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04B1 -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04B1
KR101492604B1 KR20130127308A KR20130127308A KR101492604B1 KR 101492604 B1 KR101492604 B1 KR 101492604B1 KR 20130127308 A KR20130127308 A KR 20130127308A KR 20130127308 A KR20130127308 A KR 20130127308A KR 101492604 B1 KR101492604 B1 KR 10149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thread
hook
bobbin
cap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대 filed Critical 강소대
Priority to KR2013012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회전판(200);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며, 후면 내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캡장착기둥(330)이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보빈(400)이 삽입된 캡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빈(400)이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 및,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지지하며,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을 형성하며,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의 일측에서 후크바디(300)의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된 윗실교차걸이부(620)가 구비된 이탈방지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High-speed Rotary Shuttle Device with Lock Stitch Device}
본 발명은 윗실을 끌고 회전하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보빈(400)이 바로 장착되어 후크바디(300)의 내부 공간 전체를 밑실 적재 공간으로 활용하고 밑실의 적재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의 교차가 이루어져 락스티치(Lock Stitch)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북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BC)는 후크바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 및 보빈(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와 보빈케이스 보디(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보빈케이스 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잡아주므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양단에 플랜지(43)(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크바디(20) 구동시 후크바디(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후크바디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가마잡이(70)가 저지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바디(20)의 후크(21)에 걸리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 및 보빈(40)을 휘돌아 밑실(4)을 걸어올리는 윗실(3)이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상기 요홈(33)(정확히는 상기 요홈 내에서 가마잡이의 돌조(75)와 요홈의 측벽 사이)을 통하여 안내된다(도2 참조).
따라서 상기 요홈(33)은 가마잡이의 돌조(75)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3)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33a)이 돌조의 폭(75a)에 더하여 윗실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북장치(100)는 보빈(40)에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케이스 보디(50)를 열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하는데, 보빈(40) 1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보빈(40)에 감겨지는 밑실이 40미터, 스티치(땀) 길이가 1밀리미터,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가 4000RPM이라고 가정하면 10분이면 밑실이 모두 소진되어 10분마다 재봉틀을 멈추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다수 개(예를 들어 50개 내지 100개)의 바늘대와 회전북장치(100)가 일렬 횡방향으로 배열된 대형 재봉틀의 경우 그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보빈(40)이라도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40) 모두를 교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보빈(40) 교체에 따른 작업 지연(단절)은 말할 것도 없고 나머지 보빈(40)에 일부 남아 있는 밑실들을 모두 폐기하게 되어 원자재 낭비 또한 무시하지 못할 정도이다.
만약 보빈(40)에 보다 많은 밑실을 감을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점이 상당히 해소될 수 있는데, 감겨지는 밑실의 량은 보빈(40)의 외형적 크기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밑실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된다.
그러나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이 확대되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BC)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보빈케이스(BC)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보빈케이스(BC)를 휘감아 돌면서 밑실(4)을 걸어 올리는 윗실(3)의 공급 길이도 길어져야만 한다.
그런데 윗실(3)의 공급 길이는 천평크랭크의 행정 거리에 좌우되는 바, 천평크랭크의 크기나 구조도 변경되어야만 한다.
즉 재봉틀을 전반적으로 새롭게 설계 제작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윗실의 공급 길이가 증가하면 윗실이 밑실과 함께 스티치(땀)를 형성하기 전에 소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길이가 증가하여 마찰열에 의한 윗실 자체의 손상은 물론 스티치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마찰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되는데, 회전수가 감소되면 작업효율이 저하되어 밑실 적재량을 증가시킨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와 윗실(3)의 공급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밑실의 적재량만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밑실공급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새로운 구조의 밑실공급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을 교차시켜 락스티치(Lock Stitch)가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밑실의 적재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바느질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의 교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락스티치를 형성하여 바느질 품질을 향상시킴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판(200);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며, 후면 내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캡장착기둥(330)이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보빈(400)이 삽입된 상기 캡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400)이 상기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 및,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지지하며,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을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의 일측에서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된 윗실교차걸이부(620)가 구비된 이탈방지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1회 적재되는 밑실의 량을 혁신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윗실을 끌고 회전하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보빈(400)이 바로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300)의 내부 공간 전부를 밑실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반면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윗실을 끌고 회전하는 후크바디(20)의 내부에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장착되고, 이러한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내부에 보빈(40)이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의 크기(외경 및 폭)가 동일한 경우 보빈의 크기(직경 및 폭)가 축소될 수 밖에 없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별도의 보빈케이스 베이스(30)를 필요로 하지 않아 후크바디(300)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빈(400)의 크기를 확장하고 밑실의 1회 적재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바느질 한 땀을 형성하기 전 매듭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과정(실채기 과정)에서 후크에 의하여 끌려가는 윗실의 일측을 붙잡아 서로 교차되게 함으로써 처음 후크에 걸리는 순간의 단순 U자형 윗실 고리를
Figure 112013096463949-pat00001
자형으로 교차시켜 락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윗실교차걸이부(620)가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있어 후크(310)에 맞물려 끌려가던 윗실 고리의 일측이 윗실교차걸이부(620)에 걸리면서 후크(310) 끝단까지 고리를 확장하다가 후크바디(300)의 후방 외측면과 단면을 타고 안쪽으로 돌아오고, 타측은 후크바디(300)의 전방 외측면과 캡(500)의 전면을 타고 돌아 올라오면서 단순 U자형 윗실 고리를
Figure 112013096463949-pat00002
자형으로 교차시켜 락스티치를 형성하게 된다.
셋째,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대부분 활용할 수 있는 바, 재봉틀 전체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더라도 밑실공급장치만 교체한다면 기존의 재봉틀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 재봉틀의 동력축을 그대로 활용하고 교체되는 새로운 밑실공급장치의 동력전달회전판(200)과 동력축을 단순히 체결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되는 바 별도의 추가 비용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장비의 성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고속 회전시에도 후크바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후크바디의 진동이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크바디(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하우징(100)이 후크바디(300)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단면에 근접하게 맞닿아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바 고속 회전시에도 후크바디(300)의 진동이나 떨림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3은 후크바디(300)의 사시도로서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4는 보빈(400)과 보빈캡(500)의 분해사시도로서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5는 보빈(400)과 보빈캡(500)의 분해사시도로서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6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을 도시한다.
도7은 보빈(400)과 보빈캡(5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이탈방지링(600)의 사시도로서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9는 후크바디(300)와 이탈방지링(600)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0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브라켓이나 고정볼트, 핀 등을 사용하여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을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셋팅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1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재봉기기의 동력축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일측 외주면(재봉기기의 바늘이 내려오는 부위)은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데, 하우징절개부(110)는 바늘에 물려 고리 형태로 내려오는 윗실이 후크(310)와 맞물리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하우징절개부(110)에서 회전하는 후크바디(300)에 부착된 후크(310)가 바늘을 따라 내려온 고리 형태의 윗실을 통과하면서 윗실과 맞물린 후 윗실을 끌고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회전판(200)은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동력전달회전판(200)은 하우징(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후크바디(3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판(200)이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후크바디(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후크바디(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는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한다. 후크바디(300)의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고, 후크바디(300)의 후면 내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캡장착기둥(330)이 구비된다.
밑실장력조절편수용홈(350)은 후크바디(300)의 내주면 일측이 깍여져 형성된 것으로서 캡바디(510)에 장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후크바디(300) 내부에 장착되는 캡(5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측에 장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을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므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캡(500)을 장착할 수 있다. 위치가 달라질 경우에는 후크바디(300) 내부로 캡(500)이 수납되지 않는다.
후크바디(300)에는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어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역회전방지돌기(360)가 더 구비되어,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역회전방지돌기(36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에 위치하여 후크바디(300)와 동력전달회전판(200)이 확실하게 맞물리면서 동력을 전달하고 후크바디(300)가 임의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후크바디(300)에 장착되는 후크(310)에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후크가이드레일(311)이 구비되어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후크가이드레일(31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보빈(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 삽입되는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밑실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캡(500)은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보빈(40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캡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빈(400)이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캡(500)은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510), 이탈방지편(520), 스프링(530), 캡탈착레버(540), 밑실안내가이드댐(550)으로 구성된다.
캡바디(510)는 보빈(400)의 중심축이 결합되며 캡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된다.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다.
밑실배출절개홈(512)은 캡바디(510)의 하단부에서 시작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나온 후 일측면으로 꺽여진 "┏" 자 형태의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적절한 설계변경을 통한 절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탈방지편(520)은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4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캡바디(510)의 전면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5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캡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구비된다.
즉,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33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서 이탈되지 않는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331)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331)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빈걸이(522)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되고 캡바디(510)를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서 분리하면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삽입된 보빈(400)도 후크바디(30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교체된 보빈(400)을 후크바디(300)에 새롭게 장착할 경우에도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이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에 보빈(400)의 중심축을 결합시킨 후 캡탈착레버(540)를 회동시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하면 보빈(400)이 캡바디(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동시에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캡장착기둥(330)에 삽입한 후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테두리에 캡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가 맞물리게 된다.
스프링(530)은 캡바디(510)의 가이드홈부(514) 내부에 설치되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캡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한다.
캡탈착레버(540)는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줌과 동시에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한다.
이러한 캡탈착레버(540)의 구조나 기능은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종래의 캡에 설치된 캡탈착레버(540)와 거의 동일한 바 더 이상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는 밑실의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안내절개부(551)가 구비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안내절개부(551)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밑실은 밀실안내절개부(551)를 통과하여 밑실배출공(552)로 배출된다. 여기서 밑실배출공(552)이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밑실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밑실장력조절편(560)은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어 밑실에 적절한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밑실장력조절편(560)의 일측 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가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통과하고 밑실통과홈(515)을 거쳐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밑실통과홈(515)은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빠져나온 밑실을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캡바디(510)의 전방면 일부가 밑실의 경로를 따라 파여진 홈부를 말한다.
캡바디절개부(513)는 캡바디(510)의 일측 전면과 측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된 공간 또는 일정 영역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윗실의 고리 형태가 캡바디(510)와 저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리가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후크(310)가 고리 형상의 중심을 쉽게 통과하게 되어 스티치(땀)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뱅크(516)는 도4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절개부(513)와 밑실안내가이드댐(550) 사이에 위치하는데, 가이드뱅크(516)는 캡바디(510) 전면(510)에서 전방으로 일정 높이(밑실안내가이드댐(55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높이) 돌출되어 밑실배출공(55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밑실을 캡바디(510)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뱅크(516)는 회전하는 후크(310)에 밑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와 밑실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캡(500)을 휘감아 도는 윗실이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윗실과 밑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바느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8은 이탈방지링(600)의 사시도로서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도9는 후크바디(300)와 이탈방지링(600)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탈방지링(60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지지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링(600)의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은 하우징(100)에 결합될 경우 하우징(1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하우징절개부(11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바늘에 물려 고리 형태로 내려오는 윗실이 후크(310)와 맞물리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의 일측에는 후크바디(300)의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된 윗실교차걸이부(6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윗실교차걸이부(620)는 이탈방지링(600)의 외주면과 단턱을 이루도록 깍여져 있고,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맞닿는 윗실교차걸이부(620)의 전단부는 단턱을 이루도록 깍여져 전방으로 돌출된 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621)이 구비된다
윗실교차걸이부(620)와 맞닿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후단부에는 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621)을 수용하는 가이드레일수용홈(34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윗실교차걸이부(620)가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면 후크(310)에 맞물려 끌려가던 윗실 고리의 일측이 윗실교차걸이부(620)에 걸리면서 후크(310)의 끝단까지 고리를 확장하다가 후크바디(300) 후방 외측면과 단면을 타고 안쪽으로 돌아오고, 타측은 후크바디(300)의 전방 외측면고 캡(500) 전면을 타고 돌아 올라오면서 단순 U자형 윗실 고리를
Figure 112013096463949-pat00003
자형으로 교차시켜 락스티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621)은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가이드레일수용홈(34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윗실교차걸이부(620)와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틈새로 윗실 고리의 일측이 파고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하우징
110:하우징절개부
200:동력전달회전판
210:동력전달돌기부
300:후크바디
310:후크
311:후크가이드레일
320:동력전달돌기수용부
330:캡장착기둥
331:잠금홈부
340:후크바디가이드레일
341:가이드레일수용홈
350:밑실장력조절편수용홈
360:역회전방지돌기
400:보빈
500:캡
510:캡바디
511:보빈장착기둥통과공
512:밑실배출절개홈
513:캡바디절개부
514:가이드홈부
515:밑실통과홈
516:가이드뱅크
520:이탈방지편
521:잠금공
522:보빈걸이
530:스프링
540:캡탈착레버
541:가이드댐수용공
550:밑실안내가이드댐
551:밑실안내절개부
552:밑실배출공
560:밑실장력조절편
561:제1가이드돌기
562:제2가이드돌기
563:탄성조절볼트
600:이탈방지링
610:이탈방지링절개홈
620:윗실교차걸이부
621: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

Claims (10)

  1.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판(200);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며, 후면 내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캡장착기둥(330)이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의 캡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보빈(400)이 삽입된 상기 캡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400)이 상기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 및,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지지하며,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을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링절개홈(610)의 일측에서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돌출된 윗실교차걸이부(620)가 구비된 이탈방지링(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윗실교차걸이부(620)는 상기 이탈방지링(600)의 외주면과 단턱을 이루도록 깍여져 있고,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맞닿는 상기 윗실교차걸이부(620)의 전단부는 단턱을 이루도록 깍여져 전방으로 돌출된 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621)이 구비되고,
    상기 윗실교차걸이부(620)와 맞닿는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의 후단부에는 상기 윗실교차걸이가이드레일(621)을 수용하는 가이드레일수용홈(34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캡(500)은,
    상기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캡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400)은 상기 보빈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캡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캡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0);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캡탈착레버(54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만큼 절개된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중앙에 형성된 밑실배출공(552)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상기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고, 일측 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가 상기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
    이 더 구비되고, 밑실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561)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캡바디(510)의 일측 전면과 측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된 공간 또는 일정 영역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캡바디(510)는,
    상기 캡바디(510)의 표면 일부가 밑실의 경로를 따라 파여져 상기 제1가이드돌기(561)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빠져나온 밑실을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밑실통과홈(515);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후크바디(300)의 내주면 일측이 깍여져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캡바디(510)에 장착되는 상기 밑실장력조절편(56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후크바디(300)에 장착되는 상기 캡(500)의 위치를 결정하는 밑실장력조절편수용홈(35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후크바디(300)는,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역회전방지돌기(360);
    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상기 역회전방지돌기(360)와 상기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후크바디(300)에 장착되는 상기 후크(310)에는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후크가이드레일(311);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20130127308A 2013-10-24 2013-10-24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308A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3-10-24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308A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3-10-24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604B1 true KR101492604B1 (ko) 2015-02-11

Family

ID=5259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308A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3-10-24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6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018B1 (ko) 2015-02-16 2016-05-3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WO2016133330A1 (ko) * 2015-02-16 2016-08-25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홀치기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657607B1 (ko) * 2015-12-04 2016-09-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733702B1 (ko) 2015-10-05 2017-05-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WO2017094943A1 (ko) * 2015-12-04 2017-06-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 이 수직전회전북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170139409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WO2018230777A1 (ko) * 2017-06-14 2018-12-20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CN115087771A (zh) * 2020-05-27 2022-09-20 高丽盛特胡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516A (ko) * 1999-01-27 2000-12-26 야마오카 다께오 재봉기의 보빈케이스 및 북
KR20100034363A (ko) * 2008-09-24 2010-04-01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20120019355A (ko) * 2010-08-25 2012-03-06 강소대 잔사량 감지수단이 구비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516A (ko) * 1999-01-27 2000-12-26 야마오카 다께오 재봉기의 보빈케이스 및 북
KR20100034363A (ko) * 2008-09-24 2010-04-01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20120019355A (ko) * 2010-08-25 2012-03-06 강소대 잔사량 감지수단이 구비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018B1 (ko) 2015-02-16 2016-05-3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WO2016133330A1 (ko) * 2015-02-16 2016-08-25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홀치기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733702B1 (ko) 2015-10-05 2017-05-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657607B1 (ko) * 2015-12-04 2016-09-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WO2017094943A1 (ko) * 2015-12-04 2017-06-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 이 수직전회전북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170139409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WO2018230777A1 (ko) * 2017-06-14 2018-12-20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US11359315B2 (en) 2017-06-14 2022-06-14 Onestar Co., Ltd. Lower thread supply device of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CN115087771A (zh) * 2020-05-27 2022-09-20 高丽盛特胡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CN115087771B (zh) * 2020-05-27 2023-11-21 高丽盛特胡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253280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PL88819B1 (ko)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EP1828464B1 (en) Horizonta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KR20110133265A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20140028339A (ko) 보빈캡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US1504240A (en) Stitch-forming mechanism
JPS6052660A (ja) 編機の撚り糸供給案内装置
US1188818A (en) Rotary-hook sewing-machine.
JP3864275B2 (ja) 丸編機
JP2017055875A (ja) ミシン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US3063392A (en) Stitch-forming mechanism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KR101967640B1 (ko)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US20120234223A1 (en) Sewing bobbi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US20220220650A1 (en) Rotary shuttle for sewing machine
KR20110135005A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US705328A (en) Take-up device for sewing-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