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36B1 -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36B1
KR101484936B1 KR20140000825A KR20140000825A KR101484936B1 KR 101484936 B1 KR101484936 B1 KR 101484936B1 KR 20140000825 A KR20140000825 A KR 20140000825A KR 20140000825 A KR20140000825 A KR 20140000825A KR 101484936 B1 KR101484936 B1 KR 10148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ewing machine
thread
hole
hook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면희
김태선
이효형
Original Assignee
(주)신진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스틸 filed Critical (주)신진스틸
Priority to KR2014000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재봉틀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있어서 윗실의 루프 형성을 촉진하고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하여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결합공(111)과 돌기결합공(112)을 통공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상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잡이부(120)와, 상기 상부잡이부(12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늘승강공(131)을 통공한 돌출편(130)이 일체로써 성형되는 상부고정구(100)와 ; 결합공(211)을 통공하고 상부에 결합돌기(212)를 돌설 형성한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하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잡이부(220)와, 상기 하부잡이부(220)의 중앙부에 볼트결합되는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고정구(200)와; 상기 상부고정구(100)와 상기 하부고정구(200)를 재봉틀 하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의하면,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재봉틀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있어서 기존의 보빈홈잡이가 보빈홈을 고정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는 하우징 외부(종전 겉가마에 해당)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안정된 재봉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윗실의 루프 형성을 촉진하고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Fixing tool of hookset on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재봉틀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있어서 윗실의 루프 형성을 촉진하고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하여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공업용 봉재에 있어서 재봉틀 박음질은 대부분 Lockstitch 원리의 박음질 방법을 사용한다. Lockstitch 원리의 박음질 방법이란 윗실과 밑실의 두 줄 실을 천의 중간에서 엮여 풀리지 않게 하는 재봉 방법이다. 즉, 재봉틀 상부의 몸체부분에서 바늘에 의해 윗실을 공급하고 재봉틀 하부로부터 밑실을 공급하여 두 실이 침판위에 놓인 천의 중간에서 역이며 땀을 형성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작업인 것으로 이때 재봉틀 하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밑실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 회전북장치이다.
종래의 재봉틀 회전북장치(200)는,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마(210)와; 상기 가마(210)에 수납되는 보빈홈(220)과; 상기 보빈홈(220)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빈커버(220')와; 상기 보빈홈(220) 내부 바닥 중앙부에 돌출형성 된 스터드(221)에 회전가능하게 안치되는 보빈(2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재봉틀 하부의 동력장치(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240)에 장착된다. 재봉틀 회전북장치(200)의 가마(210)가 구동되면,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빈홈(220)은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에 의해 따라도는 것이 저지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윗실 한가닥은 가마(210)의 가마촉(211)에 걸리어 내부에 보빈(230)을 수용한 보빈홈일체(220)(220')를 휘돌아 밑실을 걸고 상기 요홈(222), 정확히는 상기 요홈(222) 내에서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와 요홈(222)의 측벽 사이로 빠져나가 봉제물인 천에 땀을 형성하여 박음질이 된다.(이상의 식별번호는 첨부된 도1, 도2에 한함).
따라서 종래의 회전북장치는, 보빈에 권취된 밑실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서 재봉작업중 밑실이 소진되면 밑실 교체 작업으로 인해 재봉 작업의 중단이 발생되는 등 재봉효율에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본 출원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신개념의 밑실공급장치(특허출원제제10-2012-130589호, 2012.11.16일자 출원, 재봉틀 밑실공급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신개념의 밑실공급장치를 기존 재봉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특허제10-1164395호, 2012.7.3일자 등록, 셔틀케이스 고정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종래 회전북장치는 밑실을 공급하는 속가마가 따라도는 것을 저지하여 겉가마 자체가 회전하며 가마촉이 윗실 루프를 채고 돌아 밑실과 윗실을 엮어주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신개념의 밑실공급장치는 하우징(종래 겉가마에 해당)이 고정장치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바디훅(종래 속가마에 해당) 자체가 윗실 루프를 통과하며 밑실을 공급하면 루프 상태의 윗실이 밑실을 걸고 올라가며 밑실과 윗실을 엮어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회전북장치의 가마잡이는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어 가마잡이 돌조를 속가마의 돌조홈에 결합시켜 속가마가 따라도는 것을 저지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신개념의 밑실공급장치의 고정장치(종래 가마잡이에 해당)는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어 상부고정편과 하부고정편 사이에 밑실공급장치 외부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재봉 작업시 밑실공급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신개념의 밑실공급장치의 고정장치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편지지부; 상기 고정편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호형으로 갈라져 상부에 끼움공이 형성된 상부고정편; 상기 고정편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부고정편과는 다른 일측면으로 갈라지며 구부러진 ㄴ형상의 하부고정편; 상기 상부 고정편에 체결되는 고정쇠; 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편과 하부고정편 사이에 밑실공급장치 외부를 감싸 고정하고, 상기 하부고정편의 끝단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밑실공급장치를 잡아주도록 되어 있다(상기 특허제10-1164395호, 2012.7.3일자 등록, 셔틀케이스 고정장치 참조).
상기의 고정장치는 밑실공급장치 외부를 감싸 고정하므로 재봉 작업이 일단락 된 후 연속적으로 재박음질을 하기 위해서는 손칼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윗실 한가닥과 밑실을 사절해 준 다음 다시 봉제물을 재박음질 위치에 놓고 박음질을 하여야 하므로 재박음질을 위해 누수되는 시간적 손실이 매우 커서 재봉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어 왔고, 또한 박음질시 바디훅이 통과하게 되는 루프의 형상이 매우 작아서 바디훅이 통과할 때 실패하는 경우가 있어 비봉에 의한 재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재봉틀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있어서 윗실의 루프 형성을 촉진하고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하여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결합공(111)과 돌기결합공(112)을 통공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상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잡이부(120)와, 상기 상부잡이부(12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늘승강공(131)을 통공한 돌출편(130)이 일체로써 성형되는 상부고정구(100)와 ;
결합공(211)을 통공하고 상부에 결합돌기(212)를 돌설 형성한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하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잡이부(220)와, 상기 하부잡이부(220)의 중앙부에 볼트결합되는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고정구(200)와;
상기 상부고정구(100)와 상기 하부고정구(200)를 재봉틀 하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의하면,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재봉틀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있어서 기존의 보빈홈잡이가 보빈홈을 고정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는 하우징 외부(종전 겉가마에 해당)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안정된 재봉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윗실의 루프형성을 촉진하고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가마촉이 윗실을 채고 보빈홈결합체를 휘돌아 밑실을 걸고 보빈홈의 요홈을 빠져나와 천에 땀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상부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하부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6은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의 윗실 분리 기능과 큰칼(400)과 작은칼(500)의 사절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큰칼의 사시도이다.
도8은 작은칼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는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부호)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3은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상부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하부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결합공(111)과 돌기결합공(112)을 통공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상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잡이부(120)와, 상기 상부잡이부(12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늘승강공(131)을 통공한 돌출편(130)이 일체로써 성형되는 상부고정구(100)와 ;
결합공(211)을 통공하고 상부에 결합돌기(212)를 돌설 형성한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하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잡이부(220)와, 상기 하부잡이부(220)의 중앙부에 볼트결합되는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고정구(200)와;
상기 상부고정구(100)와 상기 하부고정구(200)를 재봉틀 하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훅세트 상부의 외부를 감싸 재봉틀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구(100)와; 훅세트 하부의 외부를 감싸 재봉틀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구(200)와; 상기 상부고정구(100)와 상기 하부고정구(200)를 재봉틀 하부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정구(100)는, 일단의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상부잡이부(120)가 일체로써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구(100) 일단의 결합부(110)는 장방형의 철판재로 형성되되 중앙영역에는 결합공(111)과 돌기결합공(112)을 통공한다.
상기 돌기결합공(112)에는 하부고정구(200)의 결합돌기(212)가 삽입되어 상,하부고정구(100)(200)가 결합되었을 때 좌우 유격 발생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상향하여 훅세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잡이부(120)가 일체로써 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부잡이부(120)는 내부에 원형의 훅세트 상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호형 또는 둔각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잡이부(120)의 중앙부에는 바늘승강공(131)을 통공한 돌출편(130)이 외측에 일체로써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잡이부(120)는 상기 결합부(110) 일단의 일측부로부터 사각으로 외향하여 연장형성된 후 다시 내측으로 휘어지며 돌출편(130)의 바늘승강홈(131)이 훅세트의 바늘승강홈(미도시)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늘승강공(131)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바디훅이 루프를 통과하면서 루프가 벌어질 때 윗실 한가닥이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일측에 일정크기의 윗실격리부(132)가 불거진 장화형상으로 통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늘승강공(131)의 크기는 윗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저항 없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족하다.
본 발명자는 오랜동안의 여러가지 시행착오 끝에 상기 바늘승강공(131)의 크기는 윗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승강작용할 수 있는 필요최소한의 크기에 가까울수록 루프의 형성이 촉진되어 더 큰 루프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바늘승강공(131)은 하부 일측에 일정크기의 윗실격리부(132)가 불거진 장화형상으로 통공하되 가로하변 3㎜, 대피공높이 2㎜, 세로 4.5㎜, 가로상변 2㎜의 장화형상으로 통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구(200)는, 일단의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판스프링(230)을 결합한 하부잡이부(220)가 일체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구(200) 일단의 결합부(210)는 장방형의 철판재로 형성되되 중앙영역에는 결합공(211)을 통공하고 상부 일측에 결합돌기(212)를 돌설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212)는 상부고정구(100)의 돌기결합공(112)에 삽입되어 상,하부고정구(100)(200)가 결합되었을 때 좌우 유격 발생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결합부(210)의 일단으로부터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호형으로 하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잡이부(220)가 일체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부잡이부(220)의 중앙영역에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정폭을 절개하여 스프링지지바(221)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바(221)의 중앙부에는 스프링고정공(222)이 통공되어 U형상의 판스프링(230)이 스프링지지바(221)를 감싸고 내측 방향을 향해 결합된다.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상부고정구(100)의 결합부(110)와 하부고정구(200)의 결합부(210)를 일치시키고, 훅세트 상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부고정구(100)의 돌기결합공(112)에 훅세트 하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하부고정구(200)의 결합돌기(212)를 삽입하고,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0)과 하부고정구(200)의 결합공(210)을 통해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체결된다.
기존의 보빈홈잡이가 보빈홈을 고정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는 하우징 외부(종전 겉가마에 해당)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안정된 재봉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6은 연속적인 재박음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의 윗실 분리 기능과 큰칼(400)과 작은칼(500)의 사절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1) 상부에는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작은칼(500)의 고정공(511)이 겹쳐져 볼트고정 되고,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는 큰칼고정구(430)에는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큰칼(400)이 고정된다.
상기 큰칼고정구(4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절손잡이(431)는 재봉틀의 몸체 외부로 돌출된다(미도시).
도7은 큰칼(400)의 설명도이고 도8은 작은칼(500)의 설명도이다.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큰칼(400)은 훅세트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의 아치 형상의 장방형 철판으로 형성되되 일측 변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공(410)이 통공되고 타측 변 전방 상부영역에는 윗실유도부(420)가 돌설 형성되되 상기 윗실유도부(420)의 상단은 게발 형상의 갈쿠리부(421)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둔부형상의 절단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갈쿠리부(421)와 상기 절단부(422)를 잇는 골(423)이 형성되어 연결된다.
상기 큰칼(400)은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는 큰칼고정구(430)에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작은칼(500)은 고정공(511)과 돌기결합공(512)을 통공한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 일단의 일측부에서 호형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20)의 끝단에는 칼날(521)이 형성된다.
상기 작은칼(500)은 상기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1) 상부에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작은칼(500)의 고정공(511)이 겹쳐져 볼트고정 된다.
상기 사절손잡이(431)를 작동하면 큰칼고정구(430)가 축회전 하여 큰칼(400)이 작은칼(500) 있는 쪽으로 회전이동 하고, 이때 상기 큰칼(400)의 갈쿠리부(421)는 윗실 한가닥과 밑실을 밀면서 작은칼(500)의 칼날(521)까지 이동하여 큰칼(400)의 절단부(422)가 작은칼(500)의 칼날(521)에 닿아 사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의 상부고정구(100)의 결합부(110)와 하부고정구(200)의 결합부(210)를 일치시켜, 훅세트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부고정구(100)의 돌기결합공(112)에 훅세트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하부고정구(200)의 결합돌기(212)를 삽입하고,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0)과 하부고정구(200)의 결합공(210)을 통해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체결하여 훅세트를 내부에 감싸도록 본 발명인 훅세트 고정구를 고정한다.
이때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는 큰칼고정구(430)에는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큰칼(400)이 고정되고, 상기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1) 상부에는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작은칼(500)의 고정공(511)이 겹쳐져 볼트고정 된다.
상기 큰칼고정구(4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절손잡이(431)는 재봉틀의 몸체 외부로 돌출된다(미도시).
봉제물을 침판 위에 올려놓고 노루발을 내린 후 재봉틀을 구동하여 박음질을 하게되면, 바늘이 윗실을 꿰고 최저점까지 내려왔다가 올라가는 순간 윗실은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구(100) 돌출편(130)의 바늘승강공(131) 내벽이 바늘승강공(131)을 승강하는 윗실에 인위적으로 병목현상을 조성하여 줌으로써 종래 침판의 하부영역에서 형성되던 루프가 상기 바늘승강공(131) 하부영역으로 하향이동되어 바디훅의 촉방향으로 부풀어 종전보다 더 큰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바디훅이 상기 루프를 통과하며 밑실을 공급하면 루프인 윗실이 밑실을 걸고 엮으며 위로 빠져나가 봉제물에 땀을 형성하여 박음질이 된다.
박음질이 종료된 후 재박음질을 위해서 사절손잡이(431)를 작동하여 큰칼(400)을 작은칼(500) 있는 쪽으로 회전이동시켜 큰칼(400)의 절단부(422)와 작은칼(500)의 칼날(521)이 만나는 지점에서 실을 사절하고 바로 재박음질 세팅하여 다시 박음질을 하게 된다.
이때 윗실은 땀을 형성하기 전까지 루프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윗실은 침판 아래에서는 두 가닥으로 늘어져 있고 밑실은 천에 이어져 있는 상태에서 사절되게 된다.
연속적인 재박음질을 위해서는 사절한 후에도 바늘에 실이 꿰어져 있어야 하므로 사절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는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윗실의 두 가닥 중 한 가닥은 칼날에서 떨어져 격리시켜야 한다.
또한 밑실은 재박음질을 위해서는 사절을 하더라도 필요 최소한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어야 윗실이 걸고 올라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훅이 루프를 통과하며 루프를 형성하고 있던 윗실을 바디훅 양쪽으로 벌려주어 한가닥을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의 윗실격리부(132)에 위치시켜 대피시키게 된다.
이때 큰칼(400)이 회전 이동하면서 큰칼(400)의 경사변(424)에 의해 상기 윗실격리부(132)에 위치하고 있던 윗실 한가닥을 위치이동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가닥은 밑실과 함께 갈쿠리부(421)가 걸고 일정거리 이동한 후 큰칼(400)의 절단부(422)가 작은칼(500)의 칼날(521)과 만나 사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갈쿠리부(421)가 걸고 일정거리 이동하는 윗실 다른 한가닥과 밑실은 골(423)을 따라 이동하므로 큰칼(400)의 절단부(422)가 작은칼(500)의 칼날(521)과 만나 사절이 행해질때까지는 안전하게 보호되며 이동된다.
재박음질을 위해서는 윗실 다른 한가닥은 바늘에 꿰어져 있어야 하고 밑실은 재박음질에 필요한 일정길이의 잔사가 있어야 하는데 시행착오를 거쳐 잔사의 길이는 2센티이상 확보될 때 재박음질이 무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밑실을 윗실이 걸고 나와 천에 땀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길이가 된다.
따라서 큰칼(400)이 밑실과 윗실 한가닥을 걸고 이동하는 길이는 적어도 1센티는 되어야 왕복 잔사의 길이가 2센티가 유지되므로 큰칼(400) 절단부(422)의 선단부와 작은칼(500) 칼날(521)의 선단부의 거리는 적어도 1센티 이상 이격되도록 큰칼(400)과 작은칼(500)을 고정하여야 한다.
사절후 큰칼(400)이 원위치 되면 남은 한가닥은 자연스럽게 바늘구멍위치로 원위치 되어 재박음질 가능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에 의하면, 밑실을 수용하고 있는 밑실수용부 자체가 밑실을 공급하면서 윗실 루프를 통과함으로써 밑실과 윗실을 엮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봉재물에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훅세트를 고정하기 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에 윗실의 루프 형성을 촉진하고 연속적인 재박음질이 용이하도록 자동사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윗실 분리 기능을 구비한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가 제공되어 재박음질을 위한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재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비록 본 발명인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1)에 대하여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해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출원시점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언제나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1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100 상부고정구 110 결합부 111 결합공 112 돌기결합공 120 상부잡이부 130 돌출편 131 바늘승강공 132 윗실격리부
200 하부고정구 210 결합부 211 결합공 212 결합돌기 220 하부잡이부 221 스프링지지바 222 스프링고정공 230 판스프링 240 구동축
300 체결볼트
400 큰칼 410 고정공 420 윗실유도부 421 갈쿠리부 422 절단부 423 골 424 경사변 430 큰칼고정구 431 사절손잡이
500 작은칼 510 결합부 511 고정공 512 돌기결합공 520 연장부 521 칼날

Claims (7)

  1. 결합공(111)과 돌기결합공(112)을 통공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상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잡이부(120)와, 상기 상부잡이부(12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늘승강공(131)을 통공한 돌출편(130)이 일체로써 성형되는 상부고정구(100)와 ;
    결합공(211)을 통공하고 상부에 결합돌기(212)를 돌설 형성한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하향 연장되어 훅세트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잡이부(220)와, 상기 하부잡이부(220)의 중앙부에 볼트결합되는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고정구(200)와;
    상기 상부고정구(100)와 상기 하부고정구(200)를 재봉틀 하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에 의해 재봉틀 하부에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승강공(131)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바디훅이 루프를 통과하면서 루프가 벌어질 때 윗실 한가닥이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일정크기의 윗실격리부(132)가 불거진 장화형상으로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격리부(132)는 가로하변 3㎜, 대피공높이 2㎜, 세로 4.5㎜, 가로상변 2㎜의 장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구(100)의 결합공(111) 상부에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작은칼(500)의 고정공(511)이 겹쳐져 볼트고정 되어, 재봉틀의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사절손잡이(4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재봉틀 하부에 장착되는 큰칼고정구(430)에 바늘이 있는 쪽으로 날이 향하도록 고정된 큰칼(400)이 상기 사절손잡이(4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큰칼(400)의 갈쿠리부(421)가 윗실 한가닥과 밑실을 밀면서 상기 작은칼(500)의 칼날(521)까지 회전이동 하여 큰칼(400)의 절단부(422)가 작은칼(500)의 칼날(521)에 닿아 사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큰칼(400)은, 훅세트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의 아치 형상의 장방형 철판으로 일체로써 형성되되 일측 변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공(410)이 통공되고 타측 변 전방 상부영역에는 윗실유도부(420)가 돌설 형성되되 상기 윗실유도부(420)의 상단은 게발 형상의 갈쿠리부(421)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둔부형상의 절단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갈쿠리부(421)와 상기 절단부(422)를 잇는 골(423)이 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칼(500)은, 고정공(511)과 돌기결합공(512)을 통공한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 일단의 일측부에서 상향하여 호형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20)가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20)의 끝단에는 칼날(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큰칼(400)과 작은칼(500)은, 큰칼(400) 절단부(422)의 선단부와 작은칼(500) 칼날(521)의 선단부의 거리는 적어도 1센티 이상 이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KR20140000825A 2014-01-03 2014-01-03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KR10148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825A KR101484936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825A KR101484936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936B1 true KR101484936B1 (ko) 2015-01-22

Family

ID=5259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825A KR101484936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40B1 (ko) 2018-02-20 2019-04-10 (주)신진스틸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783A (ko) * 2007-05-18 2008-11-21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이러한 재봉기용 훅크 및 이러한 훅크용 보호 요소
KR101164395B1 (ko) 2012-04-25 2012-07-09 정종철 셔틀케이스 고정장치
KR101180154B1 (ko) 2012-02-03 2012-09-05 정종철 장시간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KR20130000106A (ko) * 2011-06-22 2013-01-02 오영곤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783A (ko) * 2007-05-18 2008-11-21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이러한 재봉기용 훅크 및 이러한 훅크용 보호 요소
KR20130000106A (ko) * 2011-06-22 2013-01-02 오영곤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KR101180154B1 (ko) 2012-02-03 2012-09-05 정종철 장시간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KR101164395B1 (ko) 2012-04-25 2012-07-09 정종철 셔틀케이스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40B1 (ko) 2018-02-20 2019-04-10 (주)신진스틸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2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20080045071A (ko) 재봉기
KR101828483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JP2017046758A (ja) ミシン
JP3186538U (ja) ミシン用の糸引きブレード、糸切断アセンブリ、及びこの種の糸引きブレードを備えたミシン
US3875878A (en) Apparatus for crocheting a brim on cap
KR101484936B1 (ko)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JP2009066191A (ja) 縫目ほつ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3173390A (en) Chain stitch device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JP4686322B2 (ja) 自動綴じ結び機
KR101276273B1 (ko)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US3898699A (en) Cap having knitted crown and crocheted bri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RU2345184C2 (ru) Гибкая стачечн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го режи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голов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шпулечным зарядчиком
US6325007B1 (en) Thread guide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JP3193920U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用グリッパ
JP2687950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方法及びそのミシン
CN217459832U (zh) 一种缝纫机的剪线动刀压线装置
JP2797740B2 (ja) ミシンの糸切断装置
US1793866A (en) Thread-loop-cutting device
KR102511097B1 (ko) 회전북통
TW200916625A (en) Thread control device of chain stitch sewing machine
JP2007029151A (ja) 環縫いミシン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JP2007029153A (ja) 環縫いミシンの目飛ばし装置
CN101922088B (zh) 环缝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