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740U - 신발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740U
KR20110009740U KR2020100003633U KR20100003633U KR20110009740U KR 20110009740 U KR20110009740 U KR 20110009740U KR 2020100003633 U KR2020100003633 U KR 2020100003633U KR 20100003633 U KR20100003633 U KR 20100003633U KR 20110009740 U KR20110009740 U KR 20110009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front plate
space
pressing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상욱
Priority to KR2020100003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740U/ko
Publication of KR20110009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 신발끈 조임구는 전면판 및 후면판의 좌,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판 및 후면판을 상호 연결하며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을 갖는 측면부, 전면판 및 후면판의 중앙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의 내부 공간을 좌, 우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며 좌, 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을 갖는 중앙 연결부, 제1 공간 및 제2 공간측에 배치되게 전면판 좌, 우측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 구멍을 포함하는 본체; 체결축을 가지며 체결 구멍에 체결축이 삽입되어 본체의 좌, 우측에 체결되고 체결 구멍을 따라 승, 하강되는 복수의 누름편; 누름편과 체결되어 본체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 내에 위치하고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기어이를 가지며 누름편과 함께 승, 하강되는 복수의 가압편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에 설치한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신발끈을 풀거나 묶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신발끈을 상, 하로 당기는 과정만으로 신발끈을 신발에 조이거나 풀어서 신발을 벗거나 착용할 수 있으며, 신발끈이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되며, 동물 등의 캐릭터 형상으로 제작하여 신발의 장신구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구{shoestring clamp}
본 고안은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끈을 간편하게 신발에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의 대부분은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을 착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을 착용할 때 신발끈을 신발에 조이고 신발끈을 나비 매듭 등으로 묶는 과정으로 신발을 착용한다. 반대로 신발을 벗을 때에는 묶여진 신발끈을 풀어서 신발을 벗는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는 과정이 매우 번거러웠다.
이러한 번거러운 과정을 해소하기 위해 신발끈을 신발에 느슨하게 조인 상태로 신발을 착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상태로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하게 되면 신발 내부 바닥이 발바닥에서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보행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에 설치한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신발끈을 풀거나 묶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신발끈을 상, 하로 당기는 과정만으로 신발끈을 신발에 조이거나 풀어서 신발을 벗거나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전면판 및 후면판의 좌,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상호 연결하며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을 갖는 측면부, 상기 전면판 및 상기 후면판의 중앙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의 내부 공간을 좌, 우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며 좌, 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을 갖는 중앙 연결부,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측에 배치되게 상기 전면판 좌, 우측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 구멍을 포함하는 본체; 체결축을 가지며 상기 체결 구멍에 상기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좌, 우측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구멍을 따라 승, 하강되는 복수의 누름편; 상기 누름편과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 위치하고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기어이를 가지며 상기 누름편과 함께 승, 하강되는 복수의 가압편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구멍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 구멍의 중심 좌, 우측에서 상호 이웃하여 상기 누름편의 승, 하강시 상기 누름편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편; 상기 전면판의 상단 좌, 우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 결속 구멍을 갖는 끈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상기 중앙 연결부와 상기 전면판 또는 상기 후면판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중앙 연결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고 좌, 우측 단부가 상향 경사져서 상기 체결축 둘레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편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 의하면,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에 설치한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신발끈을 풀거나 묶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신발끈을 상, 하로 당기는 과정만으로 신발끈을 신발에 조이거나 풀어서 신발을 벗거나 착용할 수 있으며, 신발끈이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되며, 동물 등의 캐릭터 형상으로 제작하여 신발의 장신구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 신발끈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체(10), 누름편(20), 가압편(30)으로 대분된다.
본체(10)는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을 가지며,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의 좌, 우측에는 측면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이 상호 연결되고,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의 내면 중앙에는 전면판(11) 및 후면판(14) 사이의 내부 공간을 좌, 우의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으로 구획하는 중앙 연결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부(15)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15a)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연결부(16)의 좌, 우 측면에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판(11)의 좌, 우측 중앙에는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측에 배치되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구멍(12)은 전면판(11) 좌, 우측의 중앙에 위치하며 후술할 누름편(20)이 체결되기 위한 삽입부(12a), 삽입부(12a)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부(12a)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장부(12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체결 구멍(12)의 내측에는 복수의 가이드편(13)이 형성된다. 가이드편(13)은 체결 구멍(12) 내측의 연장부(12b) 상단에서 삽입부(12a)를 향하여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삽입부(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서 상호 이웃하여 체결 구멍(12)에 체결되는 후술할 누름편(20)의 승, 하강시 누름편(20)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편(13)의 사이 간격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또한, 본체(10)의 전면판(11) 상단의 좌, 우측에는 신발끈(40)을 본체(10)에 삽입하여 매듭을 형성할 때, 매듭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신발끈(40)이 삽입되기 위한 결속 구멍(17a)을 갖는 끈 결속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누름편(20)은 헤드부(21) 및 헤드부(21)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축(22)으로 이루어지고, 체결축(22)이 본체(10) 전면판(11)의 체결 구멍(12)의 삽입부(12a)에 삽입되어 본체(10)의 좌, 우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누름편(20)은 체결 구멍(12) 내에서 상, 하로 승, 하강되는데, 승, 하강시 체결축(22)이 체결 구멍(12) 내에 형성된 두 가이드편(13) 사이로 진입되어 가이드된다.
복수의 가압편(30)은 중앙에 구멍(32)을 가지며, 구멍(32)이 누름편(20)의 체결축(22)과 체결되어 복수의 누름편(20)과 체결되고, 본체(10) 내부의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 내에 각각 수용된다.
그리고 가압편(30)의 외주면 둘레에는 다수의 기어이(31)를 가지며, 기어이(31)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면부(15)의 이빨(15a) 및 중앙 연결부(16)의 이빨(16a)들과 마주한다.
이러한 가압편(30)은 누름편(20)과 함께 승, 하강되며, 승강시 본체(10) 내부로 진입된 신발끈(40)과 이격되고, 하강시 신발끈(40)을 가압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신발끈(40)을 신발(미도시)의 끈 구멍들에 지그재그로 결속한 후 신발끈(40)의 양측 단부를 본체(10) 내에 삽입한다. 이때, 신발끈(40)의 일측 단부는 본체(10)의 개방된 저면에서 좌측에 삽입하고, 신발끈(40)의 타측 단부는 본체(10)의 개방된 저면에서 우측에 삽입하여 본체(10) 내부의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에 삽입한다.
삽입된 신발끈(40) 양단은 본체(10) 좌, 우의 측면부(15) 내면과 가압편(30)의 사이를 통과시켜서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으로 인출한다. 다시 신발끈(40)의 양단을 본체(10)의 중앙부 상측에서 중앙 연결부(16)와 가압편(30) 사이로 삽입하여 도 4와 같은 형태로 신발끈(40)과 본체(10)를 결속한다.
이러한 과정은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을 상승시킨 상태로 실시되며,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을 승강시킬 때 누름편(20)의 체결축(22)은 두 가이드편(13) 사이로 진입되어 승강된다. 이때, 두 가이드편(13)은 누름편(20)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체결축(22)의 둘레를 가압하여 누름편(20)의 승강되는 것을 어느 정도 제한하며, 이에 의해 가압편(30)이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을 벗어나는 위치까지 승강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러한 작용은 사용자가 신발끈(40)을 본체(10)에 결속한 상태로 보행할 때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이 점차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여 신발끈(40)의 결속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신발끈(40)의 양단을 본체(10)의 중앙부 상측에서 중앙 연결부(16)와 가압편(30) 사이로 삽입된 후 승강되어 있는 누름편(20)을 하측으로 눌러서 본체(10)에 삽입된 신발끈(40)이 결속된 상태를 고정한다. 이때, 하강되는 누름편(20)과 함께 가압편(30)이 하강되고, 가압편(30)이 하강되면 신발끈(40)은 본체(10)의 측면부(15) 및 중앙 연결부(16)에 형성된 이빨(15a, 16a)과 가압편(30)의 기어이(31)에 물려서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 신발끈(40)을 결속한 상태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하다가 신발을 벗기 위해 신발끈(40)을 풀어야 하는 경우에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을 상승시킨 후 본체(10)의 하측에서 신발끈(40)을 하측으로 당김으로써 신발끈(40)을 늘려서 신발을 벗을 수 있고, 다시 신발을 신을 경우에는 본체(10)에 결속되어 형성된 신발끈(40)의 매듭 부위를 잡고 상측으로 당긴 후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을 하강시켜서 신발끈(40)을 고정하여 신발끈(40)이 신발에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여 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신발끈(40)을 풀거나 묶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신발끈(40)을 상, 하로 당기는 과정만으로 신발끈(40)을 신발에 조이거나 풀어서 신발을 벗거나 착용할 수 있다.
한편, 신발끈(40)을 본체(10)에 결속할 때 신발끈(40) 양단을 본체(10) 좌, 우의 측면부(15) 내면과 가압편(30)의 사이를 통과시켜서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으로 인출한 후 중앙 연결부(16)와 가압편(30) 사이로 신발끈(40)을 삽입하기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끈(40)을 끈 결속부(17)에 통과시킨 후 중앙 연결부(16)와 가압편(30) 사이로 신발끈(40)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신발끈(40)의 매듭 상태를 도 5와 같이 리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전체 형상이 동물 등의 다양한 캐릭터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전면판(11)의 상단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끈 결속구()를 곰 또는 토끼 등의 동물 귀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체(10)의 전면판(11) 좌, 우측에 누름편(20)이 체결되면 누름편(20)은 동물의 눈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발끈 조임구의 전체 형상이 곰, 또는 토끼 등의 얼굴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 조임구를 신발에 착용하면 신발의 장신구로도 사용될 수 있어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를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도 6과 같이 본체(10)의 중앙 연결부(16)와 전면판(11) 사이에 배치되게 중앙 연결부(16) 중심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50); 고정 돌기(50)에 체결되어 본체(10) 내측에 구비되고 좌, 우측 단부가 상향 경사져서 상기 체결축(22) 둘레에 지지되어 누름편(20)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비틀림 스프링(60)이 누름편(20)을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압편(30)이 함께 가압되어 누름편(20) 및 가압편(30)의 승, 하강시 탄력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10 : 본체 10a : 제1 공간
10b : 제2 공간 11 : 전면판
12 : 체결 구멍 12a : 삽입부
12b : 연장부 13 : 가이드편
14 : 후면판 15 : 측면부
15a, 16a : 이빨 16 : 중앙 연결부
17 : 끈 결속부 20 : 누름편
21 : 헤드부 22 : 체결축
30 : 가압편 31 : 기어이
32 : 구멍 40 : 신발끈
50 : 고정 돌기 60 : 비틀림 스프링

Claims (3)

  1.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의 좌,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11) 및 후면판(14)을 상호 연결하며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15a)을 갖는 측면부(15), 상기 전면판(11) 및 상기 후면판(14)의 중앙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1) 및 후면판(14) 사이의 내부 공간을 좌, 우의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으로 구획하며 좌, 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빨(16a)을 갖는 중앙 연결부(16), 상기 제1 공간(10a) 및 제2 공간(10b)측에 배치되게 상기 전면판(11) 좌, 우측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 구멍(12)을 포함하는 본체(10);
    체결축(22)을 가지며 상기 체결 구멍(12)에 상기 체결축(22)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의 좌, 우측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구멍(12)을 따라 승, 하강되는 복수의 누름편(20);
    상기 누름편(20)과 체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상기 제1 공간(10a) 및 상기 제2 공간(10b) 내에 위치하고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기어이(31)를 가지며 상기 누름편(20)과 함께 승, 하강되는 복수의 가압편(30)을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멍(12)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 구멍(12)의 중심 좌, 우측에서 상호 이웃하여 상기 누름편(20)의 승, 하강시 상기 누름편(20)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편(13);
    상기 전면판(11)의 상단 좌, 우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 결속 구멍(17a)을 갖는 끈 결속부(17)를 더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16)와 상기 전면판(11) 또는 상기 후면판(14)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중앙 연결부(16) 중심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50);
    상기 고정 돌기(50)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되고 좌, 우측 단부가 상향 경사져서 상기 체결축(22) 둘레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편(20)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구.
KR2020100003633U 2010-04-07 2010-04-07 신발끈 조임구 KR20110009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33U KR20110009740U (ko) 2010-04-07 2010-04-07 신발끈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33U KR20110009740U (ko) 2010-04-07 2010-04-07 신발끈 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40U true KR20110009740U (ko) 2011-10-13

Family

ID=4559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33U KR20110009740U (ko) 2010-04-07 2010-04-07 신발끈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7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84A (ko) * 2018-12-18 2020-06-26 정연도 매듭장치
US10813411B2 (en) 2017-01-26 2020-10-27 Hyo Seok JEON Lace adjustmen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411B2 (en) 2017-01-26 2020-10-27 Hyo Seok JEON Lace adjustment device
KR20200075684A (ko) * 2018-12-18 2020-06-26 정연도 매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643B1 (en) Shoe structure provided with means to fasten interchangeably various insoles, pads, or instep straps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JP5491198B2 (ja) ブーツ、特にスキー又は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EP4140351A1 (en) Shoelace loosening prevention device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US6718602B1 (en) Structure of a buckle to fasten shoelaces
KR200428163Y1 (ko) 신발끈 고정구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110009740U (ko) 신발끈 조임구
KR20140140733A (ko) 운동화의 끈 자동 풀림 과 조임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200440027Y1 (ko) 신발끈 조임장치
CN101513291B (zh)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CN201171394Y (zh)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KR101060212B1 (ko) 신발용 장식구
CN211154080U (zh) 一种鞋楦与中底固定机构
KR19990033796U (ko) 신발끈고정용악세사리
KR20100034445A (ko) 신발끈 조임구
CN201577643U (zh) 鞋带松紧装置及鞋子
CN201504643U (zh) 鞋带组合扣
JP2013180133A (ja) 靴及び中敷き体
KR200323519Y1 (ko) 신발끈 조임구
JP6167366B2 (ja) 紐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