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607B1 -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607B1
KR101657607B1 KR1020150172457A KR20150172457A KR101657607B1 KR 101657607 B1 KR101657607 B1 KR 101657607B1 KR 1020150172457 A KR1020150172457 A KR 1020150172457A KR 20150172457 A KR20150172457 A KR 20150172457A KR 101657607 B1 KR101657607 B1 KR 10165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bbin
thread
hook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to KR102015017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05B57/143Vertical axis ty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0Double chain-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8Shuttles ; Shuttle holders; Shuttle 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실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이 훅부의 회전에 따라서 보빈케이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보빈실에 감아 걸리도록 인도되고, 바늘실의 스티치측 줄부분이 보빈케이스의 일측의 보빈케이스의 표면에 인도되어, 바늘실의 공급측 줄부분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서 상기 바늘실 루프가 상기 보빈케이스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여 완결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직전회전북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verticaly fully rotating shuttle, stitch made by the same and stitching mathod}
본 발명은, 천, 가죽 등을 봉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재봉기 및 자수기 등에 갖춰지는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수직전회전북통(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수직전회전북통(1)은, 구동축(5)에 고정되는 외측북통(2)과, 이 외측북통(2)에 수납되는 내측북통(3)과, 내측북통(3)내에 착탈자재로 장착되어, 보빈실(7)이 권회된 보빈을 수납하고 보유하는 보빈케이스(4)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북통(2)의 기단부(2a)에는 구동축(5)이 고정되어, 외측북통(2)은 구동축 (5)에 의해서 회전축선(L1)주위로 회전구동 된다. 외측북통(2)의 바깥둘레에는, 바늘(11)에 삽입관통된 바늘실(10)을 포착하는 훅(hook)부(6)가 마련되고, 훅부(6)보다도 바깥둘레에는 외측북통(2)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실가이드(8)가 마련된다.
내측북통(3)은, 외측북통(2)의 회전에 따르는 회전이 저지당한 상태로, 외측북통(2)에 회전자재에 수납된다. 내측북통(3)의 개방단측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12)의, 외측북통(2)의 기단부(2a)측에는 바늘(11)이 삽입되는 바늘낙하구멍(9)이 형성된다.
바늘(11)은, 외측북통(2)의 회전축선(L1)에 거의 수직으로, 바늘낙하구멍(9)을 통하여 상하로 왕복이송 된다. 외측북통(2)은, 외측북통(2)의 개방단측에서 봤을 때, 화살부호(A1)로 보이는 바와 같이, 좌로 돌아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회전구동 되고, 외측북통(2)의 회전에 의해서 훅부(6)는, 바늘(11)의 이동경로에 관해서 외측북통(2)의 기단부(2a)측으로 바늘실(10)을 포착하여, 보빈실(7)과 바늘실(10)에 의해서 스티치(코)를 형성한다.
도 2는, 봉제될 2장의 천(15, 16)이, 전진 꿰매질 때의 올의 형성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외측북통(2) 및 내측북통(3)은 생략한다. 각 천(15, 16)이 전진 꿰맴, 다시 말하면 훅부(6)가 바늘실(10)을 포착할 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화살부호(B1)를 향해, 각 천(15, 16)이 이송되어 봉착될 때, 바늘실(1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북통(2)의 기단부(2a)에 치우친 보빈실(7)보다도 외측북통(2)의 회전 방향(A1)상류측에서 훅부(6)에 의해서 포착당한다. 훅부(6)에 의해서 포착당한 바늘실(10)은 바늘실 루프를 형성하여, 바늘실(10)의 공급측 줄부분(10a)은, 훅부(6)의 회전에 따라서 보빈케이스(4)를 수납하는 내측북통(3)과, 외측북통(2) 사이에 내측북통(3)에 감아 걸리도록 인도되고, 바늘실(10)의 스티치측 실부분(10b)은, 내측북통(3)의 개방단측의 보빈케이스(4)의 표면에 인도되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는 실 줄넘기를 한다.
이렇게 하여 실 줄넘기를 하는 바늘실 루프는, 수직전회전북통(1)의 윗쪽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실채기에 의해서 바늘실(10)의 공급측 실부분(10a)이 위로 당겨져, 바늘실 루프가 작아지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7)에 감아 걸어진다. 바늘실(10)의 공급측 실부분(10a)이 상기 실채기에 의해서 더욱 위로 당겨짐에 의해 2장의 천(15, 16)의 이음매 부근에서 보빈실(7)과 바늘실(10)이 서로 감아 걸도록 걸어맞춤되어 스티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스티치의 형성 과정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완결 스티치(18)이 형성된다.
상기된 선행 기술의 수직전회전북통(1)에서는, 바늘실(10)의 공급측 줄부분(10a)은, 훅부(6)의 회전에 따라서 보빈케이스(4)를 수납하는 내측북통(3)과 외측북통(2) 사이에 내측북통(3)에 감아 걸리도록 인도되고, 바늘실(10)의 스티치측 실부분(10b)은, 내측북통(3)의 개방단측의 보빈케이스(4)의 표면에 인도되어서,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를 하기 때문에, 바늘실(10)의 스티치측 실부분(10b)이 보빈실(7) 주위를 돌아서 스티치가 형성되어 완결 스티치(18)이 완성되게 되면, 완결 스티치(18)가 록 스티치가 되지 않아 봉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된 선행 기술의 수직전회전북통(1)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10)이 스티칭되는 진행방향에서 볼 때, 바늘실(10)이 보빈실(7)의 주위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에워싸서 엇갈리게 꼬여서 열릴 수 있는 링형상의 스티치가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보빈실(7)을 각각의 스티치 바로 위에서 커버하는 바늘실(10)의 부위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보빈실(7)이 바늘실(10)의 루프 사이를 비집고 나올 수 있어서,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10)이나 보빈실(7)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거나 상기 보빈실(7)을 긴장상태로 당기게 되면 상기 완결 스티치가 풀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늘실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이 훅부의 회전에 따라서 보빈케이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보빈실에 감아 걸리도록 인도되고, 바늘실의 스티치측 줄부분이 보빈케이스의 일측의 보빈케이스의 표면에 인도되어, 바늘실의 스티치측 줄부분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서 상기 바늘실 루프가 상기 보빈케이스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여 완결된 스티치가 록 스티치가 되게 할 수 있는 수직전회전북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바늘실 루프의 스티치측 줄부분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서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를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바늘실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서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를 하기 때문에, 완결된 스티치가 록 스티치가 되어, 봉제품질이 균일하다는 작용효과를 얻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실이 스티칭되는 진행방향에서 볼 때, 바늘실이 보빈실의 주위를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에워싸서 엇갈리게 꼬여서 열릴 수 없는 링형상의 스티치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실을 각각의 스티치 바로 위에서 커버하는 바늘실의 부위가 존재하게 되어, 상기 보빈실이 바늘실의 루프 사이를 비집고 나올 수 없어서, 바늘실이나 보빈실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거나 상기 바늘실을 긴장상태로 당기게 되면 상기 완결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수직전회전북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직전회전북통을 이용하여 전진 봉제할 때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완결 스티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전회전북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수직전회전북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수직전회저북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수직전회전북통을 이용하여 전진 봉제할 때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종래의 완결 스티치(좌측)와 본 발명의 완결 스티치(우측)의 형상과 견고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직전회전북통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우징의 일측은 동력절단회전부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동력절달회전부에 인접한 측이고, 하우징의 타측은 동력절단회전부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동력절달회전부에 인접하지 않은 측이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수직전회전북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전회전북통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본체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선(L)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된 동력전달회전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턱부(140)에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방향으로 면한 테두리면이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바늘실(36)의 루프가 줄넘기를 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방향으로 뻗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타측 테두리 일부에 형성된 동력전달돌기(210)에 테두리 일부가 걸려서 회전하게 되는 훅몸체(300);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부위의 내주면 일부에 형성된 숫형부(120)에 끼워맞춤되는 암형부(710)를 구비하고서 상기 훅몸체(3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 않게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훅몸체(300)에 삽입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보빈(40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내접되고 상기 보빈(400)에 외접되게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장착되는 커버(5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훅몸체(300)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훅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훅몸체(3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훅몸체이탈방지링(6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에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바늘실(36)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갖고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상기 훅몸체(300)에 맞닿음하여 고정되어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가 하우징(100)의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 상기 훅몸체(300) 및 동력전달회전부(200)는 함께 상기 회전축선(L)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회전축선(L)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이동경로를 따라서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바늘(35)이 침입할 수 있게 절결되어 형성된 구멍(110)이 둘레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훅몸체(300)에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상기 구멍(110)과 유통하는 빈 공간을 둔 상태에서 바깥둘레에 테이퍼 형상의 훅부(310)가 형성되고, 이 훅부(310)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구멍(110)을 경유하여 상기 훅부(310) 앞으로 침입한 바늘(35)의 바늘실(36)을 포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전회전북통은, 봉제 되어야 하는 천들이, 도 4의 상기 관통구멍(110) 위로 적층된 상태에서 보내지는 동시에, 각 천을 통과하여 하강된 바늘(35)의 바늘실(36)을,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서 돌아가는 훅부(310)에 의해서 포착하여,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 사이의 틈을 통하여 경사면을 가진 상기 훅몸체(300)의 일측 가이드 외주면(320)을 따라서 안내하여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대하여 줄넘기를 행하고, 보빈실(34)에 감아 걸어, 각 천에서, 도 4의 상기 관통구멍(110) 위에서 스티치를 형성한다.
도 7은, 상기 수직전회전북통을 사용하여 2장의 천을 전진 꿰맬 때의 스티치의 형성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늘실(36)은, 위에서 도시 하지 않은 실채기을 통하여 공급되고, 바늘(35)의 삽입관통 구멍을, 하우징(100)의 타측(도 7의 정면)에서 하우징(100)의 일측(도 7의 배면)으로 삽입관통 되어, 윗쪽의 천의 상면으로 인도된다. 보빈실(34)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도출되어, 훅부(310)의 이동경로보다도 하우징(100)의 타측으로 안내되어, 아래 천의 밑면으로 인도된다.
보빈실, 바늘 및 훅부의 위치관계는 동력전달부위에서 보아 제일 바깥쪽에서부터 보빈실, 바늘, 훅부를 인접하게 위치시키되, 바늘은 훅부가 바늘실의 루프를 끌고 갈 수 있도록 회전방향의 앞쪽에 배치하는 상태에서, 도 7의 맨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바늘(35)이 하강하여 왔을 때, 회전구동 되는 훅부(310)는, 바늘(35)보다 동력전달회전(200)에 인접하게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보빈실(34)보다도 먼저 훅부(31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바늘실(36)의 루프를 관통하면서 포착하여, 바늘실 루프를 끌고 가면서 더 크게 형성하고, 훅부(310)의 회전에 따라서 바늘실(36)의 공급측 줄부분(36a)이, 보빈실보다 동력전달부위 일측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보빈실 주위를 돌아 하우징(100)의 타측의 훅몸체(3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아래측으로 인도되고, 바늘실(36)의 스티치측 줄부분(36b)이 훅몸체(300)의 일측 가이드 외주면(320)을 타고 넘어가, 즉 훅의 경사면을 따라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일측면(720)으로 인도되어, 바늘실(36)의 공급측 줄부분(36a)이 보빈실(34) 주위를 돌아서, 도 7의 두번째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게 훅몸체(300)는 형상화되어 있다.
바늘실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700)를 줄넘기하는 동시에, 실채기는 바늘실(36)의 공급측 줄부분(36a)을 위로 당겨서 바늘실 루프가 작아지게 하여, 도 7의 두번째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36)은 보빈실(34)에 감겨져 끼워진다. 실채기가 더욱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도 7의 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천의 이음매 부근에서 보빈실(34)과 바늘실(36)이 감아 걸어지도록 걸어맞춤되어 스티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올의 형성 과정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서, 2장의 천은 연속된 완결 스티치(38)에 의해서 봉제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전회전북통은 바늘실(36)의 공급측 줄부분(36)이 보빈실(34) 주위를 돌아서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를 하기 때문에, 완결된 스티치가 록 스티치가 되어, 봉제품질이 균일하다는 작용효과를 얻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의 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되는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에서 볼 때, 바늘실(36)이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엇갈리게 꼬여 고리를 만들게 하되, 보빈실(34)이 상기 바늘실(36)의 고리를 이루는 부위를 앞에서 뒤로 이동하여 관통하게 하여 열릴 수 없는 링형상의 스티치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실(36)을 각각의 스티치 바로 위에서 커버하는 바늘실(36)의 부위가 존재하게 되어, 상기 보빈실(34)이 바늘실(36)의 루프 사이를 비집고 나올 수 없어서,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36)이나 보빈실(34)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거나 상기 바늘실(36)을 긴장상태로 당기게 되면 상기 완결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
100: 하우징, 200: 동력전달회전부, 300: 훅몸체(300), 400: 보빈, 500: 커버, 600: 훅몸체이탈방지링, 700: 보빈케이스베이스, 800: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

Claims (4)

  1.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체인 하우징(100), 왕복 이송되는 바늘의 이동경로에 수직인 회전축선 중심으로 회전구동되게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동력전달회전부(200)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된 동력전달돌기(210)에 외주면 일부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는 훅몸체(300), 상기 훅몸체(300)에 삽입하되 훅몸체(300)와 함께 회전되지 아니하게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보빈실(34)이 권회되는 보빈(400), 상기 훅몸체(3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훅몸체이탈방지링(600) 및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가 하우징(100)의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포함하며,
    상기 훅몸체(300)는 훅부(310)을 구비하고,
    상기 훅부(310)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바늘(35)에 인접되게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보빈실(34)보다도 먼저 상기 훅부(31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바늘실(36)의 루프를 관통하면서 포착하여, 바늘실(36)의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36a)이 보빈실(34) 주위를 돌고 그리고 바늘실(36) 루프의 스티치측 줄부분(36b)이 상기 훅부(310)의 경사면을 타고 동력전달회전부(200)에 인접한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일측면(720)으로 인도되어서 바늘실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게 상기 훅몸체(300)는 형상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회전북통.
  2. 삭제
  3. 재봉기 또는 자수기에 구비되어 상하 운동하는 바늘의 바늘실과 수직전회전북통에 구비된 보빈실을 이용하여 스티칭대상물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빈실, 바늘 및 훅부의 위치관계는 동력전달부위에서 보아 제일 바깥쪽에서 부터 보빈실, 바늘, 훅부를 인접하게 위치시키되, 바늘은 훅부가 바늘실의 루프를 끌고 갈 수 있도록 회전방향의 앞 쪽에 배치하는 단계,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바늘이 하강하여 왔을 때, 경사면을 갖는 훅부가 보빈실 보다 먼저 바늘실의 루프를 관통하면서 포착하여, 바늘실 루프를 끌고 가면서 더 크게 형성하는 단계,
    바늘실의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은 훅부의 회전에 따라 보빈실보다 동력전달부위 일측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보빈실 주위를 돌고, 그리고 바늘실 루프의 스티치측 줄부분은 훅부의 경사면을 따라 동력전달측에 인접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일측면으로 인도되어서, 바늘실의 루프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는 단계,
    바늘실(36)의 공급측 줄부분을 위로 당겨서 바늘실 루프가 작아지게 하여, 바늘실이 보빈실에 감겨져 끼워지게 하는 단계,
    바늘실의 공급측 줄부분을 위로 더 당겨서 스티치 대상물의 이음매 부근에서 보빈실과 바늘실이 감아 걸어지도록 걸어맞춤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방법.
  4. 제3항의 방법에 의하여 열릴 수 없는 링 형상의 스티치가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KR1020150172457A 2015-12-04 2015-12-04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65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57A KR101657607B1 (ko) 2015-12-04 2015-12-04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57A KR101657607B1 (ko) 2015-12-04 2015-12-04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607B1 true KR101657607B1 (ko) 2016-09-19

Family

ID=5710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457A KR101657607B1 (ko) 2015-12-04 2015-12-04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6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77A1 (ko) * 2017-06-14 2018-12-20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KR101939177B1 (ko) * 2017-07-07 2019-01-16 강소대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CN115161898A (zh) * 2022-04-14 2022-10-11 诸暨市韩一进出口有限公司 使柱线去除容易的缝纫机和刺绣机的旋梭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43238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43239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40B2 (ko) * 1985-09-26 1990-04-11 Juki Kk
KR100470220B1 (ko) * 2002-03-25 2005-02-04 가부시키가이샤 미카사 재봉기를 사용하여 솔기를 형성하는 방법
KR20110135005A (ko) * 2010-06-10 2011-12-16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40B2 (ko) * 1985-09-26 1990-04-11 Juki Kk
KR100470220B1 (ko) * 2002-03-25 2005-02-04 가부시키가이샤 미카사 재봉기를 사용하여 솔기를 형성하는 방법
KR20110135005A (ko) * 2010-06-10 2011-12-16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77A1 (ko) * 2017-06-14 2018-12-20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US11359315B2 (en) 2017-06-14 2022-06-14 Onestar Co., Ltd. Lower thread supply device of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KR101939177B1 (ko) * 2017-07-07 2019-01-16 강소대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WO2019009656A3 (ko) * 2017-07-07 2019-04-11 강소대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CN115161898A (zh) * 2022-04-14 2022-10-11 诸暨市韩一进出口有限公司 使柱线去除容易的缝纫机和刺绣机的旋梭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43238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43239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US10060061B2 (en) Bobbinless sewing machine and stitch
KR101930946B1 (ko) 수평전회전북통, 이 수평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220128003A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용 침판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548438B1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WO2017094943A1 (ko) 수직전회전북, 이 수직전회전북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060083278A (ko) 재봉틀용 북
KR20170139409A (ko)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276273B1 (ko)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543238B1 (ko)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967640B1 (ko)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2511097B1 (ko) 회전북통
KR20210029945A (ko)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윗실루프 가이드수단
CN110846821A (zh) 连续供线式旋梭装置
KR102543239B1 (ko)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JP2824230B2 (ja) 垂直全回転かま
KR102529789B1 (ko) 회전북통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JP2637058B2 (ja) 半回転か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