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052B1 -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052B1
KR101846052B1 KR1020150109016A KR20150109016A KR101846052B1 KR 101846052 B1 KR101846052 B1 KR 101846052B1 KR 1020150109016 A KR1020150109016 A KR 1020150109016A KR 20150109016 A KR20150109016 A KR 20150109016A KR 101846052 B1 KR101846052 B1 KR 10184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lastic
state
elastic string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942A (ko
Inventor
나윤설
Original Assignee
나윤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윤설 filed Critical 나윤설
Priority to KR102015010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0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7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콘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번의 시술작업으로 보다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모에 결속되는 붙임머리에 있어서, 양단부를 서로 묶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중앙으로 상기 생모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을 형성한 탄성줄과, 상기 탄성줄의 둘레면을 따라 결속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가모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줄의 체결구멍은 상기 탄성줄의 양단부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그 직경이 좁혀지며 상기 생모를 상기 탄성줄에 결속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an attached hair}
본 발명은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번의 시술작업으로 보다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헤어스타일의 연출은 개인의 외모를 꾸미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짧은 모발이나 숱이 적을 경우 모발의 양을 증대시키거나 상기 모발의 일부분에 독특한 색상이나 형태를 갖는 모발을 일체로 연결시켜 개성있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소정 색상 및 형태, 길이 등을 갖는 가모로 이루어진 붙임머리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노화나 약물의 남용 혹은 심리적으로 받는 스트레스로 탈모가 되는 경우에는 가발을 이용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 머리카락을 심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가발을 착용할 경우 가발의 착탈이 번거롭고, 두피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답답하고 부자연스러웠으며 정기적으로 가발을 손질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외과적 시술에 의한 머리카락을 심는 방법의 경우에는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고가의 비용으로 경제적 부담이 따랐으며 머리카락의 식모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모로 이루어진 붙임머리는 다양한 색상 및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생모에 시술되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붙임머리는 생모의 끝부분에 소정의 색상 및 형태를 갖는 가모가 실리콘을 매개로 접착 고정되게 시술하거나 또는 그 하측에 가모가 결합된 일정 구조를 갖는 금속링을 상기 생모의 끝부분에 연결 고정되게 시술된다.
종래 붙임머리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072696 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테이프의 몸체를 이루는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축합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부가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및, 라디칼형 실리콘 조성물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어 열이 가해지면 피접착 대상물을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상에 부착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형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붙임머리에 있어서, 먼저 상기 실리콘을 통해 시술되는 붙임 머리는 실리콘액에 대략 200℃ 정도에 이르는 고온의 열을 가하여 상기 생모와 가모를 상호 접착하게 되므로 시술시에 생모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은 뜨거운 물이나 열에 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붙임 머리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링을 통해 시술되는 붙임 머리는 상기 실리콘을 이용한 붙임 머리의 단점은 해소되지만 상기 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관리가 어렵고 외부에 쉽게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두피 부분에 상처가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072696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줄을 팽팽하게 직선 형태로 늘인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모부를 결속하고, 가모부가 결소된 탄성줄의 양단부를 서로 묶어 상기 탄성줄을 링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링 형상의 탄성줄에 생모를 결속하도록 하여 실리콘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한 번의 시술작업으로 보다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줄을 직선형태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의 양단부를 송곳에 각각 묶는 제1 단계와, 상기 탄성줄의 양단을 반대 방향으로 각각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송곳을 작업대 위에 각각 꽂아 탄성줄을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로 하여 작업대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유지시키는 제2 단계와, 여러 가닥의 자연모 및 인조모로 이루어진 가모부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가모부의 접힘 부위에 스킬용 바늘을 걸은 상태에서 상기 스킬용 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가모부의 접힘 부위를 탄성줄에 묶어 결속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2,3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가모부를 탄성줄에 반복적으로 결속시킨 후, 상기 탄성줄의 양단부를 송곳에서 풀은 다음, 상기 탄성줄의 양단부를 서로 묶는 제4 단계와, 상기 탄성줄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으로 생모를 여러가닥 끼워넣은 다음, 상기 탄성줄의 양단부를 잡아 당겨서 상기 체결구멍에 끼워진 생모를 탄성줄에 결속시키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줄을 팽팽하게 직선 형태로 늘인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모부를 결속하고, 가모부가 결소된 탄성줄의 양단부를 서로 묶어 상기 탄성줄을 링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링 형상의 탄성줄에 형성된 체결구멍으로 생모를 끼워 결속하도록 함으로서 실리콘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모발의 손상됨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한 번의 시술작업으로 보다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의 시술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붙임 머리를 시술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접착방식에 비해 생모에 어떠한 손상됨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생모에 결속된 이후에는 장시간 동안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특히 한번의 시술만으로도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붙임 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줄을 팽팽하게 직선 형태로 늘인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모부를 결속하고, 가모부가 결소된 탄성줄의 양단부를 서로 묶어 상기 탄성줄을 링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링 형상의 탄성줄에 생모를 결속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붙임머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붙임머리(100)는 평면상에서 전체적으로 해바라기 모양을 가지도록 중앙부에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중앙에는 체결구멍(22)이 형성된 탄성줄(20)과, 상기 탄성줄(20)의 둘레면을 따라 결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모부(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탄성줄(2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어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그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22)으로는 생모(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멍(22)의 직경을 좁혀주는 동작에 따라 생모(30)를 탄성줄(20)에 결속시켜 붙임머리를 시술하게 된다.
상기 가모부(10)는 여러가닥의 단위가모(10a)들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때 상기 가모부(10)를 구성하는 단위가모(10a)는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가공 처리된 자연모나 혹은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모발의 형태를 가지도록 가공 처리된 인조모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자연모와 인조모로 이루어진 단위가모 여러 개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통상 자연모로 이루어진 단위가모는 실제 모발임에 따라 스타일링과 염색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세척시 엉키는 경향이 있으며, 아울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색되고, 모발이 약해지는 현상이 있어 사후 관리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인조모로 이루어진 단위가모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관리하기 편해 자연모에 비해 보다 오랫동안 자연스러움을 지속할 수 있는 반면, 한번 색상이 선택되고 나면 다른 색상으로 염색이 되지 않음으로서 자연모에 비해 스타일링과 염색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장, 단점을 가지는 자연모와 인조모 여러가닥을 적절한 비율로 섞어 가모부를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연모 및 인조모를 여러가닥 섞어 만들어진 가모부(10)는 전술한 탄성줄(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속시켜 생모(30)에 연결시켜 붙임머리가 가진 증모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모부(10)를 탄성줄에 결속하는 과정은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탄성줄(20)을 직선형태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송곳(50)에 각각 묶은 다음, 상기 탄성줄(20)의 양단을 반대 방향으로 각각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송곳(50)을 작업대 위에 각각 꽂아 탄성줄(20)을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로 하여 작업대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유지시키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여러 가닥의 자연모 및 인조모로 이루어진 가모부(1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가모부(10)의 접힘부위에 스킬용바늘(40)을 걸은 상태에서 상기 스킬용바늘(40)을 이용하여 도 2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모부(10)의 접힘 부위를 탄성줄(20)에 묶어 결속시키게 된다.
다음,도 2c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개의 가모부(10)를 탄성줄(20)에 반복적으로 결속시킨 후,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송곳(50)에서 풀은 다음,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서로 묶어주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평면상에서 해바라기 모양,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줄(2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중앙으로 체결구멍(22)이 형성된 형태를 띄고, 상기 탄성줄(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가모부(10)가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결속된 모양을 가지도록 제작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제작된 붙임머리(100)는 시술시, 도 3에서와 같이 링 형상의 탄성줄(20)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22)으로 생모(30)를 여러가닥 끼워넣은 다음,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체결구멍(22)의 직경은 작아지며(좁혀지며), 상기 체결구멍(22)에 끼워진 생모(30)를 탄성줄(20)에 결속시키게 됨으로서 간편하게 붙임머리의 시술이 완료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가모를 생모에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탄성줄(20)을 링 형태로 만든 다음, 상기 링 형태의 탄성줄(20)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22)으로 생모(3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잡아당겨 생모(30)를 직접 탄성줄(20)에 결속시키도록 함으로서 생모(30)에 어떠한 손상됨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결속된 후, 장시간 동안 붙임머리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줄(20)에 여러개의 가모부(10)가 묶여져 있는 상태임에 따라 한번의 시술만으로도 많은 양의 가모를 생모에 결속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10: 가모부 20: 탄성줄
20a, 20b: 양단부 22: 체결구멍
30: 생모 40: 스킬바늘
100: 붙임머리

Claims (1)

  1. 양단부(20a, 20b)를 서로 묶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만든 상태에서 중앙으로 생모(30)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22)을 형성한 탄성줄(20)과, 상기 탄성줄(20)의 둘레면을 따라 결속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가모부(10)로 구성된 붙임머리(100)를 생모(30)에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20)을 직선형태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송곳(50)에 각각 묶는 제1 단계와;
    상기 탄성줄(20)의 양단을 반대 방향으로 각각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송곳(50)을 작업대 위에 각각 꽂아 탄성줄(20)을 팽팽하게 당겨준 상태로 하여 작업대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유지시키는 제2 단계와;
    여러 가닥의 자연모 및 인조모로 이루어진 가모부(1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가모부(10)의 접힘 부위에 스킬용 바늘(40)을 걸은 상태에서 상기 스킬용 바늘(40)을 이용하여 상기 가모부(10)의 접힘 부위를 탄성줄(20)에 묶어 결속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2,3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가모부(10)를 탄성줄(20)에 반복적으로 결속시킨 후,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송곳(50)에서 풀은 다음,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서로 묶는 제4 단계와;
    상기 탄성줄(20)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22)으로 생모(30)를 여러가닥 끼워 넣은 다음, 상기 탄성줄(20)의 양단부(20a, 20b)를 잡아 당겨서 상기 체결구멍(22)에 끼워진 생모(30)를 탄성줄(20)에 결속시키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KR1020150109016A 2015-07-31 2015-07-31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KR10184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16A KR101846052B1 (ko) 2015-07-31 2015-07-31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16A KR101846052B1 (ko) 2015-07-31 2015-07-31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42A KR20170014942A (ko) 2017-02-08
KR101846052B1 true KR101846052B1 (ko) 2018-05-18

Family

ID=5815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16A KR101846052B1 (ko) 2015-07-31 2015-07-31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45B1 (ko) * 2018-06-18 2019-11-12 (주)피에이인터네셔널 붙임 머리
KR102152681B1 (ko) * 2019-12-23 2020-09-07 최석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1406B1 (ko) * 2021-04-02 2023-07-03 심선아 붙임머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5619A1 (en) * 2004-01-16 2005-07-21 Teresa Lane Hair accessory utilizing a drawable member and a secur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68B1 (ko) 2004-12-23 2006-11-14 이상인 모발부착용 접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모발 부착구와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5619A1 (en) * 2004-01-16 2005-07-21 Teresa Lane Hair accessory utilizing a drawable member and a secur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4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8395B (en) Ornamental hairpie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89004B1 (ko) 붙임머리
US8671955B2 (en) Method for attaching a hair weaving tract
KR101846052B1 (ko)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US20130276807A1 (en) Method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KR100991223B1 (ko)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7901Y1 (ko) 개선된 붙임 머리
US20120037177A1 (en) Method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JP2019039126A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KR101252658B1 (ko)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533909B1 (ko) 붙임머리와 붙임머리 제조 및 시술 방법
KR101146751B1 (ko) 다단 붙임머리
KR101633079B1 (ko) 부분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US7637266B1 (en) Convoluted hair band for creating many varying hairstyles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KR101589919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0824895B1 (ko) 연결형 붙임머리 및 그 시술방법
KR101905132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20160129690A (ko)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JP6259486B2 (ja) かつらの製作方法
KR101445155B1 (ko) 붙임머리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KR200464605Y1 (ko) 재사용이 가능한 붙임머리
KR100799163B1 (ko) 탈착이 용이한 붙임모
KR200464603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매듭고정형 붙임머리
KR20160022198A (ko) 매듭 고정형 붙임머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