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699Y1 -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 Google Patents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699Y1
KR200387699Y1 KR20-2005-0008365U KR20050008365U KR200387699Y1 KR 200387699 Y1 KR200387699 Y1 KR 200387699Y1 KR 20050008365 U KR20050008365 U KR 20050008365U KR 200387699 Y1 KR200387699 Y1 KR 200387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ir
connecting means
hair band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희
Original Assignee
이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희 filed Critical 이보희
Priority to KR20-2005-0008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 밴드를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모발에 밴드를 감은 후 양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머리를 묶고 풀 수 있는 헤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헤어 밴드는 고무줄을 심선으로 하여 탄성력을 보유하는 직선형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헤어 밴드는 머리를 묶거나 풀 때에 고무줄을 잡아늘릴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고무줄의 탄성력이 오래 유지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A linear-type hair band with connecting means}
본 고안은 주로 여성들의 긴 모발을 단정히 모아서 묶는데 사용하는 헤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밴드의 양측 단부에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머리를 묶을 수 있도록 하는 헤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긴머리를 한 남성들도 많지만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 긴머리는 여성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여성들의 긴머리를 헤어밴드로 묶는 것은 단순히 머리를 흩으러지지 않게 묶는 기능만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여성의 외모를 형성하는 주요 포인트의 하나가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즉 헤어밴드는 이제 여성들에게는 하나의 장신용 악세사리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으며 자신의 아름다움을 한껏 표현하기를 원하는 여성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물품이 된지 오래다.
즉 헤어 밴드는 긴 모발을 묶어 정리하는 기능과 모발을 장식하여 미를 창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모발 묶음 밴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섬유가 피복되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고무줄의 양측 단부를 접착제로 부착하거나(3) 결착용 금속링으로 압착하여 연결시켜(4) 원형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모발을 묶을 때 중앙에 형성된 공간에 모발을 끼워넣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해 모발이 묶여지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헤어 밴드를 사용하려면 필연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진 밴드의 내부 공간에 모발을 집어넣거나 빼기 위하여 무리하게 고무줄을 손으로 잡아 늘려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고무줄의 탄성력이 오래 유지되지 않으며, 모발을 잡아다니는 과정에서 모발이 빠지는 일이 잦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헤어 밴드에는 장식을 위하여 직물 커버를 씌우는 경우가 있으며 원형 밴드를 씌우기 위해서는 직물 커버도 원형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어밴드를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고, 묶고자 하는 머리카락 주위에 헤어 밴드를 감은 후 밴드 양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머리를 묶고 풀 수 있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헤어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는 도1a와 도1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무줄(11)을 심선으로 하여 탄성력을 보유하는 밴드(14)와, 상기 밴드 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자석(13)과, 상기 자석을 수납하고 상기 고무줄이 연결되는 연결부(121)를 구비한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발 묶음 밴드는 탄성 있는 고무줄을 섬유재로 피복하여 그 양측 단부에 자기력이 잘 통하지 않는 동(銅), 아연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하우징을 설치하고 그 안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을 수납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무줄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양측 단부를 접근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헤어 밴드가 폐곡선을 이루게 되며 자석을 수납하고 있는 하우징에는 자기력이 잘 미치지 않으므로 자석의 면끼리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한 헤어 밴드의 사용방법은, 일자형의 밴드로 묶고자 하는 모발의 주위를 수차례 감은 후 충분히 조여졌을 때에 양측 단부를 접근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모발이 묶여지며, 자기력보다 강한 힘으로 양측 단부를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묶였던 모발을 풀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자석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보다 접속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석의 한쪽면에 홈부를 형성하고, 다른 면에는 이 홈부에 맞물리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헤어 밴드의 단부가 비록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혼자서도 쉽게 헤어 밴드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장식용 천 등을 본 발명의 헤어 밴드 겉에 씌워서 심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도2a와 도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무줄(21)을 심선으로 하여 탄성력을 보유하는 밴드(24)와, 상기 밴드의 양측 단부에 각각 암,수로 설치되어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결착구(22, 23)로 구성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어 밴드는 탄성 있는 고무줄(21)을 섬유재(24)로 피복하여 그 양측 단부에 각각 암, 수의 결착구(22, 23)를 설치한 구조인데, 각 결착구의 후면에는 상기 고무줄이 걸리는 고리부(221, 2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223)를 요입부(233)에 밀어 넣으면 양측 단부가 연결되고, 누름부(232)를 눌러서 눌림부(222)가 눌려지면 삽입부(223)가 요입부(233)에서 떨어져서 양측 단부가 분리된다.
이렇게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한 헤어 밴드의 사용방법은, 일자형의 밴드로 묶고자 하는 모발의 주위를 수차례 감은 후 충분히 조여졌을 때에 결착구의 삽입부(223)를 요입부(233)에 밀어 넣으면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모발이 묶여지며, 누름부(232)를 눌러 눌림부(222)가 눌려지면 삽입부(223)가 요입부(233)에서 떨어져서 양측 단부가 분리되므로 용이하게 묶였던 모발을 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모발 묶음 밴드는 머리를 묶거나 풀 때에 고무줄을 잡이늘릴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고무줄의 탄성력이 오래 유지된다.
또한 일자형으로 형성되므로 장식용 직물 커버를 씌우는 경우에도 이를 일자로 형성하여 씌울 수 있으므로 재봉 과정 등 전체적인 제작 공정이 간단해진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헤어 밴드의 사시도.

Claims (6)

  1. 머리를 묶기 위한 헤어 밴드에 있어서,
    고무줄을 심선으로 하여 탄성력을 보유하는 직선형태의 일자형 밴드;
    상기 밴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양측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자석이며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자석은 서로 극성이 반대인 것이 특징인,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접촉면은 일측에는 홈부가 다른 일측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해주는 것이 특징인,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밴드는 상기 자석을 수납하고 상기 고무줄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각각 암수 결착구이며 각 결착구의 후면에는 상기 고무줄이 걸리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암수 결착구의 연결시 삽입부를 요입부에 밀어 넣으면 양측 단부가 연결되고, 누름부를 눌러서 눌림부가 눌려지면 삽입부가 요입부에서 떨어져서 양측 단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밴드의 주변을 장식용 수단이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KR20-2005-0008365U 2005-03-28 2005-03-28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KR200387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65U KR200387699Y1 (ko) 2005-03-28 2005-03-28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65U KR200387699Y1 (ko) 2005-03-28 2005-03-28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699Y1 true KR200387699Y1 (ko) 2005-06-21

Family

ID=436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365U KR200387699Y1 (ko) 2005-03-28 2005-03-28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5360A1 (en) Headband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ornaments
KR200387699Y1 (ko) 연결수단을 구비한 일자형 헤어 밴드
US10258133B2 (en) Decorativ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ons
WO2012010814A1 (en) Hair beads or charms
CA2415733A1 (en) Hair clip
JP3217721U (ja) ヘアタイブレスレット
KR200286483Y1 (ko) 헤어 리본과 머리묶음 링의 접합 결속구
JP3245370U (ja) 髪用装飾具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JP3222149U (ja) 髪留め補助具
JP3174296U (ja) 飾り留具付靴下
KR200289117Y1 (ko)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KR200416185Y1 (ko) 장식용 머리끈
KR200231822Y1 (ko) 장식파트를 탈착하는 장신구
KR200199213Y1 (ko) 머리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머리 장신구
KR101069856B1 (ko) 액세서리용 끈
JP2022008086A (ja) 髪留め具及びその装着治具
KR200179845Y1 (ko) 장식용 펜던트 구조물
KR200457110Y1 (ko)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KR200331240Y1 (ko) 머리묶음이 용이한 머리밴드
KR20170131944A (ko) 머리끈 커버용 장신구
KR200202777Y1 (ko) 머리장신구
KR100512974B1 (ko) 버클장치의 잠금 구조
KR200409102Y1 (ko) 금속장신구용 마그네틱폴더
KR200206085Y1 (ko) 머리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