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81B1 -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81B1
KR101508981B1 KR20130035469A KR20130035469A KR101508981B1 KR 101508981 B1 KR101508981 B1 KR 101508981B1 KR 20130035469 A KR20130035469 A KR 20130035469A KR 20130035469 A KR20130035469 A KR 20130035469A KR 101508981 B1 KR101508981 B1 KR 10150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oelace
shoe
str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589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2013003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981B1/ko
Priority to PCT/KR2014/002710 priority patent/WO2014163343A1/ko
Publication of KR2014011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의 갑피에 형성된 복수개의 끈 구멍들에 끼워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탄성을 가지는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A shoestring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본 발명은, 신발을 착용하기 위해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캐주얼화, 신사숙녀화 등의 신발 중에는 갑피에 복수개의 끈 구멍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 착용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끈 구멍에 신발끈을 끼운 후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신발의 착용 상태를 공고히 한 후 매듭 등을 지어 신발끈을 결속시킴으로써 신발 착용을 수행하게 된다.
신발의 착용을 빠르고 편하게 하기 위해 여러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등록특허공보 0445965호에는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을 제공하여 신발을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 및 결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한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의 갑피에 형성된 복수개의 끈 구멍들에 끼워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탄성을 가지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끈은, 상기 신발끈의 일측 쪽의 제1영역과, 상기 신발끈의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고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부에 신발끈 걸이가 설치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발끈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후, 상기 신발끈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상기 끈 구멍에 끼우되,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운 후,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발끈의 부분 중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2고정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상기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제3영역의 부분을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당김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부에 신발끈 걸이가 설치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발끈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후, 상기 신발끈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우되,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운 후, 상기 제1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1단부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2단부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발끈의 부분 중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1단부 매듭의 사이에 있는 부분 및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2단부 매듭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상기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제3영역의 부분을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당김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끈의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을 신발의 갑피에 형성된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3영역의 일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와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고정부과 제2고정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1단부 매듭을 형성하고, 제2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2단부 매듭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고정부와 제1단부 매듭 사이에 있는 부분과, 제1고정부와 제2단부 매듭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단부에 배치된 버클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3영역의 일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와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설치된 당김 고리들을 잡아 당겨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신발끈(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11)과, 제2영역(12), 제3영역(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영역(11)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10)의 일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끈 구멍에 쉽게 끼워지도록 플라스틱 캡(11a)이 장착된다. 제1영역(11)의 길이는,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제2영역(12)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10)의 타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끈 구멍에 쉽게 끼워지도록 플라스틱 캡(12a)이 장착된다. 제2영역(12)의 길이는,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큰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그러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 변형이 큰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변형이 큰 탄성 소재의 예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소재, 탄성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제조 시 해당 탄성 소재만으로 형성하거나 다른 소재와 섞어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탄성 소재가 섬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비교적 굵은 섬유 형상으로 구성하여 탄성 회복률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ELS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양 영역이 동일한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한계변형률」이란 탄성한계(탄성한도) 내의 변형률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변형률을 의미한다.
한편, 제3영역(13)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연결하며, 신발끈(10)의 가운데 부분을 형성한다. 제3영역(13)의 길이도,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제3영역(13)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비교적 작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제3영역(13)이 그러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 일반 섬유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섬유(면, 아마, 코이어 등), 변형이 작은 합성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영역(13)을 제조 시 해당 소재만으로 형성하거나 다른 소재와 섞어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3영역(13)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ELS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은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보다 탄성 변형 성능이 떨어지므로 제2 탄성한계변형률(ELS1)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ELS1)보다 작게 된다.
제1영역(11)과 제3영역(1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1영역(11)과 제3영역(1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영역(12)과 제3영역(1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2영역(12)과 제3영역(1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신발끈(10)을 구성하는,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10)은,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의 겉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신발끈(10)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의 탄성은 동일하고, 제3영역(13)의 탄성은,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의 탄성과 다른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발끈(10)을 신발에 결속 시 유연하고 확실한 결속이 가능하게 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의 3개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이 포함하는 영역들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은 4개, 5개, 6개 등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제1 실시예의 신발끈(10)을 이용하여 신발(100)에 신발끈(10)을 결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을 신발의 갑피에 형성된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3영역의 일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와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고정부과 제2고정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우선, 신발끈(10)이 결속되는 신발(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신발(100)은, 갑피(110), 설포(120), 중창(130), 밑창(140)을 포함한다.
갑피(110)는 신발(100)의 전체적인 구조와 디자인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발을 보호하고자 신발(100)의 상부를 둘러싸며 위치한다.
갑피(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신발(100)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끈 구멍(111)에 전술한 신발끈(10)이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갑피(110)의 상부에는 신발끈 걸이(112)가 형성된다. 신발끈 걸이(112)는 신발끈(10)의 일부 부분을 거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설포(120)는 갑피(110)에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창(130)은 갑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EVA 소재, 파일론 파일라이트 소재 등으로 제조된다.
밑창(140)은 중창(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과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제조된다.
이하, 전술한 구조의 신발(100)에 신발끈(10)을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의 적어도 일부가 끈 구멍(111)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10)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에 끼운다.
이어,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을 통과한 신발끈(10)을 신발(100)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위쪽의 끈 구멍(111)에 연속적으로 끼우되, 제3영역(13)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에 가까운 부분을 서로 묶어 제1매듭(N1)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a)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10a)의 존재로 인해, 만약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고정부(10a)의 하부에 위치한 제3영역(13)으로 힘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이어, 계속하여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신발(100)의 상부 방향으로 위쪽의 끈 구멍(111)에 끼운 후, 제1영역(12)의 단부와 제2영역(12)의 단부를 서로 묶어 제2매듭(N2)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10b)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는 신발(100)에 신발끈(10)을 기본 세팅한 상태로서, 일반적으로 처음 세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발(10)에 발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발을 신발(100)에 넣고, 신발끈(10)의 부분 중 제1고정부(10a)와 제2고정부(10b)의 사이에 있는 부분(S1)(S2)을 잡아 당김으로써,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탄성적으로 인장시켜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112)에 걸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0)의 결속을 마무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1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신발(100)의 착용자가 신발끈(10)을 결속하고자 하는 경우, 신발끈(10)의 부분 중 제1고정부(10a)와 제2고정부(10b)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112)에 걸어 결속을 마무리함으로써, 안정적인 결속 작용과 함께,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10)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하려고 하는 경우, 신발끈 걸이(112)에 걸린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의 부분을 빼내면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제1고정부(10a)가 존재함으로써,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고정부(10a)의 하부에 위치한 제3영역(13)으로의 힘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그렇게 되면, 제1고정부(10a)의 하부에 위치한 발등 부분에 항상 동일한 조임 수준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신발끈(10)의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큰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단 신발끈(10)이 신발끈 걸이(112)에 걸려 결속 상태가 유지되더라도, 발목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으므로, 편안한 착용감과 더불어 위급 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구조의 신발(100)에 신발끈(10)을 결속하는 방법의 일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1단부 매듭을 형성하고, 제2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2단부 매듭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고정부와 제1단부 매듭 사이에 있는 부분과, 제1고정부와 제2단부 매듭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신발끈(10)의 결속 방법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의 적어도 일부가 끈 구멍(111)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10)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에 끼운다.
이어,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111)들을 통과한 신발끈(10)을 신발(100)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위쪽의 끈 구멍(111)에 연속적으로 끼우되, 제3영역(13)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에 가까운 부분을 서로 묶어 제1매듭(N1)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a)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10a)의 존재로 인해, 만약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고정부(10a)의 하부에 위치한 제3영역(13)으로 힘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이어, 계속하여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신발(100)의 상부 방향으로 위쪽의 끈 구멍(111)에 끼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1)의 단부를 묶어 제1단부 매듭(N21)을 형성하고, 제2영역(12)의 단부를 묶어 제2단부 매듭(N22)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단부 매듭(N21) 및 제2단부 매듭(N22)의 크기는 끈 구멍(111)보다는 크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는 신발(100)에 신발끈(10)을 기본 세팅한 상태로서, 일반적으로 처음 세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발(10)에 발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발을 신발(100)에 넣고, 신발끈(10)의 부분 중 제1고정부(10a)와 제1단부 매듭(N21) 사이에 있는 부분(S11)과, 제1고정부(10a)와 제2단부 매듭(N22) 사이에 있는 부분(S22)을 잡아당김으로써,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탄성적으로 인장시켜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신발끈 걸이(112)에 걸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0)의 결속을 마무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신발끈(10)의 결속 방법에 따르면, 신발(100)의 착용자가 신발끈(10)을 결속하고자 하는 경우, 신발끈(10)의 부분 중 제1고정부(10a)와 제1단부 매듭(N21) 사이에 있는 부분(S11)과, 제1고정부(10a)와 제2단부 매듭(N22) 사이에 있는 부분(S22)을 잡아당김으로써,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탄성적으로 인장시켜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신발끈 걸이(112)에 걸어 결속을 마무리함으로써, 안정적인 결속 작용과 함께,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10)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하려고 하는 경우, 신발끈 걸이(112)에 걸린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의 부분을 빼내면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1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신발끈(10)의 결속 방법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2고정부(10b)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간단하게 신발끈(10)의 결속 및 결속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제2 실시예의 신발끈(20) 및 그 결속 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본 실시예의 신발끈(10) 및 그 결속 방법과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20)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단부에 배치된 버클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신발끈(20)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21)과, 제2영역(22), 제3영역(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영역(21)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20)의 일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소형의 제1 버클부재(21a)가 설치되어 버클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영역(21)의 길이는, 신발끈(2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또한, 제1 버클부재(21a)의 크기는, 신발에 설치된 끈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끈구멍을 통과하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한편, 제2영역(22)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20)의 타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제1 버클부재(21a)에 결합되는 소형의 제2 버클부재(22a)가 설치되어 버클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영역(22)의 길이는,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또한, 제2 버클부재(22a)의 크기는, 신발에 설치된 끈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끈구멍을 통과하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의 성질 및 소재, 탄성한계변형률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의 성질 및 소재, 탄성한계변형률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3영역(23)은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연결하며, 신발끈(20)의 가운데 부분을 형성한다. 제3영역(23)의 길이도, 신발끈(2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제3영역(23)의 성질 및 소재, 탄성한계변형률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3영역(13)의 성질 및 소재, 탄성한계변형률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영역(21)과 제3영역(2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1영역(21)과 제3영역(2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영역(22)과 제3영역(2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2영역(22)과 제3영역(2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신발끈(20)은,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의 탄성은 동일하고, 제3영역(23)의 탄성은, 제1영역(21) 및 제2영역(22)의 탄성과 다른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발끈(20)을 신발에 결속 시 유연하고 확실한 결속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신발끈(20)을 구성하는, 제1영역(21), 제2영역(22), 제3영역(2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20)은, 제1영역(21), 제2영역(22), 제3영역(23)의 겉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2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영역(21), 제2영역(22), 제3영역(23)의 3개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이 포함하는 영역들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은 4개, 5개, 6개 등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제2 실시예의 신발끈(20)을 이용하여 신발(200)에 신발끈(20)을 결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3영역의 일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제1영역의 단부와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의 부분 중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설치된 당김 고리들을 잡아 당겨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신발끈 걸이에 건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신발끈(20)이 결속되는 신발(2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신발(200)은, 갑피(210), 설포(220), 중창(230), 밑창(24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대한 갑피(210), 갑피(210)의 끈 구멍(211), 갑피(210)에 형성된 신발끈 걸이(212), 설포(220), 중창(230), 밑창(240)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갑피(110), 갑피(110)의 끈 구멍(111), 갑피(110)에 형성된 신발끈 걸이(112), 설포(120), 중창(130), 밑창(140)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전술한 구조의 신발(200)에 신발끈(20)을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3영역(23)의 적어도 일부가 끈 구멍(211)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2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20)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211)들에 끼운다.
이어,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211)들을 통과한 신발끈(20)을 신발(200)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위쪽의 끈 구멍(211)에 연속적으로 끼우되, 제3영역(23)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제1영역(21) 및 제2영역(22)에 가까운 부분을 고정 부재(FN)를 이용하여 실로 박음질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0a)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20a)의 존재로 인해, 만약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고정부(20a)의 하부에 위치한 제3영역(23)으로의 힘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한편, 사용자는 제1영역(21)의 중간 부근 및 제2영역(22)의 중간 부분에 각각 당김 고리(21b)(22b)를 설치한다. 당김 고리(21b)(22b)는 변형이 작은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계속하여 제1영역(21) 및 제2영역(22)을 신발(200)의 상부 방향으로 위쪽의 끈 구멍(211)에 끼운 후, 제1영역(22)의 단부에 위치한 제1 버클부재(21a)와 제2영역(22)의 단부에 위치한 제2 버클부재(22a)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20b)를 형성한다. 이 상태는 신발(200)에 신발끈(20)을 기본 세팅한 상태로서, 일반적으로 처음 세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발(20)에 발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발을 신발(200)에 넣고, 신발끈(20)의 부분 중 제1고정부(20a)와 제2고정부(20b)의 사이에 있는 당김 고리(21b)(22b)를 잡아당김으로써,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탄성적으로 인장시켜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신발끈 걸이(212)에 걸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20)의 결속을 마무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신발끈(2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신발(200)의 착용자가 신발끈(20)을 결속하고자 하는 경우, 신발끈(20)의 부분 중 당김 고리(21b)(22b)를 잡아당김으로써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이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한 후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신발끈 걸이(212)에 걸어 결속을 마무리함으로써, 안정적인 결속 작용과 함께,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20)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신발끈(20)의 결속을 해제하려고 하는 경우, 당김 고리(21b)(22b)를 잡아 당겨 신발끈 걸이(112)에 걸린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의 부분을 빼내면 신발끈(20)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2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2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제1고정부(20a)가 존재함으로써,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고정부(20a)의 하부에 위치한 제3영역(23)으로의 힘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그렇게 되면, 제1고정부(20a)의 하부에 위치한 발등 부분에 항상 동일한 조임 수준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2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신발끈(20)의 제1영역(21)과 제2영역(22)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큰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단 신발끈(20)이 신발끈 걸이(212)에 걸려 결속 상태가 유지되더라도, 발목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으므로, 편안한 착용감과 더불어 위급 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20) 및 그 결속 방법에 따르면, 제2고정부(20b)를 형성할 때, 제1 버클부재(21a)와 제2 버클부재(22a)를 서로 결합하는 버클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끈(20)의 결속의 진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끈의 제조, 신발의 제조와 관련된 사업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0, 20: 신발끈 11, 21: 제1영역
12, 22: 제2영역 13, 23: 제3영역
100, 200: 신발 111, 211: 끈 구멍
112, 212: 신발끈 걸이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부에 신발끈 걸이가 설치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발끈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후, 상기 신발끈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상기 끈 구멍에 끼우되,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운 후,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발끈의 부분 중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2고정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상기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제3영역의 부분을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결속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결속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영역의 단부와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버클 구조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결속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당김 고리가 설치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10.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부에 신발끈 걸이가 설치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 구멍들 중 최하부의 끈 구멍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발끈을 상기 최하부의 끈 구멍들에 끼운 후, 상기 신발끈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우되,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끈 구멍에 끼운 후, 상기 제1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1단부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제2영역의 단부를 묶어 제2단부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발끈의 부분 중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1단부 매듭의 사이에 있는 부분 및 상기 제1고정부과 상기 제2단부 매듭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잡아 당겨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상기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제3영역의 부분을 서로 묶어 만든 매듭으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결속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영역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들 중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당김 고리가 설치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KR20130035469A 2013-04-01 2013-04-01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KR10150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469A KR101508981B1 (ko) 2013-04-01 2013-04-01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PCT/KR2014/002710 WO2014163343A1 (ko) 2013-04-01 2014-03-31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469A KR101508981B1 (ko) 2013-04-01 2013-04-01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89A KR20140119589A (ko) 2014-10-10
KR101508981B1 true KR101508981B1 (ko) 2015-04-10

Family

ID=516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5469A KR101508981B1 (ko) 2013-04-01 2013-04-01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8981B1 (ko)
WO (1) WO2014163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5364B1 (ja) * 2018-05-31 2018-11-21 株式会社ツインズ 弾性変形可能な組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17A (ja) * 2002-08-20 2004-03-11 Mizuno Corp 結び目の解けにくい紐
KR20090090860A (ko) * 2008-02-22 2009-08-26 황종오 신발끈의 결속장치
JP3160573U (ja) * 2010-03-23 2010-07-01 猛美 小林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靴
KR20110011759U (ko) * 2010-06-15 2011-12-21 안기원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921B2 (ja) * 1989-11-17 1995-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閾値決定方法
US20110099843A1 (en) * 2009-07-07 2011-05-05 Buzrun Co., Ltd.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17A (ja) * 2002-08-20 2004-03-11 Mizuno Corp 結び目の解けにくい紐
KR20090090860A (ko) * 2008-02-22 2009-08-26 황종오 신발끈의 결속장치
JP3160573U (ja) * 2010-03-23 2010-07-01 猛美 小林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靴
KR20110011759U (ko) * 2010-06-15 2011-12-21 안기원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343A1 (ko) 2014-10-09
KR20140119589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1840B (zh) 用于鞋类的承拉线围合系统
US1149069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reconfigurable fastening system
KR101988583B1 (ko) 구역 신장 제한기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품
KR102090143B1 (ko) 코드 구조를 갖는 신발 물품
US20180279721A1 (en) Article of footwear
US9635899B2 (en) Sandal strap arrangement and tensioning system
US8991074B2 (en) Footwear lacing system
US20130283639A1 (en) Device for rapidly securing and obscuring footwear laces
US20140041167A1 (en)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KR101508981B1 (ko)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150016744A (ko)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KR102571594B1 (ko) 상하로 분리된 신발끈 결속장치 형성방법
US20200029656A1 (en) Article of footwear
CN107820398A (zh) 具有环的弹性鞋带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101582511B1 (ko)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WO2008156347A1 (en) Method of tying string and footwear employing the same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US9603417B2 (en) Tieless footwear lacing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4936475A (zh) 体操芭蕾舞鞋
KR101509923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101577139B1 (ko)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CN201700515U (zh) 可固定鞋带的鞋
KR20140053039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