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552A - 줄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줄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552A
KR20130053552A KR1020110118623A KR20110118623A KR20130053552A KR 20130053552 A KR20130053552 A KR 20130053552A KR 1020110118623 A KR1020110118623 A KR 1020110118623A KR 20110118623 A KR20110118623 A KR 20110118623A KR 20130053552 A KR20130053552 A KR 20130053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nsion
main body
str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소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서 filed Critical 소윤서
Priority to KR102011011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552A/ko
Publication of KR2013005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이나 의복 등에 구비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영역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 쪽으로 체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결합시키며, 상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용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줄 길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LACE}
본 발명은,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이나, 가방 또는 운동복, 모자 등과 같은 의류 등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착용한 후에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허리둘레나 머리둘레 등을 조절하는 조절끈(이하, '줄' 이라 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줄은 통상적으로 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끝단에 줄을 따라 움직이는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은 중앙부로 줄이 관통되어 통과되면서 줄에 밀착되어 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밀착이 해제되면서 다시 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이나 모자 등의 둘레 및 형상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클립은 줄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줄의 전체적인 길이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여분의 줄이 거치적거리거나 뒤엉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줄과 클립을 분리하기가 힘들어 의복 등을 세탁할 경우에는 클립이 세탁기의 내부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의복 또는 세탁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줄 길이 조절용 클립의 문제점을 해결한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해 대한민국 특허 제929587호를 등록 받은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929587호는 권취드럼의 결합용 가이드 유닛(회전축) 하부에 탄성 스프링, 캡 및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유닛을 고정하고, 상기 캡이 스프링 동작에 의해 스프링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회전 하우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캡이 스프링 하부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회전 하우징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줄 길이 조절장치의 경우, 장치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권취드럼의 결합용 가이드 유닛을 금속으로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줄 길이 조절장치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스프링의 변형이나 이탈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회전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함께 동작되므로 사용자가 권취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손잡이(회전 하우징 또는 본체 하우징 캡)를 권취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또는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장치 내부에서 줄의 엉킴 등이 발생하여 조작 불능 상태가 되거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금속재 결합용 가이드 유닛, 자유곡선형 탄성스프링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품단가를 낮추고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권취 상태에서는 회전 하우징과 권취드럼이 일체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취해제 상태에서는 권취드럼만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은 향상시키고 고장률은 낮춘 새로운 줄 길이 조절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533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앙 영역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 쪽으로 체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결합시키며, 상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용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용 가이드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회전 하우징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작업을 위한 텐션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회전축의 내벽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제1 텐션돌기; 및 상기 제1 텐션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2 텐션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다수의 텐션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회전축 및 상기 샤프트 중 어느 한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는 텐션바아 및 제2 텐션돌기;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회전축 및 상기 샤프트 중 상기 텐션바아 및 제2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에 마련되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제1 텐션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다수의 텐션바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텐션바아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스크루와 결합되는 스크루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 보스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서로 상이한 2중 구조를 가질 때,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권취드럼과 상호 작용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부분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일 방향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 중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과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가 가능한 다수의 제1 및 제2 톱니가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은, 원주 내부, 외부 또는 윗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래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가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는 결합용 플랜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플랜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용 플랜지를 설치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결합용 플랜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통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일 수 있다.
상기 착탈결합부는 신발끈 구멍(H)에 걸리는 2개의 걸림 고리이며, 상기 2개의 걸림 고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의 '줄' 이란 신발, 가방, 점퍼, 운동복, 모자 등에 마련된 다양한 재질의 '줄(lace)' 일 수 있고, 혹은 헤드폰 줄(wire), 이어폰 줄, MP3 줄, 목걸이 줄, 컴퓨터 전선 줄 등일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줄' 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할 줄(혹은, 신발끈)은 줄 길이 조절장치(100)에 부가되는 와이어(wire)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와이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즉 줄(혹은, 신발끈)은 본 출원에 대해 충분한 축 방향 강도 및 굽힘성을 보이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합체 또는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되거나, 땋거나(braided), 꼬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실 코어 와이어, 중실 코어 중합체, 또는 다중 필라멘트 와이어 또는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중실 또는 다중 필라멘트 금속 코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PTFE 등과 같은 중합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중앙 영역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110)과, 본체 하우징(1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20)과,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132)가 구비되는 권취드럼(130)과,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의 양측에서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 쪽으로 체결되어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을 결합시키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 하우징(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용 가이드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회전 하우징(120), 권취드럼(130) 및 결합용 가이드 유닛(140)의 4가지 구성요소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종전의 기술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53398호의 신발끈 조임장치처럼 복잡한 구조에서 벗어나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회전 하우징(120)과 함께 내부의 공간에 권취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 하우징(110)에 권취드럼(130)이 수납된 후, 권취드럼(130)이 본체 하우징(11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10)의 중앙 영역에는 권취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1)이 마련된다.
회전축(11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하우징(110) 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대로 본체 하우징(110)의 바닥에서 하방을 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본체 하우징(110)을 신발 등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플랜지(112)가 마련된다. 결합용 플랜지(112)를 통해 본체 하우징(110)은 그 밑면이 신발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용 플랜지(112)는 신발 등에 일체로 부착되게 제작될 수도 있고, 아니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용 플랜지(112)에는 결합공(118)이 형성된다. 결합공(118)을 통해 결합용 플랜지(112)를 신발 등에 착탈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공(118)을 통한 착탈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처럼 본체 하우징(110)이 신발 등에 고정되고 회전 하우징(120)이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되면서 다수의 부품들이 조립되는 형태로서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시에는 신발 등으로부터 본체 하우징(110)을 떼어내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 역시 간편해진다.
본체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권취드럼(130)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되는 줄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줄통과공(115)이 형성된다. 제1 줄통과공(115)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1 줄통과공(115)은 1개 혹은 3개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그 위치 역시 도면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10)의 내벽에는 일 방향 톱니치형(113)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방향 톱니치형(113)이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내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일 방향 톱니치형(113)은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외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 방향 톱니치형(113)은 본체 하우징(110)의 상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방향 톱니치형(113)이 구비되는 위치는 본체 하우징(110)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 중 어느 한 하우징(110,120)의 일측에 본체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일 방향 톱니치형(113)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 작용하는 래치(124)는 일 방향 톱니치형(113)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 하우징(120)은 줄 길이 조절장치(100)의 작동 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신발 등에 고정된 본체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하우징(12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줄이 권취드럼(130)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줄(혹은, 신발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회전 하우징(120)은 일정한 높이(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하우징(120)의 중앙 영역에는 결합용 가이드 유닛(140)의 스크루(160)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루 홀(121)이 상하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회전 하우징(120)의 하부 내부 영역에는 본체 하우징(110) 쪽의 일 방향 톱니치형(113)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 작용하는 래치(124)가 마련된다. 래치(124)는 그 자유단이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하우징(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124)가 회전 하우징(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치(124)의 개수와 위치 등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회전 하우징(120)에는 래치(124)와 스크루 홀(121) 사이에 다수의 제1 톱니(127)가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1 톱니(127)들은 대략 직삼각형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권취드럼(130)은 본체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실제로 줄이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해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130)에는 실제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132)가 구비되고, 권취부(132)에는 줄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제2 줄통과공(131)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줄통과공(131)은 권취부(132)의 어느 한 부분에 별도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권취부(132)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줄은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 제1 줄통과공(115)을 통해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권취드럼(130)의 제2 줄통과공(131)을 통과하여 권취부(132)에 권취된 다음 본체 하우징(110)의 타측 제1 줄통과공(115)을 통해 본체 하우징(110)의 외부로 나가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권취드럼(130)에는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줄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을 저지하면서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2개(한 쌍)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권취부(132)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물론,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동작에는 문제가 없으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마련되는 경우, 줄이 권취되는 위치가 늘 일정해질 수 있어 줄이 꼬이거나 상향 또는 하향으로 몰림으로써 작동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권취드럼(130)은 본체 하우징(110)의 회전축(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의 상하를 관통하여 회전축 삽입용 통공(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 하우징(120)과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권취드럼(130)의 상부 영역에는 회전 하우징(120)의 제1 톱니(127)와 대응하여 상호 맞물려 동작하는 다수 개의 제2 톱니(137)가 회전축 삽입용 통공(135)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2 톱니(137)들은 제1 톱니(127)들과 마찬가지로 대략 직각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한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 또는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톱니(13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 톱니(127) 및 제2 톱니(137)는 도면에서 벗어나 암수의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결합용 가이드 유닛(140)은,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의 양측에서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 쪽으로 체결되어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을 결합시키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 하우징(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용 가이드 유닛(140)은, 회전축(111)을 통과하도록 본체 하우징(110) 쪽으로 삽입되어 권취드럼(130)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샤프트(150)와, 회전 하우징(120) 쪽으로 삽입되어 샤프트(150)에 체결되는 스크루(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샤프트(150)는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스크루(160)는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 내에서 샤프트(150)와 스크루(16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본체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경우, 종래처럼 단가가 비싼 자유곡선형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11)과 샤프트(150)에는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작업을 위한 텐션부(170)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텐션부(170)는 회전축(111)의 내벽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제1 텐션돌기(171)와, 제1 텐션돌기(171)와 상호 작용하는 제2 텐션돌기(172)를 구비하며, 샤프트(150)에 마련되는 다수의 텐션바아(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회전 하우징(120)을 가압하여 제2 텐션돌기(172)가 제1 텐션돌기(171)의 하부에 배치될 때 줄의 권취 작업이 진행되고, 회전 하우징(120)을 들어 올려 제2 텐션돌기(172)가 제1 텐션돌기(171)의 상부에 배치될 때 줄의 권취해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라면 텐션부(170)가 도 3에 도시된 것을 벗어나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텐션돌기(171)를 도시된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하는 것을 비롯하여 텐션부(170)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할 수 있다.
샤프트(150)에는 텐션바아(173)들 사이에 배치되고 텐션바아(173)들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스크루(160)와 결합되는 스크루 보스(151)를 더 포함한다. 스크루 보스(151)의 내면에는 나사산(15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151a)에 스크루(16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우선 줄을 권취드럼(130)에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하우징(120)을 본체 하우징(110) 쪽(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래치(124)가 일 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톱니(127,137)가 상호 맞물리게 되고 제2 텐션돌기(172)가 제1 텐션돌기(17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 하우징(120)을 일 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줄을 권취할 수 있다.
반대로, 줄을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하우징(120)을 일정 높이 들어 올리면 된다. 그러면 래치(124)가 일 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되거나 이격되어 회전 하우징(120)이 일 방향 회전할 수 있고,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제1 및 제2 톱니(127,137)가 완전 이격됨에 따라 간섭 상태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미도시)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200a)를 예컨대, 신발 등에 설치하기 위해 결합용 플랜지(112)에는 다수의 결합공(118)이 마련되며, 별도의 착탈결합부(180)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결합부(180)는 후크일 수 있는데, 착탈결합부(180)의 후크 다리(181)들을 안쪽으로 좁혀 결합공(118)으로 삽입한 다음, 신발 등의 홀(hole)에 후크 다리(181)들의 단부 걸림턱(181a)이 걸리도록 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를 신발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유지보수도 쉽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200b)의 경우, 도 4와 달리 텐션 기능을 수행하는 텐션부(185)를 결합용 플랜지(112b)에 형성시킨 예이다. 이러한 경우, 착탈결합부(180b)의 결합부분(181b)이 텐션부(185)를 밀면서 하방으로 가압되면 텐션부(185)가 약간 벌어지게 되어 착탈결합부(180b)의 결합부분(181b)이 텐션부(18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후에는 텐션부(185)가 다시 원상태로 오므려짐으로써 착탈결합부(180b)의 결합부분(181b)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를 신발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유지보수도 쉽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줄 길이 조절장치(300)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결합공(218)은 비원형 혹은 비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별도의 도시 않은 착탈결합부(반드시 후크가 아니어도 됨)의 일측을 결합공(218)의 넓은 영역으로 밀어 넣어 신발 등의 홀(hole)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공(218)의 한 쪽으로 착탈결합부를 제처 둠으로써 줄 길이 조절장치를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줄 길이 조절장치(400)가 실제 신발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경우, 줄 길이 조절장치(400)에는 착탈결합부로서 2개의 걸림 고리(401,402)가 마련된다. 걸림 고리(401,402)의 단부는 신발끈 구멍(H)에 걸릴 수 있는 단순한 갈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때, 두 개의 걸림 고리(401,40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걸림 고리(401,402) 모두가 고정형일 수도 있고, 두 개의 걸림 고리(401,402) 모두가 이동형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걸림 고리(401,402) 중 하나는 고정형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형일 수 있다. 이는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신발들마다 다르기 때문인데, 이처럼 두 개의 걸림 고리(401,40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형으로 적용하게 되면,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다른 신발들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고, 특히, 줄 길이 조절장치(400)의 결합이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단면 구조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스크루 보스(151)가 단일 직경으로 된 봉 형태로 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용 가이드 유닛(540)의 샤프트(550)의 일 구성인 스크루 보스(551)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서로 상이한 2중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스크루 보스(551)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서로 상이한 2중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회전 하우징(520)이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한 몸체가 아닌, 예컨대, 권취드럼(130)과 상호 작용하는 제1 부분(520a)과, 제1 부분(520a)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1 부분(520a)에 결합되는 제2 부분(520b)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제2 부분(520b)이 제1 부분(520a)을 덮어 제1 부분(520a)을 동작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부분(520a)에는 홀(521)이 형성되어 제2 부분(520b)의 홀샤프트(522)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권취 해제하고자 제2 부분(520b)을 상단으로 들어올릴 때, 샤프트(550)의 상단부 좁은 부분이 제1 부분(520a)을 들어올려 제1 및 제2 톱니(127,137)가 상호 맞물림이 완전 이격되어 간섭 상태가 없어져 줄을 권취 해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서 본체 하우징과 샤프트 간의 분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 하우징(110)에 대하여 샤프트(650)의 형상이 약간 다를 수 있다. 즉 샤프트(650)에 마련되는 제2 텐션돌기(672)의 위치가 제1 실시예의 샤프트(150, 도 3 참조)와는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710)에 마련되는 제1 텐션돌기(771)가 제1 실시예의 제1 텐션돌기(171, 도 3 참조)와는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샤프트(750)에 마련되는 제2 텐션돌기(772) 역시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샤프트(750)에 마련되는 제2 텐션돌기(772)는 스크루 보스(751)의 외벽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810)의 회전축(811)에는 내벽에 제1 텐션돌기(871)가 마련되고 상단부에 스토퍼(872)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텐션돌기(871)는 회전축(811)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따내어, 즉 절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프트(850)의 형상이 약간 상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샤프트(8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샤프트(650,750)와 달리, 하단 부분의 받침부분 없이 콤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텐션돌기(872)만이 마련되어 제1 텐션돌기(871)와 스토퍼(872) 사이에서 동작되면서 작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9 내지 도 11과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이러한 사항을 비롯하여 이들의 구조와 유사하거나 이들의 구조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항들 모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하우징 111 : 회전축
112 : 결합용 플랜지 113 : 일 방향 톱니치형
115 : 제1 줄통과공 118 : 결합공
120 : 회전 하우징 121 : 스크루 홀
124 : 래치 127 : 제1 톱니
130 : 권취드럼 131 : 제2 줄통과공
132 : 권취부 133 :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
135 : 회전축 삽입용 통공 137 : 제2 톱니
140 : 결합용 가이드 유닛 150 : 샤프트
160 : 스크루 170 : 텐션부
171 : 제1 텐션돌기 172 : 제2 텐션돌기
173 : 텐션바아

Claims (13)

  1. 중앙 영역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 쪽으로 체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결합시키며, 상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용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가이드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회전 하우징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작업을 위한 텐션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회전축의 내벽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제1 텐션돌기; 및
    상기 제1 텐션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2 텐션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다수의 텐션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회전축 및 상기 샤프트 중 어느 한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는 텐션바아 및 제2 텐션돌기;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회전축 및 상기 샤프트 중 상기 텐션바아 및 제2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어느 한 부분에 마련되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제1 텐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다수의 텐션바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텐션바아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스크루와 결합되는 스크루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보스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서로 상이한 2중 구조를 가질 때,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권취드럼과 상호 작용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부분으로 분할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일 방향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하우징 및 회전 하우징 중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과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가 가능한 다수의 제1 및 제2 톱니가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 톱니치형은, 원주 내부, 외부 또는 윗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래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가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는 결합용 플랜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플랜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용 플랜지를 설치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결합용 플랜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통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는 신발끈 구멍(H)에 걸리는 2개의 걸림 고리이며,
    상기 2개의 걸림 고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110118623A 2011-11-15 2011-11-15 줄 길이 조절장치 KR20130053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23A KR20130053552A (ko) 2011-11-15 2011-11-15 줄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23A KR20130053552A (ko) 2011-11-15 2011-11-15 줄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552A true KR20130053552A (ko) 2013-05-24

Family

ID=4866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23A KR20130053552A (ko) 2011-11-15 2011-11-15 줄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5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3792A1 (zh) * 2014-09-05 2016-03-10 陈金柱 带体收放装置及其收放方法
WO2016114568A1 (ko) * 2015-01-14 2016-07-21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WO2016114569A1 (ko) * 2015-01-14 2016-07-21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KR20160129245A (ko) * 2015-04-30 2016-11-09 이상도 신발끈 끈조절기를 이용한 풋배드 높이조절 신발
WO2017014395A1 (ko) * 2015-07-21 2017-01-26 이호섭 신발끈 조임장치
KR20180078346A (ko) * 2010-04-30 2018-07-09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CN110087501A (zh) * 2016-12-30 2019-08-02 苏胤瑞 线长度调节装置
KR102495143B1 (ko) * 2022-10-31 2023-02-07 에스디(주) 노끈의 연결이 용이한 열매가지 지지용 클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346A (ko) * 2010-04-30 2018-07-09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WO2016033792A1 (zh) * 2014-09-05 2016-03-10 陈金柱 带体收放装置及其收放方法
WO2016114568A1 (ko) * 2015-01-14 2016-07-21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WO2016114569A1 (ko) * 2015-01-14 2016-07-21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KR20160129245A (ko) * 2015-04-30 2016-11-09 이상도 신발끈 끈조절기를 이용한 풋배드 높이조절 신발
WO2017014395A1 (ko) * 2015-07-21 2017-01-26 이호섭 신발끈 조임장치
CN110087501A (zh) * 2016-12-30 2019-08-02 苏胤瑞 线长度调节装置
CN110087501B (zh) * 2016-12-30 2021-07-13 苏胤瑞 线长度调节装置
KR102495143B1 (ko) * 2022-10-31 2023-02-07 에스디(주) 노끈의 연결이 용이한 열매가지 지지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552A (ko) 줄 길이 조절장치
JP6882488B2 (ja) 紐の長さ調節装置
KR10104037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US20140097283A1 (en)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JP6087219B2 (ja) 靴紐巻取装置
JP6953675B2 (ja)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リール
JP6105404B2 (ja) 靴紐巻取用リール
TWI593895B (zh) 緊固裝置及其繫線安裝方法
KR102314745B1 (ko) 끈 조절장치
KR100986674B1 (ko)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JP7215980B2 (ja) 締結装置
KR101239312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20130028402A (ko)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JP2020179145A (ja) 締結装置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JP2018121890A (ja) 紐巻取装置を備えた物品
KR20110070770A (ko) 동물들을 이끌기 위해 기계적으로 감기고 풀릴 수 있는 가죽끈의 로프 풀리용 브레이크 메커니즘
TW202016446A (zh) 緊固裝置
KR20110110615A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826902B1 (ko) 소화전함용 호스 릴
JP53318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30131077A (ko)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실타래
JP4013228B1 (ja) ブレードマシン用キャリヤー
CN216027800U (zh) 黄金绳镯编织机
JP2011024546A (ja) 植物栽培用紐巻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