된다.
톱니(154)는 결합부(152)의 타단에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에 이가 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구속부재(150)는 회전부재(140)와 동일 재질 또는 상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재(140)보다 강도가 있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와 맞닿는 과정에서 재질 변경에 따라 부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160)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되, 회전부재(140)의 함몰부(140a) 상부에 결합되도록 중심에 홀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140)의 구속부재 결합홈(146)에 결합한 구속부재(1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리방지부재(160)는 회전부재(140)의 함몰부(140a) 내주면에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끼움돌기(140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핸들커버(170)는 회전부재(140)에 고정되어 와이어(W)의 조임을 위해 상기 회전부재(140)와 같이 회전 및 승강하며, 경사홈(172) 및 회전부재 결합홈(174)을 포함한다.
경사홈(172)은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돌기(148)와 대응되도록 핸들커버(170)의 내주면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홈(172)은 경사면을 따라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돌기(148)가 상승하면서 점차 후진하게 하므로 적은 힘으로 핸들커버(170)의 회전부재 결합홈(174)에 결속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 결합홈(174)은 경사홈(172)의 상측인 핸들커버(170)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돌기(148)가 결합될 때 핸들커버(170)가 상기 회전부재(14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시킨다.
한편,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연결축(130)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재(140)의 결속공(144) 내주면에 탄성 돌기(144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40)의 결속공(144)이 돌출부(132)를 통과시 상기 탄성 돌기(144a)가 벌어지고 상기 돌출부(132)를 통과하면 상기 탄성 돌기(144a)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와이어 릴에서 다른 실시예의 스풀에 와이어가 매듭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의 스풀(120')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구비된 연결축(130)이 적용될 경우 이에 접목되며, 제2 결속 톱니(122'), 제3, 4 와이어 고정홀(124a', 124b') 및 와이어 고정 돌기(126')를 포함한다.
제2 결속 톱니(122')는 스풀(12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부재(140)의 제2 결속 톱니(142)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회전부재(140)의 제2 결속 톱니(142)와 분리되면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 결속 톱니(122')는 3개가 등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제3, 4 와이어 고정홀(124a', 124b')은 스풀(120')의 둘레면에 와이어(W)의 양 끝단이 각각 매듭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스풀(120')이 회전되면서 권출(unroll) 상태의 상기 와이어(W)가 권취(roll) 상태로 전환되면서 감기게 된다.
즉, 제3 와이어 고정홀(124a')은 스풀(120')의 대향된 양단에 각각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 124b'-2)은 도 17을 기준으로 제3 와이어 고정홀(124a')의 상측과 우측에 각각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 124b'-2) 중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은 제3 와이어 고정홀(124a')과 동일중심선상 상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4 와이어 고정홀(124b'-2)은 상기 제3 와이어 고정홀(124a')과 상기 일측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의 중심선상 사이에 우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측 제4 와이어 고정홀(124b'-2)이 제3 와이어 고정홀(124a')과 상기 일측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와이어(W)의 단부가 제1 접힘부(F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와이어(W)의 단부 중심이 상기 제1 접힘부(F1)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접힘부(F1)의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제3 와이어 고정홀(124a')과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 124b'-2)은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스풀(120')에 고정되는 와이어(W)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선단이 제3 와이어 고정홀(124a')의 일단을 통과한 후 반대 방향으로 접히면서 제1 접힘부(F1)가 형성된 상태로 일측 제4 와이어 고정홀(124b'-1)을 통과한 다음 타측 제4 와이어 고정홀(124b'-2)의 타단을 통과하면서 제2 접힘부(F2)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접힘부(F1)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그 후, 제1 접힘부(F1)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된 와이어(W)의 단부는 와이어 고정 돌기(126') 안쪽에 강제 끼워진 상태에서 연장된 부분을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절단한다.
와이어 고정 돌기(126')는 와이어(W) 단부가 제3 와이어 고정홀(124a')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스풀(120')의 내부 천장면 양단에 각각 틈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어 와이어(W)의 단부가 강제 끼워져 노출에 따른 이웃한 구성인 연결축(130)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릴(100)(100')은 와이어를 통해 물품을 견고하게 조이기 위한 기능을 하며, 신발, 모자 또는 다른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헬멧, 백팩, 가방, 운동화 등과 같은 신발, 수상스키, 스키나 스노우 보드 등에 사용되는 부츠나 물건의 바인딩 및 볼링용 손목보호대 등에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와이어 릴(100)(100')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적용되는 경우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손목이나 손등에 맞게 밴드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손목이 얇은 사람의 경우 벨크로 테이프의 접착 부위가 남고 반대로 손목이 두꺼운 경우 벨크로 테이프의 접착 부위가 모자라 견고한 고정이 불가능한 기존과 달리 손목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밴드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손에 착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렇게, 상기 와이어 릴(100)(100')은 회전부재와 구속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기존과 같이, 상기 구속부재가 하강할 때 하우징에 형성된 래칫기어와의 치합 과정에서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과, 핸들커버가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는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래칫기어와 반복적인 이 물림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그리고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의 톱니가 상기 하우징의 래칫기어를 지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 등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에 피로가 누적되면서 파손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구속부재를 회전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착용하기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착용자에 맞게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에 구비된 밴드(B)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므로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연결부재(20)(20')를 상기 팔목부(10a)와 손등부(10c)의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서 잡아당겨 상기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는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최초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 밴드(B)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수행한다.
다음으로,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밴드 감김축부(24)(24')에 감긴 밴드(B)의 단부를 풀고 잡아당기거나, 밀어넣고 잡아당겨 상기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밴드(B)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밴드(B)를 반대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연장부(22)(22')가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의 슬릿 홀에 삽입되면서 쐐기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밴드(B)가 당겨지면 당겨질수록 상기 제1 걸림부재(12)와 제2 걸림부재(1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손목이나 손바닥에서 착탈하는 경우 후술할 와이어 릴(100)(100')에 의해 와이어(W)의 조임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30)(30')를 잡아당기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부재(30)(30')를 잡아당기면 함몰부(32)(32')와 이와 연결되어 통하는 와이어 통과홀(34)(34')을 따라 밴드(B)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W)가 풀어지면서 상기 밴드(B)의 타단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와이어(W)가 풀어지면서 밴드(B)의 타단과 볼링용 손목보호대(10)의 연결 부위와의 공간이 넓어지면 상기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손에 끼우게 된다.
다음으로, 후술할 와이어 릴(100)(100')을 조작하여 와이어(W)에 조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와이어(W)가 조여지면서 함몰부(32)(32')와 이와 연결되어 통하는 와이어 통과홀(34)(34')을 따라 밴드(B)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W)가 조여지면서 상기 밴드(B)의 타단이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의 외벽면에 밀착되므로 밴드(B)가 착용자의 손목이나 손바닥을 조이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 릴(100)(100')에 의해 와이어(W)를 조이는 경우, 착용자가 핸들커버(17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커버(170)에 고정된 회전부재(140)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핸들커버(170)는 연동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부재(140)가 하강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140)의 결속공(144)이 연결축(130)의 돌출부(132)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부재(140)의 저면에 형성된 제2 결속 톱니(142)가 스풀(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결속 톱니(122)에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시 상기 스풀(120)이 연동 회전되면서 와이어(W)가 상기 스풀(120)에 감길 수 있는 준비 상태이다.
더욱이, 상기 회전부재(140)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구속부재(150)의 톱니(154)가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핸들커버(17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한편, 핸들커버(170)의 회전시 회전부재(140)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구속부재(150)의 톱니(154)가 하우징(110)의 래칫기어(118)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상기 톱니(154)가 상기 래칫기어(118)의 경사면 정점에 도달하기까지 하향 회전되면서 상기 정점을 통과하면 상향 회전되며 이와 같은 하향 회전과 상향 회전을 반복하면서 상기 회전부재(140)가 상기 래칫기어(118)의 이빨 길이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때, 구속부재 결합홈(146)에 형성된 각각의 탄성돌기(146b)는 구속부재(150)의 톱니(154)가 상기 래칫기어(118)의 경사면 정점을 넘어가면 탄성력에 의해 다음 래칫기어(118)의 경사면 최저점으로 밀착되게 한다.
다음으로, 회전부재(140)에 의해 스풀(120)이 연동 회전되면서 양측 제1, 2 와이어 고정홀(124a, 124b)에 고정된 와이어(W)가 하우징(110)의 가이드 홀(116a, 116b)을 따라 감기게 되고 이에 대상물을 조이게 된다.
그 후, 와이어(W)의 감김력을 해제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핸들커버(17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회전부재(140) 역시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부재(140)의 저면에 형성된 제2 결속 톱니(142)가 스풀(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결속 톱니(122)에서 분리된다.
이때, 회전부재(140)의 결속공(144)이 연결축(130)의 돌출부(132)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140)가 자유 회전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회전부재(140)가 스풀(120)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스풀(120)이 자유 회전이 가능하므로 감긴 와이어(W)의 풀림이 가능하며, 이에 대상물의 조임력이 해제된다.
결국, 상기 제2 연결부재(30)(30')는 밴드(B)의 타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W)를 통해 볼링용 손목보호대(10)에 연결되어 와이어 릴(100)(10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와이어 릴(100)(100')의 내부에 와이어(W)가 감겨져 제1 와이어 가이드(14)와 제2 와이어 가이드(18)의 외벽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밴드(B)를 조이게 한다. 이렇게, 밴드(B)의 조임에 의해 손목 부위와 손바닥 부위에 볼링용 손목보호대(10)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 후, 볼링용 손목보호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등부(10c)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각도 조절부재(44)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 조절부재(44)가 나선부에 의해 직선 이동부재(40)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직선 이동부재(40)가 전진된다.
다음으로, 전진하는 직선 이동부재(40)의 전면이 손등부(10c)가 연결된 연결부(10b)를 밀면서 팔목부(10a)의 선단에 축결합된 상기 연결부(10b)가 상향 회전되면서 상기 손등부(10c)의 각도가 변경된다.
이때, 손등부(10c)의 각도를 작게 하거나 원위치시키는 경우 각도 조절부재(44)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 조절부재(44)가 나선부에 의해 직선 이동부재(40)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직선 이동부재(40)가 후진된다.
다음으로, 후진하는 직선 이동부재(40)가 후진되면서 팔목부(10a)의 선단에 축결합된 상기 연결부(10b)가 하향 회전되면서 상기 손등부(10c)의 각도가 변경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볼링용 손목보호대 20, 20': 제1 연결부재
22, 22': 연장부 24, 24': 밴드 감김축부
26: 슬릿 홀 30, 30': 제2 연결부재
32, 32': 함몰부 34, 34': 와이어 통과홀
36, 36': 밴드 안착부
100, 100': 와이어 릴 110: 하우징
120: 스풀 130: 연결축
140: 회전부재 150: 구속부재
160: 분리방지부재 170: 핸들커버

Claims (12)

  1. 팔목부와, 상기 팔목부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등부로 구성된 보호대 몸체;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밴드 일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가 조절된 상기 밴드의 길이 조절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호대 몸체에 지지되게 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상기 밴드의 타단에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보호대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조임시 이격된 밴드를 상기 보호대 몸체에 밀착시키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또는 손등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게 하는 와이어 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단면 형상이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밴드가 감기도록 형성된 밴드 감김축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밴드 감김축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가 삽입되면서 통과하는 슬릿 홀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의 일단이 상기 밴드 감김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일단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또는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부재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밴드의 길이 조절이 요구될 때 상기 연장부를 잡아당겨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일단에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또는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부재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몸체의 팔목부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되, 전면 양단에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양쪽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홀이 후면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하면에 밴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몸체의 손등부 상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되, 전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양쪽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홀이 후면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통과홀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 통과홀과 평행한 슬릿 형태의 밴드 통과홀이 관통 형성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밴드의 표면에는 거리별 눈금 또는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손목 부위와 손등 부위를 감싸도록 각각 구비되며, 손등 부위를 감싸는 밴드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의 폭보다 얇게 형성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릴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래칫기어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면에 제1 결속 톱니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와이어의 양 끝단이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스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회전력을 상기 스풀에 전달하고 상승시 상기 스풀의 제1 결속 톱니에서 이격되도록 저면에 제2 결속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의 래칫기어에 치합될 수 있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같이 회전 및 승강하는 핸들커버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공 내주면에 탄성 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공이 상기 연결축의 돌출부를 통과할 때 상기 탄성 돌기가 벌어지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결속공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기 구속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속부재 삽입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재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톱니가 항시 상기 래칫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된 볼링용 손목보호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구속부재는 동일 재질 또는 상이 재질로 형성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목부 상에 돌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손등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손등부의 회전 기점과 직교 방향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직선 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 이동부재와 치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직선 이동부재가 상기 손등부의 후면을 향해 전후 이동하는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0150079914A 2015-06-05 2015-06-05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60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14A KR101607695B1 (ko) 2015-06-05 2015-06-05 볼링용 손목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14A KR101607695B1 (ko) 2015-06-05 2015-06-05 볼링용 손목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695B1 true KR101607695B1 (ko) 2016-03-30

Family

ID=5566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914A KR101607695B1 (ko) 2015-06-05 2015-06-05 볼링용 손목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6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73B1 (ko)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KR20200059811A (ko) * 2018-11-22 2020-05-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KR20210000169U (ko) 2019-07-12 2021-01-20 (주)엠케이트레이딩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73211A (ko) * 2019-12-10 2021-06-18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83A (ja) * 2003-01-24 2004-08-12 Seikan Hai リストサポート
KR101414071B1 (ko) * 2013-03-26 2014-07-02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83A (ja) * 2003-01-24 2004-08-12 Seikan Hai リストサポート
KR101414071B1 (ko) * 2013-03-26 2014-07-02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73B1 (ko)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WO2019124698A1 (ko) * 2017-12-18 2019-06-27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US11571029B2 (en) 2017-12-18 2023-02-07 Sang Jin Lee Wrist guard with improved operation performance
KR20200059811A (ko) * 2018-11-22 2020-05-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KR102164851B1 (ko) 2018-11-22 2020-10-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KR20210000169U (ko) 2019-07-12 2021-01-20 (주)엠케이트레이딩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210073211A (ko) * 2019-12-10 2021-06-18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2403643B1 (ko) * 2019-12-10 2022-05-31 구연욱 회전 퀵 클램프를 이용한 볼링용 손목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695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KR101607690B1 (ko) 와이어 릴
US9179729B2 (en) Tightening systems
KR101559109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US2673381A (en) Quick lace shoelace tightener
KR10102846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0535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CA2573639C (en) Adjustable helmet
US20150257489A1 (en) Closure devices and methods for climbing shoes
WO2015035885A1 (zh) 带体收放装置
KR101892573B1 (ko)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KR20100129278A (ko) 클로저 시스템
KR101946156B1 (ko) 시계 스트랩
JP2011202335A (ja) スポーツ用グローブ閉止システム
US20160270470A1 (en) Adjustable helmet chinstrap
EP3254579B1 (en) Sports shoe, in particular for cycling
KR101570811B1 (ko)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KR101651402B1 (ko) 캔 레버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US4148102A (en) Umbrella-like hat
KR101572647B1 (ko) 잠금커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KR20120079489A (ko) 신발의 핸즈프리 와이어 조임 장치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KR100828906B1 (ko) 끈 길이 조절장치
KR101651401B1 (ko)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