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139B1 -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139B1
KR101577139B1 KR1020140080165A KR20140080165A KR101577139B1 KR 101577139 B1 KR101577139 B1 KR 101577139B1 KR 1020140080165 A KR1020140080165 A KR 1020140080165A KR 20140080165 A KR20140080165 A KR 20140080165A KR 101577139 B1 KR101577139 B1 KR 10157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ulphone
string
shoe
sulp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창
Original Assignee
김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창 filed Critical 김영창
Priority to KR102014008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을 개시한다. 상기 신발은 신발끈구멍이 형성된 구목이 형성되어 있고,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갑피의 아래에 고정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 상기 갑피의 내측에 위치하여 발등을 감싸는 설포; 및 상기 신발끈구멍에 결속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설포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외면을 덮는 외피; 상기 쿠션층의 내면을 덮고,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와 재봉되어 있는 내피; 및 상기 외피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설포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설포에 신발끈을 연결하여 상기 설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SHOE WITH TONGUE SUPPORTER}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착용의 형태를 보면 신발 착용 시 거의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을 사용하지 않으며 발만을 신발 안으로 밀어 넣어서 신는 경향이 많다.
손을 사용하지 않는 착화 형태는 직접 허리를 굽혀서 신발의 설포부분과 힐패딩을 잡는것이 귀찮고 불편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신발을 신을 때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 신발 안에 몇 차례 발을 밀어 넣어 신발을 착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발의 발등을 덮는 설포는 제자리에 위치하지 못하고 신발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경우가 흔히 발생된다.
착화 시 발을 신발 내부 전방으로 움직여 신발을 착용함에 따라 설포가 신발 내부인 안쪽으로 많이 밀리는 경향이 생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00-0032174호 의 신발에 고정되는 탄성 패브릭 피스가 있으나 이것은 설포의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단순히 설포 부위를 전체적으로 탄력성 있는 고무재질로 덮은 것에 불과하여 발에 대한 밀착성과 비교했을 때 신발끈(400)을 묶는 것과는 밀착성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일부 신발에서 설포가 갑피 부위에 직접 연결을 시킨 고정식 설포를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이것은 개개인의 발등둘레가 다르기 때문에 발등 둘레가 넓은 사람은 신발의 갑피가 발등 부분을 압박하는 문제점이 있다.
신발 착화 시 설포를 잡지 않고 발을 신발에 넣는 경우 설포가 신발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신발 내부로 밀려들어간 설포는 구겨지거나 비틀려져 착화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신발내부로 밀려들어간 설포는 보행이나 운동 시 발등 부분에 불편한 감을 느끼게 함은 물론 발의 상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끈을 결속할 때 신발의 상단부에서 신발끈을 매듭지어서 신발끈의 결속을 완료하게 되는데, 신발끈의 매듭부분이 쉽게 풀리는 문제가 있었고, 신발끈의 매듭에 의해 활동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신발끈구멍이 형성된 구목이 형성되어 있고,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갑피의 아래에 고정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 상기 갑피의 내측에 위치하여 발등을 감싸는 설포; 및 상기 신발끈구멍에 결속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설포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외면을 덮는 외피; 상기 쿠션층의 내면을 덮고,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와 재봉되어 있는 내피; 및 상기 외피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설포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설포에 신발끈을 연결하여 상기 설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상기 설포고정수단은, 상기 구목에 형성된 신발끈구멍들 중 상기 구목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구멍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포고정수단은, 상기 설포의 상단부의 단축변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끈삽입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끈삽입고리의 말단들에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외피 또는 상기 쿠션층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포고정수단은, 상기 설포의 상기 외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복수의 절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절개방향은 상기 설포의 장축변에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설포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멍, 적어도 하나의 끈삽입고리, 복수의 절개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구목에 형성된 신발끈구멍들 중 상기 구목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구멍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끈삽입고리는 상기 설포의 상단부의 단축변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상기 설포의 장축변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설포의 상기 외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갑피는 상기 구목이 위치한 부분의 안쪽면에 상기 설포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신발끈은 신발끈의 길이 전체 또는 일부의 길이가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포는 상기 신발끈의 양측 말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는 상기 설포의 상기 외피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설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설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신발의 설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설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신발의 설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갑피 및 설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신발의 신발끈이 결속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설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설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은 갑피(100); 바닥창(200); 설포(300); 및 신발끈(400)을 포함한다.
갑피(100)는 발바닥 위 및 발등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갑피(100)의 가운데 부분은 비어있다. 갑피(100)의 비어있는 가운데 부분에서 마주하는 단부들에는 구목(110)이 형성되어 있다. 구목(110)에는 신발끈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갑피(100)는 가죽 소재 또는 천 소재일 수 있다.
바닥창(200)은 갑피(100)의 아래에 고정되어 발바닥을 지지한다. 바닥창(20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설포(300)는 갑피(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발등을 감싼다. 설포(300)는 갑피(100)의 비어있는 가운데 부분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때, 설포(300)는 하단부가 갑피(100)의 내면에 고정된다. 설포(300)의 길이는 갑피(100)의 비어있는 가운데 부분의 길이에 대응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설포(300)의 폭은 갑피(100)의 구목(110)이 형성된 부분의 안쪽면에 대응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포(300)는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및 설포고정수단(340)을 포함한다.
쿠션층(310)은 설포(300)가 신발 착용자의 발등을 덮을 때 신발끈(400)에 의한 발등을 누르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쿠션층(310)은 스폰지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쿠션층(310)은 설포(300)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외피(320)는 쿠션층(310)의 일면을 덮어 보호한다. 외피(320)는 쿠션층(310)의 외면(신발의 외관을 볼 때 신발의 외측으로 노출된 면)을 덮는다. 일 예로, 외피(320)는 천연피혁 또는 합성피혁, 직물(천)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피(330)는 쿠션층(310)의 다른 일면을 덮어 보호한다. 내피(330)는 쿠션층(310)의 내면(상기 외면의 반대면)을 덮는다. 이때 내피(330)의 가장자리는 외피(320)의 가장자리와 재봉된다. 이에 의해 쿠션층(310)은 외피(320) 및 내피(330)의 사이에 내장된다. 일 예로, 외피(320)는 천연피혁 또는 합성피혁, 직물(천) 중 어느 하나의 소재일 수 있고, 외피(320)와 동일한 소재일 수 있다.
설포고정수단(340)은 설포(300)에 신발끈(4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포고정수단(340)은 외피(320)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설포(30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설포고정수단(340)은 구목(110)에 형성된 신발끈구멍들(111) 중 구목(1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구멍(111)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멍(34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구멍(341)은 구목(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대응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설포(300)의 상단부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구멍(341)은 외피(320), 쿠션층(310) 및 내피(3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설포(300)는 신발을 신을 때 및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갑피(100)의 구목(110)의 사이에서 좌, 우 및 아래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발끈(400)을 구목(110)의 신발끈구멍들(111)에 결속하는 경우, 구목(110)의 하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나열된 신발끈구멍들(111)에 신발끈(400)을 연속하여 결속하고, 이때 구목(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 후 이어서 설포(300)의 내면으로부터 삽입구멍(34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신발끈(400)의 양단부를 묶어서 매듭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포(300)는 갑피(100)의 구목(110) 사이에 이동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설포(300)를 이용하면 신발을 착용할 때 및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설포(30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신발의 착용시 설포(300)의 움직임에 의한 불편이 해소되고, 신발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고, 설포(300)가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구목(110) 사이에 정위치되므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쿠션층(310)을 포함하므로 신발끈(400)을 묶을 때 착용자의 발등에 가해지는 신발끈(400)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설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갑피(100); 바닥창(200); 설포(300); 및 신발끈(400)을 포함한다. 갑피(100), 바닥창(200) 및 신발끈(4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갑피(100), 바닥창(200) 및 신발끈(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설포(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포(300)는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및 설포고정수단(340)을 포함한다.
쿠션층(310), 외피(320) 및 내피(33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설포(300)의 쿠션층(310), 외피(320) 및 내피(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설포고정수단(3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포고정수단(340)는 외피(320)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설포(30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설포(300)에 신발끈(4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설포고정수단(340)는 설포(300)의 상단부의 단축변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끈삽입고리(3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끈삽입고리(342)는 설포(300)의 상단부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끈삽입고리(342)의 말단들에는 지지편(342a)이 형성된다. 지지편(342a)은 외피(320) 또는 쿠션층(31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끈삽입고리(342)가 설포(30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편(342a)은 외피(32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편(342a)은 쿠션층(310)의 위로 위치하므로 쿠션층(310)에 의해 지지편(342a)이 신발 착용자의 발등을 누르는 듯한 느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편(342a)은 사각, 삼각, 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은 설포(300)신발을 신을 때 및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갑피(100)의 구목(110)의 사이에서 좌, 우 및 아래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발끈(400)을 구목(110)의 신발끈구멍들(111)에 결속하는 경우, 구목(110)의 하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나열된 신발끈구멍들(111)에 신발끈(400)을 연속하여 결속하고, 이때 구목(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 후 이어서 설포(300)의 외피(320) 위에서 끈삽입고리(342)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신발끈(400)의 양단부를 묶어서 매듭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포(300)는 갑피(100)의 구목(110) 사이에 이동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신발은 갑피(100); 바닥창(200); 설포(300); 및 신발끈(400)을 포함한다. 갑피(100), 바닥창(200) 및 신발끈(4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갑피(100), 바닥창(200) 및 신발끈(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설포(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포(300)는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및 설포고정수단(340)을 포함한다.
쿠션층(310), 외피(320) 및 내피(33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설포(300)의 쿠션층(310), 외피(320) 및 내피(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포고정수단(340)은 설포(300)의 외피(32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고 설포(300)의 장축변에 평행하게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3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신발의 설포(300)는 신발을 신을 때 및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갑피(100)의 구목(110)의 사이에서 좌, 우 및 아래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발끈(400)을 구목(110)의 신발끈구멍들(111)에 결속하는 경우, 구목(110)의 하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나열된 신발끈구멍들(111)에 신발끈(400)을 연속하여 결속하고, 이때 구목(110)의 좌측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구목(110)의 우측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신발끈(400)의 다른 일단부를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복수의 절개부(343)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복수의 절개부(343)의 외측으로 인출한다. 마지막으로 신발끈(400)의 양단부를 묶어서 매듭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포(300)는 갑피(100)의 구목(110) 사이에 이동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갑피 및 설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신발은 갑피(100); 바닥창(200); 설포(300); 및 신발끈(400)을 포함하고, 설포(300)는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설포고정수단(340) 및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창(200) 및 신발끈(400),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설포고정수단(34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바닥창(200), 신발끈(400), 쿠션층(310), 외피(320), 내피(330) 및 설포고정수단(3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갑피(100) 및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갑피(100)는 구목(110)이 위치한 부분의 안쪽면에 설포(30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단턱부(120)의 높이는 설포(300)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는 설포(300)의 외피(3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가 설포(300)의 외피(3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는 설포고정수단(34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설포고정수단(340)을 구성하는 삽입구멍(34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는 설포(300)의 단축변에 평행하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에는 신발끈(400)의 양측의 말단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발의 설포(300)는 신발을 신을 때 및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갑피(11)의 구목(110)의 사이에서 좌, 우 및 아래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발끈(400)을 구목(110)의 신발끈구멍들(111)에 결속하는 경우, 구목(110)의 하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나열된 신발끈구멍들(111)에 신발끈(400)을 연속하여 결속하고, 이때 구목(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 후 이어서 설포(300)의 내면으로부터 삽입구멍(341)에 신발끈(400)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신발끈(400)의 양측 말단부를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신발끈(400)의 결속상태는 도 8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발끈(400)을 결속하면, 설포(300)의 양측의 장축변은 단턱부(1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신발끈(400)이 삽입구멍(341)에 결속되므로 설포(300)의 유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신발끈(400)이 끈 고정용 절개부(3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신발끈(400)을 묶어서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의해 신발끈을 매듭지어 묶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신발끈(400)을 마감하는 과정이 신속하고 간편하며, 신발을 신고 활동할 때 신발끈의 매듭이 풀리거나 간섭이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신발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신발의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가 설포(300)의 외피(32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우, 신발끈(400)은 구목(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으로부터 구목(110)의 하단부에 위치한 신발끈구멍(111)을 향해 순차적으로 삽입구멍(341) 및 신발끈구멍(111)에 결속하고, 마지막으로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의 내측으로 신발끈(400)의 양측 말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의 신발끈(400)은 천 소재일 수도 있고, 신발끈(400)의길이 전체 또는 일부의 길이가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발끈(400)은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구목(110)에 결속된 경우 탄력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발끈(400)의 결속력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8)

  1. 신발끈구멍(111)이 형성된 구목(110)이 형성되어 있고, 발을 감싸는 갑피(100);
    상기 갑피(100)의 아래에 고정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200);
    상기 갑피(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발등을 감싸는 설포(300); 및
    상기 신발끈구멍(111)에 결속되는 신발끈(400)을 포함하고,
    상기 설포(300)는,
    쿠션층(310);
    상기 쿠션층(310)의 외면을 덮는 외피(320);
    상기 쿠션층(310)의 내면을 덮고,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320)의 가장자리와 재봉되어 있는 내피(330); 및
    상기 외피(320)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설포(30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설포(300)에 신발끈(400)을 연결하여 상기 설포(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포고정수단(340)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100)는 상기 구목(110)이 위치한 부분의 안쪽면에 상기 설포(30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1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고정수단(340)은, 상기 구목(110)에 형성된 신발끈구멍들(111) 중 상기 구목(1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구멍(111)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멍(34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고정수단(340)은, 상기 설포(300)의 상단부의 단축변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끈삽입고리(3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끈삽입고리(342)의 말단들에는 지지편(34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342a)은 상기 외피(320) 또는 상기 쿠션층(31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고정수단(340)은, 상기 설포(300)의 상기 외피(32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복수의 절개부(343)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절개부(343)는 절개방향은 상기 설포(300)의 장축변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고정수단(340)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멍(341), 적어도 하나의 끈삽입고리(342), 복수의 절개부(343)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341)은 상기 구목(110)에 형성된 신발끈구멍들(111) 중 상기 구목(1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구멍(111)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끈삽입고리(342)는 상기 설포(300)의 상단부의 단축변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개부(343)는 상기 설포(300)의 장축변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설포(300)의 상기 외피(32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400)은 신발끈(400)의 길이 전체 또는 일부의 길이가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300)는 상기 신발끈(400)의 양측 말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끈 고정용 절개부(350)는 상기 설포(300)의 상기 외피(3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40080165A 2014-06-27 2014-06-27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KR10157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165A KR101577139B1 (ko) 2014-06-27 2014-06-27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165A KR101577139B1 (ko) 2014-06-27 2014-06-27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139B1 true KR101577139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165A KR101577139B1 (ko) 2014-06-27 2014-06-27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1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53B2 (ja) 1993-02-08 2000-08-07 日本碍子株式会社 除染廃液の処理方法
JP3132794B2 (ja) * 1993-06-21 2001-02-05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固形製剤の印刷文字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53B2 (ja) 1993-02-08 2000-08-07 日本碍子株式会社 除染廃液の処理方法
JP3132794B2 (ja) * 1993-06-21 2001-02-05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固形製剤の印刷文字検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9406C (zh)
US4394803A (en) Elasticized overlay
US4594798A (en) Shoe heel counter construction
JP2015536174A (ja) 履物の改良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US20120204441A1 (en) Sandal and strap assembly
JP2015071039A (ja)
US10602798B2 (en) Foot and toe protection device
US20210274881A1 (en)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US20140202032A1 (en) Shoe comfort strap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577139B1 (ko)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KR101730627B1 (ko) 기능성 슬리퍼
JP3801560B2 (ja)
JP2004530804A (ja) 靴用ヌードソックス
KR101747161B1 (ko)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신발
JP4928889B2 (ja) 靴用中敷
JP3111466U (ja) 長靴
CN104936475A (zh) 体操芭蕾舞鞋
KR102646870B1 (ko) 착화가 용이한 신발
JP3092122U (ja) 外反母趾あるいは内反小指の予防および矯正サポーター
CN212877858U (zh) 鞋面及鞋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US20200353343A1 (en) Joint protection device
JP6918316B2 (ja) フットカバー
KR102274197B1 (ko) 신축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