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690A -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 Google Patents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690A
KR20160129690A KR1020150179488A KR20150179488A KR20160129690A KR 20160129690 A KR20160129690 A KR 20160129690A KR 1020150179488 A KR1020150179488 A KR 1020150179488A KR 20150179488 A KR20150179488 A KR 20150179488A KR 20160129690 A KR20160129690 A KR 2016012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oop
parent
strands
sh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카리 텐바쿠
쇼지 고토
Original Assignee
유카리 텐바쿠
쇼지 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카리 텐바쿠, 쇼지 고토 filed Critical 유카리 텐바쿠
Publication of KR2016012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 A41G5/006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using deformable connecting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크기를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2루프와 제3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부재를 제공하여, 증모 시술 후에도 시술자의 자연모가 자라는 것에 대응하여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켜 증모부재의 재활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Hair-extension and method of extending hair}
실시예는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 등에 의해 모발의 개수가 적어져 엷게 된 경우, 가발 등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가발의 번거로움 때문에 모발을 활용해서 인공모발을 증모하는 증모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모용 모발은 자연모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증모 시술 이후에 시술자의 모발이 자람에 따라 시술된 증모용 모발도 자연모를 따라 모근으로부터 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증모부재를 자연모에 결합시킨 이후, 자연모가 자라나는 길이에 대응하여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도, 증모부재가 자연모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크기를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2루프와 제3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부재는 적어도 2모(毛)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부재 중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를 관통하여 지난 상기 모부재에 연결되는 확장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모부재는 상기 모부재와 결합하는 확장매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매듭부는 상기 가변매듭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지지봉 및 상기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1루프와 제2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1루프과 제2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부재를 포함하는 증모부재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부착고리를 포함하는 증모부재를 이용한 증모방법으로서, a)상기 부착고리에 자연모를 삽입하여 상기 증모부재를 붙이는 단계 및 b)상기 증모부재를 기준으로 모근의 반대측으로 상기 자연모 상에 고정매듭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자연모를 따라 상기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당김부를 당겨 상기 증모부재를 상기 자연모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모부재는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1루프와 제2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1루프과 제2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모부재는 상기 모부재 중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를 관통하여 지난 상기 모부재에 연결되는 확장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모부재는 상기 모부재와 결합하는 확장매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매듭부는 상기 가변매듭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모에 결속된 이후에도, 부착고리가 자연모를 따라 모근 방향을 따라 재차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변매듭부를 구비함으로써, 증모 시술 후에도 시술자의 자연모가 자라는 것에 대응하여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켜 증모부재의 재활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킨 이후에, 증모부재가 이동한 위치에서 해당 자연모에 고정매듭을 형성시킴으로써, 증모부재가 고정매듭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음부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가변매듭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변매듭부와 부착고리를 완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자연모에 고정되는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S100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자연모에 증모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자연모에 고정매듭을 형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자연모를 따라 증모부재를 두피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확장모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6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1차 모를 만드는 과정에서 인공모 2가닥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1차 모를 반으로 접어 4가닥으로 만드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1차 모의 중앙을 밑으로 구부려 원형을 만드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부착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지봉에 부착고리를 통과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지지봉에 가변매듭부로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4가닥의 모재를 지지봉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40가닥의 증모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3가닥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1에서 도시한 4가닥의 모부재에 도 22의 3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도 19에서 도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매듭을 형성하는 도면,
도 24는 완성된 20가닥의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완성된 40가닥의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2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4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6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2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4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6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모부재에 붙이기 위해 준비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모부재에 붙이기 위해 준비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4가닥의 모부재에 4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붙여 8가닥의 모다발을 완성한 도면,
도 35는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모든 가닥에 확장모부재를 결속시킨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2묶음으로 나눠 확장모부재를 결속시킨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4가닥에 묶음을 만든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결착부만을 나타낸 도면,
도 39는 확장모부재에 재확장모부재를 붙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40은 링부재의 8자 매듭을 나타낸 도면,
도 41은 8자 매듭을 이용하지 않은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42는 8자 매듭을 이용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 조립체는 증모부재(10)와 지지봉(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튜브 형태로 길게 형성된 지지봉(20)에 복수 개의 증모부재(10)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증모부재(10)는 지지봉(20)에 일정 간격으로 묶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증모부재(10)는 지지봉에 느슨하게 묶여 사용자가 증모부재(10)를 잡아 빼면 지지봉(20)에서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10)는 부착고리(100)와 이음부(200)와 가변매듭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고리(100)와 이음부(200)와 가변매듭부(30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연결된 모부재(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음부(200)는 모부재(11)의 전체 영역 중 양 끝단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모부재(11)는 화학 섬유모, 내열모 또는 자연모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1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부재(11)를 기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부재(11)는 적어도 2모(毛)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부재(11)가 2가닥인 경우, 4가닥의 모다발을 형성시킬 수 있다.
부착고리(100)는 모부재(11)가 구부러져 자연모의 붙임공간인 제1 루프(S1) 형성하는 부분이다. 부착고리(100)에는 자연모가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러한 부착고리(100)는 모부재(11)가 가변매듭부(30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음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음부(200)를 구부리면 내측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공간은 가변매듭부(300)를 형성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도 4 및 도 5는 가변매듭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음부(200)에서 서로 독립한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가 구현되도록 모부재(11)를 구부릴 수 있다.
이후, 도 4의 상태에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부재(11)를 구부려 모부재(11)의 양 끝단(11a)을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에 관통시킨다.
도 6은 가변매듭부와 부착고리를 완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상태에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에 관통한 모부재(11)의 양 끝단(11a)을 잡아 당기면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가 조여지면서, 가변매듭부(300)가 형성된다. 동시에 모부재(11)로 둘러싸인 제1 루프(S1)도 완성된다.
가변매듭부(300)는 부착고리(100)가 조여지더라도 외력이 부가되면 다시 풀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때문에 가변매듭부(300)는 제1 루프(S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증모부재(10)의 부착고리(100)들을 중첩하여 동일 자연모(H)에 삽입하는 경우, 자연모(H)를 세워주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7은 자연모에 고정되는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연모(H)에 부착고리(100)를 삽입한 이후, 모부재(11)를당기면, 제1 루프(S1)의 크기가 줄면서 부착고리(100)가 조여진다. 부착고리(100)가 조여지면서 자연모(H)에 밀착하여 증모부재(10)가 자연모(H)에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하, 이러한 증모부재(10)를 활용한 증모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S100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10)를 활용한 증모방법은, 먼저, 부착고리(100)에 자연모(H)를 삽입하여 증모부재(10)를 붙인다.(S100)
도 10은 자연모에 증모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고리(100)에 자연모(H)를 삽입하여 모부재(11))를 당기게 되면 부착고리(100)가 조여지면서 증모부재(10)가 자연모(H)에 고정된다. 최초 증모부재(10)가 고정되는 위치를 도 10의 P1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의 S는 모근(毛根)이 있는 두피를 나타낸다.
도 11은 자연모에 고정매듭을 형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상태에서, 최초 증모부재(10)가 고정되는 위치(P1)를 기준으로 두피(S)에서 멀어 지는 측으로 자연모(H)를 옭아 맨 고정매듭(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매듭(30)은 증모부재(10)가 고정되는 위치(P1)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매듭(30)은 옭매듭(overhand knot)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매듭(30)은 증모부재(10)가 자연모(H)를 따라 두피(S)에서 멀어 지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가변매듭부(300)에 의해 외력이 부가되면 부착고리(100)가 자연모(H)를 따라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고정매듭(30)을 통해 증모부재(10)가 자연모(H)에서 완전이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2는 자연모를 따라 증모부재를 두피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자연모(H)가 자람에 따라 최초 증모부재(10)가 고정되는 위치(P1)는 두피(S)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증모부재(10)의 최초 위치가 두피(S)에서 멀어지게 되면, 헤어 커팅의 기준이나 헤어 스타일링 하는 기준이 바뀌게 되어 헤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두피(S)에서 증모부재(10)까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때문에, 착용자의 자연모(H)가 자람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새로운 위치(P2)까지 증모부재(10)를 두피(S) 측으로 이동시킨다.(S110)
최초 위치(P1)에서 모부재(11)를 두피(S) 측으로 당기게 되면 증모부재(10)가 두피(S)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가변매듭부(300)에 의해 제1 루프(S1)의 크기가 어느 정도 변하는 것에 따라 부착고리(100)와 자연모(H)의 고정이 외력에 의해 느슨하게 풀어지기 때문이다.
이후, 새로운 위치(P2)에 증모부재(10)를 이동시킨 이후, 새로운 위치(P2)를 기준으로 두피(S)에서 멀어 지는 측으로 자연모(H)를 옭아 맨 고정매듭(40)을 다시 형성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당김부(200)로 표현되는 모부재(11)의 단부에는 별도의 모부재들이 매듭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모부재(11)의 단부에 연결되는 모부재의 개수에 따라 구현하고자 하는 모다발의 개수가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부재(11)에 확장모부재(12)가 연결될 수 있다. 모다발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부재(11)의 가닥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모부재(11)의 가닥수가 크게 되면 가변매듭부(300)의 크기가 커져 눈에 띄기 쉽고 헤어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확장모부재(12)의 가닥수를 늘리는 것이 기능상 유리할 수 있다.
확장모부재(12)는 모부재(11) 중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관통하여 지난 모부재(11)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부재(11)가 1가닥인 경우, 모부재(11)의 양 끝단이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관통하게 되고,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지난 모부재(11)의 양 끝단에 확장모부재(1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확장모부재(12)는 모부재(11)에 묶이는 확장매듭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매듭부(400)는 외력에 의해 매듭이 풀리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확장매듭부(400)는 가변매듭부(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고리(100)에 자연모(H)가 삽입되기 전에는 부착고리(100)가 확장된 상태이며, 부착고리(100)가 확장된 상태에서 확장매듭부(400)는 가변매듭부(300)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확장매듭부(200)가 가변매듭부(300) 주변에 모여 있기 때문에 확장모부재(12)가 부착고리(100)를 중심으로 모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확장모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확장모부재(12)를 당기면 부착고리(110)가 조여진다.
부착고리(110)가 조여지면, 확장매듭부(400)가 펼쳐지고, 확장매듭부(400)가 펼쳐짐에 따라 확장모부재(12)가 펼쳐지게 된다. 즉, 부착고리(110)가 조여지기 확장모부재(12)들은 부착고리(110)을 중심으로 모인 상태를 유지하다가. 부착고리(110)가 조여지면 확장모부재(12)가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부착고리(110)를 자연모(H)에 결합시키는 시술작업만으로 확장모부재(12)를 통한 증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모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각각의 확장모부재(12)에는 추가적인 재확장모부재(13)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재확장모부재(13)는 확장모부재(12)와 연결되는 확장매듭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고리(110)가 조여지면 가변매듭부(300)와 첫번째 확장매듭부(400)는 도 14의 L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길이(L)는 사용자의 자연모(H)의 길이나 헤어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6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부착고리(110) 모부재(11)가 2가닥인 경우, 모부재(11)의 양 끝단이 제2 루프(도 4의 S2)와 제3 루프(도 4의 S3)를 관통하게 되고,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지난 모부재(11)의 양 끝단은 모두 4가닥이 된다. 2가닥을 단위묶음으로 하여 각각의 단위묶음에 확장모부재(1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모부재(11)가 2가닥인 경우, 모부재(11)의 양 끝단이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관통하게 되고, 제2 루프(S2)와 제3 루프(S3)를 지난 모부재(11)의 양 끝단은 모두 4가닥이 된다. 2가닥을 단위묶음으로 하여 각각의 단위묶음에 확장모부재(1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확장모부재(12)가 6가닥인 경우, 증모부재(10)는 12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는 20가닥~40가닥의 증모부재(10)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2가닥의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모부재를 반으로 접어 4가닥으로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모부재 중앙을 밑으로 구부려 원형을 만드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섬유모, 내열모를 재료로 해서, 최초 모부재(11)를 2가닥으로 하고, 2가닥의 모부재(11)를 4가닥으로 해서 증모부재(10)를 만든다.
내열성을 고려할 경우, 기본적으로 2가닥의 모부재를 가지고, 4가닥의 모다발을 만드는 방법이 실용성에서 우수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1가닥의 모부재를 2가닥으로 한 경우에는 강도가 충분치 않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굵기가 충분치 않을 수 있다. 3가닥의 모부재을 이용해서 6가닥으로 할 경우나, 4가닥의 모부재를 이용해서 8가닥으로 할 경우는 내구성이 높게 되지만, 자연모와 결착부가 굵어 부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 따라서, 4가닥으로 만든 경우가 보다 자연스럽고 내구성에도 탁월하다.
도 19는 부착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지봉에 부착고리를 통과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지지봉에 가변매듭부로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4가닥의 모재를 지지봉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에 취부된다. 지지봉(4)으로는 가는 봉 또는 스트로가 적절할 수 있다. 우선, 4가닥의 모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4가닥의 모부재의 가변매듭부를 한번 견고하게 묶는다.
도 22는 40가닥의 증모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3가닥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1에서 도시한 4가닥의 모부재에 도 22의 3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도 19에서 도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매듭을 형성하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에서 40가닥의 증모부재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봉(20)에 취부된 4가닥의 모부재(11)의 부착고리를 단단히 묶는다.
도 19에 도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부재(11)를 확장모부재(12)에 붙인다. 3가닥의 확장모부재(12)를 이용해서 6가닥의 모다발을 형성한다. 이것을 매듭을 해서 부착고리를 6개로 만들고, 6개의 부착고리들을 차례로 쌓아 매듭을 함으로써, 36가닥의 모다발이 고정되고, 여러 부착고리들이 모발을 세워주는 효과를 낸다.
이런한 방식으로 40가닥의 증모부재를 만들 수 있다.
도 24는 완성된 20가닥의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완성된 40가닥의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20가닥의 증모부재를 만들 경우는 2가닥의 모부재를 지지봉(20)에 붙여서 기본이 되는 4가닥의 모부재(11)를 만들고, 매듭짓는다. 4가닥의 확장모부재(12)를 4개로 만들어, 모부재(11)에 붙일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를 한번 더 반복하고, 매듭을 해서 고정한다.
20가닥, 40가닥을 만드는 방법을 예로 들었지만, 2가닥, 4가닥, 6가닥의 모다발을 부착고리가 형성되도록 매듭지음으로써 결착부가 눈에 띄지 않고, 여러가지 가닥의 증모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은 2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4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6가닥으로 완성한 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28에서 부착고리 포함하는 모부재를 만드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첫번째는 1가닥의 모부재를 2가닥으로 만드는 방법, 두번째는 2가닥의 모부재를 4가닥으로 만드는 방법, 세번째는 3가닥의 모부재를 6가닥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더 용이하게 증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모근(毛根)의 결착부가 커지게 되면 부자연스럽게 된다. 2가닥으로 만든 경우는 모근의 결착부는 작고 자연스럽지만, 모발이 끊어지기 쉽고 내구성이 낮다. 반대로 6가닥으로 만드는 경우, 내구성은 높게 되지만 모근의 결착부가 커지게 되어 부자연스럽게 된다. 따라서, 4가닥으로 만든 경우가 보다 자연스럽고 내구성에서 탁월하다.
모부재(11)에 붙이는 확장모부재(12)를 만드는 방법도 동일할 수 있다. 2가닥, 4가닥, 6가닥도 만들 수 있다. 그 이상의 가닥수를 갖게 되면 모부재(11)와 동일하게, 결착부가 크게 되고 부자연스럽게 된다. 또한, 확장모부재(12)를 4가닥 또는 6가닥으로 만드는 것 역시 결착부가 크고 눈에 쉽게 띄게 되고, 빗질할 때 걸리기 쉽기 때문에, 확장모부재(12)는 2가닥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도 29는 2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4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1은 6가닥으로 완성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부재(11)는 4가닥이 좋다고 하였으나, 모부재(11)를 2가닥이나 6가닥으로 하고, 확장모부재(12)를 추가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4가닥의 모부재(11)에 붙이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3종류의 방법이 있다.
도 32는 모부재에 붙이기 위해 준비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은 모부재에 붙이기 위해 준비한 확장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4는 4가닥의 모부재에 4가닥의 확장모부재를 붙여 8가닥의 모다발을 완성한 도면이고, 도 35는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모든 가닥에 확장모부재를 결속시킨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6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2묶음으로 나눠 확장모부재를 결속시킨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4가닥에 묶음을 만든 증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첫번째는 4가닥의 모부재(11)를 1가닥씩 나누어 붙이는 방법, 두번째는 4가닥의 모부재(11)를 2가닥씩 묶음으로 붙이는 방법, 세번째는 4가닥의 모부재(11) 자체로 4가닥 묶음으로 붙여가는 방법이다.
1가닥에 붙이는 방법은 부담이 크고 쉽게 끊어지는 경향이 있고, 4가닥 묶음에 붙이는 방법은 40가닥의 부재를 만드는 경우에 복수 개의 부착고리가 크게 나타나고 부자연스럽게 보일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4가닥의 모발을 2가닥씩의 묶음으로 나눠 붙이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고 내구성에 탁월할 수 있다.
도 38은 모부재에 확장모부재를 붙일 때, 결착부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에 모부재를 2가닥씩의 묶음으로 나눈 경우의 40가닥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다. 모부재(11)가 4가닥의 묶음이기 때문에 확장모부재(12)를 36가닥으로 붙일 수 있다. 좌우에 9묶음의 확장모부재(12)를 붙이고, 한쪽에 18가닥, 양측으로 36가닥, 총 40가닥의 부재가 된다. 이 방법으로 50~60가닥의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39는 확장모부재에 재확장모부재를 붙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9는 그외의 가닥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다. 40가닥의 모발묶음을 만드는 경우, 재확장모부재(13)를 붙이는 방법을 설명한다. 재확장모부재(13)는 확장모부재(12)에 붙인다. 이는 분기한 곳에 덧붙여 가며 만드는 방법이다.
도 40은 링부재의 8자 매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은 8자 매듭을 이용하지 않은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42는 8자 매듭을 이용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모부재(11)에 재확장모부재(13)를 붙이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확장모부재(12)를 붙이는 데에 있어서 부착고리의 상하에 스톱퍼를 만들고, 그 사이에 샌드위치 상태로 해 둔다. 한편, 확장모부재(12)와 재확장모부재(13)를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은 8자 매듭을 한다. 이렇게 하면,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스톱퍼가 필요하지 않고, 확장모부재(12)를 8자 매듭함에 의해 상하 스톱퍼가 필요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증모부재(10)에 있어서 자연모 1가닥에 결속할 때, 모근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의 위치에서 결속한다. 증모부재(10)가 자연모에 결속할 때, 모근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나 가능한 모근에 가깝게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근으로부터의 거리는 1센티미터 이내로 하는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발이 자람에 따라 결속된 증모부재(10)는 모근으로부터 점점 더 멀리 이격되고, 모근으로부터 더 이격됨에 따라 증모부재(10)의 모발이 자연모의 길이와 다르게 되어, 증모부재(10)가 두드러지게 된다.
자연모에 결속된 증모부재(10)의 8자 매듭을 풀지 않고, 처음에 증모부재(10)를 결속한 높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증모부재(10)가 두드러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증모부재(10)를 1가닥의 모발에 결속하여도 착용감이나 매듭이 크지 않아, 증모부재(10) 착용시의 이질감이 없다. 그리고, 증모부재의 무게 등으로 여러가닥의 모발에 증모부재를 결속하므로써 발생되는 빗질시의 부자연함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가닥의 모발에 결속된 증모부재(10)가 모발이 자라면서 해당 모발의 모근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발생되는 문제도, 증모부재의 매듭을 풀지 않고 다시 모근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증모부재 및 증모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증모부재
11: 모부재
12: 확장모부재
13: 재확장모부재
20: 지지봉
100: 부착고리
200: 당김부
300: 가변매듭부
400: 확장매듭부

Claims (12)

  1.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크기를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2루프와 제3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부재는 적어도 2모(毛)로 이루어지는 증모부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부재 중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를 관통하여 지난 상기 모부재에 연결되는 확장모부재를 더 포함하는 증모부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모부재는 상기 모부재와 결합하는 확장매듭부를 포함하는 증모부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매듭부는 상기 가변매듭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증모부재.
  6. 지지봉;및
    상기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1루프와 제2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1루프과 제2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부재
    를 포함하는 증모부재 조립체.
  7. 부착고리를 포함하는 증모부재를 이용한 증모방법으로서,
    a)상기 부착고리에 자연모를 삽입하여 상기 증모부재를 붙이는 단계;및
    b)상기 증모부재를 기준으로 모근의 반대측으로 상기 자연모 상에 고정매듭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모방법.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자연모를 따라 상기 증모부재를 모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및
    a-2) 상기 당김부를 당겨 상기 증모부재를 상기 자연모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모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모부재는 제1루프를 포함하는 부착고리 및 상기 제1루프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변매듭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매듭부는 모부재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서로 독립한 제1루프와 제2루프로 구획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착고리는 상기 모부재의 양 끝단을 상기 제1루프과 제2루프에 관통시켜 형성하는 증모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모부재는
    상기 모부재 중 상기 제2 루프와 상기 제3 루프를 관통하여 지난 상기 모부재에 연결되는 확장모부재를 더 포함하는 증모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모부재는 상기 모부재와 결합하는 확장매듭부를 포함하는 증모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매듭부는 상기 가변매듭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증모방법.
KR1020150179488A 2015-04-30 2015-12-15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KR20160129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1968 2015-04-30
KR1020150061968 2015-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690A true KR20160129690A (ko) 2016-11-09

Family

ID=5752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88A KR20160129690A (ko) 2015-04-30 2015-12-15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6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3B1 (ko) * 2019-05-14 2020-02-12 김경아 탈모 커버 피스
KR102152681B1 (ko) * 2019-12-23 2020-09-07 최석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CN113208259A (zh) * 2021-06-10 2021-08-06 陈晓庆 一种增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3B1 (ko) * 2019-05-14 2020-02-12 김경아 탈모 커버 피스
KR102152681B1 (ko) * 2019-12-23 2020-09-07 최석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CN113208259A (zh) * 2021-06-10 2021-08-06 陈晓庆 一种增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94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hair extensions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30226571A1 (en) Open loop hair extension
JP6063198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US8671955B2 (en) Method for attaching a hair weaving tract
CN100577047C (zh) 增发工具及其制造方法
JP2002194612A (ja) 擬毛材、増毛器具及び増毛方法
JP2019039127A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KR20160129690A (ko)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KR101533909B1 (ko) 붙임머리와 붙임머리 제조 및 시술 방법
KR101086890B1 (ko) 붙임머리, 그 제조방법 및 그 식모방법
US20050161057A1 (en) Hair fiber mounting method
US20070221239A1 (en) Multi-style, reconfigur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72226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ir enhancement
KR101445155B1 (ko) 붙임머리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JP2018090935A (ja) 増毛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増毛部材取付方法
JP6643021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KR101803488B1 (ko) 증모 제조방법
US20070227549A1 (en) Reconfigurable fastener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0616111B1 (ko) 플렉시블소재의 서로 다른 길이의 줄을 갖는 줄 가발
JP2006322111A (ja) 擬毛材および擬毛材を用いた増毛方法
KR101203758B1 (ko)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JP6998340B2 (ja)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CN217337541U (zh) 能任意增进丰度的接发用发束
JP2006138041A (ja) エクステンション取付け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