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18B1 -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018B1
KR101626018B1 KR1020150023074A KR20150023074A KR101626018B1 KR 101626018 B1 KR101626018 B1 KR 101626018B1 KR 1020150023074 A KR1020150023074 A KR 1020150023074A KR 20150023074 A KR20150023074 A KR 20150023074A KR 101626018 B1 KR101626018 B1 KR 10162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se
bobbin case
cap
bobb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Priority to KR102015002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018B1/ko
Priority to PCT/KR2016/001524 priority patent/WO201613333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2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operated by cams or linkag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고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된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하기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캡장착기둥(730)이 통과하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0);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 및,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Lock Stitch Type High-speed Rotary Shuttle Device with Bobin Case Base}
본 발명은 기존 방식과 달리 바느질 과정에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윗실의 "U"자형의 고리(rope)를 후크(310)가 통과하여 걸고 갈 때 후크(310) 배면 전방 쪽 윗실(a)은 일정 시점부터 윗실걸이기둥(820)에 의해 끌려가다 윗실가이드홈(810)에 의해 유도되는 중 실채기에 의해 윗실이 채이면서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캡(500)을 휘돌아 밑실을 걸고 나오고, 동시에 후크(310) 배면 후방 쪽 윗실(b)은 후크바디(300) 후단면을 휘돌아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의 접점을 통과하여 나오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느질 과정에서 "X"자형 윗실의 교차가 밑실에 완벽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기존 방식과 달리 윗실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고 퍼커링(puckering, 주름)이 대폭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북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BC)는 후크바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 및 보빈(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와 보빈케이스 보디(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보빈케이스 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잡아주므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양단에 플랜지(43)(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크바디(20) 구동시 후크바디(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후크바디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가마잡이(70)가 저지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바디(20)의 후크(21)에 걸리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 및 보빈(40)을 휘돌아 밑실(4)을 걸어올리는 윗실(3)이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상기 요홈(33)(정확히는 상기 요홈 내에서 가마잡이의 돌조(75)와 요홈의 측벽 사이)을 통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요홈(33)은 가마잡이의 돌조(75)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3)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33a)이 돌조의 폭(75a)에 더하여 윗실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2는 종래의 밑실공급장치(회전북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에 의한 스티치(땀) 형성구조를 도시한다. 윗실이 밑실을 걸어 락스티치(Lock Stitch)를 만드는 주요 구성요소는 후크바디(20)와 일체로 된 후크(21), 후크바디(20)와 후크(21) 상부면에 윗실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틈)을 구비한 상태로 부착된 윗실가이드(도2의 후크(21) 경사부 후단에서 후크(21)의 첨단부와 같은 방향으로 작게 돌출된 부위), 가이드레일후크(보빈케이스베이스(30)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의 끝단부)가 구비된 보빈케이스베이스(30) 결합 방식의 바느질 과정에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U"자형 윗실 고리(rope)를 후크(21)가 통과하여 걸고 갈 때 후크 배면 쪽 윗실은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가이드레일후크에 걸려 가이드레일후크 중심 앞쪽 윗실(a)은 회전하지 못하고 흐름만 유지하며, 가이드레일후크 중심 뒤쪽 윗실(b)은 보빈케이스베이스(30) 후단 경사면을 따라 마찰되면서 후크바디(20) 후단면을 휘감아 돌아나오는 동시에, 후크(21) 배면을 타고 후방 쪽으로 흐르던 윗실(b)은 윗실가이드에 의해 보빈케이스베이스(30)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후크 중심 앞쪽에 걸린 윗실과 보빈케이스베이스밑실가이드홈(33)에 의해 유도되는 밑실을 휘감아 돌아나오다 일정 시점부터 실채기에 의해 윗실이 채여 나오면서 밑실과 함께 "X"형 한 땀(stitch)이 완성된다.
다시 살펴보면, 윗실가이드 전방 쪽 윗실(b)이 가이드레일후크에 걸린 윗실(a)을 안고 보빈케이스베이스(30) 및 보빈케이스바디(50)과 밑실을 휘돌아 나오기 때문에 "X"의 매듭 형태를 띠지만 완벽한 매듭이 아닌 단순 교차형 매듭이 되며, 한 쪽의 윗실(a)은 고정되고 한 쪽 윗실(b)은 그 고정된 윗실(a)을 휘돌아 나오기 때문에 윗실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바느질이 완료된 후 천을 제거할 경우 실의 상태를 보면 윗실과 밑실이 단순 교차한 구조가 되어 바느질이 쉽게 풀릴 수 있고, 윗실과 밑실이 서로 견고히 잡아주지 못함과 더불어 비틀린 윗실로 인해 주름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밑실과 윗실이 비틀림 없이 완벽하게 고리를 형성하여 바느질이 잘 풀리지 않으며 퍼커링(주름)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고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된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하기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캡장착기둥(730)이 통과하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0);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 및,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밑실과 윗실이 완벽하게 고리를 형성하고 윗실의 비틀림도 없어 바느질 실이 잘 풀리지 않으며 퍼커링(주름)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밑실공급장치(회전북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밑실공급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후크바디(300),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캡(5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동력전달회전부(200), 후크바디(300),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및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밑실공급장치를 이용한 바느질 방식의 스티치(땀) 형성 구조를 도시한다. 윗실이 밑실을 걸어 도3에 도시된 구조의 락스티치(Lock Stitch)를 만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는 도4에 도시된 후크바디(300), 후크바디에 구비된 후크(310), 후크바디(300)에 결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의 윗실가이드홈(810), 위실걸이기둥(820) 등이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존 방식과 달리 바느질 과정에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가면서 만든 윗실의 "U"자형의 고리(rope)를 후크(310)가 통과하여 걸고 갈 때 후크(310) 배면 전방 쪽 윗실(a)은 일정 시점부터 윗실걸이기둥(820)에 의해 끌려가다 윗실가이드홈(810)에 의해 유도되는 중 실채기에 의해 윗실(a)이 채이면서 보빈케이스베이스(700)와 캡(500)을 휘돌아 밑실을 걸고 나오고, 동시에 후크(310) 배면 후방 쪽 윗실(b)은 자연스럽게 후크바디(300)의 후단으로 흐르다가 후크바디(300) 후단면을 휘돌아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의 접점을 통과하여 나오면서 밑실과 함께 "X"형 한 땀(stitch)이 완성된다.
도2에 도시된 기존 방식이 윗실 한쪽(a)이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가이드레일후크에 걸려 실의 흐름은 유지하되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또 다른 한쪽 윗실(b)이 그 윗실(a)과 밑실을 안고 휘돌아 나오기 때문에 윗실(b)이 비틀림이 생기나, 본 발명의 밑실공급장치는 후크(310)가 걸어 끌고 가는 윗실(a)이 밑실과 이미 바느질 된 소재(천 등) 쪽 윗실(b) 사이를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한 매듭을 만들어 완벽한 땀을 형성하고 윗실의 비틀림이 없기 때문에 바느질 상태가 주름이 대폭 감소되고 튼튼하게 된다.
하우징(1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브라켓이나 고정볼트, 핀 등을 사용하여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을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130)의 조립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정확하게 셋팅하게 된다. 하우징(1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재봉기기의 동력축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일측 외주면(재봉기기의 바늘이 내려오는 부위)은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데, 하우징절개부(110)는 바늘귀에 꿰여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만든 고리(rope) 형태의 윗실이 후크(310)에 걸리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하우징절개부(110)에서 회전하는 후크바디(300)에 구비된 후크(310)가 바늘귀에 꿰여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만든 고리 형태의 윗실을 통과하면서 윗실과 맞물린 후 윗실을 끌고 회전하게 된다.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가 구비되는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삽입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하우징(100)과 함께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더라도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면서 윗실이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한다. 즉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면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회전방지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일측면이 맞닿게 되며, 윗실은 후크(310)에 끌려가면서 이렇게 맞닿은 접촉면을 빠져나오기 위해 보빈케이스베이스(700)를 후크바디(300) 회전방향 반대로 살짝 밀면서 틈을 내게 된다.
하우징절개부(110)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함께 후크바디(300)에 구비된 후크(3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되는데, 후우징윗실가이드(140)는 후크(310)에 걸린 윗실이 후크(310) 배면에서 후크(310) 후방 쪽으로 흐르면서 동시에 상부면 쪽으로 흐르는 윗실(b)을 일정 시점까지 후크(310) 후방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회전부(200)는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동력전달회전부(200)는 하우징(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후크바디(3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가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전달회전부(200)가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후크바디(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후크바디(300)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후크바디(300)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에 의하여 하우징(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한다.
후크바디(300)의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결합된다.
후크바디(300)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된 후크(310)에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후크가이드레일(311)이 구비되어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과 후크가이드레일(31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후크바디(300)에는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가는 과정에서 윗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걸리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날개부(37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날개부(370)는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 올라오다가 후크바디(300) 외주면을 완전히 벗어난 시점인 윗실걸이기둥(820)을 지난 부분부터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이 결합되는 후크바디(3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의 두께로 된 돌출 구간이 후크(310)가 끌고 가던 윗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돌기(120)에 걸리지 않게 유도할 수 있는 부분까지 이어지다 바늘이 다시 하강하는 시점에 바늘이 걸리지 않는 부분까지 돌출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는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밑실의 회전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바디(30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100)과 함께 처음 설치된 상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의 내측에는 일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밑실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가이드홈(715)이 구비된데,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한 밑실이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어 윗실과 스티치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과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 사이에 하강하는 바늘이 수용되는 바늘수용홈(760)이 절개되어 있다.
또한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외주면에는 밑실장력조절편(560)이 부착되는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정 영역을 수용하는 캡바디수용절개부(7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캡바디(510)의 직경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직경에 근접시킬 수 있고,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장착되는 보빈(400)의 직경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보빈(400)은 도4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밑실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캡(500)은 캡기둥(515)에 보빈(40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빈(400)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캡(5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510), 이탈방지편(520), 스프링(530), 캡탈착레버(540), 밑실장력조절편(560)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캡(500) 구조와 거의 동일한데, 그 구조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캡바디(510)에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된다.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다.
이탈방지편(520)은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7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캡바디(510)의 전면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5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캡장착기둥(7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7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7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구비된다.
즉,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400)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이탈되지 않는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731)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731)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빈걸이(522)는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되고 캡바디(510)를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서 분리하면 캡바디(510)와 함께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의 외주면에 삽입된 보빈(400)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교체된 보빈(400)을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새롭게 장착할 경우에도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에 보빈(400)의 중심축을 결합시킨 후 캡탈착레버(540)를 회동시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하면 보빈(400)이 캡바디(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동시에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캡장착기둥(730)에 삽입한 후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테두리에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가 맞물리게 된다.
아울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전단부 일측에는 이탈방지편(520)의 보빈걸이(522)를 수용하는 보빈걸이수용홈(720)이 구비되어 캡(500)의 회전을 방지한다.
스프링(530)은 캡바디(510)의 가이드홈부(514) 내부에 설치되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한다.
캡탈착레버(540)는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7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줌과 동시에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한다.
밑실장력조절편(560)은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어 밑실에 적절한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밑실장력조절편(560)의 일측 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561) 및 제2가이드돌기(562)가 형성되어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은 도7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된다.
캡바디(510)에는 캡바디(510)의 외주면과 전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가 구비된다.
즉 윗실의 고리 형태가 캡바디(510)와 저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리가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후크(310)가 고리 형상의 중심을 쉽게 통과하게 되어 스티치(땀)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은 도4, 도6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빈케이스베이스(700)는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에 의하여 후크바디(300)에 서 이탈되지 않고 후크바디(300)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에는 윗실가이드홈(810)과 윗실걸이기둥(820)이 구비되는데, 윗실가이드홈(810)은 외주면의 일정 영역이 잘려나가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얇아진 부위를 말하고, 윗실걸이기둥(820)은 윗실가이드홈(810)이 끝나는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말한다.
여기서 윗실걸이기둥(820)은 후크(310)에 걸린 윗실을 후크(310) 배면의 전방으로 일정 시점까지 끌고가고, 윗실가이드홈(810)은 윗실걸이기둥(820)에 의하여 일정 시점까지 끌려간 윗실이 스티치(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윗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하우징
110:하우징절개부
120: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
130:하우징장착브라켓
140:하우징윗실가이드
200:동력전달회전부
210:동력전달돌기부
300:후크바디
310:후크
311:후크가이드레일
320:동력전달돌기수용부
340:후크바디가이드레일
370:가이드날개부
400:보빈
500:캡
510:캡바디
511:캡장착기둥통과공
512:밑실배출절개홈
513:캡바디절개부
514:가이드홈부
515:캡기둥
520:이탈방지편
521:잠금공
522:보빈걸이
530:스프링
540:캡탈착레버
541:캡장착기둥단부수용공
560:밑실장력조절편
561:제1가이드돌기
562:제2가이드돌기
563:탄성조절볼트
600:후크바디이탈방지링
700:보빈케이스베이스
710: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
715:밑실가이드홈
720:보빈걸이수용홈
730:캡장착기둥
731:잠금홈부
750:캡바디수용절개부
760:바늘수용홈
770: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
800: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
810:윗실가이드홈
820:윗실걸이기둥

Claims (11)

  1.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고 하우징절개부(110)의 일측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와 하우징윗실가이드(140)가 구비된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전면 일측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회전부(200);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한 외주면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동력전달회전부(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돌기수용부(320)를 형성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바늘귀에 꿰인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후면 내측 중심에는 캡장착기둥(7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단부에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돌기(120)에 맞물리는 보빈케이스베이스(700);
    하기 캡(500)의 캡기둥(515)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
    상기 캡장착기둥(730)이 통과하는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캡장착기둥(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00);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크바디가이드레일(34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크바디이탈방지링(600); 및,
    원형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800)에는,
    외주면의 일정 영역이 잘려나가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얇아진 윗실가이드홈(810); 및,
    상기 윗실가이드홈(810)이 끝나는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윗실걸이기둥(820);
    이 더 포함되어,
    상기 윗실걸이기둥(820)은 상기 후크(310)에 걸린 윗실을 상기 후크(310) 배면의 전방으로 일정 시점까지 끌고가고, 상기 윗실가이드홈(810)은 상기 윗실걸이기둥(820)에 의하여 일정 시점까지 끌려간 윗실이 스티치(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윗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의 내측이 일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밑실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가이드홈(715);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과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가이드레일(770) 사이에 하강하는 바늘이 수용되는 바늘수용홈(760);
    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후크바디(300)에는,
    타측 외주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가는 과정에서 윗실이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 걸리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날개부(37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캡(500)은,
    상기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이 마련된 상기 캡기둥(515)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캡장착기둥통과공(511)을 관통하여 상기 갭바디(5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캡장착기둥(730)을 통과시키거나 캡장착기둥(7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7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캡장착기둥(730)의 잠금홈부(7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731)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캡탈착레버(5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내측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상기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고,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 및 제2가이드돌기(562)가 상기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
    이 더 구비되고, 밑실이 상기 밑실장력조절편(560)과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의 보빈케이스베이스회전방지홈(710) 내측에 구비된 밑실가이드홈(715)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과 전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이 최저점까지 하강했다가 올라가면서 바늘귀에 꿰인 윗실이 고리를 형성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외주면에 상기 밑실장력조절편(560)이 부착되는 상기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정 영역을 수용하는 캡바디수용절개부(75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11. 제7항에서,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700)에는,
    전단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보빈걸이(522)를 수용하는 보빈걸이수용홈(72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20150023074A 2015-02-16 2015-02-16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162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074A KR101626018B1 (ko) 2015-02-16 2015-02-16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PCT/KR2016/001524 WO2016133330A1 (ko) 2015-02-16 2016-02-16 홀치기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074A KR101626018B1 (ko) 2015-02-16 2015-02-16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018B1 true KR101626018B1 (ko) 2016-05-31

Family

ID=560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074A KR101626018B1 (ko) 2015-02-16 2015-02-16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0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483B1 (ko) * 2017-06-14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1828484B1 (ko) 2017-10-17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WO2018084356A1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WO2018097364A1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재봉기의 밑실공급장치 셋팅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셋팅 방법
KR20180137807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동력전달회전부의 회전축선을 일치시키는 장치
KR20190103866A (ko) * 2018-02-28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20190104005A (ko) * 2019-06-04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44B1 (ko) 2010-06-04 2013-01-02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347642B1 (ko) 2012-06-29 2014-01-06 가부시기가이샤 사분코교쇼 로터리 훅의 윤활 장치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44B1 (ko) 2010-06-04 2013-01-02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347642B1 (ko) 2012-06-29 2014-01-06 가부시기가이샤 사분코교쇼 로터리 훅의 윤활 장치
KR101492604B1 (ko)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56A1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KR101931761B1 (ko) 2016-11-01 2018-12-2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WO2018097364A1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재봉기의 밑실공급장치 셋팅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셋팅 방법
KR101930459B1 (ko) 2016-11-23 2018-12-18 (주)마이크로코어 재봉기의 밑실공급장치 셋팅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셋팅 방법
KR101828483B1 (ko) * 2017-06-14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US11359315B2 (en) 2017-06-14 2022-06-14 Onestar Co., Ltd. Lower thread supply device of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WO2018230777A1 (ko) * 2017-06-14 2018-12-20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EP3640386A4 (en) * 2017-06-14 2021-01-20 Onestar Co., Ltd. LOWER THREAD FEEDING DEVICE OF A SEWING MACHINE AND SEWING PROCESS
KR101955451B1 (ko) 2017-06-19 2019-03-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동력전달회전부의 회전축선을 일치시키는 장치
KR20180137807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동력전달회전부의 회전축선을 일치시키는 장치
KR101828484B1 (ko) 2017-10-17 2018-02-12 허필호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KR20190103866A (ko) * 2018-02-28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WO2019168326A1 (ko) * 2018-02-28 2019-09-06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018598B1 (ko) 2018-02-28 2019-11-04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20190104005A (ko) * 2019-06-04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018597B1 (ko) 2019-06-04 2019-09-06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239312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828483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US2866425A (en) Lockstitch sewing machines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WO2017047189A1 (ja) ミシン
JP2002355472A (ja) 下糸糸巻き装置および下糸糸巻き量制御装置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JP3872487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US3063392A (en) Stitch-forming mechanism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KR20140031119A (ko) 미싱
KR101398081B1 (ko) 환봉 재봉기의 실 제어장치
KR20140028339A (ko) 보빈캡
US1316444A (en) A cokpobatiomt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JP2013034494A (ja) ミシン用釜
JP2012115595A (ja) ボビン及びミシン
KR101907629B1 (ko) 무장력 보빈케이스
KR100453606B1 (ko) 재봉기의보빈케이스및밑실보빈
KR20170139409A (ko)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828484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및 재봉방법
KR101678463B1 (ko) 보빈 자동 공급장치
KR20210029945A (ko)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윗실루프 가이드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