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702B1 -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702B1
KR101733702B1 KR1020150139772A KR20150139772A KR101733702B1 KR 101733702 B1 KR101733702 B1 KR 101733702B1 KR 1020150139772 A KR1020150139772 A KR 1020150139772A KR 20150139772 A KR20150139772 A KR 20150139772A KR 101733702 B1 KR101733702 B1 KR 10173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se
bobbin case
cap
bobbi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595A (ko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to KR102015013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702B1/ko
Priority to PCT/KR2016/001524 priority patent/WO2016133330A1/ko
Publication of KR2017004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기존 방식과 달리 바느질 과정에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윗실의 "U"자형의 고리(loop)를 회전하는 후크(310)가 통과하여 끌어 가다가 상승하는 바늘의 실채기에 의하여 윗실이 위로 채이면, 후크(310)를 기준으로 전방 쪽 윗실(a)은 윗실걸이돌기(820)에 의해 끌려가다 실채기에 의해 캡(500)의 전방 영역을 통과하면서 밑실을 휘감아 올가미를 형성함과 동시에 후크(310)를 기준으로 후방 쪽 윗실(b)은 후크바디(300) 후방 영역을 통과하다가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의 틈새를 빠져 나오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이 "X"자형으로 교차하면서 밑실에 완벽하게 결합됨으로써 기존 방식과 달리 윗실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고 주름(puckering)이 대폭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Chain Type Lock Stitch High-speed Rotary Shuttle Device with Bobin Case Base}
본 발명은 기존 방식과 달리 바느질 과정에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윗실의 "U"자형의 고리(loop)를 회전하는 후크(310)가 통과하여 끌어 가다가 상승하는 바늘의 실채기에 의하여 윗실이 위로 채이면, 바늘에 걸려 있는 실패 쪽 윗실(a)은 윗실걸이돌기(820)에 의해 끌려가다 실채기에 의해 캡(500)의 전방 영역을 통과하면서 밑실을 휘감아 올가미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은 후크바디(300) 후방 영역을 통과하다가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의 틈새를 빠져 나오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이 "X"자형으로 교차하면서 밑실에 완벽하게 결합됨으로써 기존 방식과 달리 윗실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고 주름(puckering)이 대폭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북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지칭하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BC)는 후크바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Bobbin Case Base)(30) 및 보빈(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바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30)와 보빈케이스 보디(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잡아주므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양단에 플랜지(43)(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크바디(20) 구동시 후크바디(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보빈케이스베이스(30)가 후크바디(20)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가마잡이(70)가 저지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바디(20)의 후크(21)에 걸리어 보빈케이스베이스(30) 및 보빈(40)을 휘돌아 밑실(4)을 걸어올리는 윗실(3)이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상기 요홈(33)(정확히는 상기 요홈 내에서 가마잡이의 돌조(75)와 요홈의 측벽 사이)을 통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요홈(33)은 가마잡이의 돌조(75)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3)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33a)이 돌조의 폭(75a)에 더하여 윗실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2는 이러한 종래의 밑실공급장치(회전북장치)를 이용하는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구조 및 과정을 도시하는데, 윗실이 밑실을 걸어 락스티치(Lock Stitch)를 만드는 주요 구성요소는 도1에 도시된 후크바디(20)와 일체로 된 후크(21), 후크바디(20)와 후크(21) 상부면에 윗실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틈)이 형성되도록 부착된 윗실가이드(22), 보빈케이스베이스(30)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35)의 끝단부에 해당하는 가이드레일후크(36)가 구비된 보빈케이스베이스(30)이다.
종래의 밑실공급장치에 따른 바느질 과정을 살펴보면,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U"자형 윗실 고리(loop)를 회전하는 후크(21)가 통과하여 끌어 갈 때 후크(21)의 배면에 위치하는 윗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가이드레일후크(36)에 걸려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은 후크(21)와 함께 회전하는 윗실가이드(22)에 의하여 보빈케이스바디(50)의 전방 영역으로 유도되면서 상승하는 바늘에 의하여 실채기가 이루어질 때 바늘에 걸려 있는 실패 쪽 윗실(a)의 전방 영역을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밑실과 함께 땀(stitch)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2에는 이러한 땀 형성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티치(stitch)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벽한 매듭이 아닌 단순 교차되는 나선형 매듭이 되어 윗실과 밑실이 서로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고 바느질이 쉽게 풀릴 가능성이 높으며, 실채기를 통한 스티치 형성 과정에서 원단과 바로 연결되는 윗실(b)이 반복적으로 원단을 잡아 당기고 스티치를 형성하는 윗실이 연속적으로 나선형으로 꼬임으로써 원단에 주름(puckering)이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밑실과 윗실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고 완벽하게 고리를 형성하여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으며 주름(puckering)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나 컴퓨터자수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고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된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내측단턱(150)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바늘귀에 꿰인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턱(380)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하기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이 통과하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0);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 및,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기존 방식과는 달리 밑실과 윗실이 완벽하게 고리를 형성하고 윗실의 비틀림이 최소화됨으로써 바느질 실이 잘 풀리지 않으며 주름(puckering)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바느질 과정을 살펴보면,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윗실의 "U"자형의 고리(loop)를 회전하는 후크(310)가 통과하여 끌어 가다가 상승하는 바늘의 실채기에 의하여 윗실이 위로 채이면서, 바늘에 걸려 있는 실패 쪽 윗실(a)은 윗실걸이돌기(820)에 의해 끌려가다 실채기에 의해 캡(500)의 전방 영역을 통과하면서 밑실을 휘감아 올가미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은 후크바디(300) 후방 영역을 통과하다가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의 틈새를 빠져 나오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과 함께 "X"자 형 땀(stitch)을 형성하게 되는데, 바느질 과정에서 윗실이 "X"자형으로 교차하면서 밑실에 완벽하게 결합됨으로써 기존 방식과 달리 윗실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고 주름(puckering)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기존 방식의 경우 땀(스티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바늘에 걸려 있는 실패 쪽 윗실(a)이 밑실과 이미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 사이를 통과하지 않고 단순히 밑실을 한 바퀴 돌아나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밑실공급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스티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바늘에 걸려 있는 실패 쪽 윗실(a)이 밑실을 한 바퀴 돌아나오면서 밑실과 이미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 사이를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한 매듭을 형성하는데, 이로 인하여 윗실의 비틀림이 최소화되고 바느질을 할 경우 원단의 주름이 대폭 감소되고 견고한 바느질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밑실공급장치(회전북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과정 및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밑실공급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과정 및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후크바디(300),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캡(5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동력전달회전부(200), 후크바디(300),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동력전달회전부(2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 내용 가운데 방향을 지칭하는 '전방'과 '후방'은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방향 표시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나 컴퓨터자수기(이하 '재봉기기'라 한다.)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브라켓이나 고정볼트, 핀 등을 사용하여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을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의 조립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셋팅하게 된다. 하우징(1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재봉기기의 동력축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후크바디(300) 내부에 장착되고 후크바디(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이와 같이 후크바디(3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7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과 후크바디(3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의 조립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동력전달회전부(200)에는 도9와 같은 구성요소가 구비된다.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전면에는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에서 일정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원호홈부(220)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구비되고,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평행선홈부(230)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후면에는 후면판(780)과 제2원호홈부(781)가 구비되는데, 후면판(780)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후면 좌우 양측면이 절개되어 평행선홈부(230)의 간격과 일치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후면판(780)의 중심에서 캡장착기둥(730)이 돌출된다.
제2원호홈부(781)는 후면판(780)의 전면에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원호홈부(781)는 제1원호홈부(220)와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바디(3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700)가 가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과 후크바디(3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평행선홈부(230)와 후면판(780)의 양측 단부가 일치하고 제1원호홈부(220)와 제2원호홈부(781)가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원(circle)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의 조립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면 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일측 외주면(재봉기기의 바늘이 내려오는 부위)은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데, 하우징절개부(110)는 바늘귀에 꿰여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만든 고리(loop) 형태의 윗실이 후크(310)에 걸리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하우징절개부(110)에서 회전하는 후크바디(300)에 구비된 후크(310)가 바늘귀에 꿰여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만든 고리 형태의 윗실을 통과하면서 윗실과 맞물린 후 윗실을 끌고 회전하게 된다.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가 구비되는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삽입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더라도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면서 윗실이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한다. 즉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면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일측면이 맞닿게 되며, 윗실은 후크(310)에 끌려가면서 이렇게 맞닿은 접촉면 사이를 빠져나오기 위해 보빈케이스베이스(700)를 후크바디(300) 회전방향 반대로 살짝 밀면서 틈을 내게 된다.
하우징절개부(110)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함께 후크바디(300)에 구비된 후크(3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되는데, 하우징윗실가이드(140)는 후크(310)에 걸린 윗실을 일정 시점까지 후크(310) 후방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회전부(200)는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동력전달회전부(200)는 하우징(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후크바디(3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가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전달회전부(200)가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후크바디(3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윗실은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빠져나오게 되는 바,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원반 전면과 후크바디(300)의 후면 사이에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윗실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후크바디(300)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후크바디(300)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에 의하여 하우징(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한다.
후크바디(300)의 일측 외주면에는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된다.
후크바디(300)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된 후크(310)에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후크가이드레일(311)이 구비되는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은 후크(310)의 단부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어 바느질 된 원단 쪽 윗실(b)이 후크(310) 후방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하우징윗실가이드(140)와 후크가이드레일(311) 사이에 윗실(b)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는 제1단턱(380)과 제2단턱(385)이 구비되는데, 제1단턱(380)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밀착되도록 장착되고,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 내주면에 구비된 제2단턱(385)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가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턱(380)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는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밑실의 회전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바디(30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100)과 함께 처음 설치된 상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의 내측에는 일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밑실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가이드홈(715)이 구비되는데,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한 밑실이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어 윗실과 스티치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과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 사이에 하강하는 바늘이 수용되는 바늘수용홈(760)이 절개되어 있다.
또한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에는 밑실장력조절편(560)이 부착되는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정 영역을 수용하는 캡바디수용절개부(7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캡바디(510)의 외경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내경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고,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장착되는 보빈(400)의 직경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은 도4, 도6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에 의하여 후크바디(300)에 서 이탈되지 않고 후크바디(300)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은 원형 링 형태의 이탈방지링몸체(830)와 장착플랜지(840)로 이루어진다.
이탈방지링몸체(830)는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장착플랜지(840)는 이탈방지링몸체(830)의 전방 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단턱(385)에 결합된다.
이러한 장착플랜지(840)는 일정 영역이 잘려나가면서 윗실가이드홈(810)을 형성하고, 윗실가이드홈(810)이 끝나는 장착플랜지(840)의 일측 단부에는 후크(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돌출되는 윗실걸이돌기(8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윗실걸이돌기(820)은 후크(310)에 걸린 윗실을 후크(310)의 전방 영역을 따라 일정 시점까지 끌어가는 역할을 하고, 윗실가이드홈(810)은 윗실걸이돌기(820)에 의하여 일정 시점까지 끌려간 윗실이 스티치(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윗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보빈(400)은 도4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밑실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캡(500)은 캡기둥(515)에 보빈(40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빈(400)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캡(5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510), 이탈방지편(520), 스프링(530), 캡탈착레버(540), 밑실장력조절편(560)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캡(500) 구조와 거의 동일한데, 그 구조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캡바디(510)에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된다.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다.
이탈방지편(520)은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7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캡바디(510)의 전면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5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캡장착기둥(7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7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7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구비된다.
즉,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400)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이탈되지 않는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731)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731)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빈걸이(522)는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되고 캡바디(510)를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서 분리하면 캡바디(510)와 함께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삽입된 보빈(400)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교체된 보빈(400)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새롭게 장착할 경우에도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에 보빈(400)의 중심축을 결합시킨 후 캡탈착레버(540)를 회동시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하면 보빈(400)이 캡바디(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동시에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캡장착기둥(730)에 삽입한 후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테두리에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가 맞물리게 된다.
아울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전단부 일측에는 이탈방지편(520)의 보빈걸이(522)를 수용하는 보빈걸이수용홈(720)이 구비되어 캡(500)의 회전을 방지한다.
스프링(530)은 캡바디(510)의 가이드홈부(514) 내부에 설치되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한다.
캡탈착레버(540)는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7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줌과 동시에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한다.
밑실장력조절편(560)은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어 밑실에 적절한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밑실장력조절편(560)의 일측 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561) 및 제2가이드돌기(562)가 형성되어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은 도7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된다.
캡바디(510)에는 캡바디(510)의 외주면과 전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가 구비된다.
즉 윗실의 고리 형태가 캡바디(510)와 저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리가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후크(310)가 고리 형상의 중심을 쉽게 통과하게 되어 스티치(땀)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하우징
110:하우징절개부
120: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
130:하우징장착브라켓
140:하우징윗실가이드
150:하우징내측단턱
200:동력전달회전부
210:동력전달돌기부
220:제1원호홈부
230:평행선홈부
300:후크바디
310:후크
311:후크가이드레일
320:동력전달돌기수용부
340:후크바디가이드레일
380:제1단턱
385:제2단턱
400:보빈
500:캡
510:캡바디
511:캡장착기둥통과공
512:밑실배출절개홈
513:캡바디절개부
514:가이드홈부
515:캡기둥
520:이탈방지편
521:잠금공
522:보빈걸이
530:스프링
540:캡탈착레버
541:캡장착기둥단부수용공
560:밑실장력조절편
561:제1가이드돌기
562:제2가이드돌기
563:탄성조절볼트
600:후크바디이탈방지링
700:보빈케이스베이스
710: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
715:밑실가이드홈
720:보빈걸이수용홈
730:캡장착기둥
731:잠금홈부
750:캡바디수용절개부
760:바늘수용홈
770: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
780:후면판
781:제2원호홈부
800: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
810:윗실가이드홈
820:윗실걸이돌기
830:이탈방지링몸체
840:장착플랜지

Claims (8)

  1. 재봉기기나 컴퓨터자수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고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된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내측단턱(150)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나 컴퓨터자수기의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바늘귀에 꿰인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턱(380)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하기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이 통과하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0);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 및,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은,
    상기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이탈방지링몸체(830);
    상기 이탈방지링몸체(830)의 전방 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단턱(385)에 결합되는 장착플랜지(840);
    상기 장착플랜지(840)의 일정 영역이 잘려나가면서 형성된 윗실가이드홈(810); 및,
    상기 윗실가이드홈(810)이 끝나는 상기 장착플랜지(84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후크(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돌출되는 윗실걸이돌기(820);
    가 더 포함되어,
    상기 윗실걸이돌기(820)는 상기 후크(3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후크(310)에 걸린 윗실을 상기 후크(310)의 전방 영역을 따라 일정 시점까지 끌어가고, 상기 윗실가이드홈(810)은 상기 윗실걸이돌기(820)에 의하여 일정 시점까지 끌려간 윗실이 스티치(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윗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의 내측이 일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밑실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가이드홈(715); 및,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과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 사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된 것으로서 하강하는 바늘이 수용되는 바늘수용홈(76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
  4. 제1항에서,
    상기 캡(500)은,
    상기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상기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을 관통하여 상기 갭바디(5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캡장착기둥(7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7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7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731)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캡탈착레버(5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내측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상기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고,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 및 제2가이드돌기(562)가 상기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
    이 더 구비되고, 밑실이 상기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내측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과 전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바늘귀에 꿰인 윗실이 고리를 형성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상기 밑실장력조절편(560)이 부착된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정 영역을 수용하기 위하여 절개된 캡바디수용절개부(750); 및,
    전단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보빈걸이(522)가 통과하도록 절개된 보빈걸이수용홈(72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전면에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에서 일정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원호홈부(220); 및,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평행선홈부(230);
    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후면에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후면 좌우 양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평행선홈부(230)의 간격과 일치하는 폭으로 형성된 후면판(780); 및,
    상기 후면판(780)의 전면에 상기 제1원호홈부(220)와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원호홈부(781);
    가 더 구비되어,
    상기 평행선홈부(230)와 상기 후면판(780)의 양측 단부가 일치하고 상기 제1원호홈부(220)와 상기 제2원호홈부(781)가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하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중심축과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20150139772A 2015-02-16 2015-10-05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73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72A KR101733702B1 (ko) 2015-10-05 2015-10-05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PCT/KR2016/001524 WO2016133330A1 (ko) 2015-02-16 2016-02-16 홀치기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72A KR101733702B1 (ko) 2015-10-05 2015-10-05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95A KR20170040595A (ko) 2017-04-13
KR101733702B1 true KR101733702B1 (ko) 2017-05-08

Family

ID=585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772A KR101733702B1 (ko) 2015-02-16 2015-10-05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483B1 (ko) 2017-06-14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95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828483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13952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US2866425A (en) Lockstitch sewing machines
DE1281822B (de) Doppelsteppstich-Naehmaschine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US3194197A (en) Chain sitch device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JP2000093671A (ja) 偏平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JP3872487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US3063392A (en) Stitch-forming mechanism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484936B1 (ko)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US5269240A (en) Overcast sewing machine for forming a multiple-thread overcast seam
US2892428A (en) Loop-takers for sewing machines
KR102511097B1 (ko) 회전북통
US4777892A (en) Thread chain sewing method and device for two-needle overlock sewing machine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KR102543238B1 (ko)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29789B1 (ko) 회전북통
KR102543239B1 (ko)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