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32B1 - 붙임머리 시술방법 - Google Patents

붙임머리 시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32B1
KR101905132B1 KR1020170087128A KR20170087128A KR101905132B1 KR 101905132 B1 KR101905132 B1 KR 101905132B1 KR 1020170087128 A KR1020170087128 A KR 1020170087128A KR 20170087128 A KR20170087128 A KR 20170087128A KR 101905132 B1 KR101905132 B1 KR 10190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hair
ring
loop
kno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도겸
Original Assignee
송도겸
송지희
송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도겸, 송지희, 송호준 filed Critical 송도겸
Priority to KR102017008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86Applicators or tools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붙임머리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모에 인조모를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고, 생모와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끈의 재질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슬립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머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조모가 생모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은, 양측에 인조모가 연결된 연결부를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제1매듭부를 형성하는 제1매듭부 형성단계, 일측이 상기 인조모 또는 연결부에 고정된 홀딩부를 상기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복수개의 제2매듭부를 형성하는 홀딩부 고정단계, 다수 가닥의 생모를 취하여 일부분이 상기 매듭도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제1매듭부 및 상기 제1매듭부와 가까이 있는 하나의 제2매듭부만 생모 측으로 이동시켜 생모에 고정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생모에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이동단계, 상기 걸이부에 걸려 있는 생모를 제거한 다음, 상기 걸이부에 제1매듭부와 제2매듭부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생모가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매듭도구를 당겨 상기 걸이부에 걸려있는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고리를 매듭짓는 매듭단계, 상기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매듭도구에 남아 있는 제2매듭부를 밀어 넣어 고정하는 제2매듭부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붙임머리 시술방법{METHOD FOR OPERATING EXTENTION HAIR}
본 발명은 붙임머리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생모에 인조모를 시술할 수 있으며, 인조모가 생모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 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여성들의 외모 및 미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각종 액세서리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모발의 경우에도 각종 스타일링 기법은 물론 염색과 같은 색상 변화에 의한 독특한 개성을 갖는 헤어스타일이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스타일링이나 염색보다는 인모 또는 인조모를 이용한 가모를 이용하여 짧은 머리를 길게 하는 붙임머리가 유행하고 있다.
종래의 붙임머리 시술방법의 경우에는 일정가닥의 가모 다발의 단부에 접착제를 바른 후 연결하고자 하는 생모의 단부에 접착시켜 연결하거나, 사용자의 원모단부와 가모의 연결부분에 금속링을 위치시킨 후에 압착공구 (펜치 또는 롱노우즈)를 이용하여 금속링을 압착시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붙임 머리 시술방법은 사람의 머리 전체를 시술하는데 있어서 가모 다발을 하나 하나 일일히 시술해야 함에 따라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술인원 및 숙련도가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금속링을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압착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에 해당부위의 생모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금속링이 두피에 반복적으로 마찰되거나 또는 압박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붙임머리의 시술과 인조모를 생모에 고정하기 위한 시술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794호(2016.04.2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모에 인조모를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고, 생모와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끈의 재질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슬립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머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조모가 생모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붙임머리 시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인조모를 생모에 시술하는 과정에서 인조모를 생모 상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장치를 동시에 연결함에 따라, 붙임머리를 시술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등 시술자와 피술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붙임머리 시술방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은, 양측에 인조모가 연결된 연결부를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제1매듭부를 형성하는 제1매듭부 형성단계, 일측이 상기 인조모 또는 연결부에 고정된 홀딩부를 상기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복수개의 제2매듭부를 형성하는 홀딩부 고정단계, 다수 가닥의 생모를 취하여 일부분이 상기 매듭도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제1매듭부 및 상기 제1매듭부와 가까이 있는 하나의 제2매듭부만 걸이부의 외면을 거쳐 생모에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생모의 일부분이 상기 제1매듭부 및 제2매듭부에 의해 접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생모에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이동단계, 상기 걸이부에 걸려 있는 생모를 제거하면서 상기 매듭도구에 구비되는 몸체부가 상기 고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에 상기 제1매듭부와 제2매듭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생모의 다른 부분이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매듭도구를 당겨 걸이부에 걸려있는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고리를 매듭짓는 매듭단계, 상기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매듭도구에 남아 있는 제2매듭부를 생모에 이동시키되, 남아 있는 제2매듭부가 상기 걸이부의 외면을 통과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남아 있는 제2매듭부가 상기 생모로 먼저 이동된 제2매듭부의 일측에서 생모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2매듭부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2매듭부 고정단계 이후에는,
상기 홀딩부를 잡아당겨 제2매듭부를 제1매듭부 및 고리의 매듭된 부분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홀딩부 고정단계는,
상기 홀딩부의 일측과 타측을 접촉시켜 제1고리를 형성하는 제1고리 형성단계, 상기 홀딩부의 일측을 상기 제1고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시켜 상기 제1고리의 일측에 제2고리를 형성하는 제2고리 형성단계, 상기 제1고리를 통과한 홀딩부의 일측을 상기 제2고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시켜 제3고리를 형성하는 제3고리 형성단계, 상기 제2고리와 제3고리에 상기 매듭도구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홀딩부를 잡아 당겨 생모에 고정되는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매듭고리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매듭부가 상기 생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은, 제2매듭부가 생모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매듭부 및 제2매듭부를 홀딩시킴에 따라 생모와 연결부의 재질적인 차이에 따른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머리를 감거 등의 행위에 의해 머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조모가 생모에서 흘러내거나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조모를 생모에 시술하는 과정에서 인조모를 생모 상에 홀딩시키기 위한 제2매듭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붙임머리를 시술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등 시술자와 피술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홀딩부의 일측을 컷팅하여 홀딩부와 인조모를 분리한 다음 제1매듭부와 제2매듭부를 잡아 당기면 인조모를 생모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인조모를 재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홀딩부를 통해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연결부를 통해 첫번째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연결부를 통해 두번째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16은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매듭도구에 인조모다발과 홀딩부가 셋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1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인조모다발과 홀딩부를 생모에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홀딩부를 통해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연결부를 통해 첫번째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연결부를 통해 두번째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16은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매듭도구에 인조모다발과 홀딩부가 셋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1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에서 인조모다발과 홀딩부를 생모에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은 제1매듭부(21) 형성단계, 홀딩부(40) 고정단계, 이동단계, 매듭단계, 제2매듭부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매듭부(21) 형성단계는 매듭도구(50)를 이용해서 인조모(101)를 생모(60)에 고정하기 위한 제1매듭부(2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매듭도구(50)는 손잡이(51), 상기 손잡이(5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몸체부(52), 상기 몸체부(52)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이부(53)로 구성되는 공지의 스킬바늘일 수 있다.
먼저,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 가닥의 인모를 정렬한 다음 그 끝부분을 접합부(30)로 감싸 형성된 두개의 인조모다발(10)을 끈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0)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접합부(30)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0)는 인조모(101)의 끝부분과 함께 접합부(30)에 고정된다.
상기 인조모(101)는 사람의 두피에서 자란 머리카락(이하 '생모(60)'라 함)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조모(101)는 웨이브 형상을 갖는 것, 노랑색, 빨강색, 갈색 등 색상이 염색 또는 코팅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매듭부(21) 형성단계는 제4고리(211) 형성단계, 제5고리(212) 형성단계, 제6고리(213) 형성단계, 매듭고리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고리(211) 형성단계는 연결부(20)의 일측과 타측을 접촉시켜 제4고리(21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부(20)는 제4고리(211)를 기준으로 두가닥으로 갈라지는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5고리(212) 형성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된 연결부(20)를 제4고리(21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시키므로서, 제5고리(21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0)에는 구획된 구조의 제4고리(211)와 제5고리(21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6고리(213) 형성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고리(211)를 통과한 연결부(20)를 제5고리(21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시키므로서, 제6고리(21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0)에는 구획된 구조의 제4고리(211)와 제5고리(212) 및 제6고리(21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매듭고리 형성단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고리(212)와 제6고리(213)에 손잡이(51)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연결부(20)의 끝단 두가닥을 잡아 당기면 상기 연결부(20)에는 생모(60)에 고정되는 매듭고리(214)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홀딩부(40) 고정단계는 생모(60)에 붙임머리 시술을 하였을 경우 인조모(101)가 생모(60)에서 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딩부(40)를 상기 매듭도구(50)의 손잡이(51)에 매듭져서 복수개의 제2매듭부(41a,41b)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40) 고정단계는 제1고리(41) 형성단계, 제2고리(42) 형성단계, 제3고리(43) 형성단계, 매듭고리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딩부(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끈 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인조모(101) 및 연결부(20)의 끝부분과 함께 접합부(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40)는 붙임머리 시술시 생모(6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리(41) 형성단계는 홀딩부(40)의 일측과 타측을 접촉시켜 제1고리(4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경우 홀딩부(40)는 상기 제1고리(41)를 기준으로 두가닥으로 갈라지는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2고리(42) 형성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된 홀딩부(40)를 상기 제1고리(4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시키므로서, 제2고리(4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홀딩부(40)에는 구획된 구조의 제1고리(41)와 제2고리(4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3고리(43) 형성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리(41)를 통과한 홀딩부(40)의 일측을 제2고리(4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시키므로서, 제3고리(4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홀딩부(40)에는 구획된 구조의 제1고리(41)와 제2고리(42) 및 제3고리(4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매듭고리 형성단계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리(42)와 제3고리(43)에 손잡이(51)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홀딩부(40)의 끝단 두가닥을 잡아 당기면 상기 홀딩부(40)에는 생모(60)에 고정되는 매듭고리(44)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어서, 홀딩부(40)의 한 가닥으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므로서, 홀딩부(40)에 새로운 제2매듭부(41b)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1)에는 하나의 제1매듭부(21)와 두개의 제2매듭부(41a,41b)가 나란하게 정렬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1)에 위치된 하나의 제1매듭부(21)와 두개의 제2매듭부(41a,41b)를 밀어, 본체(51)에 나란하게 정렬시킴에 따라 붙임머리 시술에 따른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이와 같이 홀딩부(40) 고정단계까지 완료한 이후에는 제1매듭부(21)와 제2매듭부(41a,41b)를 생모(60)에 이동시키는 이동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이동단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가닥의 생모(60)를 취하여 그 일부분을 상기 매듭도구(50)의 걸이부(53)에 삽입한다.
이후에 제1매듭부(21) 및 상기 제1매듭부(21)와 가까이 있는 하나의 제2매듭부(41a)만 생모(60) 측으로 민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매듭부(21) 및 하나의 제2매듭부(41a)는 상기 걸이부(53)를 통과하여 생모(60)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매듭부(21) 및 제2매듭부(41a)를 생모(60)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 생모(60)에는 자연스럽게 고리(61)가 형성된다.
한편, 매듭단계는 생모(60)의 고리(61)를 매듭지어 상기 제1매듭부(21) 및 하나의 제2매듭부(41a)를 생모(6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매듭단계는 먼저 도 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도구(50)를 두피방향이나 제1,2매듭부(21,41a) 방향으로 밀어 걸이부(53)에 걸려 있는 생모(60)를 제거한다.
이후, 제1,2매듭부(21,41a)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생모(60)가 걸이부(53)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매듭도구(50)를 당기게 되면 상기 걸이부(53)에 걸려 있는 생모(60)가 고리(61)를 통과하여 빠져 나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리(61)가 매듭지어 진다.
상기 제2매듭부 고정단계는 상기 몸체부(52)에 남아 있는 한 개의 제2매듭부(41b)를 생모(6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2매듭부 고정단계는 상기 매듭단계와 병행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단계에서 생모(60)가 고리(61)를 완전히 통과하여 빠져 나오기 전에 몸체부(52)에 남아 있는 한 개의 제2매듭부(41b)를 생모(60) 측으로 민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매듭부(41b)는 상기 걸이부(53)를 통과하여 생모(60)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후에, 상기 매듭도구(50)를 통해 생모(60)를 당겨, 상기 생모(60)가 고리(61) 및 제2매듭부(41b)를 완전히 빠져 나오게 한 다음, 제2매듭부(41b)를 밀어 다른 제2매듭부(41a) 측으로 이동 및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제2매듭부(41b)와 연결되는 연결부(20)를 잡아 당겨 상기 제2매듭부(41b)를 조여 상기 제2매듭부(41b)를 생모(6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시술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 시술방법은, 제2매듭부(41b)가 생모(60)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매듭부(21) 및 제2매듭부(41a)를 홀딩시킴에 따라 생모(60)와 연결부(20)의 재질적인 차이에 따른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머리를 감거나 머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조모(101)가 생모(60)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1매듭부(21) 및 제2매듭부(41a)가 생모(6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조모(101)를 생모(60)에 시술하는 과정에서 인조모(101)를 생모(60) 상에 홀딩시키기 위한 제2매듭부(41b)를 함께 시술하는 방식이므로, 붙임머리를 시술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등 시술자와 피술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30)에 연결되어 있는 홀딩부(40)의 일측을 컷팅하여 홀딩부(40)와 인조모(101)를 분리한 다음 제1매듭부(21)와 제2매듭부(41a,41b)를 잡아 당기면 인조모(101)를 생모(6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조모(101)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조모다발 101: 인조모
20 : 연결부 21 : 제1매듭부
211 : 제4고리 212 : 제5고리
213 : 제6고리 214,44 : 매듭고리
30 : 접합부 40 : 홀딩부
41a,41b : 제2매듭부 41 : 제1고리
42 : 제2고리 43 : 제3고리
50 : 매듭도구 51 : 손잡이
52 : 몸체부 53 : 걸이부
60 : 생모 61 : 고리

Claims (4)

  1. 양측에 인조모가 연결된 연결부를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제1매듭부를 형성하는 제1매듭부 형성단계,
    일측이 상기 인조모 또는 연결부에 고정된 홀딩부를 상기 매듭도구에 매듭져서 복수개의 제2매듭부를 형성하는 홀딩부 고정단계,
    다수 가닥의 생모를 취하여 일부분이 상기 매듭도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제1매듭부 및 상기 제1매듭부와 가까이 있는 하나의 제2매듭부만 걸이부의 외면을 거쳐 생모에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생모의 일부분이 상기 제1매듭부 및 제2매듭부에 의해 접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생모에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이동단계,
    상기 걸이부에 걸려 있는 생모를 제거하면서 상기 매듭도구에 구비되는 몸체부가 상기 고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에 상기 제1매듭부와 제2매듭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생모의 다른 부분이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매듭도구를 당겨 걸이부에 걸려있는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고리를 매듭짓는 매듭단계,
    상기 생모가 고리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매듭도구에 남아 있는 제2매듭부를 생모에 이동시키되, 남아 있는 제2매듭부가 상기 걸이부의 외면을 통과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남아 있는 제2매듭부가 상기 생모로 먼저 이동된 제2매듭부의 일측에서 생모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2매듭부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붙임머리 시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매듭부 고정단계 이후에는,
    상기 홀딩부를 잡아당겨 제2매듭부를 제1매듭부 및 고리의 매듭된 부분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가 더 포함되는 붙임머리 시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 고정단계는,
    상기 홀딩부의 일측과 타측을 접촉시켜 제1고리를 형성하는 제1고리 형성단계,
    상기 홀딩부의 일측을 상기 제1고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시켜 상기 제1고리의 일측에 제2고리를 형성하는 제2고리 형성단계,
    상기 제1고리를 통과한 홀딩부의 일측을 상기 제2고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시켜 제3고리를 형성하는 제3고리 형성단계,
    상기 제2고리와 제3고리에 상기 매듭도구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홀딩부를 잡아 당겨 생모에 고정되는 매듭고리를 형성하는 매듭고리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붙임머리 시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매듭부가 상기 생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20170087128A 2017-07-10 2017-07-10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90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28A KR101905132B1 (ko) 2017-07-10 2017-07-10 붙임머리 시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28A KR101905132B1 (ko) 2017-07-10 2017-07-10 붙임머리 시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132B1 true KR101905132B1 (ko) 2018-10-08

Family

ID=6386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28A KR101905132B1 (ko) 2017-07-10 2017-07-10 붙임머리 시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3B1 (ko) 2019-05-14 2020-02-12 김경아 탈모 커버 피스
WO2021132805A1 (ko) * 2019-12-24 2021-07-01 심성호 붙임 머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121A (ja) 2000-04-06 2001-10-26 Hiroshi Hochi 増毛用人工毛髪
US20090056731A1 (en) 2007-09-04 2009-03-05 Ryan Tokko Low Stress Attachment of Hair Extensions
KR101248374B1 (ko) 2011-12-13 2013-04-01 박대이 붙임머리 시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121A (ja) 2000-04-06 2001-10-26 Hiroshi Hochi 増毛用人工毛髪
US20090056731A1 (en) 2007-09-04 2009-03-05 Ryan Tokko Low Stress Attachment of Hair Extensions
KR101248374B1 (ko) 2011-12-13 2013-04-01 박대이 붙임머리 시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3B1 (ko) 2019-05-14 2020-02-12 김경아 탈모 커버 피스
WO2021132805A1 (ko) * 2019-12-24 2021-07-01 심성호 붙임 머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0535B2 (ja) 毛髪誘導輪を有する付け毛
KR100889004B1 (ko) 붙임머리
US9033196B1 (en) Pre-threaded and knotted hair weaving needle and method
JP6501960B2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JP6113987B2 (ja) 増毛方法
KR100986906B1 (ko) 붙임머리 및 그 시술 방법
KR101905132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RU2692019C1 (ru) Способ скрытого крепления волос
JP4134334B2 (ja) 人毛髪束または人工毛髪束等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80090123A (ko) 매듭용 붙임머리 및 그 식모 방법
KR101146751B1 (ko) 다단 붙임머리
JP2014034746A (ja) 人工まつげの取り付け方法
KR101248374B1 (ko) 붙임머리 시술 방법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KR101846052B1 (ko)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KR20150044666A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0824895B1 (ko) 연결형 붙임머리 및 그 시술방법
KR20120108389A (ko) 붙임머리 패키지, 붙임머리 시술용 기구 및 이들을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098671B1 (ko) 붙임머리 헤어피스
KR101180368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445155B1 (ko) 붙임머리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239154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JP4134332B2 (ja) 人毛髪束または人工毛髪束等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202159B1 (ko) 증모용 모발 매듭방법
JP7420691B2 (ja)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