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10Y1 -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 Google Patents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10Y1
KR200457110Y1 KR2020110003621U KR20110003621U KR200457110Y1 KR 200457110 Y1 KR200457110 Y1 KR 200457110Y1 KR 2020110003621 U KR2020110003621 U KR 2020110003621U KR 20110003621 U KR20110003621 U KR 20110003621U KR 200457110 Y1 KR200457110 Y1 KR 200457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arc
fixing
arc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희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정태철
정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철, 정미희 filed Critical 정태철
Priority to KR2020110003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끈을 묶은 후 묶여진 머리끈의 상부 중앙에 장신구를 고정함에 따라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의 길이가 반원호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개방부를 형성하는 끈 삽입 원호부와, 상단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상단부와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전방 개방부를 커버하는 끈 고정 원호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끈 고정 원호부를 끈 삽입 원호부에 결합 고정하여 머리끈을 고정하거나 외부의 조작을 통해 이탈되게 구비된 결합 이탈부를, 포함하는 끈 고정 원형링과;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상부에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HEAD STRING ACCESSORY}
본 고안은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끈을 묶은 후 묶여진 머리끈의 상부 중앙에 장신구를 고정함에 따라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사용하는 머리끈은, 긴 머리를 단정하게 정리하거나 머리에 다양한 멋을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머리끈은, 가장 고전적인 형태는 일정 길이의 천으로 머리를 묶어 정리하는 형태, 또는 고리(링) 형상의 고무 밴드의 형태, 또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고무줄의 양 끝단을 매듭지어 고리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고리 형상의 고무밴드에 장신구를 부착시킨 머리끈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에 알려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61호의 "장식 부착형 머리끈"(이하, "종래 제1 실시예의 머리끈"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종래 제1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제1 실시예의 머리끈은, 신축성이 있는 줄(110)의 양쪽 끝단을 결속구(120)로써 결속시켜 줄(110)의 형태가 원 형태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결속구(120)의 바깥쪽 측면에는 장식(130)이 부착된 장식 부착형 머리끈(100)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20)는 줄(110)의 양단이 양측에서 각각 끼워지는 한편 접착수단으로써 접합되어 결속되게 양쪽 측면에 각각 결속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되되 상기 장식과 대응하게 되는 결속구(120)의 바깥쪽 표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속구(120)의 바깥쪽 표면과 장식(130)의 사이는 접착제(140)로써 접합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식 부착형 머리끈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을 경우에는, 한손으로 묶을 위치에 머리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줄(110)을 머리에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감아 묶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줄을 여러 겹으로 감아 묶으면서 착용할 경우에는, 장식(130)의 위치가 일측으로 편중되게 된다. 따라서 머리끈을 착용한 다음 장식의 위치를 중앙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장식(13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줄(110)도 함께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머리끈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5792호의 "편리한 머리끈"(이하, "종래 제2 실시예의 머리끈"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도 10은 종래 제2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제2 실시예의 머리끈은, 머리를 묶는 데에 사용하는 머리끈에 있어서, 후면에 연결 홈(210)을 갖는 장신구(200)와, 장신구(200)와 연결 홈(210) 사이를 지나는 결합고리(220), 결합고리(22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걸고리로 구성된 결합장치(230), 머리를 묶는 신축끈(240)과, 신축끈(240)의 좌우를 고정해주는 고정축(250)과, 고정축(250)에 고정된 연결고리(2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2 실시예의 머리끈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을 경우에는, 한손으로 묶을 위치에 머리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신축끈(240)을 머리에 여러 겹으로 감아 묶으면서 신축끈(240)을 머리에 고정한 다음, 상기 걸고리로 구성된 결합장치(230)를 상기 신축끈(240)에 고정된 연결고리(260)에 걸어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머리띠를 착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신축끈(240)을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감아 묶으면서 착용할 경우에는 신축끈(240)에 고정된 연결고리(260)의 위치가 일측으로 편중됨으로써, 신축끈(240)을 착용한 다음 연결고리(260)의 위치를 중앙으로 이동시킨 다음 장신구(200)와 연결된 걸고리로 구성된 결합장치(230)를 연결고리(260)에 걸어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머리띠를 착용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신축끈(240)을 착용한 상태에서 연결고리(260)의 위치를 중앙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신축끈(240)도 함께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머리끈과 마찬가지로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걸고리로 구성된 결합장치(230)가 상기 연결고리(260)에서 유동되게 결합됨으로써, 착용 후 장신구(200)가 유동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머리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40066호의 "헤어 밴드"(이하,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이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11은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은, 소정 길이로 팽창 가능한 탄성재질의 끈부재(300)와, 소정의 형상 및 색상을 갖는 액세서리(310)와, 액세서리(310)에 고정되는 제 1클립(320)과, 상기 끈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클립(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세서리(310)를 상기 끈부재(300)에 고정시키는 제1 클립(320)과 분리되게 구비된 제 2클립(330)으로 구성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착탈수단은, 악세서리(310)가 고정된 제1 클립(320)에 분리된 제2 클립(330)을 결합하거나 탈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클립(320)의 양측벽에 형성된 고정공(340)과, 제 2클립(330)의 양측벽에 구비되어 제 1클립(320)의 고정공(340)이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엠보싱 가공된 고정돌기(350)로 구성된다. 즉 제2 클립(330)의 양측벽이 상기 제1 클립(320)의 삽입되면서 악세서리(310)를 끈부재(300)에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은, 액세서리(310)를 끈부재(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여 간단한 교체 작업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액세서리의 헤어 밴드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은, 상호 분리된 제1,2 클립(320)(330)을 착탈수단을 통해 끈부재(300)에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끈부재(300)에 악세서리(310)를 교체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제1,2 클립(320)(330)을 상호 연결하여 끈부재(300)에 악세서리(310)를 고정한 다음, 악세서리(310)가 고정된 끈부재(300)를 여러 겹으로 감아 머리를 묶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제3 실시에의 머리끈을 사용하여 머리를 묶게 되면, 전,후술한 종래 제1,2 머리끈과 마찬가지로 악세서리(310)의 위치가 일측으로 편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끈부재(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악세서리(310)의 위치를 중앙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끈부재(300)도 함께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전,후술한 제1,2 실시예의 머리끈과 마찬가지로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악세서리를 교체함에 있어서, 악세서리(310)가 고정된 제1 클립(320)에서 제2 클립(330)을 완전히 분리 이탈시킨 다음, 다른 악세서리(310)가 고정된 제1 클립(320)에 제2 클립(330)을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악세서리(310)를 교체하였으나, 이와 같이 악세서리(31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제2 클립(330)을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만약에, 상기 끈부재(300)를 머리에 묶은 상태에서 본인인 자신이 악세서리(310)를 끈부재(300)에 고정한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자신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1 클립(32)과 완전히 분리된 제2 클립(330)의 양측벽을 제1 클립(320)의 양측벽에 삽입하여 제2클립(330)을 제1 클립(320)에 고정해야 하는데, 제2 클립(330)이 제1 클립(320)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2 클립(330)을 제1 클립(320)에 정확한 위치에 끼우기는 불가능 하였다.
또한, 예를 들어 만약에, 상기 끈부재(300)를 머리에 묶은 상태에서 악세서리(310)를 끈부재(300)에 고정할 경우에, 자신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악세서리(310)가 고정된 제1 클립(320)의 양측벽에 제2 클립(330)의 양측벽을 억지로 삽입하면서 고정하려고 함에 있어서, 머리카락이 제1,2 클립(320)(330)의 양측벽의 사이에 끼게 되어 머리카락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인 자신이 머리끈을 머리에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감아 묶은 다음, 자신이 묶여진 머리끈을 보지 않고 머리끈을 좌우로 유동시키지 않으면서 머리끈의 상부 중앙에 장신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와 끈 고정 원호부가 힌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 구성된 끈 고정 원형링을 제공함으로써, 머리를 풀기 위하여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을 해제하여 장신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끈 고정 원호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띠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머리끈을 머리에서 풀 경우에 장신구를 먼저 머리끈에서 분리한 다음 머리끈을 풀음에 따라, 머리카락이 끈 고정 원형링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져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의 상부에 장식부를 직접 고정함에 따라, 장식구의 착용 후 이동 중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고정 원호부를 끈 삽입 원호부에 회전 누름만을 통해 보지 않고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발력을 통해 좀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분리할 경우에 손가락의 삽입만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분리할 경우에, 끈 고정 원호부의 외부에 구비된 해제 돌출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당김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돌출 고정축과 회전 걸림대의 상호 걸림을 통해 좀더 견고하게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끈 삽입 원호부에 고정 구비되는 장식부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의 길이가 반원호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개방부를 형성하는 끈 삽입 원호부와, 상단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상단부와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전방 개방부를 커버하는 끈 고정 원호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끈 고정 원호부를 끈 삽입 원호부에 결합 고정하여 머리끈을 고정하거나 외부의 조작을 통해 이탈되게 구비된 결합 이탈부를, 포함하는 끈 고정 원형링과;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상부에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홈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후방이 개방되며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홈의 전방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홈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수평홀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와; 상기 수평홀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관과, 수평관의 내부 양측에는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걸림홈이 걸리는 양측의 걸림구와, 수평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 걸림구를 외측으로 눌러주는 스프링으로 구비된 록킹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와 끈 삽입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측부에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양 경사부로 구성된 손가락 해제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손가락 삽입홈을 갖는 해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홈의 전방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홈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 하단부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장홀이 구비된 수평홀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와; 상기 수평홀의 양측에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의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각각의 중간 하부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작동축이 구비되는 양 걸림축과, 상기 수평홀에 삽입되어 양 걸림축을 외측으로 눌러주는 스프링으로 구비된 록킹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 연결부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연결부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부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의 측부에 돌출 구비되며 외측에 구를 포함하는 돌출 고정축과, 상기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의 측부에 구비되어 후방 힌지부을 중심으로 회전을 통해 돌출 고정축에 걸리는 걸림홀을 갖는 회전 걸림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홀과, 상기 장식부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수직홀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하부구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 삽입 원호부와 끈 고정 원호부는, 내측면에 다수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자신이 머리끈을 묶은 다음 자신이 묶여진 머리끈의 상부 중앙에 머리끈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장신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끈 고정 원호부와 끈 삽입 원호부를 힌지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함에 따라, 장신구를 머리끈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끈 고정 원호부의 분실을 방지함으로써 장신구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머리끈을 머리에서 풀 경우에 장신구를 먼저 머리끈에서 분리한 다음 머리끈을 풀음에 따라 머리카락이 끈 고정 원형링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는 손상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된 장신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고정 원호부를 끈 삽입 원호부에 끈 고정 원호부의 회전 누름만을 통해 보지 않고도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머리를 묶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의 상부에 장식부를 직접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장식구의 착용 후 이동 중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에 거부감을 주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발력을 통해 좀더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장신구를 머리끈에 고정한 상태에서 장신구가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분리할 경우에 손가락을 삽입만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리끈을 머리에서 풀을 경우 신속히 장식구를 이탈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분리할 경우에 끈 고정 원호부의 외부에 구비된 해제 돌출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당김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머리끈을 머리에서 풀을 경우 신속히 장식구를 이탈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의 하단부와 끈 고정 원호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돌출 고정축과 회전 걸림대의 상호 걸림을 통해 좀더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장신구를 머리끈에 고정한 상태에서 장신구가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끈 삽입 원호부에 고정 구비되는 장식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장식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c는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 제1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종래 제2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종래 제3 실시예의 머리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는, 전방 개방부(21)를 형성하며 머리에 묶인 머리끈(10)이 삽입되는 끈 삽입 원호부(2)와,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단부와 힌지부(4)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머리끈(10)을 고정하는 끈 고정 원호부(3)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 이탈부(5)를, 포함하는 끈 고정 원형링(1)과; 상기 띠 삽입 원호부의 상부에 고정부(71)를 통해 고정되는 장식부(7)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체 둘레의 길이가 반원호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방 개방부(21)를 형성하며, 머리에 묶인 한 겹 이상으로 감겨진 머리끈(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머리끈(10)이 위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끈 삽입 원호부(2)는, 상기 끈 고정 원형링(1)을 구성하는 둘레 길이의 절반인 반 원호형의 둘레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얇은 판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되며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방 개방부(21)를 커버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단부와 힌지부(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는 상단부에 구비된 힌지부(4)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전방 개방부(21)를 커버하여 한 겹 이상으로 감겨 머리에 묶인 머리끈(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는, 상단부의 힌지부(4)를 통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머리끈(10)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끈 삽입 원호부(2)와 함께 완전한 원형링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보다 둘레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얇은 판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되며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힌지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단부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상단부에 구비됨으로써, 끈 삽입 원호부(2)와 끈 고정 원호부(3)를 일체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끈 고정 원호부(3)를 회전 가능하게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부(4)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상단부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평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 돌출 경첩부(41)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상단부의 단부 양측에 돌출 구비되어 사이에는 상기 돌출 경첩부(41)가 삽입되게 구비되고 각각에 수평 관통홀이 형성된 양측 돌출 경첩부(41)와, 상기 돌출 경첩부(41)들이 상호 맞물려져 수평 관통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수평 관통홀들에 삽입되는 힌지축(42)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결합 이탈부(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구비되어 끈 고정 원호부(3)를 끈 삽입 원호부(2)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한 겹 이상으로 감겨져 머리에 묶여진 머리끈(10)에 끈 고정 원형링(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상호 분리되게 하여 머리끈(10)으로 부터 끈 고정 원형링(1)을 이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511)에는 걸림홈(512)이 형성된 결합홈부(51)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51)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521)에는 상기 걸림홈(512)에 삽입되는 돌출부(522)가 형성된 결합 돌출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522)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를 눌러 끈 삽입 원호부(2)에 결합할 경우에, 상기 결합홈부(5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5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와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31)(22)의 하단 측부에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양 경사부(561)로 구성된 손가락 해제홈부(56)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 해제홈부(56)에 손가락의 삽입만으로도,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의 외측에 돌출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손가락 삽입홈(571)을 갖는 해제 돌출부(6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제 돌출부(62)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당김을 통해 상기 끈 고정 원호부(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와 끈 고정 원호부(3)는, 내측면에 다수로 형성된 엠보싱부(E)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와 끈 고정 원호부(3)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엠보싱부(E)는 머리끈(10)을 고정한 후 머리끈(10)의 표면을 견고하게 눌러줌으로써, 본 고안에 끈 고정 원형링(1)을 머리끈(10)에 견고하고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엠보싱부(E)는, 끝단부가 둥근 원뿔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머리끈(1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장식부(7)를 고정하는 고정부(71)는, 접착제나 용접부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분리 조립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분리 조립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분리 조립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된 고정부(71)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홀(711)과, 상기 장식부(7)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수직홀(711)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하부구(713)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재 고정축(7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구(713)를 포함하는 고정축(712)은 신축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수직홀(711)에 강제적으로 관통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고정 후 회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에 고정 구비되는 장식부(7)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식부(7)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식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 자신이 장신구가 전혀 없는 머리끈(10)을 사용하여 머리를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묶는다.
다음, 상기와 같이 자신이 머리끈(10)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은 상태에서, 한 겹 이상으로 감겨진 머리끈(10)의 상부 중앙 주위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성하는 끈 삽입 원호부(2)에 머리끈(10) 상부의 중앙 후방을 끼운 후 전방에 위치된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름을 통해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구비된 결합 이탈부(5)를 결합한다.
즉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르게 되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결합 돌출부(52)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에 함몰되게 구비된 결합홈부(51)에 삽입되면서, 결합 돌출부(52)의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부(51)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홈(512)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가 상로 결합됨으로써, 머리에 묶인 머리끈(10)의 상부 중앙에 장신구를 고정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끈 고정 원형링(1)을 묶여진 머리끈(10)에 고정할 경우에는, 한 겹으로 묶인 머리끈(10)에는 끈 고정 원형링(1)을 한 겹의 머리끈(10)에 직접 고정하고, 두 겹 이상의 묶인 머리끈(1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겹의 머리끈(10)을 제외한 나머지 한 겹 이상의 머리끈(10)에 끈 고정 원형링(1)을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신이 머리끈(10)만을 묶은 다음 자신이 묶여진 머리끈(10)의 상부 중앙에 머리끈(1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장신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머리끈(10)을 묶은 후 묶여진 머리끈(10)의 상부 중앙에 장신구를 고정함에 따라 묶여진 머리카락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머리카락을 묶은 후 장신구의 위치 교정을 필요 없게 함으로써 머리카락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머리를 신속이 묶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머리끈(10)을 풀 경우에는, 먼저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과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 측부에 구비된 손가락 해제홈부(56)에 손가락의 끝단을 삽입하면, 끈 삽입 원호부(2) 하단과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이 상호 벌어지게 됨으로써, 결합 이탈부(5)를 구성하는 상기 결합 돌출부(52)의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522)가 상기 결합홈부(51)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홈(512)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그러면 전방에 위치된 끈 고정 원호부(3)를 힌지부(4)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시키고, 끈 삽입 원호부(2)를 머리끈(10)으로 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장신구를 머리끈(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정신구가 분리된 머리끈(10)을 머리에서 푸는 것이다.
따라서, 머리를 풀기 위하여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해제하여 장신구를 머리끈(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상단부가 힌지부(4)를 통해 끈 삽입 원호부(2)에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끈 고정 원호부(3)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머리끈(10)을 머리에서 풀 경우에 장신구를 먼저 머리끈(10)에서 분리한 다음 머리끈(10)을 풀음으로써, 머리카락이 끈 고정 원형링(1)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는 손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 이탈부(5)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가이드홈(531)이 형성되며 양 가이드홈(531)의 전방에는 걸림홈(532)이 형성된 결합홈부(53)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53)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수평홀(541)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54)와, 상기 수평홀(541)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 걸림홈(532)에 스프링(553)의 탄발력을 통해 양측 걸림구(552)가 걸리는 역할을 하는 록킹 연결부(55)를 포함한다.
싱기 가이드홈(531)은, 상기 결합홈부(53)의 양 경사벽에 각각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구(552)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 연결부(55)는, 상기 수평홀(541)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관(551)과, 수평관(551)의 내부 양측에는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걸림홈(532)에 걸리는 상기 양측의 걸림구(552)와, 수평관(5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 걸림구(552)를 외측으로 눌러주는 상기 스프링(55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신이 머리끈(10)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은 상태에서, 한 겹 이상으로 감겨 묶여진 머리끈(10)에 끈 삽입 원호부(2)를 머리끈(10) 상부의 중앙 후방에 끼운 후, 전방에 위치된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름을 통해 상기 결합 이탈부(5)를 결합한다.
즉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르게 되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에 돌출 구비된 결합 돌출부(54)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에 함몰되게 구비된 결합홈부(53)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 돌출부(54)의 양측에 돌출된 양측 걸림구(552)가 상기 결합홈부(53)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53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홈(531)의 전방에 구비된 걸림홈(53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측 걸림구(552)가 걸림홈(53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양 걸림구(552)를 스프링(553)이 외측으로 눌러 줌에 따라, 양 걸림구(552)가 걸림홈(532)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와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31)(22)의 하단 측부에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양 경사부(561)로 구성된 손가락 해제홈부(56)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의 외측에 돌출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손가락 삽입홈(571)을 갖는 해제 돌출부(6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손가락 해제홈부(56)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한 겹 이상으로 묶여진 머리끈(10)에서 장신구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과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 측부에 구비된 손가락 해제홈부(56)에 손가락의 끝단을 삽입하면,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과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이 상호 벌어지게 됨으로써, 결합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결합 돌출부(54)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구(552)가 상기 결합 홈부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홈(532)에서 이탈됨으로써, 끈 고정 원호부(3)가 개방됨에 따라 장신구를 머리띠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c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 이탈부(5)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가이드홈(611)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홈(611)의 전방에는 걸림홈(612)이 형성된 결합홈부(61)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61)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장홀(622)이 구비된 수평홀(621)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62)와, 상기 수평홀(621)과 상기 장홀(622)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걸림홈에 스프링(634)의 탄발력을 통해 양측 걸림축(631)이 걸리게 고정되는 록킹 연결부(6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611)은, 상기 결합홈부(61)의 양측 경사벽에 각각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 걸림축(631)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방되며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 연결부(63)는, 상기 수평홀(621)의 양측에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의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632)이 형성되고 각각의 중간 하부에는 상기 장홀(622)에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작동축(633)이 구비되는 양 걸림축(631)과, 상기 수평홀(621)에 삽입되어 양 걸림축(631)을 외측으로 눌러주는 스프링(63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홀(621)과 장홀(622)에 양 걸림축(631)을 장착하기 위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62)를 상,하로 분리하여 제조한 후, 접착제나 열융착을 통해 결합 돌출부(62)를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이 머리끈(10)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은 상태에서, 한 겹 이상으로 감겨 묶여진 머리끈(10)에 끈 삽입 원호부(2)를 머리끈(10) 상부의 중앙 후방에 끼운 후, 전방에 위치된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름을 통해 상기 결합 이탈부(5)를 결합한다.
즉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르게 되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에 돌출 구비된 결합 돌출부(62)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에 함몰되게 구비된 결합홈부(61)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 돌출부(62)의 양측에 돌출된 양측 걸림축(631)이 상기 결합홈부(6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6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홈(611)의 전방에 구비된 걸림홈(612)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축(631)의 외측에 형성된 경사면(632)의 후방이 걸림홈(612)에 걸리게 삽입됨으로써,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가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이탈되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측 걸림축(631)이 걸림홈(6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양 걸림축(631)을 스프링(634)이 외측으로 눌러 줌에 따라, 양 걸림축(631)이 걸림홈(612)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한 겹 이상으로 묶여진 머리끈(10)에서 장신구를 분리할 경우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62)의 하부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된 양 작동축(633)을 상호 근접하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양 걸림홈(612)에 걸린 양 걸림축(631)을 후퇴시키면서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록킹 상태를 해제 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록킹 상태를 해제 시키는 과정을 통해 끈 고정 원호부(3)가 개방됨에 따라 장신구를 머리끈(10)으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 이탈부(5)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형성된 삽입 연결부(65)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연결부(65)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부(66)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의 측부에 돌출 구비되며 외측에 구(671)를 포함하는 돌출 고정축(67)과,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의 측부에 구비되어 후방 힌지부(682)를 중심으로 회전을 통해 돌출 고정축(67)에 걸리는 걸림홀(681)을 갖는 회전 걸림대(68)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 연결부(65)는,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전방 개방 끼움홈(652)과 상부 걸림 함몰홈(653)이 형성되는 내부 함몰홈(651)과, 내부 함몰홈(651)의 하부에서 돌출 구비된 하부 돌출판(6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 고정부(66)는,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연결부(65)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함몰홈(651)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판(661)과, 삽입 돌출판(6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개방 끼움홈(652)과 상부 걸림 함몰홈(653)에 삽입되는 중간 돌출부(662) 및 상부 돌출부(663)와, 상기 하부에 함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돌출판(654)이 삽입되는 하부 함몰부(664)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신이 머리끈(10)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은 상태에서, 한 겹 이상으로 감겨 묶여진 머리끈(10)에 끈 삽입 원호부(2)를 머리끈(10) 상부의 중앙 후방에 끼운 후, 전방에 위치된 끈 고정 원호부(3)의 누름을 통해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구비된 삽입 고정부(66)를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구비된 삽입 연결부(65)에 끼운다.
다음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 걸림대(68)를 후방 힌지부(68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 걸림대(68)의 걸림홀(681)을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측부에 돌출 구비된 돌출 고정축(67)의 구(671)를 통과시켜 거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걸림홀(681)을 돌출 고정축(67)에 건 상태에서는, 돌출 고정축(67)의 외측에 구(67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구(671)에 의해 걸림홀(681)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돌출 고정축(67)과 회전 걸림대(68)의 상호 걸림을 통해 좀더 견고하게 연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한 겹 이상으로 묶여진 머리끈(10)에서 장신구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 걸림대(68)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고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 상태를 해제 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 상태를 해제 시키는 과정을 통해 끈 고정 원호부(3)가 개방됨에 따라 장신구를 머리띠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끈 고정 원형링
2 : 끈 삽입 원호부
21 : 전방 개방부, 22 : 하단부, E : 엠보싱부
3 : 끈 고정 원호부
31 : 하단부, E : 엠보싱부
4 : 힌지부
41 : 돌출 경첩부

42 : 힌지축
5 : 결합 이탈부
51 : 결합홈부
511 : 경사벽, 512 : 걸림홈
52 : 결합 돌출부
521 : 경사벽, 522 : 돌출부
53 : 결합홈부
531 : 가이드홈, 532 : 걸림홈
54 : 결합 돌출부
541 : 수평홀
55 : 록킹 연결부
551 : 수평관, 552 : 걸림구, 553 : 스프링
56 : 손가락 해제홈부
561 : 경사부
57 : 해제 돌출부
571 : 손가락 삽입홈
61 : 결합홈부
611 : 가이드홈, 612 : 걸림홈
62 : 결합 돌출부
621 : 수평홀, 622 : 장홀
63 : 록킹 연결부
631 : 걸림축, 632 : 경사면, 633 : 작동축, 634 : 스프링
65 : 삽입 연결부
651 : 내부 함몰홈, 652 : 전방 개방 끼움홈,
653 : 상부 걸림 함몰홈, 654 : 하부 돌출판
66 : 삽입 고정부
661 : 삽입 돌출판, 662 : 중간 돌출부,
663 : 상부 돌출부, 664 : 하부 함몰부
67 : 돌출 고정축
671 : 구
68 : 회전 걸림대
681 : 걸림홀, 682 : 후방 힌지부
7 : 장식부
71 : 고정부
711 : 수직홀, 712 : 고정축, 713 : 하부구
10 : 머리끈

Claims (9)

  1.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의 길이가 반원호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개방부(21)를 형성하는 끈 삽입 원호부(2)와, 상단부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단부와 힌지부(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전방 개방부(21)를 커버하는 끈 고정 원호부(3)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구비되어 끈 고정 원호부(3)를 끈 삽입 원호부(2)에 결합 고정하여 머리끈(10)을 고정하거나 외부의 조작을 통해 이탈되게 구비된 결합 이탈부(5)를, 포함하는 끈 고정 원형링(1)과;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부에 고정부(71)를 통해 고정되는 장식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511)에는 걸림홈(512)이 형성된 결합홈부(51)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51)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521)에는 상기 걸림홈(512)에 삽입되는 돌출부(522)가 형성된 결합 돌출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후방이 개방되며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은 가이드홈(531)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홈(531)의 전방에는 걸림홈(532)이 형성된 결합홈부(53)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53)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수평홀(541)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54)와;
    상기 수평홀(541)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관(551)과, 수평관(551)의 내부 양측에는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걸림홈(532)이 걸리는 양측의 걸림구(552)와, 수평관(5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 걸림구(552)를 외측으로 눌러주는 스프링(553)으로 구비된 록킹 연결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와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31)(22)의 하단 측부에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양 경사부(561)로 구성된 손가락 해제홈부(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의 외측에 돌출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손가락 삽입홈(571)을 갖는 해제 돌출부(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고정 원호부(3) 하단부(31)의 하단 중간에 후방 폭이 넓고 전방 폭이 좁게 함몰 형성되고, 양측 경사벽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은 가이드홈(611)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홈(611)의 전방에는 걸림홈(612)이 형성된 결합홈부(61)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 하단부(22)의 하단 중간에 상기 결합홈부(61)에 삽입되도록 전방 폭이 좁고 후방 폭이 넓게 돌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장홀(622)이 구비된 수평홀(621)이 형성된 결합 돌출부(62)와;
    상기 수평홀(621)의 양측에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의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632)이 형성되고 각각의 중간 하부에는 상기 장홀(622)에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작동축(633)이 구비되는 양 걸림축(631)과, 상기 수평홀(621)에 삽입되어 양 걸림축(631)을 외측으로 눌러주는 스프링(634)으로 구비된 록킹 연결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이탈부(5)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에 형성된 삽입 연결부(65)와;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연결부(65)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부(66)와,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하단부(22)의 측부에 돌출 구비되며 외측에 구(671)를 포함하는 돌출 고정축(67)과,
    상기 끈 고정 원호부(3)의 하단부(31)의 측부에 구비되어 후방 힌지부(682)을 중심으로 회전을 통해 돌출 고정축(67)에 걸리는 걸림홀(681)을 갖는 회전 걸림대(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1)는,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홀(711)과,
    상기 장식부(7)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수직홀(711)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하부구(713)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고정축(7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끈 삽입 원호부(2)와 끈 고정 원호부(3)는,
    내측면에 다수로 형성된 엠보싱부(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KR2020110003621U 2011-04-27 2011-04-27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KR200457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21U KR200457110Y1 (ko) 2011-04-27 2011-04-27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21U KR200457110Y1 (ko) 2011-04-27 2011-04-27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110Y1 true KR200457110Y1 (ko) 2011-12-06

Family

ID=4556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21U KR200457110Y1 (ko) 2011-04-27 2011-04-27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10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202U (ja) * 1983-07-11 1985-02-01 田中 博美 ヘア結束用リング
KR19990009528U (ko) * 1997-08-22 1999-03-15 조성국 장식품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머리 장신구
KR20000018035U (ko) * 1999-03-11 2000-10-05 윤민욱 헤어 밴드
KR200206097Y1 (ko) * 2000-06-22 2000-12-01 양혜수 분리형 머리핀
KR200334198Y1 (ko) * 2003-08-29 2003-11-21 정대욱 헤어밴드
US20050056298A1 (en) * 2003-09-15 2005-03-17 Mcroberts Michael J. Hook on pony tail accessory
KR20080005792U (ko) * 2007-05-28 2008-12-03 곽혜영 편리한 머리끈
US20090266375A1 (en) * 2008-04-23 2009-10-29 Michelle C. Patredis Removable decorative element with attached band to accessorize hair bow and other hair embodiments
KR20110003353U (ko) * 2009-09-28 2011-04-05 전영병 헤어밴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202U (ja) * 1983-07-11 1985-02-01 田中 博美 ヘア結束用リング
KR19990009528U (ko) * 1997-08-22 1999-03-15 조성국 장식품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머리 장신구
KR20000018035U (ko) * 1999-03-11 2000-10-05 윤민욱 헤어 밴드
KR200206097Y1 (ko) * 2000-06-22 2000-12-01 양혜수 분리형 머리핀
KR200334198Y1 (ko) * 2003-08-29 2003-11-21 정대욱 헤어밴드
US20050056298A1 (en) * 2003-09-15 2005-03-17 Mcroberts Michael J. Hook on pony tail accessory
KR20080005792U (ko) * 2007-05-28 2008-12-03 곽혜영 편리한 머리끈
US20090266375A1 (en) * 2008-04-23 2009-10-29 Michelle C. Patredis Removable decorative element with attached band to accessorize hair bow and other hair embodiments
KR20110003353U (ko) * 2009-09-28 2011-04-05 전영병 헤어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1239A1 (en) Hair Retaining Clip with Elastic Biasing Member
US20090032044A1 (en) Hair bow system
US20130186424A1 (en) Decorative beaded device for hair
CA2802416A1 (en) Improved drawstring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KR200457110Y1 (ko)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KR200485802Y1 (ko) 케이블 타이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TWM447696U (zh) 鞋帶組合體及其飾物單元
KR200464605Y1 (ko)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US20120030914A1 (en) Aesthetic beaded necklace clasp
KR200462419Y1 (ko)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헤어핀셋
JP3160158U (ja) ヘアーエクステンションセット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JP4473984B2 (ja) 紐端末カバー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KR101433740B1 (ko) 신발결속구
KR101189920B1 (ko) 분리형 넥타이의 착탈식 목연결부 구조
KR200464603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매듭고정형 붙임머리
TWI558342B (zh) 眼鏡及其它個人物品固持器
KR200478425Y1 (ko) 머리띠
KR200286483Y1 (ko) 헤어 리본과 머리묶음 링의 접합 결속구
JP5960888B2 (ja) 携帯ストラップの取り付け物品および携帯ストラップ
KR200387699Y1 (ko)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KR200289117Y1 (ko)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JP5527672B2 (ja) 線状ゴムを環状にする装身具用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