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05Y1 -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05Y1
KR200464605Y1 KR2020110011651U KR20110011651U KR200464605Y1 KR 200464605 Y1 KR200464605 Y1 KR 200464605Y1 KR 2020110011651 U KR2020110011651 U KR 2020110011651U KR 20110011651 U KR20110011651 U KR 20110011651U KR 200464605 Y1 KR200464605 Y1 KR 200464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lastic
ring
extension
reu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산
Original Assignee
김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산 filed Critical 김용산
Priority to KR2020110011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 A41G5/006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using deformable connecting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 끝을 접합하여 일체로 한 접합부 및 이 접합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길이재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붙임모를 포함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이 삽입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링과;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을 가지면서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로 구비되며, 내부 상측으로 상기 고정링이 끼움 고정되되 그 하측으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의 일단이 매듭을 형성하여 된 매듭부가 탄력적으로 끼움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링의 하단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신축밴드부가 형성된 탄성신축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양산을 통한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을 갖는 붙임머리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연모에 접착제나 끈 등의 인위적인 부가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자연모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붙임모발이 손상되기 전까지 얼마든지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자연모발의 매듭부는 탄성신축링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에 따라 오염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REUSABLE EXTENSION HAIR}
본 고안은 사용자의 생모(生毛)나 가발의 모발 등과 같은 자연모에 연결되어 다양한 머리 모양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붙임모를 자연모의 연결 또는 분리시 모발이나 부속품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여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반복적인 탈부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의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다양한 색상이나 머리모양의 붙임모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시술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낮추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생모(生毛) 즉, 자연모에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유행을 창출하는 패션 도구로 적극 활용되는 붙임머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붙임머리는 사용자의 생모 즉, 자연모에 다양한 색상 또는 길이를 갖는 머리카락을 간편하게 붙일 수 있다는 이점으로 인해 그 사용층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붙임머리는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그 대부분이 다수의 가발모로 이루어진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자연모에 직접 고정시키거나 또는 붙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붙임머리는 횡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가발모 및 다수의 가발모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각 가발모의 단부를 실을 이용하여 재봉 처리함으로써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다수의 압착링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링에 자연모를 삽입한 후에 압착함으로써 붙임머리가 사용자의 자연모에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붙임머리는 그 고정부가 각 가발모의 단부를 재봉 처리함으로써 그 재봉처리에 의한 각 가발모의 고정이 견고하지 못하여 붙임머리에서 가발모가 부분적으로 빠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붙임머리의 고정부를 폭 방향으로 커팅함으로써 분할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재봉처리된 고정부가 완전히 해체됨으로써 그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붙임머리는 고정부에 일체로 결합된 압착링에 의해 자연모측에 연결됨에 따라 붙임머리의 분해를 위해서는 압착링을 완전히 절단하여야 하고, 이렇게 압착링을 절단한 후에는 붙임머리가 완전히 해체되어 그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붙임머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연모로부터 착탈이 불가능하여 사용상의 불편함 있으며, 자연모와 가발모의 연결부분이 유연하지 못하여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떨어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0787711호를 통해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 일측 끝을 접합하여 일체로 한 접합부 및 이 접합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길이재의 스트랩으로 된 붙임모와; 상기 스트랩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 고정되는 중공의 관형상을 갖는 압착링으로 구성된 붙임머리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붙임머리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의 일측 끝단에 실이나 끈으로 이루어진 길이재의 스트랩 일측 끝단을 일체로 하여 접합한 접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트랩의 타측 끝단을 고리 형상의 압착링에 묶는 형태로 연결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난해하여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마다 스트랩의 연결 위치가 상이하여 제품의 표준화가 곤란하고, 또한 접합부의 접합 불량으로 인한 붙임모의 빠짐이 발생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0923305호를 통해 개량된 붙임머리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그 기술적 요지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 끝을 일체로 접합한 접합부를 구비한 붙임모와; 상기 붙임모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의 자연모발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부 압착링과; 상기 붙임모를 구비한 내부 압착링이 내부에 삽입 구비되게 내부 압착링에 대하여 확장된 지름을 갖는 것으로, 내부 압착링과 함께 일체로 압착되어 영구 변형되는 외부 압착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 끝에 액상의 실리콘재, 우레탄재, 접착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 형성되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끝을 접착 테이프로 감아서 일체로 접합시켜 형성되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 끝을 금속 박판으로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압착링과 외부 압착링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내부 압착링은 상기 외부 압착링에 대하여 30~120%의 길이를 갖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붙임머리는 공통적으로 압착링을 소성 변형하여 사용자의 자연모발을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상기 붙임모를 사용자의 자연모발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압착링에 대한 소성 변형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링의 변형과 함께 자연모발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단점이 있엇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압착링이 변형되어 손상됨에 따라 한번 사용한 붙임머리는 붙임모발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도 재사용이 불가하여 폐기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압착링이 손상되는 경우 폐기해야 되는 단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시술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숙련도가 요구됨에 따라 붙임머리의 연결과 분리에 소요되는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시술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87711호, 4쪽, 청구항 1, 도면 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숙련도에 관계없이 비 숙련자의 경우라도 손쉽게 반복하여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재사용에 따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자연모에 접착제, 끈, 밴드 등의 인위적인 부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붙임머리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모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시술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의 일측 끝을 접합하여 일체로 한 접합부 및 이 접합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길이재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붙임모를 포함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이 삽입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링과;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을 가지면서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로 구비되며, 내부 상측으로 상기 고정링이 끼움 고정되되 그 하측으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의 일단이 매듭을 형성하여 된 매듭부가 탄력적으로 끼움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링의 하단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신축밴드부가 형성된 탄성신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링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고, 상기 탄성신축링은 탄력적인 신축을 갖는 고무재, 연질의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성형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탄성신축링에 대하여 20~70%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신축링과 고정링은 지름이 균일한 직선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자연모발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면서 지름이 확대되는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신축링은 내부 지름에 대하여 개방된 상·하면의 개구부의 지름이 좁은 항아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신축링은 상·하면에 형성된 개구부 중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하여 감소된 지름을 갖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는,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양산을 통한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을 갖는 붙임머리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연모에 접착제나 끈 등의 인위적인 부가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자연모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붙임모발이 손상되기 전까지 얼마든지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자연모발의 매듭부는 탄성신축링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에 따라 오염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붙임머리의 탈부착시 모발 손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전문 시술자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도 구매해서 손쉽게 자가 시술이 가능하여 대중화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례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을 구비하는 붙임모(30)와, 이 붙임모(30)를 사용자의 자연모발(3)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인 탄성신축링(10)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링(20)으로 이루어지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의 일측 끝을 접합하여 일체로 한 접합부(33) 및 이 접합부(33)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트랩(31)으로 이루어진 붙임모(30)와, 상기 스트랩(31)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재로 성형된 탄성신축링(10) 및 이 탄성신축링(10)의 내부 상측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그 하측으로 수용공간(10a)이 형성되게 구비되는 고정링(20)으로 이루어지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은 사용자의 자연모발(3)을 스킬 코바늘(5)로 잡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자연모발(3)을 탄성신축링(10) 및 고정링(20)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탄성신축링(10)을 통과한 자연모발(3)의 일단을 묶어서 매듭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자연모발(3)의 매듭을 상기 탄성신축링(10)의 내부 공간으로 집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끝으로 도 7은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는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로 이루어진 붙임모(30)와, 이 붙임모(30)와 끈 형태의 스트랩(31)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자연모발(3)에 결속되는 요소인 탄성신축링(10) 및 고정링(20)으로 구성된다.
탄성신축링(10)은 내부에 후술할 내부링(20)과 붙임모(30)의 스트랩(31)이 연결될 수 있게 상·하면이 개방된 개구부(10b,10c)가 형성된 속이 빈 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외력에 대한 탄력적인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한 조성물로 성형된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례로서 고무재로 성형되는 것을 제안하며, 그 표면은 착색을 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신축링을 고무재로 성형하는 경우 검은색으로 제조되므로 색상이 단조롭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갈색, 녹색 등으로 착색도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도 크리스탈, 인조보석 등을 탄성신축링의 외 표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탄성신축링(10)은 그 내부 상측 공간에 고정링(20)이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링(20)의 하측 공간으로는 사용자의 자연모발(3)의 일단을 매듭 형성하여 된 매듭부(3a)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a)에는 자연모발(3)의 매듭부(3a)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고정링(20)의 하단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탄성신축링(10)은 내부 상측에 고정링(20)이 끼움 고정되고, 이 고정링(20)의 하측 공간으로는 사용자의 자연모발(3)을 여러 가닥 묶음으로 하여 이를 매듭 형성하여 된 매듭부(3a)가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수용공간(10a)이 위치된다. 이때의 상기 탄성신축링(10)은 상기 수용공간(10a)을 형성하는 부분인 신축밴드부(10t)를 구비하며, 이 신축밴드부(10t)는 고무재,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등의 탄성재로 성형됨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자연모발(3)의 매듭부(3a)가 전체적인 부피가 상기 수용공간(10a)의 지름에 대하여 조금 큰 경우에라도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끼움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고정링(20)은 사용자의 모발 즉,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이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하는 방향으로 그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이 형성 된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탄성신축링(10)이 신축 소재로 성형되는 것과는 다르게 외력에 대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탄성신축링(10)에 비해 강도와 경도가 높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이러한 고정링(20)은 상기 탄성신축링(10)의 내부 상측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그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사용자의 자연모발(3)의 일단에 형성된 매듭부(3a)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자연모발(3)의 삽입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링(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탄성신축링(10)의 길이에 대하여 20~70%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며, 바람직하게는 조립성을 고려하여 대략 30~5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붙임모(30)는 인모, 인조모, 가모 등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의 붙임모(30)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하면, 일측 끝을 일체로 접합하여 된 접합부(33)를 포함하며, 이때의 상기 접합부(33)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접착제 등과 같이 도포가 가능하면서 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외에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의 박판이나 접착 테이프 또는 플라스틱재로 된 성형물을 이용하여 접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접합부(33)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스트랩(31)의 일측 끝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31)의 일단은 상기 탄성신축링(10)과 내부링(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신축링(10)과 내부링(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붙임모(30)는 통상 1~5개를 하나의 스트랩(31)으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2개의 붙임모를 하나의 스트랩(31)으로 연결한 구성을 도시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탄성신축링(10)과 고정링(20)은 지름이 균일한 직선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자연모발(3)이 삽입되는 방향인 탄성신축링(10)의 상측 개구부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확대되는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고정링(20) 역시 하측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확대되는 원뿔 형상으로 구비된다.
다른 실시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신축링(10)과 고정링(20)은 전체적으로 상·하측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신축링(10)은 신축소재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고정링(20)은 항아리 모양이 아닌 직선형의 관 형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 다른 실시례로서, 도 1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신축링(10)은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0b)가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10c)에 대하여 감소된 지름을 갖는 단턱(10d)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끼움 구비된 고정링(2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의 제작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모, 인조모, 가모 등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의 일측 끝을 가지런히 정렬한 상태에서 합성수지재, 접착제, 접착테이프, 또는 금속편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합시켜 접합부(33)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33)에 실이나 끈으로 된 스트랩(31)의 일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붙임모(30)를 완성한다. 그리고, 내부 상측에 고정링(20)이 끼움 고정된 탄성신축링(10)을 준비하고, 이 탄성신축링(10)과 고정링(20)의 내부로 상기 스트랩(31)의 일단을 삽입 통과시킨 뒤 묶어서 결속시키는 것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의 시술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붙임머리를 시술하기 위한 도구인 스킬 코바늘(5)을 준비한다. 준비된 상기 스킬 코바늘(5)은 후크부(5a)를 상기 탄성신축링(10)의 하측 개구부(10c)로 진입하여 상측 개구부(10b)의 외부로 노출되게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탄성신축링(10)의 상측 개구부(10c)를 통과하여 노출된 후크부(5a)에 사용자의머리카락인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을 걸도록 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스킬 코바늘(5)을 상기 탄성신축링(10)에 삽입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스킬 코바늘(5)의 후크부(5a)에 걸려진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이 상기 탄성신축링(10)의 하측 개구부(10c)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신축링(10)의 하측 개구부(10c)를 통해 상기 후크부(5a)에 걸림된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이 완전히 빠져 나오면, 이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의 일단을 매듭을 지어 매듭부(3a)를 형성한다. 이때의 상기 매듭부(3a)의 크기는 상기 탄성신축링(10)의 하측 개구부(10c)를 억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자연모발(3)의 매듭부(3a)를 상기 탄성신축링(10)의 하측 개구부(10c)를 통해 수용공간(10a)으로 삽입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신축링(10)은 신축 가능한 소재로 성형됨에 따라 상기 매듭부(3a)의 부피가 하측 개구부(10c) 보다 큰 경우라도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신축링(10)의 수용공간(10a)을 형성하는 신축밴드부(10t)는 신축 소재로 성형됨에 따라 그 내부 공간인 수용공간(10a)에 삽입 수용된 매듭부(3a)에 대하여 탄력적인 압박을 가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매듭부(3a)는 수용공간(10a) 내에서 쉽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20)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딱딱한 소재 즉,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됨에 따라 상기 매듭부(3a)는 상기 고정링(20)의 관통홀(21)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붙임머리 3 : 자연모발
5 : 스킬 코바늘 5a : 후크부
10 : 탄성신축링 20 : 내부링
30 : 붙임모 31 : 스트랩
33 : 접합부 35 : 붙임모발

Claims (4)

  1. 여러 가닥의 붙임모발(35)의 일측 끝을 접합하여 일체로 한 접합부(33) 및 이 접합부(33)에 일단이 연결되는 길이재의 스트랩(31)으로 이루어진 붙임모(30)를 포함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31)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이 삽입 통과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된 고정링(20)과;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을 가지면서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로 구비되며, 내부 상측으로 상기 고정링(20)이 끼움 고정되되 그 하측으로는 여러 가닥의 자연모발(3)의 일단이 매듭을 형성하여 된 매듭부(3a)가 탄력적으로 끼움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링(20)의 하단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신축밴드부(10t)가 형성된 탄성신축링(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신축링(10)은 탄력적인 신축을 갖는 고무재, 연질의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성형되며, 상기 고정링(2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되 상기 탄성신축링(10)에 대하여 20~70%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신축링(10)과 고정링(20)은 지름이 균일한 직선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자연모발(3)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면서 지름이 확대되는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신축링(10)은 내부 지름에 대하여 개방된 상·하면의 개구부(10b,10c)의 지름이 좁은 항아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신축링(10)은 상·하면에 형성된 개구부(10b,10c) 중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0b)가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10c)에 대하여 감소된 지름을 갖는 단턱(10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KR2020110011651U 2011-12-28 2011-12-28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KR200464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51U KR200464605Y1 (ko) 2011-12-28 2011-12-28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51U KR200464605Y1 (ko) 2011-12-28 2011-12-28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05Y1 true KR200464605Y1 (ko) 2013-01-10

Family

ID=5135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651U KR200464605Y1 (ko) 2011-12-28 2011-12-28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98A (ko) 2014-08-19 2016-02-29 김미라 매듭 고정형 붙임머리
WO2019222054A1 (en) * 2018-05-16 2019-11-21 Doubt Ruxton C System and method of supplementing human hair volu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401B1 (de) 1994-11-09 1998-09-16 Heide-Rose Gä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arverlängerung, haarverdichtung und befestigung von haarteilen
KR200437079Y1 (ko) 2006-11-21 2007-10-31 김민국 붙임머리 기구
KR200438218Y1 (ko) 2007-04-19 2008-01-29 탁우찬 자연모와의 고정결합력이 향상되는 이음머리조립체
KR100923305B1 (ko) 2009-03-11 2009-10-23 탁우찬 붙임머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401B1 (de) 1994-11-09 1998-09-16 Heide-Rose Gä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arverlängerung, haarverdichtung und befestigung von haarteilen
KR200437079Y1 (ko) 2006-11-21 2007-10-31 김민국 붙임머리 기구
KR200438218Y1 (ko) 2007-04-19 2008-01-29 탁우찬 자연모와의 고정결합력이 향상되는 이음머리조립체
KR100923305B1 (ko) 2009-03-11 2009-10-23 탁우찬 붙임머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98A (ko) 2014-08-19 2016-02-29 김미라 매듭 고정형 붙임머리
WO2019222054A1 (en) * 2018-05-16 2019-11-21 Doubt Ruxton C System and method of supplementing human hair volu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306B1 (ko) 화장용브러시의 제조방법 및 화장용브러시
US8336559B2 (en) Hair extension system
US20100154815A1 (en) Hair Extension Kit and Extension-Hair Fixing Method
US20060180171A1 (en) Hairpiece with attachment rings and heating kit for attaching hairpiece
US20080236605A1 (en) Hair extension methods and apparatus
US11406151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KR100787711B1 (ko) 붙임머리
US20130186424A1 (en) Decorative beaded device for hair
KR200464605Y1 (ko)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KR101146751B1 (ko) 다단 붙임머리
KR200464603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매듭고정형 붙임머리
KR101633079B1 (ko) 부분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2198A (ko) 매듭 고정형 붙임머리
KR20170014942A (ko) 붙임머리
KR100923305B1 (ko) 붙임머리
KR101905132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098671B1 (ko) 붙임머리 헤어피스
JP5260189B2 (ja) かつら取付方法、及び、毛束取付方法
KR101239154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200358515Y1 (ko) 장식용 끈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KR200393744Y1 (ko) 머리끈 장식 연결구조
KR100799163B1 (ko) 탈착이 용이한 붙임모
KR102027557B1 (ko) 매듭이 형성된 열수축성 튜브 고정형 붙임 머리
KR20120109692A (ko) 액세서리 머리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