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02Y1 - 케이블 타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02Y1
KR200485802Y1 KR2020150008477U KR20150008477U KR200485802Y1 KR 200485802 Y1 KR200485802 Y1 KR 200485802Y1 KR 2020150008477 U KR2020150008477 U KR 2020150008477U KR 20150008477 U KR20150008477 U KR 20150008477U KR 200485802 Y1 KR200485802 Y1 KR 200485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inding
outlet
tie portion
outl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88U (ko
Inventor
한진혁
Original Assignee
한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혁 filed Critical 한진혁
Priority to KR2020150008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0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된 톱니를 홀더에 삽입하고 결속하여, 물건을 묶어줄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물건을 묶어주기 위한 타이부;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의 다른 일측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Cable Tie}
본 고안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에 형성된 톱니를 홀더에 삽입하고 결속하여, 물건을 묶어줄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타이는, 배선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케이블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단정한 외관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는, 내부에 삽입공과 삽입공의 내부면 상에 경사부를 갖는 걸림턱 형상의 홀더를 구비하는 헤드와, 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일측면 상에 홀더와 상응하는 체결 돌기가 연속적으로 배설되며, 띠형상으로 구현되는 가요성을 갖는 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체결 돌기는 일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체결되고, 그 역방향으로는 상호 지지되도록 걸림턱 형상의 홀더가 형성된 구조이다.
케이블 타이의 작동원리로는 결속대상물의 둘레에 케이블 타이를 위치시키고, 밴드를 삽입공으로 삽입하여 인출시키면, 홀더에 체결 돌기가 상호 슬라이딩 되어 결속대상물을 결속하고, 지지하여 임의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56877호(2009.08.03. 공개)는 반복사용 가능한 금속 케이블타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물체를 한단위로 묶어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금속재질의 케이블타이에 있어서, 케이블에는 일정 간격으로 사각형의 체결구멍이 소정 개수 구비되고, 그 선단부는 모따기된 뾰족한 형상이며, 케이블의 후단부측에는 체결박스가 구비되되, 체결박스의 상면에 연결되어 그 내부측으로 접혀 구비되며 체결박스의 내부를 통해 진행되는 케이블상의 체결구멍에 걸리게 됨으로써 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는 걸림쇠를 일체로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반복사용이 가능한 금속 케이블타이가 제공되게 되어 그 반영구적 사용으로 환경보호와 자원절약을 꾀할 수 있고, 고온개소에도 사용가능하며 체결이 용이하여 사용편리성이 높다는 것을 숙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203호(2006.06.12. 등록)는 케이블 정리가 용이하며,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타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숫걸림턱이 형성된 스트랩과, 스트랩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정면 중앙에는 스트랩의 자유단이 통과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삽입공 내의 하부에는 스트랩이 걸려 고정되게 숫걸림턱과 대응되는 암걸림턱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작동되게 형성된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정면 중앙에는 스트랩의 자유단이 통과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삽입공 내의 하부에는 스트랩이 걸려 고정되게 숫걸림턱과 대응되는 암걸림턱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작동되게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삽입공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2하우징과, 가이드공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암걸림턱이 숫걸림턱에 걸리도록 노출될 수 있게 노출공이 관통 형성된 걸림해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타이는, 홀더에 삽입된 톱니가 쉽게 인출될 수 있어, 물건을 단단히 결속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묶여진 물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단점을 가지며, 톱니가 단순히 홀더에만 결속되어, 톱니를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빠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톱니의 높이가 낮아 홀더와의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5687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203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에 형성된 톱니를 홀더에 삽입하고 결속하여, 물건을 묶어줄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물건을 묶어주기 위한 타이부;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의 다른 일측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부는, 전면부에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 결속되어 물건을 묶어주기 위한 다수 개의 톱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톱니부재는, 일측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다른 일측이 90도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를 삽입시켜 주기 위한 입구부재; 상기 본체부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를 인출시켜 주기 위한 출구부재; 및 상기 입구부재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를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입구부재의 내측면에 'ㄱ'형태의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를 삽입 시에, 상기 타이부를 걸어 결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입구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입구부재의 크기와 상기 출구부재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출구부재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재에 결속된 상기 타이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출구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재로부터 인출된 상기 타이부를 잡아주기 위한 탄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부는, 상기 톱니부재의 사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재의 내부 양측면에 결속되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출구부재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재를 걸어주기 위한 탄력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형성된 톱니를 홀더에 삽입하고 결속하여, 물건을 묶어줄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타이를 제공함으로써, 물건을 단단히 결속시켜 주어, 묶여진 물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홀더의 내부와 단부에 톱니를 결속시켜 주어, 톱니를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톱니의 높이를 종래의 케이블 타이의 톱니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홀더와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사용 시에 힘이 덜 들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어려워 판매자가 쉽게 주문량을 셀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타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있는 결속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결속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결속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있는 결속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타이(100)는, 본체부(110), 타이부(120),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하부에 결속부(130)를 일체로 형성하고, 결속부(130)의 하부에 타이부(12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후면에 동물, 생선 등의 다양한 모양(바람직하게는, 대게 모양)들을 돌출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하부 전면에 입구부재(131)(도 3 참조)를 형성하고, 하부 후면에 출구부재(132)(도 3 참조)를 형성하여, 타이부(120)를 삽입하고 인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의 높이는, 약 1.0mm ~ 1.5mm(바람직하게는, 1.3mm)로 형성할 수 있다.
타이부(120)는, 하부에 결속부(130)를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건을 묶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타이부(120)는, 전면부에 다수 개의 톱니부재(121)(도 2 참조)를 형성하고, 후면부를 매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타이부(120)는, 일정한 길이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하되, 하부를 내측방향으로 모이도록 형성하여, 결속부(130)의 관통공(즉, 입구부재(131))(도 3 참조)에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타이부(120)의 하부는, 전면과 후면에 톱니부재(121)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결속부(130)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본체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즉, 타이부(1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타이부(120)의 다른 일측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결속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130)는, 두께를 타이부(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시에 안정감을 주도록 하며,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케이블 타이(100)는, 외부면을 은은한 금빛, 은빛 등의 색상으로 형성되며, 야광 물질을 포함하여 야광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케이블 타이(100)는, 타이부(120)를 결속부(130)에 삽입하고 결속하여, 물건을 묶어줄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물건을 단단히 결속시켜 주어, 묶여진 물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속부(130)의 내부와 단부에 타이부(120)를 결속시켜 주어, 타이부(120)를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타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부(120)는, 다수 개의 톱니부재(121)를 포함한다.
톱니부재(121)는, 타이부(120)의 전면부에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고, 결속부(130)의 내부에 결속되어 물건을 묶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톱니부재(121)는, 일측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예를 들면, 30도 ~ 80도)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다른 일측이 90도 보다 큰 각도(예를 들면, 100도 ~ 150도)로 형성되어 결속부(130)(즉, 결속부재(133)(도 3 참조))에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톱니부재(121)는, 일측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속부(130)(즉, 결속부재(133)(도 3 참조))에 걸려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일측을 90도로 형성하는 것보다 결속부(130)에 단단히 결속될 수 있으며, 이에 타이부(120)를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톱니부재(121)는, 일측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예를 들면, 30도 ~ 80도)로 형성되어, 결속부(130)(즉, 입구부재(131)(도 3 참조))에 삽입될 시에, 미끄러지면서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톱니부재(121)는, 입구부재(131)에 도입되는 일부분의 높이를 낮고, 상부면이 평평하도록 형성하여, 입구부재(131)에 수월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톱니부재(121)는, 타이부(120) 전면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톱니부재(121)는, 높이를 약 2.0mm ~ 3.0mm(바람직하게는, 2.5mm)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타이부(120)는, 톱니부재(121)의 높이를 종래의 케이블 타이의 톱니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결속부(130)와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사용 시에 힘이 덜 들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어려워 판매자가 쉽게 주문량을 셀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있는 결속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속부(130)는, 입구부재(131), 출구부재(132), 결속부재(133)를 포함한다.
입구부재(131)는, 내측면에 결속부재(133)를 돌출 형성하고, 본체부(11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타이부(120)(즉, 톱니부재(121))를 삽입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구부재(131)의 크기는, 출구부재(1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타이부(120)의 삽입을 도와주며, 출구부재(132)에서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출구부재(132)는, 본체부(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어, 타이부(120)를 인출시켜 준다.
결속부재(133)는,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타이부(120)(즉, 톱니부재(121))를 결속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재(133)는,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ㄱ'형태의 돌기로 형성되어, 입구부재(131)에서 타이부(120)를 삽입할 시에, 타이부(120)를 걸어 결속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재(133)는, 하나의 톱니부재(121) 일측(다시 말해서,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된 측)과 하나의 톱니부재(121) 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톱니부재(121)의 다른 일측(다시 말해서, 90도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된 측) 사이를 걸어주어, 톱니부재(121)를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톱니부재(121)가 한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재(133)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바람직하게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130)는,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결속부재(133)를 돌출 형성하여, 타이부(120)(즉, 톱니부재(121))가 입구부재(131)와 출구부재(132)의 내부공간에서 두 번 꺾이도록 하여, 톱니부재(121)를 결속부재(133)와 출구부재(132)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타이부(120)가 더 단단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130)는, 결속부재(133)를 두 개로 형성할 경우, 톱니부재(121)와 먼저 접촉되는 결속부재(133)의 높이를 나머지 하나의 결속부재(13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두 개의 결속부재(133)와 출구부재(132)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는 결속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속부재(133)는,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입구부재(131)의 크기와 출구부재(132)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결속부재(133)는,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하여, 타이부(120)(즉, 톱니부재(121))가 입구부재(131)와 출구부재(132)의 내부공간에서 두 번 꺾이도록 하여, 톱니부재(121)를 결속부재(133)와 출구부재(132)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타이부(120)를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결속부(130)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있는 결속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속부(130)는, 입구부재(131), 출구부재(132), 결속부재(133), 고정부재(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구부재(131), 출구부재(132), 결속부재(133)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재(134)는, 출구부재(13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결속부재(133)에 결속된 타이부(120)를(즉, 타이부(120)의 일측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34)는, 평상시에 출구부재(132)의 외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려 있다가, 타이부(120)가 결속부재(133)에 결속될 시에, 출구부재(132)의 내측방향으로 회동하여 타이부(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타이부(120)와 출구부재(132)의 틈 사이를 막아줄 수 있으며, 이에 타이부(120)가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34)는, 일측이 출구부재(13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타이부(120)와 접촉하여 타이부(120)와 출구부재(132)의 틈 사이를 막아줄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있는 결속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결속부(130)는, 입구부재(131), 출구부재(132), 결속부재(133), 탄력부재(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구부재(131), 출구부재(132), 결속부재(133)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탄력부재(135)는, 출구부재(132)의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출구부재(132)로부터 인출된 타이부(120)를 잡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135)는, 출구부재(132)로부터 인출된 타이부(120)를 잡아줌과 동시에 타이부(120)의 톱니부재(121)를 결속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135)는, 약간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평상시에 닫혀 있다가, 출구부재(132)에서 타이부(120)가 인출될 시에, 타이부(120)의 두께만큼 열려 타이부(120)를 잡아줄 수 있으며, 타이부(120)를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결속부(130)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 타이(100)는, 본체부(110), 타이부(120),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타이부(120), 결속부(1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타이부(120)는, 다수 개의 걸림턱부재(122)를 포함한다.
걸림턱부재(122)는, 톱니부재(121)의 사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출구부재(132)의 내부 양측면(즉, 탄력돌기부재(136))에 결속된다.
결속부(130)는, 탄력돌기부재(136)를 포함한다.
탄력돌기부재(136)는, 출구부재(132)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부재(122)를 걸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돌기부재(136)는, 입구부재(131)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거나, 입구부재(131)의 내부 양측면 및 출구부재(132)의 내부 양측면에 모두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돌기부재(136)는, 걸림턱부재(122)를 걸어주어, 타이부(120)가 결속부(130)에 더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타이부(120)를 결속부(130)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결속부(130)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돌기부재(136)는, 타이부(120)가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도록 높이가 낮은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케이블 타이
110: 본체부
120: 타이부
121: 톱니부재
122: 걸림턱부재
130: 결속부
131: 입구부재
132: 출구부재
133: 결속부재
134: 고정부재
135: 탄력부재
136: 탄력돌기부재

Claims (10)

  1.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물건을 묶어주기 위한 타이부(120);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120)의 다른 일측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결속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120)를 삽입시켜 주기 위한 입구부재(131);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120)를 인출시켜 주기 위한 출구부재(132);
    상기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120)를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결속부재(133); 및
    상기 출구부재(13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재(132)의 내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타이부(120)와 상기 출구부재(132) 사이의 틈을 막아, 상기 출구부재(132)에 결속된 상기 타이부(12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재(134)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부(120)는,
    전면부에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30)의 내부에 결속되어 물건을 묶어주기 위한 다수 개의 톱니부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재(121)는,
    일측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다른 일측이 90도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33)는,
    상기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ㄱ'형태의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부(120)를 삽입할 시에, 상기 타이부(120)를 걸어 결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33)는,
    상기 입구부재(131)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입구부재(131)의 크기와 상기 출구부재(132)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출구부재(132)의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재(132)로부터 인출된 상기 타이부(120)를 잡아주기 위한 탄력부재(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부(120)는,
    상기 타이부(1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재(132)의 내부 양측면에 결속되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턱부재(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출구부재(132)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재(122)를 걸어주기 위한 탄력돌기부재(1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KR2020150008477U 2015-12-24 2015-12-24 케이블 타이 KR200485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7U KR200485802Y1 (ko) 2015-12-24 2015-12-24 케이블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7U KR200485802Y1 (ko) 2015-12-24 2015-12-24 케이블 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88U KR20170002388U (ko) 2017-07-04
KR200485802Y1 true KR200485802Y1 (ko) 2018-02-23

Family

ID=5931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77U KR200485802Y1 (ko) 2015-12-24 2015-12-24 케이블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62B1 (ko) 2017-12-18 2019-09-30 김학범 링크 케이블 타이
KR102634976B1 (ko) * 2022-05-17 2024-02-0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729A (ja) * 2004-02-18 2005-09-02 Hisashi Kobayashi 安全保護湾曲板付き結束バンド
KR200454874Y1 (ko) * 2010-05-28 2011-08-02 왕춘호 케이블타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60U (ja) * 1993-07-19 1995-02-10 有限会社大和技研 結束バンド
JPH1179233A (ja) * 1997-09-01 1999-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バンド
KR100876176B1 (ko) 2002-08-27 2008-12-31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코일 외권부 결속상태 검사장치
KR20040056877A (ko) 2002-12-24 200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반복사용 가능한 금속 케이블타이
KR20070004221A (ko) * 2005-07-04 2007-01-09 권석웅 풀림이 불가한 묶음 타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729A (ja) * 2004-02-18 2005-09-02 Hisashi Kobayashi 安全保護湾曲板付き結束バンド
KR200454874Y1 (ko) * 2010-05-28 2011-08-02 왕춘호 케이블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88U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60B2 (en) Cable tie
JP2011161290A (ja) 格納式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JP2013227084A (ja) 取り外し可能なエラストマー製結束バンド
JPH03200553A (ja) コード束ね装置
JP2006010066A5 (ko)
KR20030019163A (ko) 케이블정리용 결속구
KR20070004090A (ko) 결속 밴드 및 결속 밴드 세트
KR200485802Y1 (ko) 케이블 타이
US20130312227A1 (en) Fastener and fastener system
TWM474475U (zh) 臍帶夾持結構
CN206699579U (zh) 易更换表带的手表
KR200395435Y1 (ko)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CA2584541A1 (en) Gasket package
TWM562265U (zh) 連接式束帶
KR102024762B1 (ko) 링크 케이블 타이
JPH08126504A (ja) 紐の連結具および紐体
JP5269683B2 (ja) 結束バンド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KR200477875Y1 (ko) 빗이 구비된 머리끈
JP2007301367A (ja) リリースバックル
JP6083815B2 (ja) タッセル
KR200479282Y1 (ko) 손잡이 보강부재를 구비한 파우치
KR20140023058A (ko) 수지재 케이블타이
KR200457110Y1 (ko)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JP6722894B2 (ja) 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