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38B1 -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38B1
KR102548438B1 KR1020200172683A KR20200172683A KR102548438B1 KR 102548438 B1 KR102548438 B1 KR 102548438B1 KR 1020200172683 A KR1020200172683 A KR 1020200172683A KR 20200172683 A KR20200172683 A KR 20200172683A KR 102548438 B1 KR102548438 B1 KR 102548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ody
thread
power transmission
hook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620A (ko
Inventor
강소대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강소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to KR102020017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8Shuttles ; Shuttle holders; Shuttle 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종래와 같이 바늘의 위치를 그대로 나두고, 그리고 종래와 같이 바늘실이 바늘의 구멍을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 관통하여 U자형 자세로 된 바늘실 루프의 스티치측실이 줄넘기 운동에 의해 보빈실 주위로 돌아 나오게 한 상태에서, 원단을 평면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항상 바늘실 루프가 X자형 자세변경없이 항상 U자형 자세를 갖게 한 회전북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domnidirectional lock stitchable rotary shuttle and method for domnidirectional lock stitching by rotary shuttle}
본 발명은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평면상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엉킴 바늘질인 히치 스티치가 구현되지 않고 퍼펙트 스티치인 록스티지만 구현되어 패턴재봉기나 자수기에 적용될 수 있는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 자수기, 패턴재봉기에 구비되는 회전북통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스티치에는 퍼펙트 스티치인 록 스티치(
Figure 112020134320188-pat00001
)와 엉킴 바늘질인 히치 스티치(
Figure 112020134320188-pat00002
) 가 있다.
록스티치를 구현하는 회전북통은 예전부터 현재까지 재봉틀, 자수기, 패턴재봉기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타입은 로터리 훅몸체의 일단에 구동축의 선단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타입이며, 이 타입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1223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로터리 훅몸체의 일단에 구동축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의 회전축선 방향에서 구동축에 면하고 있는 로터리 훅몸체의 일측면이 상기 구동축에 의해 막혀있고, 구동축에 등을 지고 있는 로터리 훅몸체의 타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바늘이 아래로 내려갔다가 위로 올라와서 형성되는 바늘실(윗실)의 U자형 루프에서 공급측실과 스티치측실이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공급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을 따라 가로질러서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스티치측실이 구동축에 막혀서 일측면을 따라 가로질러서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할 수가 없어서, 결국 바늘실의 U자형 루프가 U자형 자세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운동을 할 수가 없다.
바늘실의 U자형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운동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측실(Rb)과 스티치측실(Ra)로 이루어진 U자형 루프의 중간부위가 훅(41)에 의해 걸음된 상태에서, 훅(41)의 외면에 있는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 쪽으로 이동하여 바늘실의 U자형 루프가 X자형 자세로 교차되게 하면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가로질러 타고 넘어가서, 바늘실의 U자형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운동을 할 수가 있다.
훅(41)의 외면에 있는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원활하게 줄넘기 운동하기 위해서는, 훅(41)의 회전방향에서 스티치측실(Ra)이 공급측실(Rb)보다 앞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가이드(2)가, 환형 레일(3)을 사이에 두고 그리고 훅(41)에 대하여 방사바깥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훅(4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실 루프(R)가 바늘실가이드(2)에 의해 훅(41)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여, 훅(41)의 회전방향에서 공급측실(Rb)이 스티치측실(Ra)보다 앞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훅(41)이 더 회전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이 바늘실가이드(2)와 상기 훅(41) 사이의 틈 사이로 들어가게 되면서 훅(41)의 회전방향에서 스티치측실(Ra)이 공급측실(Rb)보다 앞에 위치하게 자세변경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훅(41)의 내면에 위치된 공급측실(Rb)이 훅(41)의 회전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41)과 상기 환형레일(3) 사이에 인너훅(4)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훅(41)의 회전방향에서 스티치측실(Ra)이 공급측실(Rb)보다 앞에 위치하여, 바늘실이 전체적으로 스티치측실(Ra)과 공급측실(Rb)이 서로 X자형 자세로 교차된 바늘실 루프(R)를 가진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은, 보빈실과 바늘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하여 록스티치를 구현되게 된다.
먼저, 원단의 진행방향에서, 보빈실(B)이 바늘실 루프(R)보다 앞에 위치되게 하고, 보빈실(B),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 및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을 보빈케이스베이스(1)에서 구동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세팅한 상태에서, 바늘(N)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하게 되면, (a)와 같이 바늘실에 루프(R)가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 볼 때, 바늘실의 공급측실(Rb)이 바늘실의 스티치측(Ra)보다 앞(보빈케이스베이스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가 훅(41)에 걸음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훅(1)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과 스티치측실(Ra)이 X자형 자세로 자세변경되면서, 도 4에서 볼 때,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보다 앞(반시계방향에서의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실(B) 주위를 돌아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앞면(타측면)을 가로질러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실채기에 의해 바늘실을 위로 당기게 되면, 바늘실 루프(R)가 상기 훅(41)에서 빠져나와, 원단에 록스티치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훅(41)의 외면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미끄럼접촉하여 도 4에서 볼 때, 앞쪽으로 돌아나오기 때문에,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연사의 바늘실이 사용된다.
만약,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연사의 바늘실을 사용하게 되면, 우연사의 바늘실이 풀어져서, 바늘실의 굵기가 커져 바늘귀를 관통할 때 바늘귀의 내면과 바늘실 간에 마찰이 증대되어 단선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좌연사의 바늘실이 사용되어도, 좌연사로 된 바늘실이 U자형 루프에서 X자형 루프로 자세변경된 상태에서,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이 좌연사방향으로 더 꼬이면서 훅(41)의 외면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타고 넘어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여 원단에 록스티치가 형성되기 때문에, 좌연사 방향으로 긴장된 하나의 스티치가 바느질의 완료후, 좌연사로 긴장되어 꼬인 스티치의 상태가 이완되면서, 상기 록스티치 부근의 원단에 주름을 발생시켜, 록 스티치 재봉선 부근의 원단에 주름이 많다고 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원단의 진행방향에서 보빈실(B)이 바늘실 루프(R)보다 앞에 위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록스티치가 구현되고, 이 상태에서 원단을 후진시키면,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록스티치만 균일하게 구현되어야 하는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에 종래의 록스치용 회전북통이 적용되게 되면, 원단의 후진 구간에서 스티치의 균일함을 저하시키는 히치스티치가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제2008-232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는 영역에서 바늘실 루프의 자세를 변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히치스티치가 구형되는 영역을 파악하여 바늘실 루프(R)의 자세변경수단과 상기 자세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의 제조비용을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발생하는 주름발생과 재봉균일함을 해치는 히치스티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늘실 루프가 X자형 루프 상태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지 않고, U자형 루프 상태에서 그대로 보빈케이스베이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바늘실 루프(R)가 U자형 루프로 만들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을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 쪽으로 이동시켜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시키면,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구동축에 막혀서 바늘실 루프(R)가 U자형 자세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할 수가 없다.
결국, 바늘실의 U자형 루프를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한국특허등록 제1657607호에 제시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상기 제시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은,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공급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을 타고 넘어가고, 스티치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일측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공급측실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서 스티치측실과 교차되어 X자형 루프로 자세변경된 후, 원단이 전진하는 상태에서 원단진행방향의 반대방향에 있고 상하 왕복운동하는 실채기에 의해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며, 이 상태에서 원단이 후진하게 되면, 록스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보빈실의 출구가 바늘실 루프(R)보다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은, 바늘실 루프(R)를 X자형으로 자세 변경시킨 다음,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이 줄넘기 운동에 의해 보빈실 주위를 돌아 나오게 하는 방식(이하, 제1방식이라 함)이고; 그리고 상기 제시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은,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이 줄넘기 운동에 의해 보빈실 주위를 돌아 나오게 하면서 바늘실 루프(R)를 X자형으로 자세변경시키는 방식(이하 제2방식이라 함)이어서, 원단의 전후진 방향에 따라 록스티치가 구현되거나 히치스티치(도 8의 b 참조)가 구현되게 된다.
원단의 전후진방향에 따라 스티치가 상이하게 구현되는 이유는, 바늘실 루프(R)가 X자형 자세에서 스티치가 구현되기 때문이다.
즉, 바늘실 루프(R)가 X자형 자세에서 스티치가 구현되면, 전진 및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원단 이동에 의해, X자형 자세의 바늘실 루프(R)가 개방자세로 되면 록스티치가 발생하고, 그리고 전진 및 후진 중 다른 한 방향으로의 원단 이동에 의해, X자형 자세의 바늘실 루프(R)가 폐쇄 자세로 되면 히치스티치가 발생한다.
결국, 바늘실 루프(R)가 X자형 자세에서 스티치가 구현되지 않고, 바늘실 루프(R)가 U자형 자세에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 나오게 하여 스티치가 구현되게 하면서, 원단이 이송방향에 무관하게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규칙을 알아 내는 것이 중요함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또한, 바늘실이 U자형으로 줄넘기 운동할 수 있는 회전북통에서, 원단진행방향과 보빈실 및 바늘실의 위치에 따라 스티치 타입이 변환되는 상기된 규칙을 고려하여 볼 때, 일본국 특개평9-1223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바늘실가이드(2)가 보빈케이스베이스(1)를 위에서 덮고 있기 때문에, 보빈실의 출구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없지만, 보빈케이스베이스(1)를 위에서 덮고 있는 바늘실가이드를 배제시켜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는, 보빈실의 출구 위치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보빈실의 출구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원단이 평면에서 이차원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항상 록스티치만 구현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종래와 같이 바늘의 위치를 그대로 놔두고, 그리고 종래와 같이 바늘실이 바늘귀를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에서 일측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U자형 자세로 된 바늘실 루프의 스티치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일측면을 가로질러서 그리고 공급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을 가로질러서, 줄넘기 운동에 의해 보빈실 주위로 돌아 나오게 한 상태에서, 원단을 평면에서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이동시켜도, 항상 바늘실 루프가 X자형 자세변경없이 항상 U자형 자세를 갖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좌연사로 된 바늘실을 이용하여도,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에서, 훅에 의해 바늘실 루프의 공급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을 경유하여 그리고 스티치측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일측면을 경유하여 스티치측실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기 때문에,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보다 좌연사방향으로 바늘실이 부가적으로 꼬이지 않아, 록스티치로 원단에 구현된 바늘질선(봉제선)에 의해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이 침판 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이차원적으로 이동하여도, 항상 록스티치가 구현되게 되어, 본 발명의 회전북통이 360도 문양 바느질을 구현하는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에 적용되게 되어도, 록스티치(퍼펙트스티치)보다 바느질 품질이 떨어지는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는 것을 종래보다 단순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방지하면서, 균일한 록스티치를 원단에 구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록 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바늘실 루프 내로 훅이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바늘실 루프가 훅과 바늘실가이드에 의해 훅의 회전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바늘실 루프의 공급측실과 스티치측실이 뒤바뀌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종래의 록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의해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좌연사와 우연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구동축의 회전축선과 바늘의 승하강운동의 궤적선이 만나는 점을 중심으로 두고, 아래측이 보빈케이스베이스측(타측)이고, 윗측이 동력전달측(일측)이며, 훅의 회전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보빈실의 출구의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시켜 록스티치와 히치스티치가 발생되는 영역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보빈실의 출구가 1시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전스티치가 10시방향, 3시방향, 8시방향에 위치되었을 때, 훅에 의해 바늘실 루프가 걸음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면서 보빈실을 주위로 도는 방향을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보빈실의 출구가 12시 방향, 8시방향 및 2시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전스티치가 10시방향, 3시방향, 8시방향에 위치되었을 때, 훅에 의해 바늘실 루프가 걸음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면서 보빈실을 주위로 도는 방향을 도시한 모식 사시도,
도 9는 보빈실의 출구가 12시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전스티치가 4시방향, 8시방향에 위치되었을 때, 훅에 의해 바늘실 루프가 걸음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면서 보빈실을 주위로 도는 방향을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북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북통을 반대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회전북통에서 출력축이 회전될 때 동력전달회전부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 및 훅몸체의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의 위치를 위상차를 달리하여 동력전달측에서 보았을 때를 도시한 모식도,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북통에 의해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단계를 원단이 전진하는 상태에서 그리고 원단이 후진하는 상태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측에서 보았을 때에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 운동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북통에 의해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단계를 원단이 전진하는 상태에서 그리고 원단이 후진하는 상태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 운동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북통에 의해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단계를 원단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그리고 우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보빈케이스베이스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바늘실 루프가 줄넘기 운동하는 것을 도시한 모식도,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북통의 보빈케이스베이스와 가마잡이돌기가 접촉되는 상태를 보빈케이스베이스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도시한 모식도.
본 발명자는,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원단진행방향과 보빈실 및 바늘실의 위치에 따라 스티치 타입이 변환되는 규칙을 파악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바늘의 위치를 그대로 놔두고, 그리고 종래와 같이 바늘실이 바늘귀를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에서 일측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를 갖게 한 상태에서, 원단을 평면에서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이동시키면서, 보빈실의 출구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스티치를 구현해 보았다.
그 결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바늘을 위에서 볼 때, 구동축 또는 훅몸체의 회전축선(y)과 바늘의 승하강운동의 궤적선이 만나는 교차점(O)을 중심으로 두고, 아래측이 보빈케이스베이스측(타측)이고, 윗측이 동력전달측(일측)이며, 훅이 상기 회전축선(y)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상기 회전축선(y)과 직교하는 직교축선(x)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원단이 진행하게 되는 상태에서 보빈실의 출구(1a)의 위치를, 바늘을 위에서 볼 때 ,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6시 내지 9시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공급측실이 보빈실 주위로 돌아나오는 상기된 제2방식으로 스티치가 구현되는 관계로, 162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198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9시 내지 12시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된 제1 및 2방식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에서 X자형 자세로 변경되어, 45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315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3시 내지 6시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된 제2방식으로 스티치가 구현되는 관계로, 280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80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12시 내지 3시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된 제1 및 2방식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에서 X자형 자세로 변경되어, 280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80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며; 그리고,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6시에 위치할 때에도, 상기된 제2방식으로 스티치가 구현되는 관계로, 280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80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에서,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의 출구가 6시에 위치할 때에도, 바느실 루프의 스티치측실이 보빈실 주위를 돌아 나옴에도 불구하고, 200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고, 나머지 160도 영역에서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된 보빈실의 출구 위치들 중에서 상기된 보빈실의 출구가 12와 6시 사이에 위치할 때, 원단이 전후진하여도,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는 것을 알게 되어, 이러한 회전북통을 2020년 10월 29일자에 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141651호에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된 보빈실의 출구 위치들 이외의 위치로서, 보빈실의 출구의 위치를 12시에 위치하여 스티치를 구현해 보니,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기하게도 360도 영역에서 퍼펙트스티치인 록스티치(PS)가 구현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가 그 이유를 연구하다 보니, 다음과 같은 원리를 알게 되었다.
바늘이 하강하여 침판의 바늘구멍을 통과하였다가 다시 침판 위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침판 밑에 바늘실 루프가 형성되게 되며, 이 때에 바로 직전에 형성된 사전스티치의 위치에 따라,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를 가질 것인지 아니면, X자형 자세를 가질 것인지가 결정되게 된다.
그 이유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도시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실 출구(1a)가 1시에 위치된 경우에, 바로 직전에 형성된 사전스티치(BS)가 10시방향이나 3시방향에 위치되면, 바늘귀(Na)에서 나와 바늘용 침판구멍(H)을 경유하여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바늘용 침판구멍(H)을 경유하여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보빈실(B)의 선분보다 구동축의 회전축선(y) 방향에서 밑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를 훅(41)에 의해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운동시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채기 시에, 보빈케이스베이스(1) 밑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사전스티치(BS)까지 뻗은 보빈실(B) 선분보다, 바늘(N)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서 훅(41)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뒤쪽에 배치되어 U자형 자세를 가지면서 줄넘기 운동하여 원단의 진행방향에 무관하게 좌연사로된 록스티치인 퍼펙트스티치(PS)가 구현되게 되고, 그리고 바로 직전에 형성된 사전스티치(BS)가 8시방향에 위치되면, 바늘귀(Na)에서 나와 바늘용 침판구멍(H)을 경유하여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보빈실(B)의 선분보다 구동축의 회전축선(y) 방향에서 위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를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우동시키면,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채기 시에, 보빈케이스베이스(1) 밑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사전스티치(BS)까지 뻗은 보빈실(B) 선분보다, 바늘(N)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서 훅(41)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앞쪽에 배치되어 X자형 자세를 가지면서 줄넘기 운동하여, X자형 자세의 바늘실 루프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원단이 이동되면 록스티치인 퍼펙스티치(PS)가 구현되고 그리고 폐쇄시키는 방향(x)으로 원단이 이동되면, 히치스티치(HS)가 구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빈실의 출구가 12시에 위치되어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직전에 형성된 사전스티치가 8시방향이나 3시방향에 위치되어도, 바늘귀(Na)에서 나와 바늘용 침판구멍(H)을 경유하여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바늘용 침판구멍(H)을 경유하여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보빈실(B)의 선분보다 구동축의 회전축선(y) 방향에서 항상 밑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를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우동시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채기 시에, 보빈케이스베이스(1) 밑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사전스티치(BS)까지 뻗은 보빈실(B) 선분보다, 바늘(N)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서 훅(41)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훅(41)의 회전방향에서 뒤쪽에 배치되어 U자형 자세를 가지면서 줄넘기 운동하여 원단(W)의 진행방향에 무관하게 좌연사로된 록스티치인 퍼펙트스티치(PS)가 구현되게 되게 된다.
그 이유는 구동축의 회전축선(y) 방향에서, 바늘귀(Na)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바늘실의 스티치측실(Ra) 선분이, 보빈실 출구(1a)에서 사전스티치(BS)로 뻗은 보빈실(B)의 선분에 대하여, 원단이 이동하는 바늘 주위의 모든 평면 영역에서 서로 뒤바뀌지 않고 항상 훅(41)의 회전방향에서 뒤쪽에 배치된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빈실의 출구가 3시 내지 9시 사이의 범위 내에 위치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측실이 보빈실 주위로 돌아 나오면서 X자형 자세로 줄넘기 운동하는 상기된 제2방식으로 스티치가 구현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일부영역에서 록스티치가 구현되고 다른 영역에서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며; 보빈실 출구가 12시를 제외한 9시 내지 3시 사이의 범위 내에 위치되면, 스티치측실이 보빈실 주위로 돌아 나오지만, 바늘귀에서 사전스티치로 뻗은 바늘실 선분과 보빈실 출구에서 사전스티치로 뻗은 보빈실의 선분의 위치가 어느 특정영역에서 구동축의 회전축선방향에서 서로 뒤바뀌어 X자형 자세로 줄넘기 운동하여,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가 구현되는 관계로, 일부영역에서 록스티치인 퍼펙트스티치가 구현되고 다른 영역에서 히치스티치가 구현되며, 그리고 보빈실의 출구가 12시에 위치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를 가지게 되어, 모든 영역에서 원단의 진행방향에 무관하게 록스티치가 구현되게 된다.
이하,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에 대한 구조가 도 10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을 이하에서 설명함에 있어서, 일측은 동력전달측을 의미하고, 그리고 타측은 보빈케이스베이스측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100)은,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N)의 구멍을 관통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일측에 배치되고, 공급측실(Rb)이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양측면을 가로질러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수 있게, 도시되지 않은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동력전달돌기(30)에 훅몸체(40)의 테두리 일부가 접촉하도록, 공전운동하는 상기 동력전달돌기에 의해 훅몸체(40)의 훅(41)이 재봉작업자의 정면방향으로 원단을 전진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바늘실 루프(R)를 걸음하게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보빈베이스케이스(1)의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보빈케이스(5)를 탈착할 수 있게 개방되어 있으며, 바늘이 자유롭게 승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후크(41)가 걸 수 있는 루프(R)을 원활히 만드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보빈베이스케이스(1)의 타측 가까에는 절결부가 종래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보빈베이스케이스(1)의 타측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우징의 가마잡이돌기 돌기(21)를 수용하는 암형홈(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북통(100)에서는, 도 14의 위 및 도 15의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N)의 승하강하는 궤적선이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중심축선에 직교하여 맞나게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보빈케이스(5)에 형성된 보빈실 출구(1a)가,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축선방향에서 바늘실 루프(R)보다 동력전달측(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훅몸체(40)보다 상기 훅몸체(40)의 반경방향 외측에, 그리고,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축선상(출력축의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빈실 출구(1a)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북통(100)에서는, 상기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동력전달측에 등을 진 면)을 가로질러서 그리고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동력전달측에 마주하는 면)을 가로질러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1)에 대하여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 운동하도록, 상기 훅몸체(40)의 훅(41)과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가 형상화되어서 록스티치(퍼펙트스티치)가 구현하게 된다.
즉, 상기 훅(41)은, 빗변이 일측에 마주하고 세로변이 재봉작업자의 정면방향으로 원단을 전진시키는 방향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삼각형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세로변과 만나는 빗변(41a)의 일단이 상기 훅몸체(40)의 훅(41)의 회전축선방향에서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 보다 바늘(N)에 인접하고, 빗변(41a)의 타단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에 이르도록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서 록스티치가, 재봉작업자의 정면방향으로 원단이 전진할 때, 구현되는 상태를 도 14의 위와 도 15의 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N)이 12시 방향으로 하강하여 바늘실 루프(R)를 12시 방향에서 만들어서 상승할 때에,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바늘실 루프(R)에 접근하게 되며, 이 때에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보빈실(B)이 훔몸체(40)의 회전축선상에 위치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R)를 걸음하여 상기 바늘실 루프(R)가 10시 방향에 위치되게 되며, 이 때에,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에 이미 구현되어 있는 사전스티치가 지지점이 되어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실(B)보다 앞에 위치되어 교차되게 자세변경되면서, 훅(41) 뒤에 공급측실(Rb)이 그리고 훅(41) 앞에 스티치측실(Ra)이 배치되어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4의 c 및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훅(41)에 의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상기 바늘실 루프(R)가 7시방향에 위치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실채기에 의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위로 당겨지면, 도 14의 d 및 e 그리고 도 15의 d 및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 운동하면서, 훅(41)에서 빠져나와 원단에 록스티치가 구현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100)은, 원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14의 아래와 도 15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보빈실(B)이 훔몸체(40)의 회전축선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공급측실(Rb)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가로질러서 그리고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을 가로질저서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여 록스티치를 구현하게 된다.
이를 도 14의 아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N)이 12시 방향으로 하강하여 바늘실 루프(R)를 12시 방향에서 만들어서 상승할 때에, 훅(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바늘실 루프(R)에 접근하게 되며, 이 때에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보빈실(B)이 훔몸체(40)의 회전축선상에 위치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R)를 걸음하여 상기 바늘실 루프(R)가 10시 방향에 위치되게 되며, 이 때에,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에 이미 구현되어 있는 사전스티치가 지지점이 되어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실(B)보다 앞에 위치되어 교차되게 자세변경되면서, 훅(41) 뒤에 공급측실(Rb)이 그리고 훅(41) 앞에 스티치측실(Ra)이 배치되어 상기 루프(R)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4의 C 및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훅(41)에 의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상기 바늘실 루프(R)가 7시 방향에 위치되게 된다.
그 다음, 훅(41)이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실채기에 의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위로 당겨지면, 도 14의 D 및 E 그리고 도 15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 운동하면서, 훅(41)에서 빠져나와 원단에 록스티치가 구현되게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여도 원단이 전진 및 후진으로 이동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줄넘기 운동하여 록스티치가 원단에 구현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100)은, 원단이 평면에서 전방향으로 이동되어도 록스티치가 구현되게 되어, 360도 문양 바느질을 구현하는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에 적용되게 되어도, 록스티치보다 바느질 품질이 떨어지는 히치스티치가 원단에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에 적용된 회전북통에서 히치스티치를 방지하기 위해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바늘실 루프(R)의 자세변경수단과 상기 자세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필요되지 않아, 종래의 자수기나 패턴재봉기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현저하게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현저하게 저렴한 자수기나 패턴재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100)은, 좌연사로 된 바늘실을 이용하여도, 바늘실 루프(R)가 U자형 자세에서, 훅(41)에 의해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타측면을 경유하여 그리고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을 경유하여 스티치측실(Ra)이 보빈실(B) 주위를 돌아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여, 종래의 록스티치용 회전북통보다 좌연사방향으로 바늘실이 부가적으로 꼬이지 않아, 록스티치로 원단에 구현된 바늘질선(봉제선)에 의해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고, 좌연사 재봉사가 꼬임된 후 이완되면서 봉제선이 굵게 되는 것도 방지하며, 사선도 최소화시켜 깨끗하고 아름다운 바늘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회전북통(100)은 바늘실 루프의 단사를 방지하기 위해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사방지수단은 본 발명자에 의해 2019년 12월 11일 일자에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19-01643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단사방지수단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된 히치스티치용 회전북통에 적용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단사방지수단이 적용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북통(100)은,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 자수기 또는 패턴재봉기의 본체에 바로 장착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브래킷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제1하우징(10); 상기 제1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또는 일체로 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1)를 회전하지 못하게 내장하고 있는 제2하우징(20); 도시되지 않은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제1하우징(10)에 제1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동력전달회전부(30); 그리고 제1축선(X)에서 편심된 제2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하우징(10)에 내접되고 둘레부위 일부에 제2축선(X')의 중심에서 위상차를 두고 제2축선(X')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훅(41), 제1단차부(42) 및 제2단차부(43)를 구비한 훅몸체(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를 비회전체로 만들기 위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는 상기 제2하우징(20)에 형성된 가마잡이 돌기(21)에 걸음되는 암형홈(1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형홈(1b)은 상기 가마잡이돌기(21)에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여유공간을 가지고서 접촉하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훅몸체(40)가 회전하는 방향에서 뒤쪽에 배치된 상기 암형홈(1b)의 뒷벽과, 상기 훅몸체(40)가 회전할 시에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가 상기 훅몸체(40)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암형홈(1b)의 뒷벽에 접촉하게 되는 가마잡이 돌기(21) 간의 접촉지점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실(B)이 출구(1a)와 같이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축선상(출력축의 회전축선상)에 위치결정되어 있으면, 바늘실이 줄넘기 운동할 때, 가마잡이 돌기(21)와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상기 암형홈(1b)의 뒷벽 간의 접촉부위 사이에 끼이는 바늘실 루프가 실채기의 힘에 의해 보빈케이스베이스(1)가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스티치의 형성에 부하를 주지않는 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20)의 상단에는 바늘(N)과 바늘실 루프(R)가 출입하기 위한 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훅(41)의 회전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상기 개구(24)의 부위에는,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상기 바늘실 루프(R) 사이에 들어가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공급측실(Rb)이 함께 일측(동력전달측) 또는 타측(보빈케이스베이스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훅(41)의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디바이더(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몸체(40)는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훅(41)에 대하여 떨어져서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훅(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훅(41)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뻗은 멈춤쇠(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는 상기 훅몸체(40)에 형성된 상기 제1단차부(42)에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제1위상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밀어서 상기 훅몸체(40)를 회전시키는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및 상기 훅몸체(40)에 형성된 상기 제2단차부(43)에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제2위상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밀어서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동력전달돌기(31) 사이를 벌려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위상구간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벌려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와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타단측에 방사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33)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는 상기 플랜지(33)의 타측면의 반경방향 외측부위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제1축선(X)에 평행한 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제1축선(X)의 중심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에 대하여 위상차를 두고 상기 플랜지(33)의 타측면의 반경방향 외측부위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제1축선(X)에 평행한 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33)가 상기 제1하우징(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대하여 상기 제1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1)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서 상기 제1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스냅링(12)이 상기 환형 홈(34)에 외접되어 삽입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몸체(40)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에워싸고서 상기 제2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구멍(22)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훅몸체(40)가 상기 제2하우징(20)에 대하여 상기 제2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관통구멍(22)의 내주면에는 반경이 감소된 축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경부(23)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상기 훅몸체(40)가 배치되고 그리고 타측에 기브(gib; 50)가 배치되어 상기 훅몸체(40)와 상기 기브(50)가 서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22)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브(50)는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에 외접되어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가 접촉하는 제1위상구간에는,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는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를 통과할 때, 즉,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제2위상구간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접촉되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밀어서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서로 이격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R)가 멈춤쇠(44)에서 걸음이 해제되는 전후 사이에,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다시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는,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가 접촉하는 제2위상구간에는,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가, 실채기에 의해 주어진 바늘실로써 만들어진 새로이 진입하는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진입할 때, 즉,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제1위상구간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접촉되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밀어서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서로 이격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운동하는 과정에,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다시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몸체(40)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가 정지하였을 때, 상기 훅몸체(40)가 관성으로 더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해, 상기 훅몸체(40)가 회전하는 반대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단차부(42)와 마주하는 상기 훅몸체(40)의 부위에,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정지 시에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퍼(4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스톱퍼(45) 간의 간격은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스톱퍼(45)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b)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스티치용 회전북통(100)은 록스티치의 구현 시에 바늘실 루프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서 단사가 방지된다.
출력축이 회전하게 되면,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동력전달회전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회전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에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게 하면서,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벌리고, 이때에 바늘(N)이 하강하였다가 올라오면서 만들어지는 바늘실 루프(R)의 하단 상부 내측이 훅(41)에 걸음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제1단계(도 13a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에 지속적으로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가 더 벌어지고, 이때에 상기 바늘(N)이 상기 훅(41)에 간섭이 되지 않게 위로 올라가고 바늘실 루프(R)가 훅(41)에 걸음되어 훅(41)에 의해 끌려가면서 상기 디바이더(25)가 상기 바늘실 루프(R) 내로 들어온 상태가 되어 상기 바늘실 루프(R)가 더 벌어지는 제2단계(도 13b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에 지속적으로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가 최대한 벌어지고, 이때에 상기 바늘(N)이 상기 훅(41)에 걸음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줄넘기 운동에 간섭이 되지 않게 더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의 벌이진 틈(S1)을 통해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에 면하고 있는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에 진입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에 등을 지고 있는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에 진입하게 되는 제3단계(도 13c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에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가 벌어져서 틈(S2)이 형성되고, 상기 훅(41)이 7시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훅(41)에 걸음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상기 틈(S2)을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에 면하고 있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 중앙을 가로지르게 하고, 이때에 상기 바늘(N)이 더 위로 올라가면서 도시되지 않은 실채기에 의해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의 공급측실(Ra)이 위로 당겨지기 시작되는 제4단계(도 13d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바늘(N)이 더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에 지속적으로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의 상기 틈(S2)이 유지된 상태에서 훅(41)이 8시 방향에 위치되고, 이때에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b)이 상기 실채기에 의해 계속 위로 당겨지면서, 상기 틈(S2)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를 반시계방향으로 건너게 되는 제5단계(도 13e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바늘(N)이 더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에 지속적으로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의 상기 틈(S2)이 유지된 상태에서 훅(41)이 9시 방향에 위치되고, 이때에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상기 실채기에 의해 계속 위로 당겨지면서, 상기 훅(41)에서 빠져나와, 멈춤쇠(44)에 인계되어 걸음되게 되는 제6단계(도 13f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바늘(N)이 더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에 다시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다시 벌려 틈(S1)이 형성되고, 훅(41)이 12시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상기 실채기에 의해 계속 위로 당겨지면서, 상기 멈춤쇠(44)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제7단계(도 13g 참조)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에 계속 맞닿음하여 훅몸체(40)가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의 틈(S1)이 더 벌어지게 되고, 훅(41)이 12시 방향을 넘어가면,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상기 실채기에 의해 계속 위로 당겨지면서, 도시되지 않은 보빈실을 걸고 나와 하나의 록스티치가 구현되는 제8단계(도 13h 참조)가 수행된다.
상기 출력축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된 제1 내지 제8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록스티치가 연속적으로 구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때, 상기 디바이더(25)가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공급측실(Rb)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공급측 실(Rb)이 함께 일측(동력전달측) 또는 타측(보빈케이스베이스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스티치가 정연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100)은, 최소한의 부품수에 의해 단순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재봉시에 진동과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 들면서도, 고속으로 훅몸체를 회전시키면서 바늘실 루프(R)를 단사(斷絲)시킴 없이 평면상에서 전방향으로 록 스티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록스티치에 의거한 봉제작업의 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때 바늘실 루프(R)를 가이드하기 위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볼때 훅(41)의 기단측에 인접한 훅몸체(40)의 부위에 형성된 마찰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저감부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41)의 기단에 바로 인접한 훅몸체(40)의 부위에서 타측(동력전달측의 반대 측)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단차부(43)와 협력하여 형성된 U자형 제1절결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절결부(110)에 대한 설명과 작용상태의 도시는 본 발명에 의해 2009년 9월 9일자로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19-0111254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에 대한 작동상태를 참조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바늘의 구멍에 바늘실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바늘이 하강하게 되어 U자형으로 개방된 바늘실 루프(R)가 형성되어 바늘실 루프(R)의 일측(동력전단측의 반대측)은 공급측실(Rb)로서 배치되고 바늘실 루프의 타측(동력전달측)은 도시되지 않은 봉제물의 스티치측실(Ra)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훅몸체(4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훅(41)이 바늘실 루프(R)를 걸게 된다.
그 다음, 훅몸체(40)를 일정 각도 더 회전시키게 되면, 훅(41)이 실채기에 의해 공급된 공급측실(Rb)을 아래로 연장시키면서 바늘실 루프(R)를 동력전달부의 회전축심축선에서 확장시키어 스티치측실(Ra)이 훅(41)의 기단측에 위치되게 하면서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동력전달측에 마주하고 있는 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티치측실(Ra)이 훅(41)의 기단에 바로 인접한 훅몸체(40)의 외주면 부위에 접촉하게 되지만, 그 접촉부위에 상기 제1절결부(110)가 형성되어 있어서,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상기 제1절결부(110)의 양벽부중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측벽(111)에 점 접촉하게 되어 종래보다 현저하게 훅(41)의 기단에 인접한 훅몸체(40)의 외주면 부위와 스티치측실(Ra) 간의 접촉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속으로 훅몸체가 회전되어도, 스티치측 실(Ra)이, 상기 제1절결부(110)에 의해 훅(41)의 기단에 인접한 훅몸체의 부위에 최소한으로 접촉되는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 운동하기 때문에, 줄넘기 운동 이후에 구현되는 실채기에 의해 회수되는 바늘실 루프(R)의 바늘실량 및 스티치에 관여된 바늘실양을 합한 총량과 줄넘기 운동 전에 실채기에 의해 제공된 바늘실 루프의 실양이 서로 거의 동일하게 되어, 봉제물에 구현되는 스티치가 긴장된 상태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스티치측실(Ra)이 훅(41)의 기단측에 인접한 훅몸체(40)의 외주면에 최소한의 접촉면을 가지게 되면, 동력전달측에 마주하고 있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측면으로 확실하게 넘어가서, 하우징과 보빈케이스베이스(1)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종래의 발생하였던 바늘실의 단사나 터침이 해결되게 된다.
또한, 스티치측실(Ra)이 훅(41)의 기단측에 인접한 훅몸체(40)의 외주면에 더욱 더 최소한의 접촉면을 가지게 되면, 동력전달측에 마주하고 있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측면으로 더욱 확실하게 넘어가서, 하우징과 보빈케이스베이스(1)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이 더욱 방지되어, 종래의 발생하였던 바늘실의 단사나 터침이 더욱 해결되게 된다.
상기 단사방지수단이 회전북통에 적용된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30)와 상기 훅몸체(40)가 제1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장착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동력전달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제1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접되고, 그리고 상기 훅몸체(40)가 상기 제1축선(X)에서 편심된 제2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2하우징(20)에 내접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록스티치용 회전북통이 바늘실 루프를 걸음하는 훅의 선단이 바늘과 수직 관계예서 회전하는 수직회전북통을 일예로 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늘실 루프를 걸음하는 훅의 선단이 바늘과 수평 관계에서 회전하는 수평회전북통이나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회전북통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은 수직회전북통, 수평회전북통, 및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회전북통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B: 보빈실, BS: 사전스티치, H: 바늘용 침판구멍, HS: 히치스티치, N: 바늘, Na: 바늘귀, O: 구동축 또는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바늘의 승하강운동의 궤적선이 만나는 교차점, PS: 퍼펙트스티치, R: 바늘실 루프, Ra: 스티치측실, Rb: 공급측실, S1: 틈, S2: 틈, W: 원단, X: 제1축선, X': 제2축선, x: 훅의 회전방향 y: 회전축선, 1: 보빈케이스베이스, 1a: 보빈실 출구, 1b: 암형홈, 2: 바늘실가이드, 3: 환형레일, 4: 인너훅, 5: 보빈케이스, 10: 제1하우징, 11: 관통구멍, 12: 스냅링, 20: 제2하우징, 21: 가마잡이돌기, 22: 관통구멍, 23: 축경부, 24: 개구, 25: 디바이더, 30: 동력전달돌기, 31: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 32: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 33: 플랜지, 34: 환형홈, 40: 훅몸체, 41: 훅, 41a: 빗변, 42: 제1단차부, 43: 제2단차부, 44: 멈춤쇠, 45: 스톱퍼, 50: 기브, 100: 회전북통, 110: 제1절결부, 111: 하류측벽,

Claims (15)

  1.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일측에 배치되고, 공급측실(Rb)이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을 그리고 상기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가로질러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수 있게, 훅몸체(40)의 테두리 일부에 접촉하여 공전운동하는 출력축의 동력전달돌기에 의해, 훅몸체(40)의 훅(41)이, 재봉작업자의 정면방향으로 원단을 전진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루프(R)를 걸음하게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 회전북통에 있어서,
    바늘실이 바늘귀(Na)를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 관통하여 U자형 자세로 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줄넘기 운동에 의해 보빈실(B) 주위로 돌아 나오게 한 상태에서, 원단을 평면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바늘실 루프가 U자형 자세를 가지고서 줄넘기 운동하도록, 바늘(N) 및 보빈실 출구(1a)가 훅몸체(40)의 회전중심축선 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2. 삭제
  3. 삭제
  4.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일측에 배치되고, 공급측실(Rb)이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면을 그리고 상기 루프(R)의 공급측실(Rb)이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타측면을 가로질러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수 있게, 훅몸체(40)의 테두리 일부에 접촉하여 공전운동하는 출력축의 동력전달돌기에 의해, 훅몸체(40)의 훅(41)이, 재봉작업자의 정면방향으로 원단을 전진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루프(R)를 걸음하게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 회전북통으로서,
    본체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10),
    상기 제1하우징(10)에 결합되어 비 회전체인 보빈케이스베이스(1)를 내장하고 있는 제2하우징(20),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에 제1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동력전달회전부(30), 및
    상기 제1축선(X)에서 편심된 제2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10)에 내접되고 둘레부위 일부에 제2축선(X')의 중심에서 위상차를 두고 제2축선(X')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훅(41), 제1단차부(42) 및 제2단차부(43)를 구비한 훅몸체(40)를 포함하며,
    바늘(N) 및 보빈실 출구(1a)가 훅몸체(40)의 회전중심축선 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5. 제 4항에 있어서,
    바늘(N)의 승하강하는 궤적선이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중심축선에 직교하여 맞나게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실 출구(1a)가,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축선방향에서 바늘실 루프(R)보다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훅몸체(40)보다 상기 훅몸체(40)의 반경방향 외측에, 그리고, 상기 훅몸체(40)의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6. 삭제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는 상기 훅몸체(40)에 형성된 상기 제1단차부(42)에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제1위상구간에서 접촉하여 밀어서 상기 훅몸체(40)를 회전시키는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및 상기 훅몸체(40)에 형성된 상기 제2단차부(43)에 상기 훅몸체의 회전방향으로 제2위상구간에서 접촉하여 밀어서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를 벌려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상구간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벌려서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훅몸체(40)는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훅(41)에 대하여 떨어져서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훅(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훅(41)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뻗은 멈춤쇠(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제1위상구간에서는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하는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 사이를 통과할 때인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상기 제2위상구간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접촉되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밀어서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서로 이격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R)가 멈춤쇠(44)에서 걸음이 해제되는 전후 사이에,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다시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는, 상기 제2위상구간에서는,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가, 실채기에 의해 주어진 바늘실로써 만들어진 새로이 진입하는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 사이를 진입할 때인 상기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의 제1위상구간에서,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접촉되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으로 밀어서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훅몸체(40)의 제2단차부(43)와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가 서로 이격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R)가 줄넘기운동하는 과정에, 상기 훅몸체(40)의 제1단차부(42)와 다시 비접촉되어 상기 훅몸체(40)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과 상기 제2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타단측에 방사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33)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는 상기 플랜지(33)의 타측면의 반경방향 외측부위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제1축선(X)에 평행한 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2)는 상기 제1축선(X)의 중심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에 대하여 위상차를 두고 상기 플랜지(33)의 타측면의 반경방향 외측부위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제1축선(X)에 평행한 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3)가 상기 제1하우징(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대하여 상기 제1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1)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서 상기 제1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스냅링(12)이 상기 환형 홈(34)에 외접되어 삽입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훅몸체(40)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에워싸고서 상기 제2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구멍(22)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상태에서, 상기 훅몸체(40)가 상기 제2하우징(20)에 대하여 상기 제2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관통구멍(22)의 내주면에는 반경이 감소된 축경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경부(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훅몸체(40)가 일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보빈케이스베이스(1)의 일측에 외접된 기브(50)가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훅몸체(40)와 상기 기브(50)가 서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22)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20)의 상단에는 바늘과 바늘실 루프(R)가 출입하기 위한 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훅(41)의 회전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상기 개구(24)의 부위에는, 상기 훅(41)에 걸음된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상기 바늘실 루프(R) 사이에 들어가 상기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과 공급측실(Rb)이 함께 일측(동력전달측) 또는 타측(보빈케이스베이스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훅(41)의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디바이더(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4. 제 8항에 있어서,
    바늘실 루프(R)가 보빈케이스베이스(1)에 대하여 줄넘기 운동할 때 바늘실 루프(R)를 가이드하기 위해, 훅몸체(40)의 회전방향에서 볼때 훅(41)의 기단측에 인접한 훅몸체(10)의 부위에 형성된 마찰저감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저감부(100)는 훅(41)의 기단에 바로 인접한 훅몸체(40)의 부위에서 타측(동력전달측의 반대 측)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단차부(43)와 협력하여 형성된 U자형 제1절결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훅몸체(40)는, 상기 훅몸체(40)가 회전하는 반대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단차부(42)와 마주하는 상기 훅몸체(40)의 부위에, 상기 동력전달회전부(30)의 정지 시에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퍼(45)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스톱퍼(45) 간의 간격은 상기 제1동력전달돌기 겸 푸시돌기(31)가 상기 제1단차부(42)와 상기 스톱퍼(45)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바늘실 루프(R)의 스티치측실(Ra)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KR1020200172683A 2020-12-10 2020-12-10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KR102548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83A KR102548438B1 (ko) 2020-12-10 2020-12-10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83A KR102548438B1 (ko) 2020-12-10 2020-12-10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20A KR20220082620A (ko) 2022-06-17
KR102548438B1 true KR102548438B1 (ko) 2023-06-27

Family

ID=8226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83A KR102548438B1 (ko) 2020-12-10 2020-12-10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238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43239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66B1 (ko) 2001-10-05 2010-06-0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락스티치 2바늘 재봉틀의 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98B1 (ko) * 2018-02-28 2019-11-04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66B1 (ko) 2001-10-05 2010-06-0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락스티치 2바늘 재봉틀의 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20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438B1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220128003A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용 침판
WO2008102968A1 (en)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s with under thread guard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511097B1 (ko) 회전북통
US5769018A (en) Looper threa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double chainstitch sewing machine
KR102529789B1 (ko) 회전북통
US5842431A (en) Rotating shuttle and presser plate arrangement
KR20220136665A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KR930010999B1 (ko) 자수기용 장치
KR101424287B1 (ko) 재봉틀 작동 중의 직물 공급을 위한 피이더
KR20230009554A (ko) 수직전회전가마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543238B1 (ko)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20230013839A (ko) 바늘진동저감수단을 구비한 수직전회전가마
EP0507558B1 (en) Full-rotation shuttle for sewing machine
KR20170132614A (ko) 수평전회전북통, 이 수평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967640B1 (ko)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KR20230153786A (ko) 편심타입의 수직전회전가마
KR102543239B1 (ko)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20210029945A (ko)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윗실루프 가이드수단
KR20170139409A (ko)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JP3833722B2 (ja) 扁平縫い兼用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3570764B2 (ja) ロックミシ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