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17Y1 -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 Google Patents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17Y1
KR200289117Y1 KR2020020015667U KR20020015667U KR200289117Y1 KR 200289117 Y1 KR200289117 Y1 KR 200289117Y1 KR 2020020015667 U KR2020020015667 U KR 2020020015667U KR 20020015667 U KR20020015667 U KR 20020015667U KR 200289117 Y1 KR200289117 Y1 KR 200289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hair
attached
hairpin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렴
Original Assignee
박일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렴 filed Critical 박일렴
Priority to KR2020020015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17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핀이나 머리끈 등의 머리묶는 기구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달린 장식줄을 다수로 부착함으로써 머리를 연출할 때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지런히 모은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와; 다수의 장식품이 부착된 장식물이 상기 고정 기구에 다수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머리끈이나 머리핀, 머리띠이고, 상기 장식물은 머리끈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형태와, 머리핀이나 머리띠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나뉘어지며, 상기 장식품은 장식줄의 일정 간격마다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머리묶는 기구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달린 장식물을 결합하여 머리를 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식물이 달린 기존의 머리묶는 기구보다 그 미려함과 세련미를 더할 수 있고, 가벼운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Hair Accessory Ornamental Pendants}
본 고안은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핀이나 머리끈 등의 머리묶는 기구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달린 장식줄을 다수로 부착함으로써 착용하였을 때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묶는 기구로 머리핀이나 머리끈, 머리띠, 고무줄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머리묶는 기구는 주로 여성들이 자신의 머리를 단정히 한다거나 머리를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이때, 보석이나 발광체, 큐빅 등의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를 이용하여 머리를 묶게 됨으로써, 부착된 장식물에 의해 머리 묶음이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보석 등의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가)는 탄력성을 갖는 머리끈에 장식 액세서리(Accessory)를 연결한 것으로서, 액세서리 모형(110)은 통상적으로 제작되는 형상으로 프레스 또는 사출에 의해 모형이 생성되는데 중앙에 2 개의 관통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세서리 모형(110) 외주면으로는 장식천(112)이 부착되는데 장식천(112)의 한쪽 면에는 양면 테이프(115)가 접착된다. 양면 테이프(115)는 장식천(112)을 액세서리 모형(110)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양면 테이프(115)의 일측면이 장식천(112)에 부착되고 타측면은 액세서리 모형(110)에 부착된다. 장식천(112)의 부착 방법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탄력성을 갖는 밴드(114)를 관통공(116)에 연결하고 액세서리 모형(110)에 양면 테이프(115)를 부착한다. 또한 2 개의 액세서리 모형(110)의 결합으로 결합부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미감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결합부에는 마감천(113)이 부착되어진다. 이때 마감천(113)은 레이스 또는 여러가지 모양이 그려진 천 등이 부착되어 결합부를 가리게 된다. 즉, 도 1의 (가)는 액세서리 모형(110)에 장식천(112)을 부착하여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도 1에서, (나)는 장식물이 결합된 머리핀으로서, 머리카락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수단과 머리카락으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해제 수단이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120)를 구비한 다음, 본체(120)의 상판(122), 하판(123) 양면에 보석틀 띠(124)를 용접 고정한다. 이때, 본체(120)의 상, 하판(122)(123) 양면에 용접 고정되는 보석틀 띠(124)는 다수의 보석(125)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 고정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20)의 상, 하판(122)(123) 양면과 곡선 또는 직선이 되게 형성하고, 다수의 보석(125)이 삽입 고정된 보석틀 띠(124)의 고정은 본체(120)의 상, 하판(122)(123) 양면과 보석틀 띠(124)의 양측단부 또는 서로 맞닿는 부위를 간편 용이하게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어, 본체(120)의 상, 하판(122)(123) 상면에 용접 고정되는 보석틀 띠(124)의 내측에는 보석틀 띠(124)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의 장식판(126)을 접착 고정하여 머리핀의 미려감을 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석틀 띠(124)의 내측에 접착 고정되는 장식판(126)은 보석틀 띠(124)에 삽입 고정되는 보석(125)과 다른 재질로 가공하되,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하여 보석틀 띠(124)와 셋트화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는 탄력성이 있는 머리끈에 장식물을 부착하거나,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머리핀에 보석 등의 장식물을 부착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머리묶는 기구로서의 머리끈은 그 양단에 부착된 장식물이 보는 사람의 눈에 띌 수 있도록 대체로 성인의 손톱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서, 머리에 장식물을 달고 다녀도 개의치 않는 사람에게는 상관이 없지만, 예컨대, 신경이 날카롭고 예민한 사람들에게는 머리에 장식물을 달고 다니는 것이 귀찮은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소수의 사람들은 아예 장식물이 부착되지 않은 고무줄 등으로 머리를 묶어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고무줄 등은 머리를 연출하는데 있어 그 미려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종래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핀의 경우도 도 1의 (나)와 같이 보석 등의 장식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금속으로 된 보석틀 띠(124)를 결합시킴으로써, 머리핀의 무게를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핀으로 머리를 묶어 고정시킨 후 개인적 사정으로 달리기 하는 등의 심한 움직임을 하는 경우, 머리카락에 고정되어 있던 머리핀이 그 무게로 인해 움직이게 되고, 그 머리핀의 움직임 횟수가 늘어날 수록 머리핀에 고정되어 있던 머리카락의 일부가 머리핀으로부터 빠지거나 흐트러져 결국에는 사용자가 머리핀을 머리카락에서 풀어서 다시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 반복 동작이 번거로웠다.
때에 따라서는 머리카락에 고정되어 있던 머리핀이 상기와 같이 무게로 인한 움직임에 의해 머리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으로 아스팔트 도로나 콘크리트 바닥 등에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에는 머리핀에 부착되어 있던 보석(125)이나 장식판(126) 등이 머리핀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흩어짐으로 분실의 요인이 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머리핀에서 보석틀 띠(124)가 떨어져나가 볼품없는 머리핀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시 머리핀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머리핀이나 머리끈 등의 머리묶는 기구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달린 장식물을 다수로 부착하여 머리에 착용할 때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보석 등의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머리끈의 단위 고리 모양을 다른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끈을 머리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신축성줄로 이루어진 머리끈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결합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바나나형 머리핀에 적용된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액세서리 모형 112 : 장식천
113 : 마감천 114 : 밴드
115 : 양면 테이프 116 : 관통공
120 : 본체 122 : 상판
123 : 하판 124 : 보석틀 띠
125 : 보석 126 : 장식판
200 : 머리끈 205, 540, 920 : 장식물
210 : 사슬 212 : 단위 고리
220 : 연결 장치 222 : 연결 부재
224 : 관통 구멍 226 : 이탈 방지편
228 : 조작편 230, 544, 924 : 장식줄
232, 546, 926 : 장식품 310 : 머리끈
320 : 단위 고리 321 : 제1 지지부
322 : 제2 지지부 323 : 제1 절곡부
324 : 제2 절곡부 325 : 제3 지지부
326 : 제4 지지부 500 : 머리끈
510 : 신축성줄 520 : 합성수지 튜브
530 : 접착제 610 : 고리 몸체
612 : 탄발 스프링 614 : 스프링 고정수단
616 : 안내장공 618 : 개방부
620 : 체결핀 622 : 단속 손잡이
710 : 머리핀 711 : 결합 구멍
712 : 핀판 713 : 핀대
714 : 고정판 715 : 개폐판
716 : 텐션판 910 : 머리띠
912 : 구멍 922 : 결합 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가지런히 모은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와; 다수의 장식품이 부착된 장식물이 상기 고정 기구에 다수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기구는 머리끈이나 머리핀, 머리띠이고, 상기 장식물은 머리끈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형태와, 머리핀이나 머리띠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장식품은 장식줄의 일정 간격마다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머리묶는 기구로 이용하는 머리끈이나 머리핀 등은 자신의 머리를 묶어 이미지를 관리하는 데 있어 필요한 기구들이다. 이러한 머리묶는 기구는 생활 가운에 자주 사용하는 것들이므로, 머리에 착용하는 데 있어 머리에 하중감을 주지 않도록 가벼워야 하고, 머리를 묶어 고정시킨 후에 다시 풀리지 않도록 안정적이어야 한다. 특히, 머리를 묶어 아름다움을 창출할 수 있게 미려감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머리묶는 기구는 사용자가 머리를 묶어 고정시킬 때, 머리에 하중감을 주지 않으면서 미려감을 더할 수 있도록 머리끈이나 머리핀 등에 깨알 같은 크기의 장식품이 달린 장식물을 다수개로 부착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는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머리끈(200)과, 이 머리끈(200)에 부착되는 장식물(205)로 구성된다.
머리끈(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에 철사 형태의 철심을 내장하고 있으며, 외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로 덮여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머리끈(200)을 구부리면 그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머리를 가지런히 모은 후 머리를 휘어감아 머리를 고정시키게 된다.
장식물(205)은 금, 은 또는 큐빅이 박힌 금속재로 된 타원형의 단위 고리(212)가 연속적으로 다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사슬(Chain)(210) 형상을 가지며, 사슬(210)의 한쪽 끝(Left)에는 사슬(210)의 양쪽 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220)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장치(220)는 사슬(210)의 다른쪽 끝(Right)이 결합되도록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222)와, 사슬(210)의 한쪽 끝(Left)에 결합되도록 연결 부재(222)에 연장되어 마련된 관통 구멍(224), 연결 부재(2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결 부재(222)의 단부에 내접하여 사슬(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226), 이탈 방지편(226)과 일체로 마련되어 이탈 방지편(226)을 움직이게 하는 조작편(228)을 포함해 구성된다. 여기서, 이탈 방지편(226)과 조작편(228)은 일체로 마련되어 탄성 부재를 형성한다.
다수의 단위 고리(212)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사슬(210)의 일정 간격마다의 단위 고리(212)에는 장식줄(230)이 다수개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장식줄(230)에는 장식품(232)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장식품(232)은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와 같은 보석이거나 모조 보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축광 안료로 만든 발광체, 수정(Crystal)과 같은 인공 유리나 금속, 합성 수지, 진주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줄(230)도 금, 은, 금속재, 도금된 금속재로 할 수 있다.
장식줄(230)에 부착된 장식품(232)으로서의 보석이나 진주, 인공 유리 등은 사용자가 장식물(205)을 낮에 착용하고 다닐 때 그 미려함이 돋보이게 되고, 장식품(232)으로서의 발광체는 사용자가 장식물(205)을 밤에 착용하고 다닐 때 장식줄(230)의 흔들거림에 의해 그 장식품(232)의 미려함이 더욱 돋보이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장식물(205)은 다수의 단위 고리(212)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사슬 형상을 이루는데, 사용자가 사슬(20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길이를 줄이기 원하는 만큼 절단용 공구를 이용하여 단위 고리(212)를 절단함으로써 머리끈(200)에 착용하기 알맞게 사슬(20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장식줄(230)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연결 장치(220)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편(228)을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톱으로 들어올려 이탈 방지편(226)을 U 자형 연결 부재(222)의 안쪽으로 끌어당기고, 이로 인해 발생한 공간 S 내로 사슬(210)의 다른쪽 끝(Right)을 삽입하고, 사용자가 조작편(228)을 놓는 것에 의해 이탈 방지편(226)이 U 자형 연결 부재(222)의 종단과 맞닿게 됨으로써, 연결 장치(220)가 O 자 형태로 되어 사슬(210)의 체결이 완료된다. 또한, 연결 장치(220)의 형상은 이후에 설명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장치(642)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의 사슬(210)은 단위 고리(212)를 타원형으로 한 사슬 형상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고리를 마름모형으로 한 사슬 형상이나 그외 다른 형상으로 한 사슬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3은 사슬(210)의 단위 고리 모양을 다른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슬(310)은 절곡된 마름모형의 단위 고리(320)가 다수 개로 사슬처럼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이 단위 고리(320)는 제 1 지지부(321) 및 제 2 지지부(322), 제 1 절곡부(323) 및 제 2 절곡부(324), 그리고 제 3 지지부(325) 및 제 4 지지부(326)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부(321) 및 제 2 지지부(322)는 서로 간에 직각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1 절곡부(323) 및 제 2 절곡부(324)는 제 1 지지부(321) 및 제 2 지지부(322)의 양단으로부터 단위 고리(320)의 전후 방향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단위 고리(320)를 측면에서 보면 도 3 과 같이 제 1 절곡부(323)와 제 2 절곡부(324)가 서로 X 자 형태를 이룬다. 제 3 지지부(325)와 제 4 지지부(326)는 제 1 절곡부(323) 및 제 2 절곡부(324)의 양단로부터 한 지점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제 1 지지부(321) 및 제 2 지지부(322)에 대향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술한 형상의 단위 고리(32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사슬(310)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사슬(310)도 도 2의 사슬(210)과 같이 절단용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기 원하는 만큼 단위 고리(320)를 절단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220)를 다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사슬(210, 310)의 단위 고리(212, 320)의 두께를 도시된 것보다 더 굵게 하거나 더 가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머리끈(200)에 장식물(205)을 착용한 머리 뒷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를 가지런히 모은 후머리끈(200)을 이용하여 머리를 묶고, 장식물(205)을 사용해 머리끈(205)을 따라 한번 휘감은 후 사슬(210)의 한쪽 끝(Left)에 연결된 연결 장치(220)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222)를 사슬(210)의 다른쪽 끝(Right)의 단위 고리(212)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끈(200)에 장식물(205)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긴머리가 이마로 넘어오는 것과 머리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슬(210)이 큐빅이 박힌 소재이고, 사슬(210)에 결합되어 있는 장식줄(230)에 장식품(323)으로서 큐빅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그 미려함이 더욱 돋보이는 여성적인 미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머리끈(200)은 착용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실이나 끈으로 편직되어 고무줄과 결합된 신축성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신축성줄로 이루어진 머리끈(50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머리끈(500)은 실이나 끈으로 편직하여 고무줄과 결합시킴으로서 신축력을 부여한 신축성줄(51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신축성줄(510)의 일단을 합성수지 튜브(520)의 일측에 끼움 결합하고, 신축성줄(510)의 타단을 합성수지 튜브(520)의 타측에 끼움 결합한 후, (가)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 튜브(520)의 내부에 접착제(530)를 주입하여 경화시켜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튜브(520)는 연질로 된 튜브를 이용하여 신축성줄(510)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경질의 재질로 사출 성형한 합성수지 튜브를 이용하여 신축성줄(510)의 양측을 끼움 결합한 후, 접착제를 주입 경화시켜 연결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신축성줄(510)의 길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양 끝단을 합성수지튜브(520)에 삽입한 후 접착제(530)를 주입 경화하여 연결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머리끈(500)의 결합 고정시 합성수지 튜브(520) 양측으로 신축성줄(510)를 끼운 상태에서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530)를 주사하여 결합 고정함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튜브(520)의 내측으로 신축성줄(510)을 끼우기 전에 신축성줄(510)의 양 끝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곧바로 합성수지 튜브(520)의 양측으로 삽입 경화시켜 연결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물론, 합성수지 튜브(520) 대신에 금속 재료로 된 튜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완성된 머리끈(50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머리를 가지런히 묶음으로 잡고 그 머리를 머리끈(500)으로 휘감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머리에 휘감아진 머리끈(500)의 신축성줄(510)에 도 5의 (나)와 같이 장식물(540)을 결합시킨다. 장식물(540)은 결합 장치(542)와 장식줄(544) 및 장식줄(544)에 부착되어 있는 장식품(546)으로 구성된다.
도 6은 결합 장치(542)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결합 장치(542)는 호형상의 고리 몸체(610)와, 고리 몸체(610) 내측면에 삽입되어 유동되는 호형상의 체결핀(620), 고리 몸체(6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체결핀(620)을 일측으로 탄발시키는 탄발 스프링(612), 탄발 스프링(612)의 일측을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수단(614), 체결핀(620)에 형성되어 체결핀(620)을 이동시키기 위해 고리 몸체(610)의 외부로 돌출된 단속 손잡이(622)로 이루어진다.
고리 몸체(610)는 내부가 빈 호형상의 관체로, 일측에는 원형에서 일부가 절취된 개방부(618)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리 몸체(610) 일부 구간에 걸쳐 내부적으로 길게 체결핀(618)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장공(616)이 형성된다. 체결핀(620)은 호형상으로 고리 몸체(6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부(618)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고리 몸체(610) 안내장공(616) 상의 일측 외측면에 단속 손잡이(622)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발 스프링(612)은 고리 몸체(610) 내측에 설치되어 체결핀(620)의 일단을 개방부(618)방향으로 탄발시켜 체결핀(620) 타단이 개방부(618)를 폐쇄시키거나, 안내장공(616)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시켜 타단이 개방부(618)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이다. 스프링 고정수단(614)은 탄발 스프링(612)의 일단을 지지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리 몸체(610)의 일측을 내측으로 압착 절곡시켜 멈춤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탄발 스프링(612)의 일측단이 고리 몸체(610) 내측으로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 장치(542)를 가지고 머리끈(500)에 결합시킬 때, 사용자는 체결핀(620)의 단속 손잡이(622)를 안내장공(616) 상에서 내측으로 밀면 된다. 단속 손잡이(622)가 안내장공(616) 상에서 내측으로 밀리면 이에 따라 체결핀(620)도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고리 몸체(610)의 내측에서 체결핀(620)의 타측단을 탄발시키는 탄발 스프링(612)은 스프링 고정수단(614)의 멈춤돌기 방향으로 수축된다. 이때, 체결핀(620)의 일측단은 고리 몸체(610) 내측에 위치되어 폐쇄시켰던 개방부(618)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렇게 개방된 개방부(618)로 머리끈(500)의 신축성줄(510)을 걸어 고정시키면 된다. 고리 몸체(610)에 머리끈(500)의 신축성줄(510)이 걸려 고정되면 사용자는 체결핀(620)의 단속 손잡이(622)를 내측으로 밀었던 힘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고리 몸체(610) 내측에서 체결핀(620)으로 탄발 스프링(612)을 멈춤돌기로 밀어 수축되었던 수축력은 탄발 스프링(612)의 자체 탄성과 더해져 고리 몸체(610) 내측에서 체결핀(620)을 힘껏 탄발시키게 되고, 그 탄발력에 의해 체결핀(620)의 일단은 개방되었던 고리 몸체(610)의 개방부(618)를 폐쇄시키고 고리 몸체(610)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로서, 고리 몸체(610)는 내측에 걸림 고정된 머리끈(500)의 신축성줄(510)에 고정된다. 또한, 결합 장치(5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장치(220)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머리끈(500)의 결합 고정시 합성수지 튜브(520) 양측으로 신축성줄(510)를 끼운 상태에서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530)를 주사하여 결합시켰으나, 도 5의 (다)와 같이 신축성줄(510)의 일측을 암나사로 형성하고 다른 일측을 수나사 형태로 형성하여 결합시키게 할 수도 있다. 수나사와 암나사 형태로 결합하는 방식은 통상적인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머리끈(210)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부착된 장식줄(230)을 결합하여 머리를 연출함에 있어 미려함을 더할 수 있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는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머리핀(710)과, 이 머리핀(710)에 결합된 장식물(720)로 구성된다. 즉, 머리핀(710)에 일정 간격마다 결합 구멍(711)이 형성되고, 그 결합 구멍(711)마다장식물(72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머리핀(7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판(712)과 핀대(713)로 이루어지며 핀대(713)는 고정판(714)과 개폐판(715) 및 그 사이에 위치한 텐션판(716)으로 구성된다. 핀판(712)의 바깥쪽에는 화사한 장식이 이루어져서 외관으로 나타나게 되고, 핀판(712)의 내측에는 머리 카락을 찝어주듯이 잡아 줄 수 있는 핀대(713)가 설치된다. 이러한 핀판(712)은 아크릴이나 아연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장식물(720)은 머리핀(710)의 결합 구멍(71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722)와 결합 고리(722)에 연장되어 형성된 장식줄(724) 및 장식줄(724)의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장식품(726)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장식줄(724)에 부착된 장식품(726)은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와 같은 보석이거나 모조 보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축광 안료로 만든 발광체, 수정(Crystal)과 같은 인공 유리, 금속, 합성 수지, 진주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는 머리핀(710)의 형상을 도 7에 도시된 머리핀 형상이 아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나나형 머리핀에도 동일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즉, 바나나형 머리핀에 결합 구멍을 형성한 후 그 결합 구멍으로 장식물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장식물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그 길이와 장식품의 부착한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집게 모양으로 된 집게핀과 이외의 다른 핀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장식물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머리를 묶어 고정시키는 머리핀(710)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부착된 장식물(720)을 결합함으로써 머리의 연출에 있어 그 미려함을 더할 수 있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는 머리를 뒤로 넘겨 고정시켜 앞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띠(910)와, 이 머리띠(910)에 결합된 장식물(92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일부가 개방된 호형상의 머리띠(910)의 양쪽 끝 부분에 구멍(912)을 다수 개로 형성시키고, 그 구멍(912)에 장식물(92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장식물(920)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머리띠(9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922)와 결합 고리(922)에 연장되어 형성된 장식줄(924) 및 장식줄(924)의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장식품(926)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장식줄(924)에 부착된 장식품(926)은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와 같은 보석이거나 모조 보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축광 안료로 만든 발광체, 수정(Crystal)과 같은 인공 유리, 금속, 합성 수지, 진주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머리띠(9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머리를 뒤로 넘긴 후 머리띠(910)를 끼워 고정시키고, 장식물(920)이 결합된 부분을 머리 뒤로 깊숙이 밀어 넣는다. 그렇게 되면 장식물(920)이 결합된 부분은 사용자의 귀 있는 곳이나 귀 밑까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장식물(920)은 귀걸이와 같은 미려함을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머리를 뒤로 넘겨 고정시키는 머리띠(910)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부착된 장식물(920)을 결합함으로써 장식물(920)에 의해 귀걸이를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머리묶는 기구에 보석이나 발광체 등이 달린 장식물을 결합하여 머리를 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미려함과 세련미를 더할 수 있고, 가벼운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장식물보다는 가볍기 때문에 머리에 하중감을 주지 않고, 그 장식물의 가벼움으로 인해 머리핀이나 머리끈에서 떨어져나갈 염려가 없다. 또한, 머리핀이나 머리끈에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존의 사용자도 부담없이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띠에 적용된 경우, 장식물에 의해 귀걸이를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Claims (8)

  1. 가지런히 모은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와;
    다수의 장식품이 부착된 장식물이 상기 고정 기구에 다수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머리끈, 머리핀, 머리띠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머리끈(200)인 경우, 상기 장식물(205)은 금, 은 또는 큐빅이 박힌 금속재로 된 타원형의 단위 고리(212)가 연속적으로 다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사슬(210)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슬(210)의 한쪽 끝에는 사슬(210)의 양쪽 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2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고리(212)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사슬(210)의 일정 간격마다의 상기 단위 고리(212)에는 상기 장식줄(230)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장식줄(230)에는 장식품(232)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신축성줄로 이루어진 머리끈(500)인 경우, 상기 장식물(540)은 상기 머리끈(500)의 신축성줄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542)와, 상기 결합 장치(542)에 연장되어 일정 간격마다 장식품(546)이 부착되어 있는 장식줄(5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머리핀(710)인 경우, 장식물(720)은 상기 머리핀(710)의 결합 구멍(71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722)와 상기 결합 고리(722)에 연장되어 형성된 장식줄(724) 및 상기 장식줄(724)의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장식품(7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머리띠(910)인 경우, 호형상으로 일부가 개방된 상기 머리띠(910)의 양쪽 끝 부분에 구멍(912)을 다수 개로 형성시키고, 그 구멍(912)에 장식물(920)을 결합시키며, 상기 장식물(920)은 일정 간격마다 장식품(926)이 부착된 장식줄(9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핀은 직사각형 형태의 머리핀, 바나나형 머리핀, 집게형 머리핀 중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8. 제 3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은 루비, 수정,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 모조 보석, 축광 안료로 만든 발광체, 인공 유리, 금, 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KR2020020015667U 2002-05-22 2002-05-22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KR200289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7U KR200289117Y1 (ko) 2002-05-22 2002-05-22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7U KR200289117Y1 (ko) 2002-05-22 2002-05-22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17Y1 true KR200289117Y1 (ko) 2002-09-13

Family

ID=7312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67U KR200289117Y1 (ko) 2002-05-22 2002-05-22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83B1 (ko) * 2021-01-11 2021-10-07 임대지 헤어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83B1 (ko) * 2021-01-11 2021-10-07 임대지 헤어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2044A1 (en) Hair bow system
US6718797B2 (en) Jewelry system including a locket clasp for conversion of a bracelet into a necklace
US20060027245A1 (en) Headband with reversible cover
US20070175493A1 (en) Hair ornament device
CN102387726A (zh) 装饰品
US5535603A (en) Accessorial device
US20150164195A1 (en) Elastic hair, bracelet and anklet cord
US20140290682A1 (en) Apparatus for adorning wearer and associated methods
JP2011500976A (ja) 薄毛用ヘアホルダーおよび増強用具とその方法
US5365954A (en) Hair dressing tool
US20050109361A1 (en) Braided ponytail loops with unbraided decorated ends
US5979184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US20040237992A1 (en) Interchangeable hair retaining set
US5911227A (en) Combination hair accessory and toy
JP5859789B2 (ja) 携帯ストラップ用取付物品並びに携帯ストラップ
KR200289117Y1 (ko)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US20060144082A1 (en) Neck ornament
US20070079846A1 (en) Lightweight decorative barrette
US20150230590A1 (en) Head Worn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Adornment or Facial Tightening Purposes
US20040103911A1 (en) Barrette/hair clip with integrally attachable artificial flower
US72520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styling tape for body and hair accessorizing
JP7016202B1 (ja) 装飾具
KR200467386Y1 (ko) 헤어밴드
US20070227549A1 (en) Reconfigurable fastener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JP6347012B2 (ja) 伸縮性コイル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802

Effective date: 2006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