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811A -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811A
KR20200059811A KR1020180144998A KR20180144998A KR20200059811A KR 20200059811 A KR20200059811 A KR 20200059811A KR 1020180144998 A KR1020180144998 A KR 1020180144998A KR 20180144998 A KR20180144998 A KR 20180144998A KR 20200059811 A KR20200059811 A KR 20200059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ire
load control
tensio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851B1 (ko
Inventor
나영민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8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63B21/005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induced by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되는 의복; 상기 의복에 설치되되, 신체의 팔 다리 관절 위치에 조임상태로 설치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를 관통되게 설치되어 그 일단이 의류의 상의와 하의에 고정되어 긴장력이 신체의 팔 다리에 전달되게 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의복의 상의와 하의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끝단이 집중 설 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긴장과 이완의 반복에 의한 부하로 팔다리 근육이 저항되게 하는 부하제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Description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Clothing-type muscular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신체에 입은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전신 근육운동이 되어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건강이 유지되도록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으로 자신의 육체가 건강해지도록 신경을 쓰지 못하는 환경에 처해있고, 특히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육체적인 활동시간에 비해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어서 운동부족현상으로 체력약화는 물론 면역력 결핍 현상으로 각종 현대적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사람의 신체는 하루 30정도만 빠른 걸음을 지속적으로 걷기만 해도 전신의 근육에 필요한 운동효과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건강 관련한 정보로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운동을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30분간 시간을 자신에게 할애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편리하면서 운동효과가 높은 신체밀착형 운동장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구매가 형성되어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신체밀착형 운동장비의 종류는 여러 가지이나, 휴대가 편리하고 신체착용 시 의복 외면으로 착용상상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선호하여 최근에는 내의형태의 의복에 근육을 긴장시키며 완화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근육자극 운동장치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착용형 운동장치 중 대한민국 특허청에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운동 재활기구“가 공개특허 제10-2011-0115764호(이하 ‘선공개’라 함)로 제안된 바 있다.
선 공개된 구성에 따르면 지퍼를 구비한 상하의 일체형 의복;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 2 모터들의 동력을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전달하는 구동부;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1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일측단이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각 부위 상의 의복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튜브들 각각의 내부를 관통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공개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이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환자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신체 각 부위의 재활 효율을 높이고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이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 가능하고, 재활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이동성 또한 양호하고, 의복과 별도로 보호재질을 구비한 링 형태의 목 지지대를 통해 와이어가 당기는 힘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선공개 구성의 경우, 의복에 여러 튜브들이 고정하고 그 튜브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어 의복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구성과, 상기 와이어를 의복에서 분리된 복수 개의 기어들에 연결되고, 기어들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의복과 분리된 구동모터와 각 기어들의 구성이 활동하는 데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특허공개번호 제2002-0066310호(2002.08.14.,공개)
본 발명은 신체에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 스스로가 긴장력을 조절하여 움직일 때 당겨지는 것에 대한 근육의 반발력이 일상생활에서의 반복되어 운동효과를 제공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시간을 일부러 내기 싫어하지만 운동이 필요한 사람, 또는 운동시간을 낼 수 없는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에 상의와 하의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운동이 되게 함과, 저항력 발생을 상의 및 하의에 부착된 조절기능으로 제어하여 저항력 없이 일상생활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의복을 이용한 와이어 운동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되는 의복; 상기 의복에 설치되되, 신체의 팔 다리 관절 위치에 조임상태로 설치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를 관통되게 설치되어 그 일단이 의류의 상의와 하의에 고정되어 긴장력이 신체의 팔 다리에 전달되게 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의복의 상의와 하의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끝단이 집중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긴장과 이완의 반복에 의한 부하로 팔다리 근육이 저항되게 하는 부하제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상의의 어깨위치에 설치되는 어깨밴드와, 상기 상의의 손목위치와 팔굽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손목 및 팔굽밴드 및 상의의 가슴위치와 하복부위치에 설치되는 가슴밴드와, 허리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어깨밴드는 상의에 설치된 고정체에서 착탈되고, 상기 손목, 팔굽, 가슴 및 허리밴드는 각 밴드의 고정체에서 결합분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하의의 골반위치에 설치되는 골반밴드와, 상기 하의의 발목위치와 무릅위치 밑 허벅지위치에 설치되는 발목밴드, 무릎밴드, 허벅지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하의의 밴드들은 각 밴드의 고정체에서 결합 분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와이어부재는, 가늘고 장력이 큰 소재로 된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상의에 장착되는 제1, 제2와이어와, 상기 하의에 장착되는 제3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손목밴드위치에 고정되어 그 타단이, 상기 팔굽밴드 및 어깨밴드를 관통하여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은 허리밴드위치에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이 가슴밴드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 설치되고, 상기 제3와이어는 상기 하의의 발목밴드위치에 일단이 설치되며 그 타단은 무릎밴드와 허벅지밴드 및 골반밴드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부하제어부재는, 상기 상의와 하의에 장착된 와이어의 끝단이 감기는 로울러체; 상기 로울러체에 상기 와이어 긴장력이 전달되게 설치되는 라체트휠; 상기 로울러체와 라체트휠의 상하 중심에 설치되어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노브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상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라체트휠을 포함한 로울러가 부하제어 시 승하강 되는 부하제어공간으로 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라체트휠은, 상기 부하제어부재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어홀의 공간에서 부하제어 신호에 따리 승하강되고, 상기 제어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휠과 치합되어 구동력을 상기 라체휠에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로울러체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휠의 부하제어 후 탄성 복귀력으로 상기 라체트휠이 구동모터에 치합되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부하제어부재에서 상의 하우징에는, 상기 라체트휠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집중고정되는 제1로울러와, 상기 제1로울러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집중 고정되는 제2로울러가 일체로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구동축의 하단에 금속편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축공 바닥면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타이머에 의한 전기적신호로 발생되는 자력으로 상기 구동축이 당겨져 상기 라체트휠이 상기 구동모터에서 분리되어 장력의 긴장상태가 이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체에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 스스로가 긴장력을 조절하면서 생활할 때 당겨지는 상태에 대한 근육의 반발력이 반복되는 것이어서 자연적으로 신체에 운동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시간을 일부러 내기 싫어하지만 운동이 필요한 사람, 또는 운동시간을 낼 수 없는 사람들에게도 상의와 하의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일상생활 중에 상의와 하의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운동이 되게 함과, 저항력 발생을 상의 및 하의에 부착된 조절기능으로 제어하여 저항력 없이 일상생활도 충분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를 상의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를 하의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 중 상의에 설치되는 부하제어부재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으로 부하제어부재의 긴장제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 중 부하제어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긴장상태가 해제된 상태에 대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를 상의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를 하의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상태에 따른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는 착용대상자의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되는 의복 즉, 상의(110)와 하의(120)에 설치되는 부하제어부재(400)에서 신체의 팔과 다리측으로 와이어부재(300)가 긴장되게 연장 설치되어 팔, 다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각각의 근육에서 에너지 소비가 극대화되게 하는 긴장력이 형성되며, 또 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상의(110)와 하의(120)에서 신체의 팔, 다리근육에 대하여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신체의 팔 다리 관절 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이 요구되므로 와이어부재(300)가 팔 다리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밴드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200)는, 의류의 각 위치, 예를 들면 어깨, 손목, 팔굽 위치에 부착 또는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신체의 팔 다리에 긴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신체에 착용하는 상의(110)의 가슴위치와, 하의(120)의 단전위치에 설치되며 신체의 팔, 다리의 관절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일단이 배열되고,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끝단이 후술되는 부하제어부재(400)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긴장과 이완의 반복을 의복을 착용한 TKD태에서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200)는, 신체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의(110)의 어깨위치에 설치되는 어깨밴드(210)와, 손목위치와 팔굽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손목 및 팔굽밴드(220, 230), 그리고 상의(110) 가슴위치와 복부위치에 설치되는 가슴밴드(240)와, 허리밴드(250) 및 복부밴드(250A)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밴드부재(200)는, 신체의 하체에 착용되는 하의(120)의 골반위치에 설치되는 골반밴드(260)와, 발목위치와 허벅지위치에 설치되는 발목밴드(270), 무릎밴드(280) 및 허벅지밴드(290)로 형성된다.
상기 밴드부재(200)가 설치되는 상의(110)와 하의(120)에는, 상기 밴드부재(200) 중 상의측에 위치하는 어깨밴드(210)와 하의측에 위치하는 골반밴드(260)의 결합 고정을 위한 고정체(140)가 설치되는 데, 상기 고정체(140)는 벨크로테잎과 같이 상호 결합, 분리 구조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의측에 설치되는 팔목밴드(220)와 팔굽밴드(230)는 팔의 외면에 감기기는 충분한 길이로 되어 그 양단에 벨크로테잎과 같이 상호 결합, 분리 구조를 갖는 고정체(203)가 구비되며, 하의측에 설치되는 발목밴드(270)와 무릎밴드(280) 및 허벅지밴드(290)에도 다리에 감기는 상태에서 그 양단에 벨크로테잎과 같이 상호 결합, 분리 구조를 갖는 체결수단(203)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가볍고, 가늘며 장력이 큰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된 금속와이어선이 적용된다.
이러한, 와이어부재(300)는 상기 상의(110)에 장착되는 제1, 제2와이어(310, 330)와, 상기 하의(120)에 장착되는 제3와이어(3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와이어(310)의 일단은 상기 손목밴드(220)위치에 고정되어 그 타단이, 상기 팔굽밴드(230) 및 어깨밴드(210)를 관통하여 상기 부하제어부재(400)에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330)의 일단은 복부밴드(250A)위치에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이 허리밴드(250)와 가슴밴드(240)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400)에 설치되고, 상기 제3와이어(350)는 상기 하의의 발목밴드(270)위치에 일단이 설치되며 그 타단은 무릎밴드(280)와 허벅지밴드(290) 및 골반밴드(260)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400)에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부재(400)를 설치하면서 상의(110)에 설치되는 밴드부재(200)와 하의(120)에 설치되는 밴드부재(200)는 한 가닥의 와이어선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선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팔과 몸통 그리고 다리에 구성된 여러 가닥의 근육 발달에 필요한 긴장력을 각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 중 상의에 설치되는 부하제어부재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상태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으로 부하제어부재의 긴장제어 구성을 보인 단면상태이다.
상기 부하제어부재(400)는, 신체에 착용되는 상의(110) 및 하의(120)를 통하여 신체의 각 근육에 긴장력이 제공되는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상기 부하제어부재(400)에 의해 그 긴장력이 증가 및 이완 상태로 선택 또는 조절되는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부하제어부재(400)는, 각 근육으로 긴장력이 제공되도록 소정의길이로 된 상기 와이어부재(300)와,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외주면는 정도에 따라 긴장상태가 제어되는 휠체(430)와, 이들 상기 와이어부재(300) 및 휠체(430)를 수용하여 보관 및 구동되기에 충분한 제어공간(420)으로 된 하우징(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의(110)의 가슴 중앙위치와, 하의(120)의 단전 중앙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의 제어공간(420)에서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각 방향으로 진출입되며, 상기 하우징(410)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긴장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노브(46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제어공간(420)으로 설치되는 휠체(430)에는 하우징(410) 외부 각 방향으로 인출된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감기는 제1, 제2, 제3휠(431,433,434)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긴장력이 제어되게 톱니형 치차가 구비된 라체트(440)가 형성되어 그 중심 즉, 중심축선 상에 회전을 위한 구동축(45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450)의 상하단이 상기 하우징(410)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휠체(430)와 라체트(440)는 동시에 회동되며 상기 하우징(410)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어노브(460)에 의해 회동상태가 조절된다.
이러한 상기 휠체(430)와 라체트(440)는 상기 와이어부재(300)에 긴장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회동상태가 조절되는 제어구성을 적용하여 회동상태가 착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회동상태의 제어는, 상기 라체트(440)에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라체트(440) 외주연에 형성되는 톱니형태의 치차(440a)와, 상기 하우징(410)의 제어공간(420)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440)의 치차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443)의 구성으로 회동력이 조절된다.
또한, 회동상태의 제어는, 상기 구동축(450)의 하단과 상기 하우징(410)의 제어공간(420) 바닥 사이로 구동축(450)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이 제공되는 스프링(48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휠체(430)의 부하제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의(110)의 가슴위치, 하의(120)의 단전 위치에 설치된 고정체(140)에 상기 하우징(410)이 부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재(200)의 어깨밴드(210)와, 허리밴드(250), 복부밴드(250A), 가슴밴드(240) 골반밴드(260)를 상의(110) 및 하의(120)의 고정체(140)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200)의 손목밴드(220), 팔굽밴드(230) 그리고 발목밴드(270), 무릎밴드(28), 허벅지밴드(290)를 팔과 다리에 감기는 상태로 착용하면 각 밴드 자체에 형성된 체결수단(203)이 맞물려 고정된다.
이러한 밴드부재(200)의 착용으로 상기 밴드부재(200)의 각 밴드를 관통되는 와이어부재(300)의 여러 가닥 와이어들은 팔과 다리의 근육위치에서 상의(110) 및 하의(120)에 설치된 하우징(410) 휠체(430)에 감긴 상태로 긴장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부하제어부재(400)의 하우징(410) 외면을 노출된 상태로 있는 제어노브(460)를 조작하면 구동축(450)에 구비된 라체트(440)와 제1, 제2, 제3휠(431,433,434)과 라체트(440)가 동시에 회동되어 라체트(440)는 스토퍼(443)의 톱니형 치차(440a)를 단계적으로 지나치게 되고, 와이어부재(300)의 각 와이어들은 제1, 제2, 제3휠(431,433,434)에 감기면서 당겨져 손목밴드(220)과, 발목밴드(270)와, 복부밴드(250A)에서부터 하우징(410)의 휠체(430) 사이에서 긴장상태가 이루지고, 상기 제어노브(460)의 조절을 멈추면 상기 라체트(440)의 치차에 스토퍼(443)의 발톱이 걸려 정지되면서 와이어부재(300)에 긴장력이 형성된다.
이때의 긴장력으로 와이어부재(300)가 지나는 팔, 배, 다리 위치의 근육에서는 대응된 운동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근육이 뭉치는 상태로 된다.
상기 와이어부재(200)가 신축성이 있고 탄성복원력이 좋은 소재로 선택된 경우 착용자는 상기 제어노브(460)로 와이어부재(300)가 긴장되게 조절하면 팔, 다리, 허리의 움직임과 활동 상태에 따라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것이어서 그 때마다 신체의 근육에서는 긴장상태에 대한 반응으로 근육이 뭉치고 풀어지는 상태가 반복되는 것이어서 이는 일상적인 신체의 활동범위에서 근육을 단련시키게 된다.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긴장 조절되게 하는 부하제어부재(400)에서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어노브(460)를 누르면 구동축(450)과 함께 휠체(430) 및 라체트(440)가 하강되어서 스토퍼(443)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고, 라체트(440)의 자유로움 즉, 록크해제의 상태로 인해 휠체(430)에 감겨 긴장상태를 이루던 와이어부재(300)의 긴장력이 해제된다.
상기 와이어부재(300)의 긴장력 해제상태는 신체의 각 근육에 저항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운동정지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본 발명의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를 벗거나, 잠시 휴식을 취하는 상태이다.
운동을 계속하고자 할 때, 상기 제어노브(460)를 누르던 손에서 힘을 제거하면 상기 구동축(450) 하단에서 압축되던 상기 스프링(480)의 복귀탄성력이 스토퍼(443)방향으로 라체트(440)를 밀어 올리는 작용을 이루어 스토퍼(443)와 라체트(440)가 치합되므로 제어노브(460)를 다시 회동시키면서 와이어부재(300)가 휠체(430)에 감겨지도록 할 때 긴장력이 형성되고, 이때의 긴장력은 신체의 근육에서 저항력이 생성되게 하므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부하제어부재(400)는, 상의(110)의 가슴 중앙위치, 하의(120)의 단전 중앙위치에 설치되는 하우징(410)에 마련된 제어공간(420)으로 상기 구동축(450)을 설치하되, 상기 구동축(450)에 상기 라체트(440)의 구성을 대신하는 베벨기어(440A)가 설치되고 , 상기 베벨기어(440A)의 구동 제어를 위하여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470)가 상기 하우징(4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7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471)가 상기 베벨기어(440A)와 맞물려 구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450)의 하단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금속편(453)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450)과 대응되는 제어공간(420) 바닥에는 전원공급에 따라 자력이 생성되는 전자석(49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70)와 전자석(490)은 전원인가에 따라 전원인가가 시간적, 구동타임별로 공급시간이 이미 입력된 회로장치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실시예 구성에서는 회로장치(500)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상기 구동모터(470)와 전자석(490)에 인가되면 전기에 의해 전자석(490)에서 자력이 생성되고, 이때의 자력으로 상기 금속편(453)이 전자석(490)에 접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 금속편(453)이 자력으로 당겨지면 당연히 상기 구동축(450)이 당겨지고 상기 구동축(450)에 구비된 베벨기어(440A)과 휠체(430)가 당겨져 치합되었던 베벨기어(440A)와 구동기어(471)는 분리되어 구동력 전달이 단락됨과 동시에 와이어부재(300)에 형성되던 긴장력도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모터(470) 역시 회로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전자석(490)에 자력이 형성되는 동안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되지 않으며 전자석(490)에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까지 긴장력 해제상태는 유지된다.
상기 회로장치(500)에 이미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제(300)에 긴장력이 형성되도록 함에는 전자석(490)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되는 순간 구동축(450)의 하강으로 압축되었던 스프링(480)의 탄성반발력으로 구동축(450)이 상승되고, 베벨기어(440A)가 구동모터(471)와 치합되는 상태로 복귀되면 회로장치(500)에서는 구동모터(470)에 전원공급 신호를 보내 구동모터(471)가 구동되는 것으로 와이어부재(300)가 휠체(430)에 감겨 신체 팔, 다리, 배 위치의 근육에 근접된 각각의외이어부재(300)에 긴장력이 형성되고, 이때의 긴장력에 반응하여 신체의 팔,다리, 배위치의 근육은 긴장력에 대응하는 저항력에 의한 뭉침 및 이완을 반복하게 되어 착용한 상태만으로 일상생활 중에 신체의 팔, 다리, 배 위치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의복 110 : 상의 120 : 하의
140 : 고정체 200 : 밴드부재 203 : 체결수단
210 : 어깨밴드 213 : 고정체 220 : 손목밴드
230 : 팔굽밴드 40 : 가슴밴드 250 : 허리밴드
250A: 복부밴드 260 : 골반밴드 270 : 발목밴드
280 : 무릎밴드 290 : 허벅지밴드 300 : 와이어부재
310 : 제1와이어 330 : 제2와이어 350 : 제3와이어
400 : 부하제어부재 410 : 하우징 420 : 제어공간
430 : 휠체 431 : 제1휠 433 : 제2휠
434 : 제3휠 440 : 라체트 440A: 치차
443 : 스토퍼 450 : 구동축 453 : 금속편
460 : 제어노브 470 : 구동모터 471 : 구동모터
480 : 스프링 490 : 전자석

Claims (8)

  1.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되는 의복;
    상기 의복에 설치되되, 신체의 팔 다리 관절 위치에 조임상태로 설치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를 관통되게 설치되어 그 일단이 의류의 상의와 하의에 고정되어 긴장력이 신체의 팔 다리에 전달되게 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의복의 상의와 하의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끝단이 집중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긴장과 이완의 반복에 의한 부하로 팔다리 근육이 저항되게 하는 부하제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상의의 어깨위치에 설치되는 어깨밴드와,
    상기 상의의 손목위치와 팔굽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손목 및 팔굽밴드 및
    상의의 가슴위치와 하복부위치에 설치되는 가슴밴드와 허리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어깨밴드는 상의에 설치된 고정체에서 착탈되고, 상기 손목, 팔굽, 가슴 및 허리밴드는 각 밴드의 고정체에서 결합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하의의 골반위치에 설치되는 골반밴드와, 상기 하의의 발목위치와 무릅위치 밑 허벅지위치에 설치되는 발목밴드, 무릎밴드, 허벅지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하의의 밴드들은 각 밴드의 고정체에서 결합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재는,
    가늘고 장력이 큰 소재로 된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상의에 장착되는 제1, 제2와이어와, 상기 하의에 장착되는 제3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손목밴드위치에 고정되어 그 타단이, 상기 팔굽밴드 및 어깨밴드를 관통하여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은 허리밴드위치에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이 가슴밴드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 설치되고,
    상기 제3와이어는 상기 하의의 발목밴드위치에 일단이 설치되며 그 타단은 무릎밴드와 허벅지밴드 및 골반밴드를 통해 상기 부하제어부재에 집중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어부재는, 상의의 가슴 중앙위치와, 하의의 단전 중앙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재를 통과하는 와이어부재가 진출입되는 하우징;
    상기 밴드부재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와이어 끝단이 감기는 휠체;
    상기 휠체에 상기 와이어부재의 긴장력 형성과 해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라체트휠과 스토퍼;
    상기 휠체와 라체트휠의 중심축선상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어공간에 축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축(450)에 조절력이 인가되게 결합되는 제어노브;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휠체의 부하제어 시 상기 라체트휠에 탄성반발력이 제공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 근력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어부재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 하우징의 휠체는 ,
    상기 라체트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집중 고정되는 제1휠과,
    상기 제1휠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집중 고정되는 제2휠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어부재는,
    상기 베벨기어의 구동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금속편;
    상기 하우징의 제어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전자석;
    이미 입력된 구동프로그램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로 상기 베벨기어와 구동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회로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장치의 자력형성시 상기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의 치합이 분리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긴장력이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KR1020180144998A 2018-11-22 2018-11-22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KR10216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98A KR102164851B1 (ko) 2018-11-22 2018-11-22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98A KR102164851B1 (ko) 2018-11-22 2018-11-22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11A true KR20200059811A (ko) 2020-05-29
KR102164851B1 KR102164851B1 (ko) 2020-10-19

Family

ID=7091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98A KR102164851B1 (ko) 2018-11-22 2018-11-22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507A1 (ko) * 2022-02-25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상체 운동 장치
WO2024049113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 케이블을 이용한 착용형 피트니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10A (ko) 2002-06-14 2002-08-14 주식회사 이세이브 플러시밸브 타입 변기의 절수장치
JP2007089634A (ja) * 2005-09-27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筋力補助装置
CN203539644U (zh) * 2013-09-16 2014-04-16 黄晓平 方便如厕的下肢外骨骼
KR101607695B1 (ko) * 2015-06-05 2016-03-30 구연욱 볼링용 손목보호대
EP3342390A1 (en) * 2016-12-29 2018-07-04 ETH Zurich Apparatus for supporting a limb of a user against grav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10A (ko) 2002-06-14 2002-08-14 주식회사 이세이브 플러시밸브 타입 변기의 절수장치
JP2007089634A (ja) * 2005-09-27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筋力補助装置
CN203539644U (zh) * 2013-09-16 2014-04-16 黄晓平 方便如厕的下肢外骨骼
KR101607695B1 (ko) * 2015-06-05 2016-03-30 구연욱 볼링용 손목보호대
EP3342390A1 (en) * 2016-12-29 2018-07-04 ETH Zurich Apparatus for supporting a limb of a user against grav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507A1 (ko) * 2022-02-25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상체 운동 장치
WO2024049113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 케이블을 이용한 착용형 피트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851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1356A1 (en) Compression Device
US20210244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ve exosuit system
US10441491B2 (en) Compression device
US20220079792A1 (en) Patch systems for use with assistive exosuit
US10617593B2 (en) Compression integument
US10688007B2 (en) Compression device
EP3337442B1 (en) Compression device
KR20170052374A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1702460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scle, central nervous system and viscera stimulation for wheelchair bound persons
JP4714796B1 (ja) 携帯型もしくは身体装着型の骨折治療装置
CN110290898B (zh) 用于与辅助机械护甲一起使用的贴片系统
KR102164851B1 (ko) 의복착용형 근력운동장치
JP6742612B1 (ja) 着用可能な歩行中の腕運動器具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CN211835842U (zh) 一种骨科康复用便于使用的磁疗带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JP3094822U (ja) チューブを用いた健康用具
JP6651166B2 (ja) ストレッチ及び整復ベルト
WO2021049726A1 (ko) 인공관절 수술환자의 관절운동장치
US2024007528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flexible circuitry for stimulating a body of a subject to cause a desired movement
JP3163827U (ja) 携帯型もしくは身体装着型の牽引装置
CN105664446A (zh) 一种多单元手指精细动作训练及心理调适作业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