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92U - 편리한 머리끈 - Google Patents

편리한 머리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92U
KR20080005792U KR2020070008655U KR20070008655U KR20080005792U KR 20080005792 U KR20080005792 U KR 20080005792U KR 2020070008655 U KR2020070008655 U KR 2020070008655U KR 20070008655 U KR20070008655 U KR 20070008655U KR 20080005792 U KR20080005792 U KR 200800057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ornaments
strap
straps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혜영
Original Assignee
곽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혜영 filed Critical 곽혜영
Priority to KR2020070008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92U/ko
Publication of KR20080005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를 묶을 때에 사용되는 머리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끈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장신구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머리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판매되고 있는 머리끈은 신축끈과 장신구가 접착수단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되어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의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축끈과 장신구를 따로 만들어서 서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머리끈의 파손 시에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한 번의 신축끈 구매로 여러 가지의 장신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신축끈만을 가지고 머리를 묶은 후에 장신구를 부착할 수 있는 편리함도 가지고 있으며, 장신구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서 머리를 묶은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머리끈, 신축끈, 장신구, 탈부착, 회전

Description

편리한 머리끈{The head string which is convenient}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신축끈과 장신구를 결합한 완성도이다.
도3는 장신구에 결합창치를 부착한 평면도이다.
도3a은 장신구에 결합장치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3b는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c는 결합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의 일부이다.
도3d는 결합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의 다른 일부이다.
도4는 도3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5은 머리끈에 결합 고리를 부착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신구 11 : 결합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홈
20 : 신축끈 21 : 신축끈의 좌우를 고정해주는 고정축
22 : 장신구의 결합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
30 : 결합장치의 갈고리 31a : 갈고리 열림 축
31b : 갈고리 열림 고리 32 : 결합장치 기둥 끝의 두툼한 부분
33 : 결합장치의 기둥 34 : 31a, 31b, 33을 고정해주는 장치
40 : 기둥을 감싸고 있는 원형의 고리
41 : 11에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고리
본 고안은 머리를 묶을 때에 사용되는 머리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끈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장신구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머리끈에 관한 것이다.
머리끈은 단순히 신축성이 있는 끈으로 되어있는 머리끈과 신축끈에 장신구가 부착되어 있는 머리끈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 본 아이템은 장신구가 부착되어 있는 머리끈에 대한 것을 중점으로 생각하기로 한다.
종래에도 신축끈에 장신구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의 머리끈이 생산되고 있으나, 신축끈과 장신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실리콘이나 본드재질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사용자 임의로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신축끈에 장신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면서 접착된 부분이 떨어지거나, 신축끈이 신축성을 잃는다거나, 장신구의 파손이 생기면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새것을 구입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빠르게 유행이 바뀌고 매번 다른 컨셉으로 옷을 입는 요즘 젊은 세대의 사용자들에게는 이에 맞추어 여러 종류의 머리끈이 필요하게 마련이다. 종래에 장신구가 부착된 머리끈을 사용할 경우 머리 장신구를 구입할 때마다 매번 신축끈도 함께 구입하는 꼴이 되어버리니 경제적으로 낭비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착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장신구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 머리를 묶는 데에 장신구에 걸려서 불편한 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많을 것이고, 캐릭터 모양이나 특정 모양이 있는 장신구는 머리를 묶었을 때에 정 가운데에 똑바른 모습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머리를 묶는 과정에서 장신구의 위치가 거꾸로 되거나 삐뚤게 고정되어서 머리를 다시 묶어야 했던 경험 또한 갖고 있을 것이다.
종래의 머리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축끈과 장신구를 분리하여 장신구에 회전결합장치를 부착하고 신축끈에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다음과 같은 머리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①신축끈으로 머리를 묶은 후 장신구의 부착이 가능하다. 장신구의 크기가 클수록 머리를 묶을 때 불편하다. 장신구에 걸려서 머리카락이 빠지기도 하고, 신축끈을 두세 번 감아서 머리를 묶어야 하는데 장신구 때문에 불편할 때가 있다. 이때에 장신구가 부착되지 않은 신축끈으로 머리를 묶은 후에 장신구를 부착하면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②신축끈으로부터 장신구의 회전이 가능하다. 머리를 묶다 보면 장신구의 방향이 뒤집힌 채로 머리가 묶여서 머리를 다시 묶었던 경험이 여자들이라면 있을 것이다. 이때에 머리를 다시 묶지 않고 간단히 장신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신구를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다.
③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신축끈과 장신구의 조합으로 분위기나 스타일에 따라 여러 가지의 연출이 가능하다.
④경제적이다. 한 예로 두 개의 신축끈과 두 개의 장신구를 소지했을 경우 네 가지의 머리끈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욕구가 다양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경제적이다.
⑤재활용성이 있다. 신축끈 또는 장신구 중 한 가지가 파손되었을 경우 다른 신축끈 또는 장신구로 교체함으로써 기존에 둘 중 하나가 파손되면 버려졌던 머리끈보다 재활용성이 있다.
⑥상품화 가치가 있다. 탈부착할 수 있는 머리끈을 구입하면, 다음에 머리끈을 구입 시 기존의 머리끈에 사용할 수 있는 신축끈이나 장신구를 구입함으로써 지속적인 고객확보가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연출을 원하는 마니아층이 형성될 수 있다.
⑦많은 사람의 욕구에 대응할 수 있다. 대량생산을 하면서도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장신구의 모형과 다양한 굵기, 색상의 신축끈을 생산하면 소비자는 자신의 흥미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축끈과 장신구를 이용한 머리끈 구성방법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크게 장신구와 신축끈으로 구성되는 머리끈으로서 장신구와 신축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장신구는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신축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장신구는 생산과정에서 결합장치를 부착하게 되는데, 도 3a는 결합장치를 부착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장신구의 뒷면(10)에 반원의 형상(11)을 띤 부착물이 연결되어 있다. 장신구의 뒷면(10)과 이 부착물(11) 사이에 결합장치의 일부(41)가 위치하게 된다.
결합장치인 도 3b을 살펴보면 이 결합장치는 고리 형태를 하고 있는 도 3d와 갈고리 형태를 하고 있는 도 3c로 나누어질 수가 있다.
도 3c에서 갈고리 열림 고리(31b)를 누르면 갈고리 열림 축(31a)이 열리면서 결합갈고리(30)와 갈고리 열림 축 (31a)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 사이로 신축끈의 고리(22)가 들어가게 되면 머리끈이 완성된다.
이 결합장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갈고리 아래쪽으로 기둥(33)과 기둥보다 두툼한 부분(32)을 갖는다. 이 사이에 기둥을 감싸주는 원형(40)형태가 위치하여 원형과 기둥 사이에 약간의 틈을 이용하여 갈고리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 기둥을 감싸주는 원형(40)의 크기는 결합장치의 두툼한 부분(32)보다 작아야 한다. 그래야 원형(40) 사이에서 기둥이 두툼한 부분(32)과 갈고리부분으로 이어져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후 볼트 형식을 취하는 장치(34)를 이용하여 갈고리의 기둥(33)과 갈고리 열림 축(31a), 갈고리 열림 고리(31b)를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장신구가 완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신축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신축끈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끈(20)과 끈의 좌우를 고정해주는 고정장치(21)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장치 바깥면에는 장신구와 연결할 수 있도록 U자형 또는 O자형의 고리(22)가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 완성된 장신구(도 3)와 신축 끈(도 5)을 이용하면 본 고안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효과 1> 머리끈을 착용했을 때에 장신구의 모양이 뒤집어져 있는 경우 장신구에 부착된 결합 고리를 이용해서 회전시키면 머리를 다시 묶지 않고도 바른 모양을 유지시킬 수 있다.
<효과 2> 별 모양의 장신구를 예로 들면 뾰족한 별 모양에 걸려 묶는 도중 머리카락이 삐져나올 수 있다. 이때에는 장신구를 떼어낸 채 신축끈으로 머리를 묶은 후 연결고리에 결합장치를 연결한다. 마치 목걸이를 착용할 때에 목 뒤쪽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한쪽의 고리에 한쪽의 갈고리 형의 결합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 3> 머리끈의 일부인 신축끈 또는 장신구가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부분만 교체함으로써 파손되지 않았던 부분을 재사용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크다. 신축끈은 고무소재로 되어있고 장신구는 플라스틱이나 헝겊 소재가 많은데 이를 재사용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효과 4>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신축끈과 장신구의 조합으로 분위기나 스 타일에 따라 여러 가지의 연출이 가능하다. 유행이 자주 바뀌는 요즘 시대의 젊은이들은 머리끈을 단순히 머리를 묶는 수단으로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패션으로 생각한다. 이들에게 여러 가지 연출을 할 수 있는 본 아이템은 매일 다른 옷을 입듯이 머리에도 다른 옷을 입혀주는 효과를 줄 수 있다.
<효과 5> <효과 4>에 더불어 머리를 묶었을 경우 장신구에 가려 신축끈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면 하나의 머리끈을 이용하여 여러 장신구를 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 또한 줄 수 있다.
<효과 6> 업체에서 지속적인 생산이 이루어진다면 한번 구매한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구매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에 구매했던 머리끈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부분만 다시 구매하면 파손된 머리끈일지라도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또 한 번의 구매를 하게 되고, 장신구가 싫증이 났을 경우 장신구만 따로 구입함으로써 하나의 신축끈을 사용하여 두 가지의 연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판매자 입장에서는 한번 구매를 한 소비자가 다시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소비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효과 7> 보다 구매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간혹 머리끈을 구입하려고 보면 장신구는 마음에 들지만 신축끈의 형태가 마음이 들지 않는다거나 신축끈은 마음에 들지만 장신구가 마음이 들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매자들은 너무도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지만 판매자는 모든 구매자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은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신축끈과 장신구를 각각 생산한다면 대량생산을 하면서도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 다.

Claims (1)

  1. 머리를 묶는데에 사용하는 머리끈에 있어서
    후면에 연결 홈(11)을 갖는 장신구(10)와; 장신구(10)와 연결 홈(11) 사이를 지나는 결합 고리(41); 결합 고리(41)로부터 연결되지 않고 이웃하고 있는 결합장치(30); 연결고리(22)가 부착된 신축끈(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끈
KR2020070008655U 2007-05-28 2007-05-28 편리한 머리끈 KR200800057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55U KR20080005792U (ko) 2007-05-28 2007-05-28 편리한 머리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55U KR20080005792U (ko) 2007-05-28 2007-05-28 편리한 머리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92U true KR20080005792U (ko) 2008-12-03

Family

ID=4132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655U KR20080005792U (ko) 2007-05-28 2007-05-28 편리한 머리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10Y1 (ko) * 2011-04-27 2011-12-06 정태철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10Y1 (ko) * 2011-04-27 2011-12-06 정태철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792U (ko) 편리한 머리끈
CN102488365A (zh) 一种拍拍圈手表
KR200476298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귀형상의 장식물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036260B1 (ko) 장신용 체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체인
CN103355875A (zh) 一种拍拍圈手表带
CN202233488U (zh) 手工制作的十字绣钱包
CN206261000U (zh) 首饰
CN202842570U (zh) 多用装饰性结扎线
TWM563404U (zh) 手環杯套結構
KR200375505Y1 (ko) 다양한 장식물을 교체하여 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CN208080702U (zh) 多功能便携式组合包
JP6799888B1 (ja) アクセサリー
KR200224614Y1 (ko) 머리장식용 머리끈
KR101150835B1 (ko) 코디 귀걸이
Chen Research on brand design of GUCCI jewelry packaging
JP3047985U (ja) 眼 鏡
CN209031380U (zh) 一种可内置口红的组合饰品
KR200374335Y1 (ko) 휴대폰 장신구
CN207561481U (zh) 一种两用型穿戴物
KR20090009304U (ko) 자석이 삽입된 관절 부재를 사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100832217B1 (ko) 증정제품 보호용 패드
KR200378782Y1 (ko) 인조모가 구비된 머리끈
CN201480211U (zh) 一种戒指
KR200350241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444775Y1 (ko) 코일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