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179B1 - 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179B1
KR101471179B1 KR20140103757A KR20140103757A KR101471179B1 KR 101471179 B1 KR101471179 B1 KR 101471179B1 KR 20140103757 A KR20140103757 A KR 20140103757A KR 20140103757 A KR20140103757 A KR 20140103757A KR 101471179 B1 KR101471179 B1 KR 10147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ressing member
main body
rotat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주)돌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돌래 filed Critical (주)돌래
Priority to KR2014010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끈 결속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복수의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 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 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는 끈을 가압한다.

Description

끈 결속장치 {FASTENING APPARATUS OF STR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신발, 의류, 휴대전화 또는 가방 등에 사용되는 끈을 결속하여 마무리를 깨끗하게 하고, 끈이 조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끈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있지 않은 이상 다수의 끈을 서로 묶어서 결속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은, 매듭의 결속력이 약하면 묶은 끈이 저절로 풀릴 수 있으며, 강하게 묶으면 다시 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끈 결속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5760호의 끈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특허의 끈 고정장치는, 본체로서, 그 본체를 관통해서 연장된 구멍과,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포켓 개구부를 가지는 포켓을 한정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있는 상기 구멍과 정렬된 슬리브 구멍을 갖으며,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고리 모양의 슬리브; 상기 포켓안에 수용되는 플런저로서,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 구멍을 한정하고, 상기 정렬된 본체와 슬리브 구멍들에 대해 대체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포켓안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플런저 구멍이 상기 정렬된 본체와 슬리브 구멍들에 정렬되는 첫 번째 위치와 상기 플런저 구멍이 정렬된 본체와 슬리브 구멍들과 정렬에서 벗어난 두 번째 위치 간에, 상기 포켓안에서 움직여지는데 적합한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상기 두 번째 위치로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 수단; 및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뒷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끈 고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까다롭고 제조 단가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체 및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간편한 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끈 결속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복수의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 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 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는 끈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끈을 묶을 필요 없이 끈 결속장치에 삽입한 후 잡아당기면 알맞은 길이로 결속되므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끈을 결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끈 결속장치에 결속된 끈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끈을 풀지 않는 한 결속된 끈이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끈 결속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평면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작동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사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체(20, 30)와,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 사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 부재(40) 및 상기 누름 부재(4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베이스 판(11)과, 상기 베이스 판(11)에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판(11)은,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육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판(11)의 형상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판(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동물의 형상이나 캐릭터 형상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는, 상기 가이드 부재(5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2)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13)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의 형상은, 상기 가이드 부재(50)를 지지할 수 있는 경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는, 동일한 형상의 제1회전체(20)와 제2회전체(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5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회전체(20)와 제2회전체(30)의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제1회전체(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회전체(20)는, 홈이 파인 바퀴 형상의 기구로, 회전부(21)와 상기 회전부(21)에 삽입되는 결합핀(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22)이 상기 회전부(21)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부(21)는 상기 결합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21)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1)는, 안내홈(211)과 원판형의 양 측면부(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 측면부(212, 213)는, 상기 본체(10)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며 원판형의 지름이 작은 제1측면부(212)와, 상기 본체(10)에서 먼 쪽에 배치되며 원판형의 지름이 큰 제2측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213)는, 상기 안내홈(211)에 끈이 둘러지는 경우 끈이 상기 안내홈(2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홈(211)에 끈이 둘러진 후 당겨지면, 상기 안내홈(211)과 끈 사이에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21)는 상기 결합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누름 부재(40)는, 본체부(41)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5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2)과, 상기 본체부(41)에서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3) 및 상기 본체부(4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끈 걸이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홀(42)에 상기 가이드 부재(5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2) 또는 제2지지부(13)는, 상기 누름 부재(40)가 특정 범위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홀(42)은, 도시된 것과 달리 홀 형태가 아닌 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끈이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둘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40)의 돌출부(43)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접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끈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끈이 둘러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40)의 돌출부(43)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제1회전체(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43a)와, 상기 제2회전체(3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43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와 상기 누름 부재(40)사이에 삽입된 끈에 직접 접촉되어 끈을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출부(43)는,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43a)의 단부와 상기 제2돌출부(43b)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각 회전체(20, 30)의 안내홈(211) 간의 최소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둘러지는 끈이 상측으로만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에 둘러지는 끈의 이동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끈 걸이부(44)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를 통과한 끈의 정리를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끈 걸이부(44)에 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한다.
상기 끈 결속장치(1)는, 상기 제1지지부(12) 및 누름 부재(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50)에 끼워져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부(12)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누름 부재(40)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측은 상기 제2지지부(13)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누름 부재(40)에 체결되어, 상기 누름 부재(40)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50)는, 상기 누름 부재(40) 및 탄성부재(60)가 상기 제1지지부(12) 및 제2지지부(13)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12)와 탄성부재(60) 및 상기 누름 부재(40)의 가이드 홀(42)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상기 제2지지부(13)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50)는 상기 제1지지부(12)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작동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끈 결속장치에 삽입된 끈을 당겨 조일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끈을 조인 후에 끈이 결속되어 풀리지 않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누름 부재를 밀어올려 끈이 풀리도록 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1)에는, 끈(2)이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끈(2)은, 상기 제1회전체(20) 및 상기 누름 부재(40) 사이와 상기 제2회전체(30) 및 상기 누름 부재(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끈의 일부분이 상기 제1회전체(20) 및 상기 누름 부재(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하나의 끈의 다른 부분이 상기 누름 부재(40)와 상기 제2회전체(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상기 끈 결속장치는 복수의 끈을 결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누름 부재(40) 및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 사이에 상기 끈(2)이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60)의 타측은 상기 누름 부재(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이 상기 누름 부재(40)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 부재(40)는 제1위치(일 예로 도 4의 누름 부재의 위치임)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이 상기 누름 부재(40)에 전달되어 상기 끈(2)을 가압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끈(2)의 두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기 제1회전체(20)에 둘러진 끈 및 상기 제2회전체(30)에 둘러진 끈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끈(2)이 삽입된 후, 상기 끈(2)을 A방향으로 당겨서 조이면, 도 4와 같이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기 끈(2)에 의하여 상측(A`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 부재(40)가 상기 끈(2)을 일정 수준의 탄성력으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끈(2)은 자유롭게 계속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끈(2)이 삽입된 후, 상기 끈(2)을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도 5와 같이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기 탄성부재(60)에 의해서 하측 (B`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상기 누름 부재(40)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20, 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 부재(40)가 상기 끈(2)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끈(2)은 B방향으로 당겨도, 상기 끈(2)은 상기 누름 부재(40)에 의하여 이동이 방지된다.
즉, 상기 끈 결속장치(1)는, 상기 끈(2)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타 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끈(2)은 상기 끈 결속장치(1)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끈 결속장치(1)에 결속된 끈(2)을 풀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누름 부재(40)를 상측(A`방향)으로 밀어올린 후 상기 끈(2)을 B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이때, 도 5와 같은 상기 누름 부재(40)의 위치를 제2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40)가 상측(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누름 부재(40)가 상기 끈(2)을 가압하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끈(2)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끈 결속장치(1)를 이용하면, 끈(2)을 매듭지을 필요없이 상기 끈 결속장치(1)에 삽입한 후 잡아당기면 알맞은 길이로 결속되므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끈을 결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사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1)는 신발(3)에 결속되는 끈(2)을 결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끈(2)은, 상기 끈 결속장치(1)에 의하여 결속된 후, 끈 걸이부(44)에 의하여 정리될 수 있다.
상기 끈 걸이부(4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끈 걸이부(44)의 형상은 상기 끈(2)을 걸어 정리할 수 있는 형상인 경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끈 걸이부(44)에 끈을 걸어 정리할 경우, 별도로 끈을 매듭지을 필요가 없으므로 끈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끈 결속장치(4)는, 상기 끈 결속장치(4)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삽입되는 회전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끈(2)을 감을 수 있도록 홈이 파인 바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20)는, 도 1에서 도시된 복수의 회전체(20, 30)와 같이, 일 측면부의 지름이 타 측면부의 지름보다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120)에 둘러진 끈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끈 결속장치(4)는, 상기 회전체(120)가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20)와 결합핀(130)은 도 1에 도시된 제1회전체(20) 및 결합핀(2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끈 결속장치(4)를 신발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에 고정하는 부분인 고정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일 예로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신발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에 고정시키는 리벳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상기 고정부(14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끈 결속장치(4)는,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120)에 둘러진 끈을 가압하는 누름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 부재(150)는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120)의 일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50)는, 결합핀(160)에 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C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누름 부재(150)는,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결합핀(130)에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부(110)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누름 부재(15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체(120)에 둘러진 끈(2)을 가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누름 부재(150)에는, 상기 누름 부재(150)가 상기 끈(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70)는 일 예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170)가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핀(160)이 상기 누름 부재(150)에 연결되어 동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170)가 상기 결합핀(160)에 직접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20)의 측면부의 하단에 끈(2) 대고 위로 잡아당기면, 상기 끈(2)은 상기 회전체(120) 및 누름 부재(150)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끈(2)이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누름 부재(150)가 상기 끈(2)을 가압하여 상기 끈(2)의 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120)에 둘러진 끈(2)이 시계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누름 부재(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끈(2)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반면, 상기 회전체(120)에 둘러진 끈(2)을 반시계방향으로 당겨도, 상기 누름 부재(150)가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끈(2)을 가압하므로, 상기 끈(2)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누름 부재(150)에 D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누름 부재(150)는 상기 탄성부재(170)를 압축하게 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끈(2)은 상기 누름 부재(150)의 가압상태로부터 해제되고, 이동이 원활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끈 결속장치 2: 끈
10: 본체 20: 제1회전체
30: 제2회전체 40: 누름 부재
50: 가이드 부재 60: 탄성부재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에 끈이 둘러지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복수의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 부재;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각각의 회전체에 둘러진 끈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제1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각각의 회전체에 둘러진 끈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결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둘러진 끈이 일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복수의 회전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끈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에 둘러진 끈이 타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복수의 회전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끈의 이동을 제한하는 끈 결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의 회전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결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이 상기 회전체에 둘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끈 결속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이 상기 회전체에 둘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끈 결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에는 상기 끈을 삽입할 수 있는 끈 걸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결속장치.
  9.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분에 끈이 둘러지는 회전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에 둘러진 끈을 가압하는 누름 부재; 및
    상기 누름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누름 부재의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끈 결속장치.
KR20140103757A 2014-08-11 2014-08-11 끈 결속장치 KR10147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3757A KR101471179B1 (ko) 2014-08-11 2014-08-11 끈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3757A KR101471179B1 (ko) 2014-08-11 2014-08-11 끈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79B1 true KR101471179B1 (ko) 2014-12-09

Family

ID=5267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3757A KR101471179B1 (ko) 2014-08-11 2014-08-11 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73A1 (ko) * 2017-01-26 2018-08-02 전효석 끈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028A (en) * 1998-03-09 1999-11-09 Hicks; Robert Shoe lace clip
KR20010008137A (ko) * 2000-11-10 2001-02-05 이해곤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314693Y1 (ko) * 2003-03-04 2003-05-2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JP2006527001A (ja) * 2003-03-20 2006-11-30 ヨン−ギ アン 靴紐結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028A (en) * 1998-03-09 1999-11-09 Hicks; Robert Shoe lace clip
KR20010008137A (ko) * 2000-11-10 2001-02-05 이해곤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314693Y1 (ko) * 2003-03-04 2003-05-2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기
JP2006527001A (ja) * 2003-03-20 2006-11-30 ヨン−ギ アン 靴紐結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73A1 (ko) * 2017-01-26 2018-08-02 전효석 끈 조절 장치
US10813411B2 (en) 2017-01-26 2020-10-27 Hyo Seok JEON Lace adjus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7120B (zh) 磁插塞带扣
CN109196265B (zh) 用于可调节电子装置保持器的系统和方法
US9539461B2 (en) Hook assemblies for exercise machines, exercise machines including such hook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5774236B2 (ja) トグルレバー作動装置を備える接続端子
US8690095B2 (en) Bobbin fixing apparatus
US7219866B2 (en) Spring loaded clamping mechanism
US8910347B1 (en) Rubber strap device
JP2008539979A5 (ko)
US9155361B2 (en) Mechanical lever buckle for belt and watch strap
JP2001349308A (ja) プラスチック製挟持具
US9929765B2 (en) Rotatable wrist mounted mobile device case
KR101471179B1 (ko) 끈 결속장치
KR100824386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EA027155B1 (ru)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асывающей трубы пылесоса
FR2983688A1 (fr) Dispositif a bandeau de tete reglable pour casque de protection
US8374659B2 (en) Sliding mechanism with changeable paths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ame
US20100031477A1 (en) Adjustable retainer
US20170137091A1 (en) Device capable of immediat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without pressing a switch
JP6353964B1 (ja) ワイヤ逆走防止装置
US7617959B2 (en) Adjusting device for a nail gun
TWI285184B (en) Bidirectional wire winder
JP2013111814A (ja) バインダーのロック補助装置
FR3070580B1 (fr) Accessoire a ruban interchangeable
EP3260022B1 (en) Artificial tree binding system with control wire clamp for securing control wires used to place hinged branches of an artificial christmas tree in a stowed position
KR20120125774A (ko) 태엽을 이용한 넥타이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