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981Y1 -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981Y1
KR200307981Y1 KR20-2002-0038498U KR20020038498U KR200307981Y1 KR 200307981 Y1 KR200307981 Y1 KR 200307981Y1 KR 20020038498 U KR20020038498 U KR 20020038498U KR 200307981 Y1 KR200307981 Y1 KR 200307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lower thread
hole
main body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8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재봉영역에 공급되도록 안내하고, 보빈의 역회전시에도 밑실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밑실의 감긴 량에 관계없이 단사가 방지되고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4)이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몸체(16) 일측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고정공(22) 및 조절공(26)이 형성된 후부(18a)와, 단부에 지지공(28)과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30)이 형성된 박부(18b)로 구분되며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밑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측부(18)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고정공(22) 및 조절공(26)에 대응하며 고정볼트(20) 및 조절볼트(24)가 해제 가능하게 관통되는 체결공(40) 및 조절공(42)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10)의 측부(18)에 형성된 지지공(2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4)과 상기 지지편(30)이 삽입되기 위한 장공(4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4)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편(30)과 함께 밑실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배출공(320)은 보빈(4)에서 풀려지는 밑실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제 1배출홈(321) 및 제 2배출홈(323)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320)에 밑실을 삽입하는 가이드홈(380)은 경사형성되고 밑실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변곡부(381)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홈(380)을 형성하는 측부(18)는 양쪽의 내측이 빗면(383)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BOBBIN CASE OF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고안은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재봉영역에 공급되도록 안내하고, 보빈의 역회전시에도 밑실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밑실의 감긴 량에 관계없이 단사가 방지되고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용, 가정용 또는 공업용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북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북 장치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1)에 장착되는 외측 북(2)과, 외측 북(2)에 수납되는 내측 북(3)과, 내측 북(30에 수납되며 밑실이 감겨져 있는 보빈(4)과, 보빈(4)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 케이스(5)를 구비한다. 한편, 최근에는 밑실을 많이, 또는 대량으로 감기 위해 양단에 2개의 단벽(4a,4b)이 구비되고 그 각각의 단벽(4a,4b) 사이에 굴곡홈을 갖는 구획벽(4c)이 설치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회전 북 장치의 구성에 따라, 재봉작업시 외측 북(2)과 내측 북(3)이 상대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보빈(4)에 감겨진 밑실이 풀려 나와 보빈 케이스(5)를 지나 외측 북(2)을 통해 재봉될 직물의 하부로 공급되어 그 직물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윗실에 꿰어져 직물이 재봉되는 것이다. 이때, 보빈 케이스(5)는 보빈(4)으로부터풀려 나오는 밑실을 외측 북(3) 또는 재봉영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빈 케이스(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보빈(4)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6)이 형성된 본체(7)와, 그 본체(7)의 배출공(6)을 통해 배출되는 밑실을 안내하고 또한 밑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판 스프링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8)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7)에는 배출공(6) 이외에 원형의 관통공(7a), 장방형의 지지공(7b), 고정공(7c) 및 조절공(7d)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부재(8)의 선단에는 상기 본체(7)의 관통공(7a)에 삽입되는 제 1지지편(8a)과, 본체(7)의 지지공(7b)에 삽입되는 제 2지지편(8b)이 형성되며, 또한 가이드부재(8)의 후단부에는 그 가이드부재(8)를 본체(7)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8c)과, 그 체결공(8c)의 근처에는 가이드부재(8)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공(8d)이 천공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각각의 지지체의 형성에 의해 각각의 지지체 사이에는 실제로 밑실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공(8c)에는 고정볼트(9a)가 관통되어 고정공(7c)에 체결 고정되며, 조절공(8d)에는 조절너트(9b)가 체결되어 있어 이를 조이거나 풀어 가이드부재(8)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보빈이 자수용인 경우에는 본체(7)의 제위치에는 실제적으로 밑실이 본체(7)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7)의 배출공(6)에는 밑실을 그 배출공(6) 내로 안내하기 위한 'ㄱ'자형의 홈(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보빈 케이스의 구성에 따라, 보빈으로부터 풀린 밑실은 본체(7)의 배출공으로부터 빠져나와 본체(7)의 측면과 가이드부재(8) 사이를 지나 본체(7)를빠져나가거나 또는 그 본체에 형성될 수 있는 출구를 통해 외측 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밑실은 실제적으로 가이드부재(8)의 제 2지지편(8a)과 제 2지지편(8b) 사이의 가이드홈을 통해 출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보빈 케이스(5)에서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본체(7)의 배출공(6)으로 빠져나가는 밑실은 그 본체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보빈의 구획벽의 범위내에 속하므로 밑실이 그 구획벽에 의해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 밑실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8)의 각각의 지지체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실제적인 가이드영역이 넓으므로 실의 이동 및 요동범위가 크게되어 본체의 출구를 향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밑실이 적절한 장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은 물론 밑실의 공급의 단속현상 및 단속음이 발생되어 재봉되는 물품의 제품성이 저하됨은 물론 운전의 정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배출공에 밑실을 끼우기 위한 홈이 굴곡되어 있어 보빈을 보빈 케이스에 설치할 때 밑실의 삽입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특허- 2000 - 0051167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기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본체(10)와, 그 본체(10)내의 보빈으로부터 풀려지는밑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2)로 구성되되,
본체(10)의 측부(18)에 형성되는 배출공(32)을 보빈에서 풀려지는 밑실의 위치에 따라 밑실이 선택적이며 필수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배출홈(34)과 그 제 1배출홈(34)에 대응하는 제 2배출홈(36)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홈으로 밑실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홈(38)이 배출공(32)과 연통하며 초기에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밑실의 선단을 그 배출공(32)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대각선형으로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배출홈(34)(35)이 보빈(4)의 구획벽(4c)의 회전범위를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이 배출홈(34,36)을 통과하는 밑실이 회전중인 보빈(4)의 구획벽(4c)에 접촉되는 것이 회피됨으로 보빈의 구획벽에 의하여 밑실이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밑실이 제한된 범위의 가이드부재의 고정편과 본체의 지지편사이로 한정된 밑실 통로를 통해 빠져나가 항상 최적의 방향 및 장력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실시중에 몇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상기 가이드홈(38)이 대각선, 사선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빈의 역회전시 밑실이 벗겨져 탈거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점과,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양측 두께부가 수직형성됨으로써 보빈에 밑실이 많이 감기는 경우 밑실의 가이드홈 통과시 밀실이 급격하게 꺾여짐으로 여기에서 단사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으로부터 본체를 통해 빠져나가는 밑실의 손상 및 절단이 방지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배출공을 빠져나가는 밑실이 본체내에서 회전하는 보빈의 구획벽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용 보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밑실이 가이드부재로부터 최적의 범위내에서 최적의 장력으로 빠져나가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북으로의 밑실의 공급이 항상 일정하고 정숙하게 운전될 수 있으며 재봉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틀용 회전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에 감겨진 밑실이 선단부를 배출공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의 역회전시에도 밑실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밑실의 감긴 량에 관계없이 단사가 방지되고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 기술의 보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 상세도
도 6은 도 4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7의 도 6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의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10: 본체 12: 가이드부재
16: 몸체 18: 측부
22: 고정공 26: 조절공
28: 지지공 30: 지지편
320: 배출공 380: 가이드홈
381: 변곡부 383: 빗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는,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몸체 일측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고정공 및 조절공이 형성된 후부와, 단부에 지지공과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된 박부로 구분되며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밑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측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공 및 조절공에 대응하며 고정볼트 및 조절볼트가 해제 가능하게 관통되는 체결공 및 조절공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지지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지지편이 삽입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편과 함께 밑실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은 보빈에서 풀려지는 밑실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제 1배출홈 및 제 2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에 밑실을 삽입하는 가이드홈은 경사형성되고 밑실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변곡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측부는 양쪽의 내측이 빗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 상세도, 도 6은 도 4의 결합상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본체(10)와, 그 본체(10)내의 보빈으로부터 풀려지는 밑실(T)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4)이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몸체(16) 일측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고정공(22) 및 조절공(26)이 형성된 후부(18a)와, 단부에 지지공(28)과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30)이 형성된 박부(18b)로 구분되며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밑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측부(18)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2)는 상기 본체(10)의 고정공(22) 및 조절공(26)에 대응하며 고정볼트(20) 및 조절볼트(24)가 해제 가능하게 관통되는 체결공(40) 및 조절공(42)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10)의 측부(18)에 형성된 지지공(2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4)과 상기 지지편(30)이 삽입되기 위한 장공(4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4)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편(30)과 함께 밑실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측부(18)에 형성되는 배출공(320)은 보빈(4)에서 풀려지는밑실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제 1배출홈(321) 및 제 2배출홈(323)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320)에 밑실을 삽입하는 가이드홈(380)은 경사형성되고 밑실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변곡부(38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80)의 변곡부(381)는 보빈의 역회전시 밑실이 배출공으로 오버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홈(380)에 형성되는 변곡부(381)는 가이드홈의 대략 중간부(381a)와 상기 배출공의 유입부 직전(381b) 2개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380)을 형성하는 측부(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내측이 빗면(383)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빗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양쪽 내측은 밑실이 많이 감긴 경우에도 가이드홈(380)으로 배출되는 밑실의 꺾임이 최소화되어 밑실과 측부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 밑실의 단사현상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100)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예컨대, 사용자가 재봉틀을 작동시켜 이용하며 재봉작업을 실행하며 회전 북 장치의 보빈(4)으로부터 풀려지는 밑실은 본체(10)의 배출공(3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공(32)을 통과하는 밑실은 보빈(4)으로부터 풀려지는 위치에 따라 제 1배출홈(321)) 또는 제 2배출홈(323))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밑실이 보빈(4)의 구획벽(4c)의 회전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밑실이 그 구획벽(4c)에 접촉되는 것이 완전 방지되므로 밑실의 손상 또는 절단이 완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320)의 각각의 배출홈들 중 하나의 배출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밑실은 본체(10)의 측부(18)의 박부(18b)와 가이드부재(12) 사이를 지나 가이드부재(12)의 고정편(44)과 본체(10)의 측부(18)의 박부(18b)에 형성된 지지편(30) 사이에 형성되는 밑실통로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밑실은 배출공(320)의 범위 내에서만 또는 제한된 고정편과 지지편에 의한 밑실 통로의 범위 내에서만 빠져나가므로 재봉영역을 향해 직선적으로 또는 최적의 경사각을 이루며 빠져나가므로 밑실(T)은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밑실의 장력은 조절볼트(24)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2)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용들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과 일치하는 것들이다.
여기에 본 고안의 상기 가이드홈(380)에 형성된 변곡부(381)는 회전북 장치의 역회전시 보빈에 감긴 밑실(T)의 과유입을 차단한다. 따라서 밑실의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고, 밑실이 가이드홈(380)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역회전으로 인한 밑실(T) 벗겨짐이 차단된다.
한편, 밑실(T)이 보빈으로부터 풀려나 가이드홈(380)을 통하여 재봉영역으로 배출되는 라인이 가이드홈의 일측벽에서 꺾이게 되는데 이 때, 보빈(4)에 실이 적게 감긴 경우에는 꺾임각이 완만하여 문제가 없지만 실이 많이 감기는 경우 꺾임각이 급격하게 되어 이 지점에서의 마찰로 인하여 단사가 발생된다.
상기 가이드홈(380) 내측에 형성된 빗면(383)은 보빈(4)에 밑실(T)이 많이감겨진 경우에도 이러한 밑실 배출시의 꺾임각도를 완화시켜 줌으로써 밑실의 단사현상을 방지하게 된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보빈으로부터 풀리는 밑실이 손상되거나 절단되지 않고 보빈 케이스를 통해 최적의 방향 및 장력으로 빠져나가 재봉영역으로 공급됨으로써 재봉작업을 원활하게 할뿐만 아니라 보빈의 역회전시에도 밑실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는,
보빈에 감겨진 밑실이 빠져나올 때 보빈의 구획벽에 접촉되는 것이 완전하게 회피되어 그 밑실이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밑실이 제한된 범위의 가이드부재의 고정편과 본체의 지지편사이로 한정된 밑실 통로를 통해 빠져나가 항상 최적의 방향 및 장력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보빈의 역회전시에도 밑실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밑실의 감긴 량에 관계없이 단사가 방지되고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3)

  1.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4)이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몸체(16) 일측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고정공(22) 및 조절공(26)이 형성된 후부(18a)와, 단부에 지지공(28)과 밑실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30)이 형성된 박부(18b)로 구분되며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밑실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측부(18)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고정공(22) 및 조절공(26)에 대응하며 고정볼트(20) 및 조절볼트(24)가 해제 가능하게 관통되는 체결공(40) 및 조절공(42)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10)의 측부(18)에 형성된 지지공(28)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4)과 상기 지지편(30)이 삽입되기 위한 장공(4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4)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편(30)과 함께 밑실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배출공(320)은 보빈(4)에서 풀려지는 밑실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제 1배출홈(321) 및 제 2배출홈(323)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공(320)에 밑실을 삽입하는 가이드홈(380)은 경사형성되고 밑실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변곡부(381)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80)을 형성하는 측부(18)는 양쪽의 내측이 빗면(383)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측부(18)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80)은 상기 변곡부(381)가 2개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KR20-2002-0038498U 2002-12-26 2002-12-26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KR200307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98U KR200307981Y1 (ko) 2002-12-26 2002-12-26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98U KR200307981Y1 (ko) 2002-12-26 2002-12-26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981Y1 true KR200307981Y1 (ko) 2003-03-19

Family

ID=4933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498U KR200307981Y1 (ko) 2002-12-26 2002-12-26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9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132A2 (ko) * 2012-08-28 2014-03-06 Kang So Dae 보빈캡
KR101519484B1 (ko) * 2013-11-29 2015-05-12 소윙테크 주식회사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132A2 (ko) * 2012-08-28 2014-03-06 Kang So Dae 보빈캡
WO2014035132A3 (ko) * 2012-08-28 2014-05-08 Kang So Dae 보빈캡
KR101519484B1 (ko) * 2013-11-29 2015-05-12 소윙테크 주식회사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WO2015080412A1 (ko) * 2013-11-29 2015-06-04 소윙테크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979B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TR199802755A2 (xx) Elektronik olarak kontrollü şablon çözgü tezgahı.
KR200307981Y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US7013526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changing a blade
KR100250384B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KR200219042Y1 (ko) 재봉틀용 보빈
KR200222005Y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KR100204270B1 (ko) 단추생크부 감침장치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US4640090A (en) Fiber conducting channel of an OE friction spinning device
KR101519484B1 (ko) 밑실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0562713B1 (ko)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JP2004507299A (ja) ミシン用回転釜装置のボビンケース
KR200348493Y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521246B1 (ko) 밑실량을 늘린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JPH08257277A (ja) ミシンの上糸供給装置
KR100961154B1 (ko) 단사 방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JP2005160942A (ja) ミシン用ボビンケース
JP2000063041A (ja) 糸弛み取り装置
JPH10245727A (ja) 四重撚糸機
KR20090081466A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JP4294830B2 (ja) テープ緊張具を備えた塗膜転写具用カートリッジ
KR200353718Y1 (ko) 밑실량을 늘린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20028822A (ko) 이중 체인 재봉 미싱
JPH04244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