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493B1 - 끈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끈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493B1
KR102591493B1 KR1020170012538A KR20170012538A KR102591493B1 KR 102591493 B1 KR102591493 B1 KR 102591493B1 KR 1020170012538 A KR1020170012538 A KR 1020170012538A KR 20170012538 A KR20170012538 A KR 20170012538A KR 102591493 B1 KR102591493 B1 KR 10259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ring
fixing lever
pressing memb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028A (ko
Inventor
전효석
Original Assignee
전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효석 filed Critical 전효석
Priority to KR102017001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493B1/ko
Priority to US16/478,318 priority patent/US10813411B2/en
Priority to PCT/KR2018/001124 priority patent/WO2018139873A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절 장치는 신발 또는 의류에 구비되는 끈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끈이 삽입되는 끈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버;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 레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양쪽에서 당기고 묶는 것과는 다르게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의류, 신발에 마련된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끈 조절 장치{STRING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끈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또는 의류에 구비되는 끈을 조절하기 위한 끈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신발 등과 같은 제품에는 착용자의 사이즈 또는 취향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끈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의류, 신발 등과 같은 제품에 부착된 끈은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끈을 묶는다. 이때, 사용자는 취향에 맞게 끈을 단단하게 묶어 고정시킬 수도 있고, 끈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양쪽에서 당겨 조이고 매듭을 지어 의류, 신발 등에 대해 고정시킨다.
한편, 어린이와 같은 노약자들은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묶는 것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어린이의 의류, 신발 등에 마련된 끈을 묶어 주거나 풀리지 않도록 별도의 끈 묶는 방법을 이용하여 끈을 고정시키고 길이를 조절한다.
그러나,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별도의 방법을 사용하여 묶거나 여러 번 묶더라도 끈이 의류, 신발 등에 대해 단단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어린이의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이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여 풀리게 될 경우에는 고정되지 못하고 풀려버린 끈을 어린이가 밟거나 걸려서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별도로 끈을 묶는 방법은 어린이 등과 같은 노약자가 사용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끈을 잘못 묶게 되면 필요한 경우에 의류, 신발 등을 신거나 벗는 것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3590호 (발명의 명칭: 신발끈 결속장치, 등록일: 2003.08.05)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고, 의류, 신발 등에 대해 끈이 풀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끈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발 또는 의류에 구비되는 끈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끈이 삽입되는 끈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버;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 레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끈 조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버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끈에 대한 상기 고정 레버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누름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끈 삽입구는 좌우 한 쌍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끈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끈 인출구와, 상기 끈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끈을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제2 끈 삽입구와, 상기 제2 끈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다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제2 끈 인출구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이 안착되어 상기 고정 레버의 가압에 대해 상기 끈을 지지하는 끈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고정 레버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누름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버는 상하/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끈은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된 상기 고정 레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누름 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고정 레버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고정 레버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누름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 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 레버의 외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누름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누름 부재의 누름 조작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양쪽에서 당기고 묶는 것과는 다르게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의류, 신발에 마련된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는, 의류, 신발의 끈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어서 의류, 신발로부터 끈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끈 조절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끈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끈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200)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200)는 의류, 신발 등에 구비되는 끈에 장착되어 끈의 길이를 조절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조절 장치(100)(200)는 신발(1)에 구비된 끈(2)이 삽입되어 끈(2)을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의류, 신발 등으로부터 끈(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끈(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참고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끈 조절 장치(100)(200)가 신발(1)에 구비된 끈(2)에 장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신발(1)뿐만 아니라 의류, 액세서리 등 끈이 구비되는 제품에는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는 신발 또는 의류에 구비되는 끈(2)이 삽입되는 끈 삽입구(111)가 형성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끈(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버(120) 및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고정 레버(120)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끈(2)을 가압하도록 고정 레버(12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24)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의 케이스(case)로, 후술할 고정 레버(120), 탄성 부재(124) 및 누름 부재(130) 등이 장착된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신발 또는 의류에 구비되는 끈(2)이 삽입된다. 다시 말해서, 끈(2)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끈 삽입구(111)는 하우징(110)에 형성되고, 끈 삽입구(111)로 끈(2)이 삽입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끈(2)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끈 삽입구(111)는 하우징(110)의 후면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끈 인출구(112)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후면에 마련된 한 쌍의 끈 삽입구(111) 중 좌측에 마련된 끈 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된 끈(2)은 하우징(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하우징(110)의 후면에 마련된 한 쌍의 끈 삽입구(111) 중 우측에 마련된 끈 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된 끈(2)은 하우징(110)의 좌측면에 형성된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러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조절 장치(100)를 통과한 끈(2)은 직선 형태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각각 삽입된 끈(2)은 교차되어 좌우에 한 쌍으로 마련된 끈 인출구(112)를 통해 각각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는 제2 끈 삽입구(114) 및 제2 끈 인출구(116)를 더 포함한다. 제2 끈 삽입구(114)는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 끈(2)을 다시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제2 끈 인출구(116)는 제2 끈 삽입구(114)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끈(2)을 다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끈 삽입구(114)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2 끈 인출구(116)는 하우징(110)의 하면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한 쌍의 끈 인출구(112)를 통해 인출된 각각의 끈(2)은 제2 끈 삽입구(114)를 통해 다시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한 쌍의 제2 끈 삽입구(114)는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각각의 끈(2)은 한 쌍의 제2 끈 인출구(116)를 통해 다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러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1)의 끈(2)이 끈 삽입구(111), 끈 인출구(112), 제2 끈 삽입구(114) 및 제2 끈 인출구(116)를 차례로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리본(ribbon) 형태가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레버(120)는 끈(2)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부재이다. 고정 레버(120)는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에 삽입된 끈(2)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레버(120)는 하우징(110) 내에 마련된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고정 레버(120)는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참고로, 고정 레버(120)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는 하우징(110)의 크기 및 고정 레버(1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조절 장치(100)는 끈 지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끈 지지부(140)는 하우징(110)의 내에 마련되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 끈(2)이 안착되며, 고정 레버(120)의 가압에 대해 끈(2)을 지지한다.
이러한, 끈 지지부(140)는 금속(metal), 플라스틱(plastic)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끈 지지부(140)의 일면은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e)과 같은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끈 지지부(140)로 안착되는 끈(2)과 마찰되어 끈(2)이 미끄러지지 않고 끈 지지부(140)에 안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참고로,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마련된 끈 지지부(140)는 고정 레버(120)가 끈(2)을 가압할 때 고정 레버(120)의 완충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레버(120)는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고, 탄성 부재(124)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24)는 고정 레버(12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 부재(124)는 고정 레버(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일종의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탄성 부재(124)는 탄성을 가지는 예컨대 스프링(spring)으로 마련되어 스프링 자체의 복원력 또는 탄성력을 고정 레버(120)로 제공한다.
한편, 탄성 부재(124)는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고정 레버(120)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24)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고정 레버(120)와 접촉된다. 참고로,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접촉되는 탄성 부재(124)의 일단부는 별도의 지지 플레이트(125)를 매개로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접촉된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25)는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25)와 접촉되는 탄성 부재(124)는 하우징(110)이 내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고, 고정 레버(120)도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는 끈(2)에 대한 고정 레버(120)의 가압을 해제하는 누름 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누름 부재(130)는 고정 레버(120)와 인접한 위치의 하우징(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누름 부재(130)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버튼(button) 형태로 마련되며,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누름 부재(130)가 눌리면 고정 레버(120)도 눌리고, 고정 레버(120)가 눌리면서 일 방향으로 회동되어 끈(2)에 대한 고정 레버(120)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때, 누름 부재(130)는 고정 레버(120)에 제공되는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고정 레버(120)도 제공받는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한편, 고정 레버(120)는 누름 부재(13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때,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고정 레버(120) 각각은 동일한 형태 및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 레버(120)는 한 쌍의 고정 레버(120) 각각에 마련된 탄성 부재(124)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레버(120), 탄성 부재(124), 누름 부재(130) 등의 부품들이 위치되고 난 후에, 하우징(110)의 일면에 하우징 커버(117)가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 커버(117)는 하우징(110)을 덮는 덮개로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된 부품들을 보호한다. 이때, 하우징 커버(117)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홈(115)에 끼워져서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커버 고정부(150)를 통해 하우징(110)과 하우징 커버(117)의 결합을 단단하게 한다.
참고로, 하우징 커버(117)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끈(2)이 삽입된 후에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도 있고, 끈(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끈 조절 장치(1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의류 또는 신발 등의 끈(2)을 하우징(110)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로 삽입하고, 끈 인출구(112)로 끈(2)이 인출되도록 한다.
의류 또는 신발로부터 끈(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누름 부재(130)를 누른다. 이때, 누름 부재(130)가 눌리면, 누름 부재(130)와 인접하게 마련된 고정 레버(120)도 눌리게 된다.
고정 레버(120)는 누름 부재(130)에 의해 눌려지면서 동시에 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고정 레버(120)는 탄성 부재(124)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고정 레버(120)가 탄성 부재(124)에 의해 제공받는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 고정 레버(120)와 끈(2)의 접촉이 해제되어 끈(2)에 대한 고정 레버(120)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때, 끈(2)에 대한 고정 레버(120)의 가압이 해제되면, 끈(2)과 고정 레버(120) 사이에 간격(d1)형성된다.
사용자는 끈(2)과 고정 레버(120) 사이에 형성된 간격(d1)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끈(2)을 풀거나 당김으로써 끈(2)의 길이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한다. 참고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된 끈(2)이 너무 길거나, 끈(2)을 의류 또는 신발에 대해 예쁘게 묶고자 할 경우에는 끈 인출구(112)로 인출된 끈(2)을 제2 끈 삽입구(114)로 삽입하고, 제2 삽입구(114)로 삽입된 끈(2)을 제2 인출구(116)로 인출되도록 하여 끈(2)이 리본(ribbon)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끈 조절 장치(100-1, 100-2, 100-3)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의 변형예로써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1)은 원형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하우징(110)은 사각형의 형태로 마련되지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1)은 원형의 형태로 마련된다. 하우징(110-1)이 원형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고정 레버(120) 및 누름 부재(13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고정 레버(120) 및 탄성 부재(124), 누름 부재(130)와 그 기능은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누름 부재(130)가 하우징(110-2) 내에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고정 레버(120)도 하우징(110-2) 내에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때, 고정 레버(120)는 하우징(110-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 누름 부재(13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2) 내에는 총 네 개의 고정 레버(120)가 마련된다.
여기서, 끈(2)이 하우징(110-2)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되면 끈(2)은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고정 레버(120)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마련된 고정 레버(120)와 하측에 마련된 고정 레버(120)에 의해 끈(2)이 가압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110-2)에는 끈 지지부(140)가 마련되지 않는데, 상측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 레버(120) 및 하측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 레버(120)가 끈 지지부(140)의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끈(2)과 접촉되는 고정 레버(120)의 일단부에는 별도의 마찰 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끈(2)와 고정 레버(120) 간의 접촉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10-2)에 형성된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2) 내로 삽입된 끈(2)은 하우징(110-2)에 형성된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2)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하우징(110-2)에는 상술한 제2 끈 삽입구(114) 및 제2 끈 인출구(116)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끈 인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2)의 외부로 인출된 끈(2)은 다시 하우징(110-2) 내로 삽입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124-3)는 누름 부재(13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고정 레버(120) 사이에 마련된다.
탄성 부재(124-3)는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탄성 부재(124-3)의 일단부는 좌측에 위치된 고정 레버(12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우측에 위치된 고정 레버(120)과 연결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1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124-3)가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120) 사이를 연결하여 당겨줌으로써 고정 레버(120)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정 레버(120)는 누름 부재(130)에 의해 눌리기 전까지 탄성 부재(124)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여기서, 탄성 부재(124-3)는 일반적인 스프링(spring)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좌우 한 쌍의 고정 레버(12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양단부에 고리가 마련된 스프링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200)는 의류 또는 신발의 끈(2)이 삽입되는 끈 삽입구(111)가 형성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는 끈(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버(220) 및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고정 레버(220)가 하우징(210) 내에 삽입된 끈(2)을 가압하도록 고정 레버(22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200)는 하우징(210), 고정 레버(220), 탄성 부재(234) 및 누름 부재(230)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준용하기로 한다.
누름 부재(230)는 하우징(2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고정 레버(220)는 누름 부재(23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탄성 부재(234)는 누름 부재(2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 즉, 누름 부재(230)의 길이 방향 또는 누름 부재(230)의 누름 조작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부재(234)는 하우징(210)의 내측벽과 누름 부재(230)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부재(230)를 통해 고정 레버(220)에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234)는 고정 레버(220)로 고정 레버(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일종의 기계 요소일 수 있다. 참고로, 고정 레버(220)에 전달되는 동력은 탄성 부재(234)의 탄성력을 의미한다.
또한, 탄성 부재(234)가 누름 부재(230)의 하단에 배치될 때, 탄성 부재(234)는 누름 부재(230)의 하단부에 마련된 돌기 부재(미도시)와 하우징(210)의 바닥면 중앙 영역에 마련된 결합 부재(213)에 끼워져서 누름 부재(230)와 하우징(210)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230)를 통해 탄성 부재(234)의 탄성력이 고정 레버(220)에 전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234)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 레버(120)에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누름 부재(230)를 매개로 하여 고정 레버(220)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234)는 누름 부재(230)와 하우징(210)의 내측벽 사이에 1개만 설치되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하우징(1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하우징(2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100) 보다 컴팩트(compact) 한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누름 부재(230)는 고정 레버(220)와 맞물려 결합된다. 이때, 누름 부재(230)의 외면 및 고정 레버(220)의 외면에는 기어치(gear teeth), 턱, 키-키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돌출 부재들이 마련되어 누름 부재(230)와 고정 레버(220)가 맞물리도록 한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 부재(230)의 외면 및 고정 레버(220)의 외면에는 기어치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되어 누름 부재(230)와 고정 레버(230)가 안정적으로 맞물려 치합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누름 부재(230)에는 치형이 형성되지 않고 누름 부재(230)의 하단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레버(220)의 외면 즉, 외주면의 전체에 치형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누름 부재(230)와 맞물리는 일부분에만 치형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10)에 형성된 끈 인출구(212)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마련된 끈 인출구(112) 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고정 레버(2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레버(120)와는 다르게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로 배치되어 누름 부재(230)와 맞물리게 된다. 때문에 끈 인출구(212)를 상하 방향으로 크게 마련하지 않으면 끈(2)에 대한 고정 레버(220)의 가압이 완전히 해제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지지부(240)는 평평한 판(plat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끈 지지부(240)의 양단부에는 끈(2)이 안착되고 안착된 끈(2)을 가압하는 고정 레버(220)가 위치되며, 끈 지지부(240)의 중앙 영역에는 탄성 부재(234)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끈 지지부(240)의 중앙 영역에는 결합 부재(213)가 형성된다. 참고로, 끈 지지부(240) 중앙 영역의 단차는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탄성 부재(234)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210)의 내부에 고정 레버(220), 탄성 부재(234) 및 누름 부재(230) 등의 끈 조절 장치(220)를 구동하기 위한 부품들이 위치되고 난 후에 하우징(210)의 전면에 하우징 커버(미도시)가 결합홈(215)을 통해 결합된다. 참고로, 하우징(210)에 끈(2)을 삽입한 후에 하우징 커버를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도 있고, 끈(2)이 하우징(210)에 삽입되기 전에 하우징 커버를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끈 조절 장치(2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의류, 신발 등의 끈(2)을 하우징(210)의 끈 삽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로 삽입하고, 끈 인출구(212)를 통해 끈(2)이 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우징(210) 내로 삽입된 끈(2)은 고정 레버(2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끈(2)의 일부가 하우징(210)의 외부로 인출되면 끈(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누름 부재(230)를 누른다. 이때, 누름 부재(230)가 눌리면 누름 부재(230)와 맞물리게 결합된 고정 레버(220)가 눌리면서 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고정 레버(220)는 누름 부재(230)가 눌리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고정 레버(220)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끈(2)에 대한 고정 레버(220)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때, 끈(2)에 대한 고정 레버(220)의 가압이 해제되면, 끈(2)과 고정 레버(220) 사이에 간격(d2)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끈(2)과 고정 레버(220) 사이에 형성된 간격(d2)을 이용하여 끈(2)을 풀거나 당겨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끈(2)의 길이를 조절한다. 참고로, 하우징(210)의 외부로 인출된 끈(2)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끈(2)을 의류 또는 신발에 대해 예쁘게 묶고자 할 경우에는 끈 인출구(212)로 인출된 끈(2)을 제2 끈 삽입구(114)로 삽입하고, 제2 끈 삽입구(114)로 삽입된 끈(2)을 제2 끈 인출구(116)로 인출되도록 하여 끈(2)이 리본(ribbon)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의류, 신발 등에 부착된 끈을 양쪽에서 당기고 묶는 것과는 다르게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의류, 신발에 마련된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끈 조절 장치는, 의류, 신발의 끈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있어서 의류, 신발로부터 끈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신발 2: 끈
100, 200: 끈 조절 장치 110, 210: 하우징
111: 끈 삽입구 112, 212: 끈 인출구
114: 제2 끈 삽입구 116: 제2 끈 인출구
120, 220: 고정 레버 122, 222: 회동축
124, 234: 탄성 부재 130, 230: 누름 부재
140, 240: 끈 지지부
150: 커버 고정부

Claims (12)

  1. 신발에 구비되는 끈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끈이 삽입되는 끈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끈 삽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끈 인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버;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 레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끈 삽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끈 인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기 끈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끈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 레버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끈에 대한 상기 고정 레버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누름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 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단부에 마련된 돌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의 바닥면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되고,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고정 레버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누름 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 레버의 외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고정 레버는 상기 기어 치형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끈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끈을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제2 끈 삽입구와, 상기 제2 끈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을 다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제2 끈 인출구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끈이 안착되어 상기 고정 레버의 가압에 대해 상기 끈을 지지하는 끈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절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12538A 2017-01-26 2017-01-26 끈 조절 장치 KR10259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8A KR102591493B1 (ko) 2017-01-26 2017-01-26 끈 조절 장치
US16/478,318 US10813411B2 (en) 2017-01-26 2018-01-25 Lace adjustment device
PCT/KR2018/001124 WO2018139873A1 (ko) 2017-01-26 2018-01-25 끈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8A KR102591493B1 (ko) 2017-01-26 2017-01-26 끈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28A KR20180088028A (ko) 2018-08-03
KR102591493B1 true KR102591493B1 (ko) 2023-10-18

Family

ID=6297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38A KR102591493B1 (ko) 2017-01-26 2017-01-26 끈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3411B2 (ko)
KR (1) KR102591493B1 (ko)
WO (1) WO2018139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9108B2 (en) * 2017-05-31 2023-01-24 Nike, Inc. Automated footwear lacing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CN109820282A (zh) * 2018-12-17 2019-05-31 苏宣维 多功能鞋带固定调整装置
KR102176243B1 (ko) * 2020-04-22 2020-11-09 이동훈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US11910880B1 (en) * 2021-03-23 2024-02-27 Alexander Perkins Lace loc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01Y1 (ko) * 2000-12-27 2001-06-15 권혁수 목걸이 줄의 걸이 위치 조절장치.
KR200317479Y1 (ko) *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1903A (en) * 1923-04-09 1924-01-29 Alonzo W Pangborn Shoe-lacing device
US2315196A (en) * 1941-01-16 1943-03-30 Samuel J Gallione Container holding mechanism
US5097573A (en) * 1987-10-30 1992-03-24 Gimeno Carlos V M Fastening device for lace-up shoes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6896128B1 (en) * 1998-03-26 2005-05-24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7661205B2 (en) * 1998-03-26 2010-02-16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KR200314693Y1 (ko) * 2003-03-04 2003-05-2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KR200323590Y1 (ko) 2003-05-27 2003-08-19 김기환 신발끈 결속장치
EP1843677B1 (en) * 2005-11-15 2009-01-14 TECNICA SpA Shoe with directional conditioning device for laces or the like
FR2896384B1 (fr) * 2006-01-25 2008-07-04 Salomon Sa Dispositif de blocage de brins souples
FR2941355B1 (fr) * 2009-01-29 2011-03-25 Salomon Sas Dispositif de blocage de brins souples
US8371004B2 (en) * 2009-09-18 2013-02-12 Daniel A. Huber Universal lace/cord lock system
US8332994B2 (en) * 2009-10-27 2012-12-18 Jih-Liang Lin Shoelace with shoelace fastener
KR20110009740U (ko) 2010-04-07 2011-10-13 이상욱 신발끈 조임구
KR101471179B1 (ko) * 2014-08-11 2014-12-09 (주)돌래 끈 결속장치
KR101768182B1 (ko) * 2015-06-26 2017-08-30 신병민 신발끈 자동 조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01Y1 (ko) * 2000-12-27 2001-06-15 권혁수 목걸이 줄의 걸이 위치 조절장치.
KR200317479Y1 (ko) *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0446A1 (en) 2019-12-19
KR20180088028A (ko) 2018-08-03
WO2018139873A1 (ko) 2018-08-02
US10813411B2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493B1 (ko) 끈 조절 장치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US6735829B2 (en) U-shaped lace buckle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KR100720653B1 (ko)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US20090172929A1 (en) Device for tying shoelaces
KR101832924B1 (ko)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US20180132567A1 (en) Shoestring tightening device
KR20100022600A (ko) 끈 조임 장치
KR200313808Y1 (ko) 신발끈 고정구
US20180220744A1 (en) Footwear retainer
KR101614858B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KR102047331B1 (ko) 엄지 발가락 교정구
KR200467782Y1 (ko) 헬스사이클용 발 이탈방지장치
CN205624763U (zh) 鞋子连接装置
JPH09168408A (ja) スポーツ用具又はスポーツ靴の締付け固定部材の開放装置
KR20170098831A (ko) 매듭의 필요성을 없애주고 끈을 차단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장치
EP3763239B1 (en) Ornament clamp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JP2019088540A (ja) 多段階開閉甲バンドを有する履物
TWI252741B (en) String tying device
US1265214A (en) Collar-clasp.
US20220013037A1 (en) Shoe Tying Device
KR101703169B1 (ko) 신발끈 끈조절기를 이용한 풋배드 높이조절 신발
JP6167366B2 (ja) 紐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