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280B1 -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280B1
KR101253280B1 KR1020110084621A KR20110084621A KR101253280B1 KR 101253280 B1 KR101253280 B1 KR 101253280B1 KR 1020110084621 A KR1020110084621 A KR 1020110084621A KR 20110084621 A KR20110084621 A KR 20110084621A KR 101253280 B1 KR101253280 B1 KR 10125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obbin
hook body
guid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406A (ko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대 filed Critical 강소대
Publication of KR2012001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중심축을 따라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면 외측에는 상기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려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돌기수용부(320)가 형성되며, 후면 내측에는 보빈장착기둥(330)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400); 및, 상기 보빈(400)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이 상기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High-speed Rotary Shuttle Device}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재봉기기(재봉틀) 구조를 거의 그대로 활용하면서 기존의 밑실공급장치에 비하여 밑실의 1회 적재량을 혁신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북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BC)는 후크바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 및 보빈(40) 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빈케이스 베이스(30)와 보빈케이스 보디(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보빈케이스 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잡아주므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양단에 플랜지(43)(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크바디(20) 구동시 후크바디(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후크바디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가마잡이(70)가 저지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바디(20)의 후크(21)에 걸리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 및 보빈(40)을 휘돌아 밑실(4)을 걸어올리는 윗실(3)이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상기 요홈(33)(정확히는 상기 요홈 내에서 가마잡이의 돌조(75)와 요홈의 측벽 사이)을 통하여 안내된다(도2 참조).
따라서 상기 요홈(33)은 가마잡이의 돌조(75)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3)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33a)이 돌조의 폭(75a)에 더하여 윗실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북장치(100)는 보빈(40)에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케이스 보디(50)를 열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하는데, 보빈(40) 1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보빈(40)에 감겨지는 밑실이 40미터, 스티치(땀) 길이가 1밀리미터,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가 4000RPM이라고 가정하면 10분이면 밑실이 모두 소진되어 10분마다 재봉틀을 멈추고 보빈(40)을 교체해야만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다수 개(예를 들어 50개 내지 100개) 의바늘대와 회전북장치(100)가 일렬 횡방향으로 배열된 대형 재봉틀의 경우 그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보빈(40)이라도 감겨진 밑실이 소진되면 재봉틀의 작동을 멈추고 보빈(40) 모두를 교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보빈(40) 교체에 따른 작업 지연(단절)은 말할 것도 없고 나머지 보빈(40)에 일부 남아 있는 밑실들을 모두 폐기하게 되어 원자재 낭비 또한 무시하지 못할 정도이다.
만약 보빈(40)에 보다 많은 밑실을 감을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점이 상당히 해소될 수 있는데, 감겨지는 밑실의 량은 보빈(40)의 외형적 크기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밑실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된다.
그러나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을 확대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빈(40)의 직경이나 폭이 확대되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BC)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보빈케이스(BC)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보빈케이스(BC)를 휘감아 돌면서 밑실(4)을 걸어 올리는 윗실(3)의 공급 길이도 길어져야만 한다.
그런데 윗실(3)의 공급 길이는 천평크랭크의 행정 거리에 좌우되는 바, 천평크랭크의 크기나 구조도 변경되어야만 한다.
즉 재봉틀을 전반적으로 새롭게 설계 제작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윗실의 공급 길이가 증가하면 윗실이 밑실과 함께 스티치(땀)를 형성하기 전에 소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길이가 증가하여 마찰열에 의한 윗실 자체의 손상은 물론 스티치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마찰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되는데, 회전수가 감소되면 작업효율이 저하되어 밑실 적재량을 증가시킨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늘대의 왕복 회전수와 윗실(3)의 공급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밑실의 적재량만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밑실공급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디(20)가 구동축(10)의 말단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균형이 조금만 맞지 않아도 후크바디(20)의 진동이나 떨림 현상이 심하게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후크바디(20)의 직경이 확대될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1회 적재되는 밑실을 혁신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바느질 한 땀을 형성하기 전 매듭을 만들어 내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서 실채기에 의한 윗실의 공급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밑실의 적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대부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밑실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고속 회전시에도 후크바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후크바디의 진동이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밑실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고속 회전시에도 실채기에 의해 윗실이 채일 때 윗실이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돌기수용부(320) 사이를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여 바느질의 주름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구조의 밑실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중심축을 따라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면 외측에는 상기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려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돌기수용부(320)가 형성되며, 후면 내측에는 보빈장착기둥(330)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400); 및, 상기 보빈(400)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이 상기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1회 적재되는 밑실의 량을 혁신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윗실을 끌고 회전하면서 밑실과 땀(stitch)을 형성하는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보빈(400)이 바로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300)의 내부 공간 전부를 밑실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반면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윗실을 끌고 회전하는 후크바디(20)의 내부에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장착되고, 이러한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내부에 보빈(40)이 장착되는 바, 후크바디의 크기(외경 및 폭)가 동일한 경우 보빈의 크기(직경 및 폭)가 축소될 수 밖에 없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후크바디(300)의 내부에 별도의 보빈케이스 베이스(30)를 필요로 하지 않아 후크바디(300)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빈(400)의 크기를 확장하고 밑실의 1회 적재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바느질 한 땀을 형성하기 전 매듭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과정(실채기 과정)에서 후크에 의하여 끌려가는 윗실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후크바디의 외경 및 높이를 확대하여 밑실의 적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후크바디(20)가 회전하면서 고리 형태의 윗실을 끌고 갈 때, 보빈케이스 베이스(30) 외주면에 있는 가이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윗실이 걸리게 되어 후크(21)을 정점으로 윗실이 "V"자 형태로 2줄을 이루면서 끌려가는 구조가 되어 윗실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더라도 후크(310)에 의해 끌려가는 윗실의 일측은 후크(310)를 정점으로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타고 넘어가고 타측은 후크바디(300)의 전방으로 끌려가는 구조로서 일정 시점까지 2줄이 아닌 1줄로 윗실이 끌려가기 때문에 윗실이 그만큼 적게 소모된다. 따라서 보빈(400)이 장착되는 후크바디(300)의 외경과 높이를 확대하여 밑실의 적재량을 혁신적으로 증대시키더라도 실채기 과정에서 후크(310)에 의하여 끌려가는 윗실의 소모량이 종래의 윗실 소모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재봉틀 구조를 대부분 활용할 수 있는 바, 재봉틀 전체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더라도 밑실공급장치만 교체한다면 기존의 재봉틀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 재봉틀의 동력축을 그대로 활용하고 교체되는 새로운 밑실공급장치의 회전판(200)과 동력축을 단순히 체결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되는 바 별도의 추가 비용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장비의 성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고속 회전시에도 후크바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후크바디의 진동이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크바디(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하우징(100)이 후크바디(300)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후크바디(3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고속회전시에도 후크바디(300)의 떨림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고속 회전시에도 실채기에 의해 윗실이 채일 때 윗실이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돌기수용부(320) 사이를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여 바느질의 주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는 가마잡이(70)의 돌조(75)가 요홈(33)에 삽입되고 후크(2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돌조(75)의 오른쪽 측면이 요홈(33)의 왼쪽 측면과 접하여 보빈케이스베이스((3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다가 실채기에 의해 윗실이 채일 때 윗실이 빠져나올 만큼의 틈을 만들기 위해 보빈케이스베이스(30)를 시계방향으로 순간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미 바느질(땀)이 형성되어 천에 얽혀 있는 윗실을 당기게 되어 매우 얇거나 실크 같은 부드러운 천은 주름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윗실이 채이면서 동력전달돌기부(210)과 돌기수용부(320) 사이에서 윗실이 빠져나오게 하기 위한 틈을 만들 때 후크바디(300)가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윗실의 당김 현상이 최소화되어 매우 얇거나 실크같은 부드러운 천 등에 바느질을 하더라도 주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5은 캡(500)과 보빈(4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5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보빈(400)에서 풀려나온 밑실이 빠져나오는 경로를 도시한다.
도8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사시도이다.
도9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10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의 외형을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를 도시한다.
도11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조립사시도로서, 도19와는 달리 윗실가이드(120)가 구비되지 않고 그 대신 레일후크(181) 및 가이드뱅크B(304)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12은 도1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하우징(100) 및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는 도1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후크바디(300)의 측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데, 중심축을 따라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0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브라켓이나 고정볼트, 핀 등을 사용하여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1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설치되어 재봉기기의 동력축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재봉기기의 바늘이 내려오는 부위)은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데, 하우징절개부(110)는 바늘에 물려 고리 형태로 내려오는 윗실이 후크(310)에 맞물리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하우징절개부(110)에서 회전하는 후크바디(300)에 부착된 후크(310)가 바늘을 따라 내려온 고리 형태의 윗실을 통과하면서 윗실과 맞물린 후 윗실을 끌고 회전하게 된다.
윗실가이드(120)는 하우징(100)의 하우징절개부(110) 일측에 후크(3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회전할 때 고리를 형성하는 윗실을 걸어서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윗실가이드(120)는 별도의 부품을 하우징(100)에 조립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후크바디(300)의 회전을 안내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는 후크바디(300)의 외주면을 따라 절개된 후크바디가이드홈B(390)에 수용된다.
회전판(200)은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판(200)은 하우징(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후크바디(3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돌기수용부(320)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판(200)이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후크바디(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후크바디(300)의 돌기수용부(320)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돌기수용부(320) 사이로 윗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격(간격)이 존재한다. 즉 약간의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상태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것이다.
후크바디(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면 외측에는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려 회전판(2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돌기수용부(320)가 형성된다.
후크바디(300)의 후면 내측에는 보빈장착기둥(330)이 형성되어 보빈(40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후크(310)는 후크바디(300)의 일측 외주면에 부착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역할을 한다.
후크(310)가 부착된 후크바디(300)의 외주면 일측을 따라 후크바디(300)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윗실을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가이드채널(301)이 구비되어 있으며, 가이드채널(301)의 일측을 따라 가이드채널(301)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윗실을 가이드채널(301)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뱅크A(302)가 구비된다.
후크(310)가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회전하게 되면 후크(3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된 윗실가이드(120)도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면서 윗실이 가이드채널(301) 내부로 들어가도록 유도하는데, 가이드뱅크A(302)는 이러한 윗실이 가이드채널(301)에 들어가지 못하고 가이드채널(301)의 상부를 그대로 통과하여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와 후크바디가이드홈B(390)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크바디(300)의 외주면에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를 수용하는 후크바디가이드홈B(390)가 절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와 후크바디가이드홈B(390)는 후크바디(3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가 후크바디(30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후크바디가이드홈B(390)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5는 캡(500)과 보빈(4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도5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보빈(400)은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빈(400)은 일반적인 밑실공급장치의 보빈과 마찬가지로 밑실이 감겨지는 실패 형상을 하고 있다.
캡(500)은 보빈(400)의 중심을 통과하여 보빈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빈(400)이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밑실가이드B(580)는 캡(500)의 전단부인 외부커버(570)의 전면에 결합되며 후크(310)의 첨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빈(400)에서 공급되는 밑실이 후크(310)와 만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캡(500)은 내부커버(560), 이탈방지편(562), 캡탈착레버(550), 스프링(564), 및 외부커버(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커버(560)는 보빈(400)을 통과하여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과 결합되는 장착기둥수용공(561)이 길게 마련되어 있으며, 보빈(400)과 직접 접촉되는 부위가 된다.
이러한 내부커버(56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기둥수용공(561)이 구비되는 기둥 부분의 전방 단부에는 원반 형태의 덮개가 구비되는 형상이다.
이탈방지편(562)은 이러한 내부커버(56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탈방지편(56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563)가 후크바디(300)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된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 수용되는데, 이와 같이 이탈방지돌기(563)가 후크바디(300)의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 삽입되면 캡(5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보빈(400)을 안정적으로 후크바디(300) 내부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스프링(564)은 내부커버(560)에 설치되며 이탈방지편(562)을 탄성지지하는데, 이탈방지돌기(563)가 후크바디(300)의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탈방지편(562)을 이탈방지편수용부(303) 방향으로 밀어준다.
캡탈착레버(550)는 이탈방지편(562)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캡탈착레버(550)를 전방으로 회동하면 이탈방지돌기(563)가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서 빠져나오도록 이탈방지편(562)을 밀어주게 된다. 캡탈착레버(550)를 놓으면 스프링(564)의 작동으로 이탈방지편(562)과 캡탈착레버(5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캡탈착레버(55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570)의 밑실통과공B(571)과 같은 방향의 일측에 밑실통과공B(571)을 빠져나온 밑실이 통과하는 통과틈새(551)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통과틈새(551)를 통하여 캡탈착레버(550)의 중심으로 들어온 밑실을 배출하는 밑실배출공(552)이 구비된다.
외부커버(570)는 캡탈착레버(550)의 전면에 위치하며 내부커버(560)와 결합된다.
이러한 외부커버(570)와 내부커버(560) 사이에는 캡탈착레버(550)와 이탈방지편(562)이 설치되는데, 외부커버(570)의 중심부는 캡탈착레버(550)가 회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아울러, 외부커버(570)에서 보빈(400)을 향하여 연장된 일측에는 보빈(400)에서 풀려난 밑실이 빠져나오는 밑실통과공B(571)가 구비된다.
도7은 보빈(400)에서 풀려나온 밑실이 빠져나오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는데. 보빈(400)에서 풀려난 밑실은 먼저 외부커버(570)의 밑실통과공B(571)를 통하여 캡(500)의 외측으로 빠져나온 후 다시 캡탈착레버(550)의 통과틈새(551)를 통하여 캡탈착레버(550)의 중심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캡탈착레버(550)의 중심으로 들어간 밑실은 캡탈착레버(550)에 구비된 밑실배출공(552)을 통하여 빠져나온 후 후크(310)가 끌고 가는 윗실과 만나 땀을 형성하게 된다.
도8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사시도로서 외형의 전체적인 형상을 알 수 있으며, 도9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조립이 완료된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조립사시도로서, 도8과는 달리 윗실가이드(120)가 구비되지 않고 그 대신 레일후크(181) 및 가이드뱅크B(304)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12는 도1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하우징(100) 및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의 구조를 별도로 도시하며, 도13은 도1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후크바디(300)의 측면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레일후크(181)는 도11 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10)와 마주 보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의 일측 단부에서 후크(310)를 향하여 돌출되며 윗실가이드(120)와 마찬가지로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갈 때 후크(310) 상부면에 있는 윗실이 걸리도록 하여 후크바디(300) 후방 경사 단면으로 원활히 흐르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뱅크B(304)는 도11 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10)의 첨단부에서 돌출되며, 후크(310)에 의해서 끌려가는 윗실이 레일후크(181)에 걸리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크(310)에 끌려가는 윗실을 적절히 들어서 레일후크(181)에 제대로 걸리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하우징
110:하우징절개부
120:윗실가이드
180:후크바디가이드레일B
181:레일후크
200:회전판
210:동력전달돌기부
300:후크바디
301:가이드채널
302:가이드뱅크A
303:이탈방지편수용부
304:가이드뱅크B
310:후크
320:돌기수용부
330:보빈장착기둥
390:후크바디가이드홈B
400:보빈
500:캡
550:캡탈착레버
551:통과틈새
552:밑실배출공
560:내부커버
561:장착기둥수용공
562:이탈방지편
563:이탈방지돌기
564:스프링
570:외부커버
571:밑실통과공B
580:밑실가이드B

Claims (9)

  1. 재봉기기의 밑실을 공급하는 밑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중심축을 따라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하우징절개부(110)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동력축과 연결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원반의 전면에 동력전달돌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면 외측에는 상기 동력전달돌기부(210)와 맞물려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돌기수용부(320)가 형성되며, 후면 내측에는 보빈장착기둥(330)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310)가 구비되는 후크바디(300);
    상기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400); 및,
    상기 보빈(400)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보빈장착기둥(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이 상기 후크바디(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절개부(110) 일측에 상기 후크(3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회전할 때 고리를 형성하는 윗실을 걸어서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윗실가이드(12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캡(500)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310)의 첨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빈(400)에서 공급되는 밑실이 상기 후크(310)와 만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밑실가이드B(58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캡(500)은,
    상기 보빈(400)을 통과하여 상기 후크바디(300)의 보빈장착기둥(330)과 결합되는 장착기둥수용공(561)이 마련된 내부커버(560);
    상기 내부커버(56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563)가 상기 후크바디(300)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된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 수용되는 이탈방지편(562);
    상기 내부커버(560)에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편(562)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이탈방지돌기(563)가 상기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564);
    상기 이탈방지편(562)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563)가 상기 이탈방지편수용부(303)에서 빠져나오도록 상기 이탈방지편(562)을 밀어주는 캡탈착레버(550); 및,
    상기 캡탈착레버(550)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커버(560)와 결합되어 상기 캡탈착레버(550)와 상기 이탈방지편(562)을 수용하며, 중심부에는 상기 캡탈착레버(550)가 회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400)을 향하여 연장된 일측에는 상기 보빈(400)에서 풀려난 밑실이 빠져나오는 밑실통과공B(571)이 구비되는 외부커버(5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캡탈착레버(550)는,
    상기 외부커버(570)의 밑실통과공B(571)과 같은 방향의 일측에 상기 밑실통과공B(571)을 빠져나온 밑실이 통과하는 통과틈새(551)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통과틈새(551)를 통하여 상기 캡탈착레버(550)의 중심으로 들어온 밑실을 배출하는 밑실배출공(5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후크바디(300)의 회전을 안내하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바디(300)의 외주면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를 수용하는 후크바디가이드홈B(3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후크바디(300)는,
    상기 후크(310)가 부착된 외주면 일측을 따라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윗실을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가이드채널(301); 및,
    상기 가이드채널(301)의 일측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윗실을 상기 가이드채널(301)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뱅크A(302);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후크(310)와 마주보는 후크바디가이드레일B(18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후크(310)를 향하여 돌출된 레일후크(181)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310)가 윗실을 끌고 회전할 때 고리를 형성하는 윗실을 걸어서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후크바디(300)는,
    상기 후크(310)가 부착된 외주면 일측을 따라 상기 후크바디(300)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윗실을 후크바디(300)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가이드채널(301);
    상기 가이드채널(301)의 일측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윗실을 상기 가이드채널(301)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뱅크A(302); 및,
    상기 후크(310)의 첨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후크(310)에 의해서 끌려가는 윗실이 상기 레일후크(181)에 걸리도록 유도하는가이드뱅크B(304);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회전판(200)의 동력전달돌기부(210)와 상기 후크바디(300)의 돌기수용부(320)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돌기부(210)와 상기 돌기수용부(320) 사이에는 윗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20110084621A 2010-08-25 2011-08-24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253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243 2010-08-25
KR1020100082243 201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406A KR20120019406A (ko) 2012-03-06
KR101253280B1 true KR101253280B1 (ko) 2013-04-10

Family

ID=461283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076A KR101239312B1 (ko) 2010-08-25 2011-02-01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20110023358A KR101253289B1 (ko) 2010-08-25 2011-03-16 잔사량 감지수단이 구비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20110084621A KR101253280B1 (ko) 2010-08-25 2011-08-24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076A KR101239312B1 (ko) 2010-08-25 2011-02-01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20110023358A KR101253289B1 (ko) 2010-08-25 2011-03-16 잔사량 감지수단이 구비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7213B2 (ko)
EP (1) EP2610385A2 (ko)
JP (1) JP2013538093A (ko)
KR (3) KR101239312B1 (ko)
CN (1) CN103097600A (ko)
WO (1) WO201202674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66A (ko) * 2018-02-28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276467B1 (ko) * 2020-05-27 2021-08-11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KR102543238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43239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063A (zh) * 2013-07-01 2013-09-18 汪凡 一种缝纫机底线供线装置
KR101492604B1 (ko) *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CN103952865B (zh) * 2014-05-12 2015-11-04 咸阳蓝博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缝纫绣花机械的旋梭构造
KR20170139409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CN106192242B (zh) * 2016-08-08 2022-02-11 东阳市太极精密制造有限公司 大容量缝纫机旋梭
US10839651B2 (en) * 2016-11-11 2020-11-17 Smart Industries Corporation Arcade game with RFID reader
CN109183296A (zh) * 2018-10-22 2019-01-11 向康城 一种分线器及具有该分线器的刺绣机
KR102110940B1 (ko) * 2019-05-29 2020-05-14 이하 재봉기용 회전북집
KR102511097B1 (ko) * 2021-01-18 2023-03-16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회전북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39B1 (ko) 2004-11-04 2005-03-14 윤경기 잔사를 감지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4369A (en) * 1943-09-13 1946-02-05 White Sewing Machine Corp Rotary loop taker for sewing machines
BE572732A (ko) * 1957-11-11
DE1911562B1 (de) * 1969-03-07 1970-01-15 Pfaff Ag G M Doppelsteppstich-Umlaufgreifer fuer Naehmaschinen
US3693566A (en) * 1971-04-23 1972-09-26 Singer Co Bobbin thread replenish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SE466105B (sv) * 1990-01-10 1991-12-16 Husqvarna Ab Anordning i symaskinsskyttel
JPH06292780A (ja) * 1993-04-05 1994-10-21 Wakasa Denki Sangyo Kk ミシン用ボビン及びボビンの糸切れ検出方法
JP2880647B2 (ja) * 1994-06-29 1999-04-12 ジューキ株式会社 ボビンケース
KR100453606B1 (ko) 1996-05-16 2005-05-1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기의보빈케이스및밑실보빈
JPH11197383A (ja) 1998-01-13 1999-07-27 Hirose Mfg Co Ltd ボビ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ミシンのかま
DE19840956C1 (de) * 1998-09-08 2000-02-24 Gerd Papajewski Umlaufender Greifer fü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n
JP3929458B2 (ja) * 2004-01-26 2007-06-1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DE102006009966A1 (de) * 2006-03-03 2007-09-06 Dürkopp Adler AG Fadenwickelgehäuse zum Einsatz in eine Gehäuseaufnahme eines um eine vertikale Achse drehbaren Greiferkörpers einer Nähmaschine
KR100888657B1 (ko) * 2007-08-24 2009-03-13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217444B1 (ko) * 2010-06-04 2013-01-02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39B1 (ko) 2004-11-04 2005-03-14 윤경기 잔사를 감지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66A (ko) * 2018-02-28 2019-09-05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WO2019168326A1 (ko) * 2018-02-28 2019-09-06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018598B1 (ko) 2018-02-28 2019-11-04 강소대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276467B1 (ko) * 2020-05-27 2021-08-11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WO2021242084A1 (ko) * 2020-05-27 2021-12-02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CN115087771A (zh) * 2020-05-27 2022-09-20 高丽盛特胡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CN115087771B (zh) * 2020-05-27 2023-11-21 高丽盛特胡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KR102543238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전진재봉 및 후진재봉에서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2543239B1 (ko) 2022-10-21 2023-06-14 고광옥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55A (ko) 2012-03-06
WO2012026749A3 (ko) 2012-05-18
EP2610385A2 (en) 2013-07-03
KR101253289B1 (ko) 2013-04-10
JP2013538093A (ja) 2013-10-10
CN103097600A (zh) 2013-05-08
KR20120019352A (ko) 2012-03-06
US20130160685A1 (en) 2013-06-27
US9217213B2 (en) 2015-12-22
KR20120019406A (ko) 2012-03-06
WO2012026749A2 (ko) 2012-03-01
KR101239312B1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280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JP2015078471A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用糸供給装置
KR101217444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CN106241495B (zh) 纱线卷取机以及纺纱机械
US1504241A (en) Bobbin housing for rotary-hook sewing machines
CN211570997U (zh) 一种缝纫机的机梭组件
KR101180154B1 (ko) 장시간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CN109487451B (zh) 一种具有储油腔的大容量旋梭及包含该旋梭的供油机构
KR101424287B1 (ko) 재봉틀 작동 중의 직물 공급을 위한 피이더
KR20140028339A (ko) 보빈캡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CN208684131U (zh) 粘胶长丝退绕机构
KR20110135005A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US34065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respinning, spinning and twisting
JP2011147759A (ja)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の構造
US20220220650A1 (en) Rotary shuttle for sewing machine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CN211198212U (zh) 一种纺织机械用纱筒装置
KR102543239B1 (ko) 퍼펙트 스티치의 솔기를 형성하는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US20120234223A1 (en) Sewing bobbi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CN210215725U (zh) 一种纺织用张力可控的储纬器
JP2013034494A (ja) ミシン用釜
KR20090081466A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