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06B1 - 붙임머리 - Google Patents

붙임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06B1
KR102551406B1 KR1020210043175A KR20210043175A KR102551406B1 KR 102551406 B1 KR102551406 B1 KR 102551406B1 KR 1020210043175 A KR1020210043175 A KR 1020210043175A KR 20210043175 A KR20210043175 A KR 20210043175A KR 102551406 B1 KR102551406 B1 KR 10255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ing
extension
extensio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305A (ko
Inventor
심선아
Original Assignee
심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선아 filed Critical 심선아
Priority to KR102021004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86Applicators or tools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더 풍성하게 보이기 위해 인모(人毛)에 가모(假毛)를 부착하는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가모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보다 풍성한 볼륨감과 더불어 두피의 노출 및 이질감을 줄일 수 있고 시술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는 둘레를 따라 가모가 고정된 고리와, 고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 가모가 고정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특히 고리는 제1고리와 제2고리를 구비하며 제1고리와 제2고리 중 어느 한 고리에는 가모가 고정되지 않으며, 고리와 확장부에 고정된 가모는 고리와 확장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붙임머리{extension hair}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더 풍성하게 보이기 위해 인모(人毛)에 가모(假毛)를 부착하는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가모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보다 풍성한 볼륨감과 더불어 두피의 노출 및 이질감을 줄일 수 있고 시술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증모 시술은 피시술자의 두발에 증모용 가모(假毛)를 결합하여 모발의 양을 증가시키고 탈모 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시술을 의미한다.
증모 시술 방법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인모에 가모를 접합하는 접착식과 인모와 가모를 묶어서 결속하는 매듭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접착제로 인한 가려움, 발진 등의 부작용 때문에 매듭식이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듭식 증모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매듭식 증모 시술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6756호에 기술된 붙임머리의 이미지이다.
매듭식 증모 시술은 도 1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인모(10)에 합성모 또는 진모(眞毛)로 이루어진 가모(20)를 묶어서 결합하되, 두피(50)로부터 대략 0.2 내지 0.5cm 정도에 매듭(30)을 위치시키는 방법이다. 증모 시술 전에는 도 1의 왼쪽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피(50)가 외부로 많이 노출되지만, 증모 시술을 하면 도 1의 오른쪽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의 양이 크게 증가하므로 두피(50)를 충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매듭식 증모 시술에서 인모(10)와 가모(20)를 묶는 매듭법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손으로 직접 매듭을 묶는 경우도 있으나 가는 모발을 묶어서 정확한 위치에 매듭을 형성하는 정교함이 요구되기 때문에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킬바늘(70) 등과 같은 보조 도구를 활용하여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래에서는 스킬바늘(70)을 이용하여 매듭(30)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시술자는 먼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킬바늘(70)의 몸통에 가모(20)를 묶은 상태에서 시술할 인모(10)를 후크(71)에 걸고 래치(72)를 닫는다.
이어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모(20)가 스킬바늘(70)에서 완전히 빠질 때까지 스킬바늘(70)을 당겨서 후크(71)에 걸린 인모(10)의 루프(11)가 가모(20)의 고리(21)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71)를 이용하여 고리(21) 바깥쪽의 인모(10)를 걸어 당김으로써 인모(10)의 제1루프(11)를 통과하는 제2루프(12)를 형성한다.
인모(10)를 계속 당기면,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모(10)의 단부가 제1루프(11)를 완전히 통과하면서 제2루프(12)는 사라지게 되고, 이어서 인모(10)의 단부를 당겨서 인모(10)와 가모(20)가 결속된 매듭(30)이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붙임머리의 경우, 1개의 붙임머리에 2가닥의 가모가 형성된다. 즉 도 1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1번의 시술로서 2가닥의 가모가 인모에 부착된다.
이는 1가닥의 가모의 길이 중간을 접고, 접은 상태에서 매듭을 지어 고리를 만들기 때문에 1개의 붙임머리에는 2가닥의 가모만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여러 가닥의 가모의 길이 중간을 접고 매듭을 지어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붙임머리는 가모의 수가 많게 구성될 수 있는 있겠지만, 고리를 형성한 매듭의 한 지점에서 복수의 가모들이 한 쪽 방향으로만 연장됨에 따라 가모들이 한 쪽으로 편심되어 머리카락을 세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바람에 머리카락이 날리면, 편심된 모류 때문에 두피가 쉽게 노출되며 붙임머리가 쉽게 표출되어 이질감 또한 크게 발생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붙임머리(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6756호)의 경우, 붙임머리(100)는 연결끈(110), 연결끈(110)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가모부(120)와 제2가모부(130), 연결끈(110)의 제1, 제2가모부(120,130)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12, 1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모부(120,130)는 연결끈(110)이 고리를 이루도록 결속되어 이루어진 링부(122, 132)와, 이 링부(122, 132)에 결속된 복수 가닥의 가모(124, 13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붙임머리(100)는 링부(122, 132)를 중심으로 가모(124, 134)들이 연장됨에 따라 링부(122, 132)를 연결하는 연결끈(110)에는 가모가 고정되지 않아 이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에 머리카락이 날리면 편심된 모류 때문에 두피가 쉽게 노출되며 붙임머리의 표시가 쉽게 나며 이질감 또한 크게 발생한다. 또한 시술자가 연결끈(110)을 피시술자의 인모에 직접 묶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시술이 복잡하고 전문성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6756호 (2020.11.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7898호 (2016.10.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8374호 (2013.03.21)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보다 많은 가모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어 보다 풍성한 볼륨감과 더불어 두피의 노출 및 이질감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는 둘레를 따라 가모가 고정된 고리와, 고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 가모가 고정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는 복수 개로서, 고리와 고리를 확장부가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는 제1고리와 제2고리를 포함하며, 제1고리와 제2고리 중 어느 한 고리에는 가모가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와 확장부에 고정된 가모는 고리와 확장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는 가모가 고리와 확장부에 고정됨에 따라 가모를 펼쳤을 때에 종래 기술의 붙임머리 보다 넓고 균일한 밀도로 배치된다. 따라서 가모가 바람에 날리더라도 두피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질을 하면 모류가 어느 한 쪽방향으로 세팅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는 가모들이 고리와 확장부에 방사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고리와 확장부를 기준으로 빗질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가모들이 빗질을 따라 모류 방향으로 넘어가면서 180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가모의 일부가 세워져 볼륨감을 크게 향상된다.
또한 어느 한 고리에는 가모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스킬바늘이 고리를 관통할 때에 가모에 의해 시술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듭식 증모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매듭식 증모 시술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6756호에 기술된 붙임머리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임머리(200)는 제1고리(210)와 제2고리(220), 그리고 제1고리(210)와 제2고리(220)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확장부(230)를 포함하며, 가모(201)의 끝단이 확장부(230)와 제2고리(220)에 고정되어 외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가모(201)는 제1고리(210)에는 고정되지 않고, 제2고리(220)를 따라 방사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2고리(220)에 연결된 가모를 넓게 펼치면 제2고리(220)를 중심으로 가모(201)가 방사형태로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1고리(210)와 제2고리(220)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확장부(230)에도 가모(201)가 고정된다. 가모(201)들은 확장부(230)의 둘레를 따라 확장부(23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가모(201)가 고정되지 않은 제1고리(210)는 인모(도 1, 도 2의 10)를 묶는 부위로서, 스킬바늘(도 2의 70)이 관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200)는 가모(201)가 제2고리(220)와 확장부(230)에 고정됨에 따라 가모(201)를 펼쳤을 때에 종래 기술의 붙임머리 보다 가모(201)가 넓고 균일한 밀도로 배치되며, 따라서 가모(201)가 바람에 날리더라도 두피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빗질을 하면 모류가 어느 한 쪽방향으로 세팅되는데,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200)는 가모(201)들이 제2고리(220)와 확장부(230)에 방사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제2고리(220)와 확장부(230)를 기준으로 빗질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가모(201)들이 빗질에 의해 빗질 방향으로 넘어가면서 180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가모(201)의 일부가 세워져 볼륨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제1고리(210)에는 가모(201)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스킬바늘(도 2의 70)이 제1고리(210)를 관통할 때에 가모(201)에 의해 시술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고리(210, 220) 중 어느 한 고리(210)는 시술이 편리하도록 가모(201)가 고정되지 않고, 다른 한 고리(220)에는 가모(201)가 고리(220)를 따라 방사형으로 고정되며, 특히 고리들을 연결하는 확장부(230)에 가모(201)들이 고정됨에 따라 일정 양의 가모(201)를 붙임머리(200)로 구성함에 있어 분포도를 넓게 구성할 수 있어 인모와 같이 자연스러우면서 동시에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모를 고정시키지 않은 고리를 통해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제2실시예]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의 붙임머리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고리의 구성을 제외시킨 것에 차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붙임머리(200)는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 및 가모(201)를 포함하며, 제1고리(210)에는 확장부(230)가 외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에는 방사형으로 가모(201)들이 고정됨에 따라 가모(201)들은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의 외향으로 연장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200)는 가모(201)가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에 고정됨에 따라 가모(201)를 펼쳤을 때에 종래 기술의 붙임머리 보다 넓고 균일한 밀도로 배치되며, 따라서 가모(201)가 바람에 날리더라도 두피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가모(201)들이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에 방사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제1고리(210)와 확장부(230)를 기준으로 빗질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가모(201)들이 빗질에 의해 빗질 방향으로 넘어가면서 180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가모(201)의 일부가 세워져 볼륨감을 향상시킨다.
제2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200)를 시술할 경우, 스킬바늘(도 2의 70)이 제1고리(210)를 관통하여 인모(도 1, 도 2의 10)를 제1고리(210) 안쪽으로 끌어당겨 매듭을 형성하여 붙임머리(200)를 인모(10)에 고정한다. 이때 제1고리(210) 뿐만 아니라 확장부(230)에 가모(201)가 고정됨에 따라 인모를 제1고리(210)에 묶어 붙임머리(200)를 고정하더라도 제1고리(210)의 둘레와 확장부(230)의 둘레에 고정된 가모(201)들에 의해 제1고리(210)가 가려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붙임머리에 있어서, 고리에는 70 내지 140가닥의 가모들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의 붙임머리를 나타낸 도 4 그리고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5에서는 고리 및 확장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가모의 길이에 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한 것이며, 제1실시예의 고리 사이의 거리 즉 확장부의 길이는 0.5C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의 내경은 스킬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0.5c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 인모
70 : 스킬바늘
200 : 붙임머리
201 : 가모
210 : 제1고리
220 : 제2고리
230 : 확장부

Claims (4)

  1. 둘레를 따라 가모가 고정된 고리와,
    고리에서 외측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에 가모가 고정된 확장부를 포함하되,
    고리와 확장부에 고정된 가모는 고리와 확장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2. 제1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말단에 고리가 추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된 고리에는 가모가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4. 삭제
KR1020210043175A 2021-04-02 2021-04-02 붙임머리 KR10255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75A KR102551406B1 (ko) 2021-04-02 2021-04-02 붙임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75A KR102551406B1 (ko) 2021-04-02 2021-04-02 붙임머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05A KR20220137305A (ko) 2022-10-12
KR102551406B1 true KR102551406B1 (ko) 2023-07-03

Family

ID=8359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75A KR102551406B1 (ko) 2021-04-02 2021-04-02 붙임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081B2 (ja) * 1997-10-30 2007-05-1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ループ状止着部を有する増毛部材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173096B1 (ko) * 2010-08-05 2012-08-10 박현주 미용용 붙임머리
KR101248374B1 (ko) 2011-12-13 2013-04-01 박대이 붙임머리 시술 방법
KR101740659B1 (ko) 2015-04-01 2017-05-29 박인구 붙임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6052B1 (ko) * 2015-07-31 2018-05-18 나윤설 붙임머리를 생모에 결속하는 방법
KR20200126756A (ko) 2019-04-30 2020-11-09 김보성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05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4162B2 (ja) 擬毛材及び増毛方法
US10842212B2 (en) Hair extension
US20030226571A1 (en) Open loop hair extension
US11406151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20170245569A1 (en) Hair bundles, hair wig system, method of securing hair bund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ir bundles
KR100593979B1 (ko) 스킨망을 이용한 모의 수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발
KR102551406B1 (ko) 붙임머리
TW201132309A (en) Tying tool for restoring hai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80020799A1 (en) Non-elastic hair tie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US20220132964A1 (en) Methods of attaching and removing a hair extension
KR101239154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JP3338433B2 (ja) 毛髪用繊維の取付け方法
TWM594387U (zh) 編接式接髮構造
US11744303B2 (en) Endless neck tie and mobius bow tie
JP4106558B2 (ja) 毛髪用繊維の取り付け方法
JP6574929B1 (ja)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の装着方法
TWI698192B (zh) 編接式接髮方法及其接髮構造
KR101090966B1 (ko)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203758B1 (ko)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JPH0852016A (ja) 髪の編み込み方法
KR102029175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JP6998340B2 (ja)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JP2018066081A (ja) 擬毛及び地毛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JPH03332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