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740B1 - 신발결속구 - Google Patents

신발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740B1
KR101433740B1 KR1020130000173A KR20130000173A KR101433740B1 KR 101433740 B1 KR101433740 B1 KR 101433740B1 KR 1020130000173 A KR1020130000173 A KR 1020130000173A KR 20130000173 A KR20130000173 A KR 20130000173A KR 101433740 B1 KR101433740 B1 KR 10143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knot
linker
sto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196A (ko
Inventor
김병기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ublication of KR2014006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발결속구는, 끈구멍이 형성된 신발을 결속하는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끈구멍에 결합되고, 양단부에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신발끈; 및 상기 신발의 설포에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발끈의 양단부에 매듭을 형성하고 신발끈의 양단부를 링커에 결합하는 손쉬운 과정을 통해 신발을 결속할 수 있으므로 신발끈이 결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제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결속구{GADGET FOR TIGHTENING SHOES}
본 발명은 신발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끈구멍에 결합되는 신발끈의 양단부를 서로 묶지 않고, 신발끈의 양단부에 각각 매듭을 형성하여 링커에 삽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단순한 과정을 통해 간편하게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신발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등 부분이 길게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을 가리는 설포(Tongue)가 형성되며, 설포의 양측에는 다수의 끈구멍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결합한 뒤 착용자의 발에 착용하고 있다.
신발끈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끈을 하부 첫 번째 끈구멍에 횡방향으로 끼운 후, 이어서 하부 두 번째의 끈구멍에 서로 교차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끼워주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끼운 다음, 맨 위의 끈구멍에서 끈의 단부를 나비 모양의 매듭으로 형성하여 결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발끈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방식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마다 나비 모양의 매듭을 짓거나 풀어야 하므로 신발의 착용시마다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아동용 운동화에 적용할 경우 아동들은 매듭을 견고하게 짓지 못하여 쉽게 풀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1996-0000194호 '신발용 조임구조'(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나비모양의 매듭을 지을 필요 없이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끈을 대체하는 조임테이프가 종래의 신발끈의 구조와 동일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조임테이프를 조여주기 위한 조임버클이 복수로 형성되어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지그재그 형태의 신발끈을 조임버클로 각각 조여야 하므로 신발을 착용하는 시간이 실질적으로 단축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아동이 신기에는 복수의 조임버클 마다 적정한 힘을 배분하여 조임테이프를 조여야하는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의 조임테이프의 구조를 만드는 과정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버클이 결합되어야 하여 생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조임구조와 갑피가 재봉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조임버클을 사용하여 조임테이프를 당겨서 조일 때마다 조임구조와 갑피의 결합부위가 약해지게 되고 시간이 흐르면 겹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신발을 결속하는 신발결속구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고, 그 결속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신발결속구에 의한 신발 또는 신발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끈구멍이 형성된 신발을 결속하는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끈구멍에 결합되고, 양단부에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신발끈; 및 상기 신발의 설포에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에 각각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커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가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신발끈의 매듭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신발끈의 매듭이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커는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커는 저면이 개구되어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링커는 서로 맞물리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는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결속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발끈의 양단부에 형성된 매듭을 링커에 결합하는 손쉬운 과정을 통해 신발을 결속할 수 있으므로 신발끈이 결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제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을 결속하는 과정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아동이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도 손쉽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끈의 양단이 결합되는 링커가 설포의 상면에 구비되어 신발의 갑피에 형성되는 디자인이나 문양 등의 미관을 가리거나 해치지 않고, 링커와 설포의 상면 간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신발의 외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신발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신발끈의 양단부에 형성된 매듭이 링커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스토퍼와 신발끈의 마찰은 대부분 오목한 구형으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매듭의 외주면 간에 발생하므로 신발끈의 손상 또는 파손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결속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결속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결속구(A1,A2,A3)는, 신발(2)의 끈구멍(5)에 삽입되고 설포(4)의 상측에서 서로 교차되어 신발(2)의 개구부를 결속하는 신발끈(10)을 서로 매듭짓는 방식으로 결속하지 않고, 끝단에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신발끈(10)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20)가 설포(4)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는 양단부에 확장부(11)가 형성되고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신발끈(10)과, 신발(2)의 설포(4)에 형성되고 신발끈(10)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커(20)는 신발끈(10)의 양단부가 그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스토퍼(23)가 상면에 형성되어 설포(4)에 안착되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22)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1)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신발끈(10)의 확장부(11)가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신발끈(10)의 확장부(11)는 신발끈(1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스토퍼(23)에 끼움조립되는 것으로서, 신발끈(10)의 양단부를 각기 일정두께를 갖도록 매듭(111)이 묶어져서 형성된다. 신발끈(10)의 양단에 압착되어있는 필름은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절단된 신발끈(10)의 단부는 신발끈(10)의 섬유조직이 그대로 노출되어 갈라지지 않도록 에나멜 등을 바르거나 열을 가하여 끝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23)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신발끈(10)이 결합되는 방향의 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신발끈(10)의 확장부(11)가 결합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구성으로는, 확장부(11)가 안착되는 안착홈(231)과, 확장부(11) 후방의 신발끈(10)이 삽입되는 삽입홈(232)으로 구성된다.
안착홈(231)은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되거나 매듭(111)이 안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안착홈(231)의 높이는 매듭(111)이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매듭(11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최소한 매듭(111) 높이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232)은 매듭(111) 후방의 신발끈(10)이 삽입되도록 신발끈(10)의 두께에 대응형성되며, 매듭(111)이 통과되어 안착홈(2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매듭(111)의 두께보다 충분히 작은 너비로 형성된다.
커버부(22)는 베이스부(21)의 상부를 마감하여 매듭(111)의 이탈을 방지하며, 양측에는 신발끈(10)이 통과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커버부(22)의 상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심볼이나 로고 등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22)와 베이스부(21)에는 각각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A1)를 이용하여 신발(2)을 착용하거나 벗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발(2)의 갑피(3)에 좌,우 대응되게 형성되는 끈구멍(5)을 통해 신발끈(10)이 결합되어 최상측의 끈구멍(5)을 통해 신발끈(10)의 양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그 단부에는 각각 매듭(111)이 형성된다.
신발끈(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매듭(111)은 기존의 신발끈(10)을 서로 묶는 나비모양 매듭의 형성위치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스토퍼(23)의 안착홈(231) 사이의 거리만큼 나비모양 매듭의 형성위치에서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발결속구(A1)가 결합된 신발(2)을 신거나 벗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커버부(22)를 손으로 파지하여 베이스부(21)의 상측이 드러나도록 이탈시킨 후에, 한 쌍의 스토퍼(23)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된 신발끈(10)의 양단부 중 일측을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안착홈(231)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최상단 끈구멍(5)에 결합된 신발끈(10)의 결속이 해제되어 신발(2)을 신거나 벗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A2)는 스토퍼(23)가 커버부(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는 양단부에 확장부(11)가 형성되고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신발끈(10)과, 신발(2)의 설포(4)에 형성되고 신발끈(10)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커(20)는 신발끈(10)의 양단부가 그 내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저면이 개구되어 한 쌍의 스토퍼(23)가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부(22)로 이루어진다.
커버부(22)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신발끈(10)의 확장부(11)가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신발끈(10)의 확장부(11)는 신발끈(1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스토퍼(23)에 끼움조립되는 부분으로서, 신발끈(10)의 양단부를 각각 매듭지어서 형성한다. 신발끈(10)의 양단에 압착되어있는 필름부분은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절단된 신발끈(10)의 단부는 신발끈(10)의 섬유조직이 그대로 노출되어 갈라지지 않도록 에나멜 등을 바르거나 열을 가하여 끝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23)는 신발끈(10)의 확장부(11)가 결합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구성으로는, 확장부(11)가 안착되는 안착홈(231)과, 안착홈(231)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233)과, 확장부(11) 후방의 신발끈(10)이 삽입되는 삽입홈(232)으로 구성된다.
안착홈(231)은 오목한 구형 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매듭(111)이 안착되고, 단턱(233)은 안착홈(231)에 끼워진 매듭(111)이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홈(231)의 하부에 형성되어 매듭(111)의 하단을 지지하며, 삽입홈(232)은 매듭(111) 후방의 신발끈(10)이 삽입되도록 신발끈(10)의 두께에 대응형성된다.
한편, 커버부(22)의 양측에는 신발끈(10)이 통과하는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커버부(22)의 상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심볼이나 로고 등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A2)를 이용하여 신발(2)을 착용하거나 벗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신발(2)의 갑피(3)에 좌,우 대응되게 형성되는 끈구멍(5)을 통해 신발끈(10)이 결합되어 최상측의 끈구멍(5)을 통해 신발끈(10)의 양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그 단부에는 각각 매듭(111)이 형성된다.
신발끈(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매듭(111)은 기존의 신발끈(10)을 서로 묶는 나비모양 매듭의 형성위치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나비모양 매듭의 형성위치에서 한 쌍으로 구성되는 스토퍼(23)의 안착홈(231) 사이의 거리만큼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발결속구(A2)가 결합된 신발(2)을 신거나 벗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저면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23)가 관찰되도록 커버부(22)를 파지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스토퍼(23)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된 신발끈(10)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여 단턱(233)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매듭(111)을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최상단 끈구멍(5)에 결합된 신발끈(10)의 결속이 해제되어 신발(2)을 신거나 벗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A3)는 베이스부(21)와 커버부(22)에 서로 맞물리는 가압돌기(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결속구(A3)는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신발끈(10)과, 신발(2)의 설포(4)에 형성되고 신발끈(10)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커(20)는 서로 맞물리는 가압돌기(24)가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부(21)와 커버부(22)로 구성되어 신발끈(10)의 양단부가 그 내부에 결합된다.
베이스부(21) 및 커버부(22)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부(21)의 상면과 커버부(22)의 내측 상면에는 서로 번갈아 형성되는 가압돌기(24)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21)와 커버부(22)의 사이에 신발끈(10)의 양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비되고, 베이스부(21)의 상부에 커버부(22)가 결합되면 서로 포개어진 신발끈(10)의 상,하측을 가압돌기(24)가 가압하게 됨으로써 신발끈(10)의 양단부는 링커(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커버부(22)의 양측에는 신발끈(10)이 통과하는 관통홀(221)이 각각 형성되며, 커버부(22)의 상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심볼이나 로고 등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22)와 베이스부(21)에는 각각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1,A2,A3 : 신발결속구 10 : 신발끈
20 : 링커 11 : 확장부
60 : 제2고정구 111 : 매듭
21 : 베이스부 221 : 관통홀
22 : 커버부 231 : 안착홈
23 : 스토퍼 232 : 삽입홈
24 : 가압돌기 233 : 단턱

Claims (6)

  1. 끈구멍이 형성된 신발을 결속하는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끈구멍에 결합되고, 양단부에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신발끈; 및
    상기 신발의 설포에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속하는 링커;를 포함하되,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에 각각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커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가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링커는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결속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신발끈의 매듭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신발끈의 매듭이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결속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결속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서로 맞물리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는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결속구.
KR1020130000173A 2012-11-12 2013-01-02 신발결속구 KR101433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28 2012-11-12
KR20120127528 2012-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196A KR20140061196A (ko) 2014-05-21
KR101433740B1 true KR101433740B1 (ko) 2014-08-27

Family

ID=5089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173A KR101433740B1 (ko) 2012-11-12 2013-01-02 신발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7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482Y1 (ko) * 2001-08-23 2002-01-09 류장욱 신발끈 결속장치
JP3089688U (ja) * 2002-05-01 2002-10-31 坤 鐘 劉 紐長さ調整デバイス及び紐長さ調整デバイス付き靴
KR20080036276A (ko) * 2006-10-23 2008-04-28 박명호 끈 결속구
KR20090105063A (ko) * 2008-04-01 2009-10-07 권익모 신발 끈 마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482Y1 (ko) * 2001-08-23 2002-01-09 류장욱 신발끈 결속장치
JP3089688U (ja) * 2002-05-01 2002-10-31 坤 鐘 劉 紐長さ調整デバイス及び紐長さ調整デバイス付き靴
KR20080036276A (ko) * 2006-10-23 2008-04-28 박명호 끈 결속구
KR20090105063A (ko) * 2008-04-01 2009-10-07 권익모 신발 끈 마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196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15B2 (en) Shoelace binding device
KR200320870Y1 (ko) 끈 고정구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KR20150002376U (ko) 신발 결속구
KR101433740B1 (ko) 신발결속구
WO2015024534A1 (zh) 可便捷更换的鞋底及鞋
KR20090025522A (ko) 결속장치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30002778U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JP5782665B1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KR101542328B1 (ko)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JP3174077U (ja) 緩み防止手段を有する快速結着具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JP6473627B2 (ja) 鼻緒の挿げ具及び鼻緒付履物
JP3150653U (ja) ネクタイ
KR200457110Y1 (ko)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CN107596646A (zh) 一种弹跳鞋
JP5720044B1 (ja) 靴カバー
KR200314697Y1 (ko) 신발끈 체결구
JP3234117U (ja) 靴紐結束具
JP6167366B2 (ja) 紐留具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140108091A (ko)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WO2011157050A1 (zh) 鞋带穿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