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339A - 보빈캡 - Google Patents

보빈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339A
KR20140028339A KR1020120094379A KR20120094379A KR20140028339A KR 20140028339 A KR20140028339 A KR 20140028339A KR 1020120094379 A KR1020120094379 A KR 1020120094379A KR 20120094379 A KR20120094379 A KR 20120094379A KR 20140028339 A KR20140028339 A KR 2014002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thread
bobbin
cap
guide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대 filed Critical 강소대
Priority to KR102012009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339A/ko
Priority to PCT/KR2013/007715 priority patent/WO2014035132A2/ko
Publication of KR2014002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빈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면서 보빈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30);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주는 캡탈착레버(54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보빈캡{Bobbin Cap}
본 발명은 밑실공급장치의 회전하는 후크바디에 결합되어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며 후크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밑실을 공급하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밑실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북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BC)는 후크바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 및 보빈(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와 보빈케이스 보디(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보빈케이스 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잡아주므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양단에 플랜지(43)(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크바디(20) 구동시 후크바디(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후크바디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가마잡이(70)가 저지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바디(20)의 후크(21)에 걸리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 및 보빈(40)을 휘돌아 밑실(4)을 걸어올리는 윗실(3)이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상기 요홈(33)(정확히는 상기 요홈 내에서 가마잡이의 돌조(75)와 요홈의 측벽 사이)을 통하여 안내된다(도2 참조).
따라서 상기 요홈(33)은 가마잡이의 돌조(75)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3)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33a)이 돌조의 폭(75a)에 더하여 윗실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북장치(100)는 보빈(40)에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케이스 보디(50)를 열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하는데, 보빈(40) 1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보빈(40)에 감겨지는 밑실이 40미터, 스티치(땀) 길이가 1밀리미터,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가 4000RPM이라고 가정하면 10분이면 밑실이 모두 소진되어 10분마다 재봉틀을 멈추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다수 개(예를 들어 50개 내지 100개)의 바늘대와 회전북장치(100)가 일렬 횡방향으로 배열된 대형 재봉틀의 경우 그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보빈(40)이라도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40) 모두를 교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보빈(40) 교체에 따른 작업 지연(단절)은 말할 것도 없고 나머지 보빈(40)에 일부 남아 있는 밑실들을 모두 폐기하게 되어 원자재 낭비 또한 무시하지 못할 정도이다.
만약 보빈(40)에 보다 많은 밑실을 감을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점이 상당히 해소될 수 있는데, 감겨지는 밑실의 량은 보빈(40)의 외형적 크기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밑실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된다.
그러나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이 확대되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BC)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보빈케이스(BC)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보빈케이스(BC)를 휘감아 돌면서 밑실(4)을 걸어 올리는 윗실(3)의 공급 길이도 길어져야만 한다.
그런데 윗실(3)의 공급 길이는 천평크랭크의 행정 거리에 좌우되는 바, 천평크랭크의 크기나 구조도 변경되어야만 한다.
즉 재봉틀을 전반적으로 새롭게 설계 제작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윗실의 공급 길이가 증가하면 윗실이 밑실과 함께 스티치(땀)를 형성하기 전에 소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길이가 증가하여 마찰열에 의한 윗실 자체의 손상은 물론 스티치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마찰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되는데, 회전수가 감소되면 작업효율이 저하되어 밑실 적재량을 증가시킨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와 윗실(3)의 공급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밑실의 적재량만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밑실공급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20)가 구동축(10)의 말단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균형이 조금만 맞지 않아도 후크바디(20)의 진동이나 떨림 현상이 심하게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후크바디(20)의 직경이 확대될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의 후크바디(20), 보빈케이스베이스(30) 및 보빈케이스바디(50)의 보빈(40)이 장착되는 원통 부분을 하나로 통합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방식의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공개특허 제10-2012-0019406호)가 개발되었는데, 윗실을 끌고 회전하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보빈(400)이 바로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300)의 내부 공간 전체를 밑실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윗실을 끌고 회전하는 후크바디(20)의 내부에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장착되고, 이러한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내부에 보빈(40)이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의 크기(외경 및 폭)가 동일한 경우 보빈의 크기(직경 및 폭)가 축소될 수 밖에 없다. 즉 도3에 도시된 새로운 방식의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별도의 보빈케이스 베이스(30)를 필요로 하지 않아 후크바디(300)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빈(400)의 크기를 확장하고 밑실의 1회 적재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후크바디(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종래와는 달리 고속회전시에도 후크바디(300)의 떨림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빈케이스베이스(30)는 요홈(33)이 가마잡이(70)의 요철(75)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장착된 보빈케이스바디(50)도 고정되고 보빈케이스바디(50)에 장착된 보빈(40)만이 회전하면서 밑실(4)이 공급되는 종래와는 달리 후크바디(300)와 캡(500)이 함께 회전하는 중에 밑실의 필요량만큼 보빈(400)도 회전하면서 밑실이 풀려나오는 구조가 되는 바 밑실이 캡(5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댐수용공(552)을 통하여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캡(500)과 같이 종래와는 다른 구조의 캡이 제작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보빈캡은 도3에 도시된 새로운 방식의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후크바디와 캡이 함께 회전하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캡의 일종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후크바디와 캡이 함께 회전하는 새로운 방식의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3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캡으로서 구체적인 형상은 도3에 도시된 캡(500)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후크바디와 캡이 함께 회전하는 밑실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새로운 방식의 보빈캡을 제공하여 윗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밑실을 원활하게 공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밑실공급장치의 회전하는 후크바디에 결합되어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며 후크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밑실을 공급하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밑실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빈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면서 보빈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30);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주는 캡탈착레버(54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만큼 절개된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캡탈착레버(54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댐수용공(541)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밑실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크바디와 보빈(400) 및 캡(500)이 함께 회전하는 밑실공급장치에 적합한 캡(500) 구조로서 캡(500)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캡(500)의 중앙부에 구비된 가이드댐수용공(541)을 통하여 밑실이 공급된다. 이러한 밑실공급장치는 종래의 밑실공급장치에 비하여 보빈에 상대적으로 많은 밑실을 감을 수 있다.
이러한 보빈(400)에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보빈(400)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밑실을 새롭게 공급해야되는데, 이탈방지편(520)의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 구비된 밑실안내절개부(551)가 캡탈착레버(540)에 접근하도록 경사를 이루어 초기 밑실 장착시 밑실안내절개부(551)의 경사를 따라 밑실을 잡아당기면 밑실이 가이드댐수용공(541)의 전방으로 쉽게 유도되어 가이드댐수용공(541)의 전방(외부)에서 밑실을 쉽게 끄집어낼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보빈(400) 교체를 통하여 밑실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윗실이 고리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후크가 윗실의 고리에 잘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캡바디절개부(513)는 캡바디(510)의 일측 전면과 측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된 공간인데, 이러한 캡바디절개부(513)는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 형태가 캡바디(510)와 저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리가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후크(310)가 고리 형상의 중심을 쉽게 통과하게 되어 스티치(땀)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셋째, 밑실이 회전하는 후크와 저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밑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이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댐수용공(541)으로 배출되는 밑실을 캡바디(510)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는 후크와 밑실의 저촉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뱅크(516)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뱅크(516)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은 새롭게 개발된 밑실공급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후크바디(300)와 캡(500)이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밑실이 통과하는 경로를 도시한다.
도8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내측에 내부가이드댐(553)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밑실공급장치의 회전하는 후크바디에 결합되어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며 후크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밑실을 공급하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밑실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캡바디(510)는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장착기둥통과공(511)은 캡바디(5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원통 내부에 형성되어 보빈장착기둥(330)이 통과하고 원통 형상의 외주면은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캡바디(510)의 내측면에는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빈(400)을 적절한 탄성력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판스프링은 종래의 밑실공급장치에도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캡바디(510)의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되어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은 밑실배출절개홈(512)을 통하여 캡바디(510)의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이탈방지편(520)은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5에 도시된 단면과 같이 캡바디(510)의 전면에는 이탈방지편(5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514)가 구비된다.
이탈방지편(520)의 중앙부에는 보빈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면서 보빈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와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형성되어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33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331)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잠금공(521)의 테두리에 잠금홈부(331)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빈걸이(522)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되고 캡바디(510)를 후크바디에서 분리하면 캡바디(510)와 함께 보빈(400)이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교체된 보빈(400)을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에 새롭게 장착할 경우에도 장착기둥통과공(511)이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에 보빈(400)의 중심축을 결합시킨 후 캡탈착레버(540)를 회동시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하면 보빈(400)이 캡바디(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동시에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빈(400)과 캡바디(510)를 보빈장착기둥(330)에 삽입한 후 캡탈착레버(5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테두리에 보빈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가 맞물리게 된다. 아울러 보빈걸이(522)가 후크바디의 보빈걸이홈(도시 생략)에 걸리면서 캡바디(520)의 이탈 및 좌우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탄성부재(530)는 캡바디(510)의 가이드홈부(514) 내부에 설치되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보빈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한다.
캡탈착레버(540)는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잠금공(521)과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줌과 동시에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빈걸이(522)가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게 한다.
이러한 캡탈착레버(540)의 구조나 기능은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종래의 캡에 설치된 캡탈착레버(540)와 거의 동일한 바 더 이상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는 밑실의 통로 역할을 하는 밑실안내절개부(551)가 구비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안내절개부(551)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캡탈착레버(540)에 접근하도록 경사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밑실안내절개부(551)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밑실안내절개부(551)가 경사를 이루는 이유는 초기 밑실 장착시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와 밑실통과홈(515)을 통과한 밑실을 밑실배출공(552)의 전방(외부)으로 쉽게 끄집어내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밑실통과홈(515)을 통과한 밑실이 밑실안내절개부(551)의 양측 단부에 걸리면서 밑실배출공(552)을 가로지르도록 밑실을 잡아 당기면 밑실이 밑실안내절개부(551)의 경사를 타고 전방으로 유도되어 밑실배출공(552)의 외부(전방)에서 밑실을 쉽게 끄집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밑실배출공(552)이란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밑실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아울러 밑실을 보다 쉽게 끄집어내기 위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안내가이드댐(550) 내측에 내부가이드댐(55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댐(553)는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경사를 이루며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댐(553)은 밑실안내절개부(551)와 마찬가지로 초기 밑실 장착시 밑실을 밑실배출공(552) 외부로 쉽게 끄집어내기 위한 것인데, 밑실통과홈(515)을 통과한 밑실이 밑실안내절개부(551)의 양측 단부에 걸리면서 밑실배출공(552)을 가로지르도록 밑실을 잡아 당기면 밑실이 내부가이드댐(553)의 경사를 타고 전방으로 유도되어 밑실배출공(552)의 외부(전방)에서 밑실을 쉽게 끄집어낼 수 있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댐(553)의 높이를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높게 형성하면 밑실이 자연스럽게 밑실배출공(552)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밑실을 쉽게 끄집어낼 수 있다.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만큼 절개된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를 통과하여 캡탈착레버(54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댐수용공(541)으로 배출된다.
밑실장력조절편(560)은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어 밑실에 적절한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밑실장력조절편(560)의 일측 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가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통과하고 밑실통과홈(515)을 거쳐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밑실통과홈(515)은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빠져나온 밑실을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캡바디(510)의 전방면 일부가 밑실의 경로를 따라 파여진 홈부를 말한다.
캡바디절개부(513)는 캡바디(510)의 일측 전면과 측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된 공간 또는 일정 영역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윗실의 고리 형태가 캡바디(510)와 저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리가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후크가 고리 형상의 중심을 쉽게 통과하게 되어 스티치(땀)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뱅크(516)는 도5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절개부(513)와 밑실안내가이드댐(550) 사이에 위치하는데, 가이드뱅크(516)는 캡바디(510) 전면(510)에서 전방으로 일정 높이(밑실안내가이드댐(55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높이) 돌출되어 밑실배출공(55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밑실을 캡바디(510)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뱅크(516)는 회전하는 후크(310)에 밑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와 밑실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캡(500)을 휘감아 도는 윗실이 밑실안내가이드댐(550)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윗실과 밑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바느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300:후크바디
310;후크
330:보빈장착기둥 331:잠금홈부
400:보빈
500:캡
510:캡바디
511:장착기둥통과공
512:밑실배출절개홈
513:캡바디절개부
514:가이드홈부
515:밑실통과홈
516:가이드뱅크
520:이탈방지편
521:잠금공
522:보빈걸이
530:탄성부재
540:캡탈착레버
541:가이드댐수용공
550:밑실안내가이드댐
551:밑실안내절개부
552:밑실배출공
553:내부가이드댐
560:밑실장력조절편
561:제1가이드돌기
562:제2가이드돌기
563:탄성조절볼트

Claims (7)

  1. 밑실공급장치의 회전하는 후크바디에 결합되어 후크바디와 함께 회전하며 후크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밑실을 공급하는 실패 형상의 보빈(400)이 후크바디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밑실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빈(400)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후크바디의 보빈장착기둥(330)이 통과하는 장착기둥통과공(511)이 중앙부에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 단부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나오는 밑실의 통로가 되도록 절개된 밑실배출절개홈(512)이 구비된 캡바디(51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빈장착기둥(330)을 통과시키면서 보빈장착기둥(33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홈부(331)에 맞물리는 잠금공(521)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20);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이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의 잠금홈부(3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30);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편(520)을 일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공(521)과 상기 잠금홈부(331) 사이의 맞물림을 풀어주는 캡탈착레버(540); 및,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안내하는 밑실안내가이드댐(55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을 빠져나온 밑실은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만큼 절개된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중앙에 형성된 밑실배출공(552)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2. 제1항에서,
    상기 밑실안내절개부(551)는,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측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3. 제1항에서,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잠금공(521) 둘레를 따라 경사를 이루며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가이드댐(553);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4. 제1항에서,
    상기 캡바디(510)의 밑실배출절개홈(512)의 외측면에 탄성조절볼트(563)로 결합되어 상기 밑실배출절개홈(512)에서 빠져나온 밑실을 탄성으로 눌러주고, 일측 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561)와 제2가이드돌기(562)가 상기 캡바디(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밑실장력조절편(560);
    이 더 구비되고, 밑실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561)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56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의 밑실안내절개부(551)의 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5. 제1항에서,
    상기 캡바디(510)의 일측 전면과 측면의 일정 영역이 절개된 공간 또는 일정 영역이 파여진 홈으로서 바늘에 물려 내려온 윗실의 고리가 형성되는 공간이 되는 캡바디절개부(51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6. 제1항에서,
    상기 이탈방지편(520)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캡탈착레버(5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보빈(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빈(400)의 일측 플랜지에 걸리는 보빈걸이(522);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7. 제5항에서,
    상기 캡바디절개부(513)와 상기 밑실안내가이드댐(55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캡바디(510) 전면(5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밑실배출공(55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밑실을 상기 캡바디(510)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가이드뱅크(516);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캡.
KR1020120094379A 2012-08-28 2012-08-28 보빈캡 KR20140028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79A KR20140028339A (ko) 2012-08-28 2012-08-28 보빈캡
PCT/KR2013/007715 WO2014035132A2 (ko) 2012-08-28 2013-08-28 보빈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79A KR20140028339A (ko) 2012-08-28 2012-08-28 보빈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39A true KR20140028339A (ko) 2014-03-10

Family

ID=5018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379A KR20140028339A (ko) 2012-08-28 2012-08-28 보빈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28339A (ko)
WO (1) WO201403513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40B1 (ko) * 2019-05-29 2020-05-14 이하 재봉기용 회전북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7077B2 (en) 2015-02-09 2017-10-24 Cm Cerliani S.R.L. Hook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 comprising a bobbin case with a slide composed of multiple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265A (ja) * 1997-10-17 1999-04-27 Juki Corp ミシンのボビンケース
KR200307981Y1 (ko) * 2002-12-26 2003-03-19 코베스트 주식회사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KR200395794Y1 (ko) * 2005-07-04 2005-09-13 코베스트 주식회사 윗실 걸림방지 보빈케이스 보디를 구비한 재봉틀의회전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40B1 (ko) * 2019-05-29 2020-05-14 이하 재봉기용 회전북집
WO2020242122A1 (ko) * 2019-05-29 2020-12-03 이하 재봉기용 회전북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32A3 (ko) 2014-05-08
WO2014035132A2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253280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CN112442803B (zh) 一种旋梭
JP2010111479A (ja) ワックスコーティング装置
US6082278A (en) Bobbin case and bobbin of sewing machine
KR20140138013A (ko) 니들 스위칭 유형의 재봉기를 위한 실 경로지정 메커니즘
CN106192242B (zh) 大容量缝纫机旋梭
KR20140028339A (ko) 보빈캡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101217444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US4106713A (en) Thread feeder for textile machines
WO2017047189A1 (ja) ミシン
US4230285A (en) Traversing device for thread winding apparatus
US1504240A (en) Stitch-forming mechanism
KR20120018216A (ko) 고속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JPWO2002053821A1 (ja) 上糸カセット付きミシン及び上糸カセット
KR101967640B1 (ko)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US20220220650A1 (en) Rotary shuttle for sewing machine
US20120234223A1 (en) Sewing bobbi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JP4266438B2 (ja) 下糸自動供給装置およびボビンケース
JP2013034494A (ja) ミシン用釜
KR20090081466A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