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223B1 -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223B1
KR100991223B1 KR1020087009807A KR20087009807A KR100991223B1 KR 100991223 B1 KR100991223 B1 KR 100991223B1 KR 1020087009807 A KR1020087009807 A KR 1020087009807A KR 20087009807 A KR20087009807 A KR 20087009807A KR 100991223 B1 KR100991223 B1 KR 10099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ing
wire rod
respec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943A (ko
Inventor
사키코 이마이
가쓰오 스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헤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헤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헤어
Publication of KR2008005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Adorn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선재가 쉽게 눈에 띄지 않고, 또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볼륨감이 뛰어나며, 또한 헤어스타일의 자유성을 향상시킨 증모구(10)에서, 각 모발(12)이, 식설 프레임(11)을 구성하는 리브(11b)에 대하여, 일측(12a)에서 2회 걸고 그리고, 타측(12b)에서 1회 건 후 빼내어 결착되도록 구성한다. 식설된 모발의 일측(12a)이 리브에 대하여 일어서도록 지지되고, 타측(12b)은 리브(11b) 상에서 이를 따라 가로놓여 연장되도록 결착됨으로써, 모류가 복수개의 리브(11b) 상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리브(11b)가 덮여져서 숨겨져 쉽게 눈에 띄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HAIR ROOTING TOO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부의 박모(薄毛) 부위를 덮는 가발에 이용할 수 있는 증모구(增毛具)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필라멘트를 종횡으로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네트(net) 부재를 주체(主體)로 한 가발 베이스에 대하여, 또는 강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가늘고 긴 선형의 리브를 조합하여 형성한 식설(植設) 프레임에 대하여, 외관상 보기에 좋은 모발을 장착할 수 있는 증모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일반적으로, 얇은 합성 수지로 형성한 인공 피부로 된 시트형 또는 필름형의 가발 베이스와 이 가발 베이스에 식설한 모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인공 피부 등의 면형으로 형성된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식설(심어설치)하는 경우에는, 싱글 이식, 팬 싱글(half-knot) 이식, 팬 더블(split-knot) 이식으로 불리우는 공지된 식모(植毛) 기술을 사용하여, 모류(hair flow)나 모량(hair amount)을 사용자의 기호나 헤어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 스타일로 마무리할 경우는, 앞이마부로부터 머리꼭대기부(頭頂部)에 걸쳐 모발이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식모하고, 측두부(側頭部)는 경사 후방의 모류를 이루도록 식모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인공 피부의 가발 베이스에서는, 분발부(分髮部)를 형성하는 경우나 가마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모류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모발의 모류나 식모 밀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형, 필름형 또는 촘촘한 직포 등으로 면형으로 형성된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는, 공지된 식모 방법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헤어스타일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박모 상태가 가벼운 정도일 경우나, 두부의 일부분만의 모발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등에는, 인공 피부로 면형으로 형성된 가발 베이스를 장착하면 기밀성이 높기 때문에, 거추장스럽기도 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헤어 피스(piece)로서, 인공 피부로 된 베이스 대신 통기성이 우수한 네트를 주체로 한 증모구가 사용된다. 이 종류의 증모구는, 필라멘트를 격자형으로 배치한 네트 베이스나, 강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가늘고 긴 선형의 리브를 조합하여 골격형으로 형성한 식설 프레임(hair-secured frame)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개략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격형의 식설 프레임(32)과 이 식설 프레임(32)에 결속된 모발(33)로 구성된 증모구(30)는, 경량이며 통기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원하는대로 알맞은 증모가 가능하고, 또한 자기 모발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자유롭게 헤어스타일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최근 계속 보급되고 있다. 골격형의 증모구(30)는, 중심의 연결용 리브(32a)와 이 연결용 리브(32a)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32b)를 구비한 식설 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고, 이 식설 프레임(32)은 사용자의 두부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모발(33)은, 도 13에서는 일부만이 표시되고, 대부분의 모발(33)이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식설 프레임(32)의 각 리브(32a, 32b)에 대하여 치밀하게 결착되어 있다.
모발(33)은, 식설 프레임(32)의 각 리브(32a, 32b)에 대하여 공지된 묶는 방법으로 결착된다. 도 14는, 도 13의 리브(32a, 32b)에 공지의, 예를 들면, 팬 싱글 이식의 기법을 이용하여 결착한 모발(33)에 의한 모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각 모발(33)은, 1개 또는 2개 내지 3개의 모발을 가지런히 하여 중앙부를 둘로 절곡하여, 그 절곡하기 시작하는 부분을 부호 32a 및 리브(32b)에 매듭(33c)을 설치하여 각각 식설한다. 그리고, 「식설」 또는 「식모」의 용어는, 여기서는 모발을 선재에 결착하거나 또는 면형의 가발 등 베이스에 봉착(縫着), 접착 등으로 장착하는 경우를 넓게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네트 베이스나 식설 프레임에 대하여 모발을 식설하는 경우는, 필라멘트나 리브(이하, 이들을 모아서, 선재라 총칭함)가 가늘고 긴 선재이므로, 이 선재에 모발을 감아서, 상기 싱글 이식, 팬 싱글 이식, 팬 더블 이식의 공지된 식모 기술을 사용하여 묶게 된다. 그러므로, 인공 피부에 대한 식모와 달리, 필라멘트 또는 리브에 장착한 모발의 흐름은 일정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없다. 즉, 네트 부재나 식설 프레임 중 어느 쪽의 경우에도, 종횡 또는 경사 방향으로 선재를 조합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두부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선재에 대하여 모발을 결착하는 경우에는, 결착된 모발의 일측과 타측이 함께 선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로 모발이 나누어진 모류가 되고, 예를 들면, 백 스 타일로 정돈하고 싶은 경우에도 후방으로의 모류를 형성하기 곤란하다.
지금,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설 프레임(32)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선재(32b)에 대하여 공지된 싱글 이식, 팬 싱글 이식, 팬 더블 이식을 사용하여 모발(33)을 결착하는 경우를, 도 15∼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 선재(32b)의 상단 측이 앞이마부 방향, 하단측이 후두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싱글 이식은, 2개로 절곡된 모발(33)을 꼬아서 루프(34)를 형성하고(도 15의 (A) 참조), 이 루프(34)를 모발이식침으로 선재(32b)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감아서 모발의 일측(33a)과 타측(33b)의 양쪽을 루프(34)로부터 인출하여 결착하는 방법이다(도 15의 (B) 및 (C) 참조). 따라서, 싱글 이식으로 결착된 모발의 일측(33a)과 타측(33b)은 함께 두부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선재(32b)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수평 상태로 지지되고, 도면에서 우측의 모류가 된다.
팬 싱글 이식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절곡된 모발(33)을 꼬아서 루프(34)를 형성하고(도 16의 (A) 참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루프(34)를 모발이식침으로 선재(32b)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감고(도 16의 (B) 참조), 다음에, 모발의 타측(33b) 만을 루프(34)로부터 인출하여 선재에 결착하는 방법이다(도 16의 (C) 참조). 이 방법으로는, 도면에서 모발의 일측(33a)은 선재(32b)에 대하여 좌측으로, 타측(33b)은 우측으로 직교된, 좌우 방향의 모류가 되고, 또한 식설 상태에서는 모발의 일측과 타측은 서지않고 가로로 누운 상태로 결착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팬 더블 이식은,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굴곡된 모발(33)을 시계 방향으로 꼬아서 루프(34)를 형성하고(도 17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프(34)에 모발의 타측(33b)을 통하여, 이 타측(33b)에서 제2 루프(35)를 형성하고(도 17의 (C) 참조), 이어서, 제2 루프(35)로부터 일측(33a)을 인출하여 선재에 결착하는 방법이다(도 17의 (D) 참조). 이 방법으로는, 도면에서 모발의 일측(33a)은 선재(32b)에 대하여 경사 위쪽으로 서지만, 타측(33b)은 선재에 대하여 좌측으로 누워 직교한 모류가 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꼬아서 루프(3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모발의 일측(33a)과 타측(33b)은 도 17의 (D)과 같은 모류를 이루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꼬아서 루프(34)를 형성하고, 차례로 결착하면 모발의 타측(33b)은 선재(32b)에 대하여 경사 위쪽으로 서지만, 일측(33a)은 선재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누워 직교한 모류가 되므로 마찬가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15115호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어떤 식모법에서도, 모발(33)은 선재(32b)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하여 결착된다.
따라서, 첫째, 두부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선재(32b)에 대하여 모발이 좌우에 뻗어 나오기 때문에, 전두부 방향 또는 후두부 방향으로의 모류를 형성하기 곤란하고, 좌우로 모발이 나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헤어스타일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즉, 전두부로부터 후두부에 걸쳐서 후방으로의 자연스러운 모류를 만들고자 해도, 모발의 매듭에 가까운 기단측이 가로 방향, 즉 좌우측 두부 방향으로 결착되어 있으므로, 모발의 선단측을 후방으로 흐르도록 모발을 정리해도, 모발의 탄성에 의해 잠시 후면 모발이 가로 방향의 흐름이 되어, 자기 모발과 모발이 나누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의 결착 방법으로는 헤어스타일의 자유성 또는 다양성이 제한되지 않을 수 없다.
둘째, 모발(33)의 모류 방향에 대하여 선재(32b)가 직교하여 설치되므로, 선재(32b)가 모발로 완전히 덮히기 곤란하기 때문에, 선재가 사용자의 전방이나 위쪽으로부터 세로 선으로서 보여질 우려가 있으므로, 증모구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 드러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셋째, 공지된 모발 결착 방법, 특히 싱글 이식이나 팬 싱글 이식에서는, 어느 쪽도 결착된 모발이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눕게 되고, 모발을 치밀하게 결착하더라도 모발이 일어서지 않고 모발의 모량감(볼륨감)이 부족하다. 또한, 팬 더블 이식에서는 모발의 일측은 일어서더라도, 타측은 마찬가지로 선재와 직각 방향으로 눕게 된다.
네째, 공지된 어느 방법으로도 매듭이 느슨해지기 쉽다. 그러므로, 선재(32a, 32b)에 모발(33)을 결착한 후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모발 고정 공정이 불가결하다. 모발을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모발(33)을 결착한 후, 선재(32a, 32b)의 배면으로부터 유기 용제로 희석한 접착용 용액을 도포하여 경화시켜서, 이른바, 수지 코팅(도시하지 않음)을 행하고, 모발(33)의 결착부를 리브(32a, 32b)와 수지 코팅 사이에서 샌드위치형으로 협지하여 고정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상과 같이, 네트 베이스나 리브식의 식설 프레임의 선재에 대하여 모발을 결착하는 경우는, 종래의 식모 기법에서는, 모발(33)이 선재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착되므로, 모발이 일어서지 않고 모발이 누워서 모발의 볼륨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모발이 선재에 대하여 횡단 방향으로 결착되므로 선재가 모발에 의해 잘 가려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발의 간극을 통해 선재가 눈에 띄기 쉽고, 가발의 사용이 드러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재에 식설한 모발(33)을 브러싱에 의해 모발을 정리해도, 모류를 선재(32a, 3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것, 즉 후두부 또는 앞이마부로 향해 모류를 부여하기 곤란하고, 헤어스타일의 자유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선재가 모발에 의해 덮여져서 가려짐에 의해, 선재가 쉽게 눈에 띄지 않고, 또한 모발의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식설된 모발이 양호하게 일어서며, 전두부에서 후두부로의 모류를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증모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증모구로의 모발의 새로운 식설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증모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증모구는, 필라멘트를 종횡으로 조합하여 형성한 네트 부재를 주체로 한 가발 베이스 및 테니스 라켓의 거트(gut)와 같은 강성 및 탄성을 가지는 합성 섬유로서, 예를 들면, 골격형으로 형성한 식설 프레임에 모발을 결착한 것이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인공 피부 등의 면형의 가발 베이스로 형성한 공지된 가발도 증모구의 개념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식설 방법도 어떠한 종류의 가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증모구는, 선재와 선재에 식설된 모발을 가지고, 이 선재에 2개로 절곡된 모발이 결착되어 있으므로, 그 일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타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를 따라 이 선재 상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증모구는, 2개로 절곡된 모발의 절곡부(bent portion)를, 선재에 대하여 모발의 일측에서 2번 걸고, 그리고 모발의 타측에서 한번 건 후 빼내어 결착함으로써, 모발의 일측이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고, 모발의 타측이 선재 상에서 상기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류가 되도록 식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증모구는, 2개로 절곡된 모발의 절곡부를 꼬아서 형성한 제1 고리와, 제1 고리를 선재에 감고, 절곡한 모발의 일측을 제1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일측에서 형성한 제2 고리와, 또한 상기 일측을 제2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일측에서 형성한 제3 고리와, 이들 제1 고리, 제2 고리 및 제3 고리가 단단히 매어짐으로써 모발의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된 매듭을 구비하고, 모발의 일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모발의 타측이 제3 고리로부터 인출되어 매듭으로부터 선재를 따라 선재 상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모발의 일측은 제3 고리로부터 인출되고 이 제3 고리에 지지되어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한편, 모발의 타측은 제3 고리에 의해 넘어진 제2 고리의 아래쪽과 선재 사이에서 협압되어 이 선재 상에서 가로놓여 연장된다.
전술한 각 구성에 의하면, 각 모발이, 선재에 대하여 2개로 절곡된 모발의 절곡부를, 일측에서 2번 걸고, 또한 타측에서 1회 건 후, 빼내어 모발의 타측을 인출하고, 상기 모발의 일측과 타측이 선재에 대하여 결속되어 있으므로, 매듭이 느슨해지지 않고 확실하게 결속된다.
또한, 선재에 결속된 모발은, 일측이, 위쪽으로 직립하는 방향의 모류를 이루어 선재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연장되므로, 모발의 모량감(볼륨감)이 증가하고, 비교적 적은 모발 식설량으로 증모감이 나타난다.
또한, 모발의 타측은,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재 상에 가로놓여 연장되므로, 선재의 표면(상면) 측이 다수개 병렬되어 결착한 모발의 타측에 의해 덮여져 가리워질 수 있다. 따라서, 선재가 모발에 의해 은폐되어서 쉽게 눈에 띄지 않게 되므로, 증모구의 사용이 드러날 우려가 없다.
전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증모구를 구성하는 선재에 대하여 모발을 결착하는 방법에서는, 선재의 아래쪽에 모발이식침을 가져와서,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모발이식침에 걸어서 떠올린 후, 꼬아서 제1 고리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제1 고리를 선재에 감고, 제1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제1 고리를 통과시켜서 상기 떠올린 모발의 일측에서 제2 고리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제2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다시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제2 고리를 통과시켜서 상기 떠올린 모발의 일측에서 제3 고리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다음에 제3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타측을 떠올리고, 상기 떠올린 모발의 타측을 제3 고리로부터 완전히 인출하는 제4 단계와, 마지막으로, 제1 고리, 제2 고리 및 제3 고리를 체결함으로써, 모발의 일측을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게 하고, 타측을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가로놓아서 연장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재와 선재에 식설된 모발을 가지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선재로의 모발 결착 공정을, 선재의 아래쪽에 모발이식침을 가져오고,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모발이식침에 걸어서 떠올린 후, 꼬아서 제1 고리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제1 고리를 선재에 감고, 제1 고리 사이로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제1 고리로 통과시켜 상기 떠올린 모발의 일측에서 제2 고리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제2 고리 사이로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다시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제2 고리로 통과시켜 상기 떠올린 모발의 일측에서 제3 고리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그 다음에, 제3 고리 사이로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타측을 떠올리고, 상기 떠올린 모발의 타측을 제3 고리로부터 완전하게 인출하는 제4 단계와, 마지막으로, 제1 고리, 제2 고리 및 제3 고리를 체결함으로써, 모발의 일측을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게 하고, 타측을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가로놓아 연장시키는 제5 단계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차례로 반복함으로써, 모발의 타측에 의해 상기 선재를 덮어면서 상기 선재에 대하여 식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리는,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반회전 꼬아서 모발의 일측 상에 타측을 교차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떠올린 모발의 일측을 제1 고리를 통과시켜서 제2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리를 반회전 꼬아도 된다. 제3 단계에서, 모발의 일측을 제2 고리를 통과시켜서 제3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리를 반회전 꼬아도 된다.
제5 단계에서, 모발의 일측을 당기면, 상기 제1 고리, 제2 고리 및 제3 고리가 단단히 체결되고, 이 때, 제3 고리가 제2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고리로부터 돌출하고 최상위로 선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모발의 일측이 상기 제3 고리의 아래쪽으로부터 개구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함으로써 제3 고리에 지지되어 상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고, 또한 제3 고리가 제2 고리를 하향으로 압박함으로써, 모발의 타측이 제2 고리와 선재 사이에서 협압(挾壓)되어서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가로로 연장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선재는, 가발 베이스의 네트 부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라도 되고, 또는 탄성을 가지는 강성의 합성 섬유로 복수개를 조합시켜서 형성한 골격형의 리브로 완성되어 있어도 된다. 리브를 복수개로 조합하여 소정 형상의 프레임을 증모용의 식설 프레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리브를 복수개 종횡으로 조합시켜 소정 형상의 식설 프레임을 형성한 후, 식설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리브에 모발을 결착해도 되고, 또는 리브에 미리 모발을 결착하고, 결착된 복수개의 리브를 종횡으로 조합시켜 식설 프레임을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발의 식설 방법은, 인공 피부나 직포 등으로 형성한 면형의 가발 베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에 결속된 모발은, 모발의 일측이 선재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연장되므로, 모발의 일어섬이 양호하며 볼륨감이 우수하고, 또한 타측은 선재 상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선재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의 모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재가 모발의 타측에 의해 덮여져 숨겨지므로 시인되기 곤란하며, 또한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겉모습이 좋으며 볼륨감이 우수하고, 각종 헤어스타일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증모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결착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선재 뿐만 아니라 면형의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헤어스타일을 표현 가능하도록 식설할 수 있고, 또한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모발의 일어섬이 양호한 상태로 결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증모구의 일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브에 식설되는 모발에 의한 모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모발 결착의 제1 단계에서, 제1 고리의 형성 도중의 부분 확대 사시 도이다.
도 4는 모발 결착의 제1 단계에서, 제1 고리를 반 회전하여 꼰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단계에서, 제2 고리의 형성 도중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단계에서, 제2 고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 고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제3 단계에서, 제3 고리의 형성 도중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제2 고리에 모발의 일측을 통해 제3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모발 결착의 제4 단계에서, 제3 고리에 모발의 타측을 삽입하는 상태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제3 고리에 모발의 타측을 끌어들이는 상태의 우측면도, (C)는 제3 고리에 모발의 타측을 끌어들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모발 결착의 제4 단계에서, 제3 고리로부터 모발의 타측을 인출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모발 결착의 최종 단계에서, 모발의 일측을 당겨서 타측과 이반되는 상태의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강하게 묶는 도중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모발 결착의 완성 상태에서, 모발을 강하게 묶은 후의 일측과 타측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증모구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재에 식설되는 모발에 의한 모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싱글 이식에 의한 식모법을 차례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팬 싱글 이식에 의한 식모법을 차례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팬 더블 이식에 의한 식모법을 차례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증모구
11: 식설 프레임
11a: 연결용 리브
11b: 리브(선재)
12: 모발
12a: 모발의 일측
12b: 모발의 타측
20: 모발이식침
21: 제1 고리
22: 제2 고리
23: 제3 고리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증모구는, 종횡으로 배치된 선재와 이들 선재에 식설한 모발로부터 이루어지면, 1개 또는 2개 내지 3개의 모발을 가지런히 하여 중간부 부근에서 두 개로 절곡하여 한쌍으로 한 모발이 선재에 결착되어 있으므로, 이 한쌍의 모발의 일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타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를 따라 이 선재 상에 가로놓여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여러 개의 모발을 촘촘하게 선재에 결착함으로써, 모발의 일측은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므로 모발의 모량감(볼륨감)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모발의 타측이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선재는 모발의 타측에 의해 덮여져 숨겨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증모구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선재로서, 강성이면서 탄력성이 풍부한 비교적 큰 직경의 합성 섬유로 형성한 리브(11a, 11b)를 사용하고, 이 리브를 복수개 조합한 골격형의 식설 프레임(11)과, 이 식설 프레임(11)에 결속된 모발(12)로 구성한 증모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식설 프레임(11)은,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리브식 증모구(1)의 식설 프레임(2)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의 연결용 리브(11a)와, 이 연결용 리브(11a)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11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용 리브(11a)도 다른 복수개의 리브(11b)와 거의 같은 직경을 가지며, 같은 재료 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연결용 리브(11a)가 가로 방향(즉, 사용자의 좌우 측 두부 방향)의 골격을, 또한, 다른 복수개의 리브(11b)가 세로 방향(사용자의 전두부에서 후두부로의 방향)의 골격을 나타낸다.
식설 프레임(11)은, 이들 리브(11a, 11b)를 포함한 전체가, 사용자의 두부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11a, 11b)의 양 선단에는, 바람직하게는 팽출부(11c)가 형성된다. 이 팽출부(11c)를 대략 구형으로 부풀려 형성함으로써, 각 리브에 장착하는 모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두피와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두피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11a, 11b)는, 장착자의 두피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드라이어 등에 의해 쉽게 열 변형되지 않는 재료, 예를 들면, 나일론(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제 재료가 바람직하고, 그 외에, 금속, 경질지, 경질 고무, 나무, 대나무,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의 탄성 및 강성을 구비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발(12)은 인모 또는 인공모로 이루어지고, 1개 또는 복수의 모발(12)을 가지런히 하여, 예를 들면, 중간부 부근을 두 개로 절곡하여 이 절곡점 부분에서 형성되는 루프 측에서, 리브(11a, 11b)에 결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리브(11b)에 식설된 모발(12)의 모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모발(12)은, 1개 또는 복수개의 모발을 정렬하여 이들을 중간부 부근에서 절곡하여 일측(12a)과 타측(12b)의 한쌍으로 하고, 일측(12a)은 리브(11b)로부터 거의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결착되어 있다. 모발의 일측(12a)의 기단부 측이 수직 방향으로 결착되어 있으면, 두피를 따라 누운 모발에 비하여, 적은 모발 식설량으로 모발의 모량감(볼륨감)을 나타낼 수 있다.
모발 부분 중 타측(12b)은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착되어 리브(11b)의 상면에 가로놓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11b)는 모발(12)의 타측(12b)에 의해 덮어져 숨겨진다. 이로써,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모류가 형성되므로, 자연스러운 모류가 형성될 수 있고 헤어스타일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또한 증모구가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용 리브(11a)로의 모발 결착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지만, 횡단 방향, 즉 사용자의 좌우측 두부 방향으로 장착하는 연결용 리브(11a)로의 모발은 공지의 결착 방법이라도 된다.
증모구(10)의 식설 프레임(11)에 결속된 각 모발(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모발의 일측(12a)에서 2회 걸고, 그리고 모발의 타측(12b)에서 1회 건 후 빼내어 결착되어 있으므로, 도 12에 나타낸 매듭(12c)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또한 타측(12b)에서 1회 걸므로 매듭(12c)이 너무 크게 형성되지는 않는다. 또한 리브의 위쪽(두피와는 반대 측)에서 결착하므로, 증모구(10)의 장착 시에 매듭(12c)이 두피에 닿아서 촉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모발의 일측(12a)은 매듭(12c)에 의해 양쪽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지지되므로, 적은 모발 식설량으로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모발의 타측(12b)은 매듭(12c)에 의해 리브(11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평으로 유지되므로, 모발의 타측(12b)에 의 해 리브가 은폐되고, 또한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후두부에 걸친 전후 방향의 모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모구(10)는, 넓은 망눈의 네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를 이용하고 또는 전술한 예와 같은 골격형의 식설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기 모발과 서로 얽어 사용하는 이른바, 자기 모발 활용형의 가발로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증모구(10)를 두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증모구(10)의 배면에 전용의 스토퍼를 장착하여 두부의 자기 모발을 이 스토퍼에 의해 협지하거나, 자기 모발을 가발의 모발에 짜넣거나 또는 베이스의 주위둘레에 설치한 끈 부재 등에 자기 모발을 결착하는 등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증모구(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기 식설 프레임을 사용하여 리브에 모발을 장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처음에, 소정 형상의 식설 프레임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식설 프레임(11)을 구성하는 리브(11a, 11b)로서, 예를 들면, 직경 0.1∼3.0mm의 나일론 섬유의 꼰선(撚線) 등을 준비하고, 피착자의 두부 형상에 적합한 소정 형상이 되도록, 적절한 개수를 조합, 이들 교점을 서로, 접착, 결착, 봉착, 용착 등의 각종 방법으로 접합함으로써 형성한다. 이 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리브로서의 연결용 리브(11a)에 적절한 간격으로 차례로 세로 리브(11b)를 접합해 나간다.
그 다음에, 연결하여 식설 프레임(11)으로 만든 것을, 미리 준비한 장착자의 두부 형상의 형, 예를 들면, 석고형에 씌우고, 소정의 온도로 소정 시간 가열함으로써 장착자의 두부를 모방한 만곡 형상으로 형을 만든다. 그리고, 각 리브(11a, 11b)의 표면을 사포 등으로 조면화 처리를 행하면, 리브 표면의 광택을 억제하고, 나중의 공정에서 장착하는 모발(12)의 누락이나 어긋남이 한층 방지된다. 또한, 각 리브(11a, 11b)의 양 선단에, 결착된 모발(12)의 탈락 방지와 두피 보호를 위해 팽출부(11c)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성형한 식설 프레임(11)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모발 식설 방법에 따라 차례로 모발을 장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모발(12)의 결착 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도 11은, 모발(12)을 리브(11b)에 결착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결착된 모발을 촘촘하게 하여 완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단계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리브(11b)의, 도면 좌측으로부터, 리브(11b)의 아래쪽으로 통과시킨 1개 또는 2개 내지 4개 정도를 1조로 한 모발(12)(도면에서는 1개로 나타냄)을, 리브(11b)의 우측으로부터 그 아래쪽(두피에 접촉하는 측)으로 통과시킨 낚시바늘형의 모발이식침(20)으로 건다. 이 때, 먼저, 모발(12)을 예를 들면, 중간부 부근에서 절곡하여 루프를 형성해 두고, 이 루프에 모발이식침(20)을 걸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식침(20)을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반 회전시켜서 루프를 꼰다. 도 4에서는, 절곡하여 한쌍으로 한 모발의 일측(12a) 상에 모발의 타측(12b)이 올라오도록 꼬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리(21)를 형성한다. 이 제1 고리(21)를 리브(11b)의 아래쪽으로부터 들어 올려서 리브(11b)의 위쪽으로 감는다.
제1 단계에서, 실제 식모 작업에서는, 제1 고리(21)에 모발이식침(20)을 건 후, 모발이식침(20)의 낚시 바늘이 위쪽을 향하도록,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 회전하여 꼰다(도시하지 않음). 이 상태에서, 모발이식침(20)을 리브(11b)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1 고리(21)를 리브(11b)에 감는다. 이 때, 모발의 일측(12a)과 타측(12b)의 위치를 서로 바꾸면 제1 고리(21)는 반 회전만큼 꼬아진(도 4 참조) 상태가 된다.
리브(11b)에 감은 제1 고리(21)를 맞은 편(도면에서 좌측)에 절곡시킨 후, 제2 단계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리(21) 사이부터 모발이식침(20)을 삽입하여 모발(12)의 일측(12a)을 걸어서 떠올려서 제1 고리(21) 내로 끌어들인다. 도 5의 (A)는 모발이식침(20)을 사용하여 모발(12)의 일측(12a)을 제1 고리(21) 내로 끌어들이는 도중의 정면도, 도 5의 (B)는 우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떠올린 모발의 일측(12a)에 의해 제2 고리(22)가 형성된다. 이 때, 모발이식침(20)을 반 회전시켜서 제2 고리(22)를 반전시켜도 된다. 반전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어도 상관없다.
제3 단계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리(22)를 모발이식침(20)을 사용하여 맞은 편(도면에서 좌측)으로 절곡시키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고리(22) 사이부터 모발이식침(20)을 삽입하여, 다시 모발(12)의 일측(12a)을 걸어서 떠올리고, 제2 고리(22) 내로 끌어들인다. 떠올린 모발의 일측(12a)에 의해, 제2 고리(22)의 위쪽에 제3 고리(23)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8의 (A)는 모발의 일측(12a)을 모발이식침(20)으로 걸어서 떠올리는 상태의 정면도, 도 8의 (B)는 떠올린 모발의 일측(12a)을 제2 고리(22) 내로 끌어들이는 상태의 우측면도이지만, 묶는 공정을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촘촘하게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C)는 좌측면도이다.
이어서, 제4 단계로서 도 9의 (A)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고리(23) 내로부터 모발이식침(20)을 삽입하고, 이번에는 모발의 타측(12b)을 걸어서 떠올린다. 그리고, 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식침(20)을 제거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떠올린 모발의 타측(12b)을 제3 고리(23)로부터 완전히 인출한다. 제3 고리(23)로부터 모발의 타측(12b)을 인출한 상태를 도 10의 (B)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모발의 일측(12a)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연장하고, 타측(12b)은 도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브로의 모발 결착 공정은 이로써 완료된다.
최종 단계는, 결착한 모발을 강하게 묶는 공정이다. 이 경우, 모발(12)의 양쪽(12a, 12b)을 손가락으로 지지하여, 예를 들면, 왼손가락으로 일측(12a)을 잡고, 또한 오른 손가락으로 타측(12b)을 잡아서, 일측(12a)을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느슨한 매듭이 서서히 단단하게 체결되어지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의 일측(12a)과 타측(12b)이 리브(11b)를 따라 이반되는 방향(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각각의 제1 고리, 제2 고리 및 제3 고리(21, 22 및 23)가 체결된다.
모발의 일측(12a)을 도 11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더 강하게 졸라매면, 최종적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고리(23)가 제2 고리(22)의 개구를 통하여 제2 고리(22)의 위쪽으로 와서, 제3 고리(23)는 최상부에서 거의 수평 방향의 고리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모발의 일측(12a)은 제3 고리(23)의 아래쪽으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위쪽으로 돌출함으로써 제3 고리(23)에 지지되어 리브(11b)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된다.
또한, 제2 고리(22)는, 제3 고리(23)의 아래쪽에서 제3 고리(23)에 의해 리브(11b) 상에 가압된다. 그러므로, 모발의 타측(12b)은 제2 고리(22)와 리브(11b) 사이에 협압된 상태에서 리브(11b)의 선단(도면에서 상부 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 리브(11b) 상에 가로놓여 연장된다(도 12의 (A) 및 (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최종의 제5 단계에서는, 모발의 일측(12a)을 당겨서 강하게 묶으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12)의 일측(12a)의 주위가 주로 제3 고리(23)에 지지되어 리브(11b)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고리(23)는 매듭의 최상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거의 수평으로 형성되므로, 리브(11b)에 대하여 위쪽을 향하여 개구된 제3 고리(23)의 닫힘에 수반하여, 모발의 일측(12a)은 그 주위를 링형의 모발에 의해 체결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발의 일측(12a)의 기단측은 제3 고리(23)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리브(11b)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모발(12a)의 선단측에서는 가요성에 의해 아래쪽으로 만곡된다.
한편, 모발의 타측(12b)은, 제3 고리(23)에 의해 가압된 제2 고리(22)의 아래쪽에서 리브(11b) 사이에서 협압되고, 이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 리브(11b) 상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모발(12)을 리브(11b)에 대하여 여러개 촘촘하게 결착해 나가면, 리브(11b)는 이들 모발의 타측(12b)에 의해 완전하게 덮어져 숨겨지게 되므로, 리브(11b)가 쉽게 드러나지 않고, 또한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른 모발의 타측(12b)에 의해 두부의 전후 방향으로의 모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식설 방법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각 리브(11b)에 소정의 개수의 모발(12)을 식설하여 증모구(10)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연결용 리브(11a), 즉 횡단 방향의 리브에 대해서는, 공지된 결착 방식, 예를 들면, 팬 더블 이식 등을 사용하여 식설하면, 전후 방향의 모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발의 모류와 동일 방향이 되어 적합하다. 또는, 본 발명의 결착 방식과 공지의 결착 방식을, 적절히, 식모 부위에 의해 변화를 주면, 세련된 각종 모류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증모구(10)는, 사용자의 두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증모구(10)는, 각 모발(12)의 일측(12a)이 리브(11b)로부터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일어서도록 식설되어 있으므로, 볼륨감이 풍부하게 된다. 또한, 모발의 타측(12b)은 리브(11b) 상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리브(11b)가 모발(12)의 타측(12b)으로 덮여지게 되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모발의 타측(12b)은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른 모류를 이루므로, 모발(12)에서 각 리브(11b)를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덮을 수 있고, 또한, 모류가 각 리브(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형성되므로, 변화가 풍부한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다.
증모구(10)의 식설 프레임(11)에 결속된 각 모발(12)은, 각각 일측에서 2회 걸고, 그리고, 타측에서 1회 건 후 빼내어 결속되어 있으므로,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또한 타측에서 1회 걸므로, 매듭이 너무 커지지 않고, 증모구(10)의 장 착 시에 매듭이 두피에 닿아서 촉감이 악화되지도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설 프레임 및 그 리브가 쉽게 드러나지 않고, 또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모발의 일어섬이 양호하도록 한, 증모구 및 그 식설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처음에, 선재로서 꼰선으로 이루어지는 직경 1.2mm의 나일론선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적절한 개수의 리브(11a, 11b)를 준비하고, 피착자의 두부 형상에 적합한 소정 형상이 되도록 조합시켜 이들 각 교점을 서로 초음파 접착으로 연결하여, 식설 프레임(11)을 제작했다.
다음에, 연결된 식설 프레임(11)을, 미리 준비한 가발 피착자의 두부 형상을 모방한 석고형에 씌우고, 170℃로 3시간 가열함으로써, 가발 피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만곡 형상의 형을 뜨고, 각 리브(11a, 11b)의 표면을 사포로 조면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각 리브(11a, 11b)의 양 선단부를, 나일론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서 만든 용액에 침지하여 냉각 고체화하거나, 또는 열경화성 수지액을 도포 또는 침지하여 건조함으로써, 각 팽출부(11c)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전술한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식설 방법(도 3∼도 12 참조)에 의해, 소정 개수의 모발을, 각 리브(11b)에 식설하였다. 마지막으로, 식설한 모발을, 모발용 접착제에 의해 각 리브(11b)에 접착 고정하여, 본 발명의 증모구(10)를 얻었다.
(비교예)
실시예와 같은 식설 프레임(11) 및 리브(11b)를 사용하고, 동일 개수의 모발의 식설을 종래의 방법으로 행하고, 비교예의 증모구를 제조했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외관 검사를 행하였다.
실시예의 증모구(10)의 경우에는, 비교예에 비해 식설된 모발(12)에 의한 모류가, 리브(11b)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브(11b)가 드러나지 않고 겉모습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에는, 모류가 리브(11b)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러싱하여 모발을 정리해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발이 갈라져서 리브가 드러나기 쉽고, 실시예에 비해 겉모습이 좋지 못한 것을 알았다. 또한, 모발이 누워버리므로 볼륨감도 부족했다.
다음에, 실시예의 증모구(10)을 피시험자에게 장착시켜 자기 모발과 혼합한 후, 외관 관찰을 행하였으나, 리브(11b)의 존재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장착자의 자기 모발의 흐름(모류)과 증모구(10)에 식설한 모발(12)의 흐름(모류)이 잘 맞아서 적합하고, 장시간 장착하고 있어도 증모구(10)를 장착하고 있음을 인식하지 않고, 겉모습이 좋은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발(12)의 색이나 굵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특히 장식용의 경우에는, 다양한 색의 모발(12)이 리브(11a, 11b)에 대하여 결속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재로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리브(11a, 11b)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네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그 외의 선형, 봉 형, 밴드형 등 각종 소재에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식설 법은, 인공 피부제나 직포제의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형성한 면형의 가발 베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체적 수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모발을 식설 후, 모발용 접착제에 의해 선재에 접착 고정하는 공정을 추가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제1 단계에서, 모발의 절곡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꼬아서 모발의 타측(12b)을 일측(12a) 위에 중첩하여 루프(21)를 형성하고, 차례로, 결착해 나가는 예를 나타냈으나, 절곡부를 시계 방향으로 꼬아서, 모발의 일측(12a)을 타측(12b) 위에 중첩하여 루프(21)을 형성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되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는, 모발의 일측(12a)과 타측(12b)은 전술한 설명과는 반대로 차례로 결착되어 최종적으로, 모발의 타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승하여 연장되고, 또한 일측이 매듭으로부터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 가로놓여 연장되게 된다. 본 출원에서 모발의 일측과 타측은 상대적 개념이며, 어느 쪽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칭할지는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되기 곤란하고,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으며, 겉모습이 좋고 볼륨감이 우수한 증모구, 각종 헤어스타일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증모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결착 방법에 의하면, 선재 뿐만 아니라 면형의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헤어스타일을 표현 가능하도록 식설할 수 있고, 또한 매듭이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모발의 일어섬이 양호한 상태로 결착할 수 있다.

Claims (16)

  1. 선재와 상기 선재에 식설한 모발을 가지는 증모구에 있어서,
    2개로 절곡된 모발이 상기 선재에 결착되어 있고,
    상기 2개로 절곡된 모발의 일측은 매듭으로부터 상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승하여 연장되고, 또한 타측은 매듭으로부터 상기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 연장되어 있는, 증모구.
  2. 선재와 상기 선재에 식설한 모발을 가지는 증모구에 있어서,
    2개로 절곡된 모발의 절곡부를, 상기 선재에 대하여 모발의 일측에서 2회 걸고, 그리고 상기 모발의 타측에서 1회 건 후 빼내어 결착함으로써, 상기 모발의 일측이 상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모발의 타측이 상기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로 연장되는 모류(hair flow)가 되도록 식설한, 증모구.
  3. 선재와 상기 선재에 식설한 모발을 가지는 증모구에 있어서,
    2개로 절곡한 모발의 절곡부를 꼬아서 형성한 제1 고리와,
    상기 제1 고리를 선재에 감고, 절곡한 모발의 일측을 상기 제1 고리를 통과시켜 일측에서 형성한 제2 고리와,
    상기 일측을 상기 제2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일측에서 형성한 제3 고리, 및
    상기 제1 고리, 상기 제2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가 단단하게 매어짐으로써 모발의 일측과 타측에서 형성된 매듭
    을 포함하고,
    모발의 일측이 상기 매듭으로부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3 고리로부터 인출된 모발의 타측이 상기 매듭으로부터 인출되어 선재 상에서 상기 선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증모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 상기 제2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가 단단하게 매어졌을 때, 상기 제3 고리가 최상위에서 선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3 고리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모발의 일측은 상기 제3 고리에 지지되어 상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승하고, 또한
    상기 모발의 타측은 넘어진 제2 고리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2 고리와 상기 선재 사이에 협압(挾壓)되어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증모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가발 베이스의 네트 부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인, 증모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탄성을 가지는 강성의 합성 섬유로 복수개를 조합시켜 형성한 골격형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증모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복수개 조합시켜서 식설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식설 프레임을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하여 자기 모발과 혼합하도록 한, 증모구.
  8. 증모구를 구성하는 선재에 대하여 모발을 결착하는 방법으로서,
    선재의 아래쪽에 모발이식침을 가져와서,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상기 모발이식침에 걸어서 떠올린 후, 꼬아서 제1 고리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고리를 선재에 감아서, 상기 제1 고리의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상기 제1 고리를 통과하여 걸어서 떠올린 상기 모발의 일측에서 제2 고리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고리의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다시 상기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상기 제2 고리를 통과하여 떠올린 상기 모발의 일측에서 제3 고리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다음에, 상기 제3 고리의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상기 모발의 타측을 떠올리고, 떠올린 상기 모발의 타측을 제3 고리로부터 완전히 인출하는 제4 단계와,
    마지막에, 상기 제1 고리, 상기 제2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모발의 일측을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게 하고, 또한 상기 모발의 타측을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연장시키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선재로의 모발 결착 방법.
  9. 선재와 상기 선재에 식설한 모발을 가지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재로의 모발 결착 공정은,
    상기 선재의 아래쪽에 모발이식침을 가져와서, 상기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상기 모발이식침에 걸어 올린 후, 꼬아서 제1 고리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고리를 선재에 감아서, 상기 제1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상기 제1 고리를 통과하여 떠올린 상기 모발의 일측에서 제2 고리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다시 상기 모발의 일측을 떠올리고, 상기 제2 고리를 통과하여 떠올린 상기 모발의 일측에서 제3 고리를 형성하는 제3 단계와,
    다음에, 상기 제3 고리 사이부터 모발이식침을 삽입하여 상기 모발의 타측을 떠올리고, 떠올린 상기 모발의 타측을 제3 고리로부터 완전히 인출하는 제4 단계와,
    마지막에, 상기 제1 고리, 상기 제2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모발의 일측을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승하게 하고, 또한 상기 모발의 타측을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연장시키는 제5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차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모발의 타측에 의해 상기 선재를 덮으면서 상기 선재에 대하여 식모하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는, 모발을 2개로 절곡한 절곡부를 반회전 꼬아서 모발의 일측 상에 모발의 타측을 교차시킴으로써 형성하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떠올린 상기 모발의 일측을 제1 고리를 통과시켜서 제2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리를 반회전 꼬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모발의 일측을 상기 제2 고리를 통과시켜서 제3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리를 반회전 꼬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모발의 일측을 당겨서 상기 제1 고리, 상기 제2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를 단단히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3 고리가 상기 제2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고리로부터 돌출하고 최상위에서 선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또한 모발의 일측이 상기 제3 고리의 아래쪽으로부터 개구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함으로써 상기 제3 고리에 지지되어 상기 선재에 대하여 위쪽으로 일어서고,
    또한, 상기 제3 고리가 상기 제2 고리를 하향으로 압박함으로써, 모발의 타측이 상기 제2 고리와 상기 선재 사이에서 협압(挾壓)되어 선재를 따라 상기 선재 상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가발 베이스의 네트 부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인, 증모구의 제조 방법.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탄성을 가지는 강성의 합성 섬유로 복수개를 조합시켜 형성한 골격형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복수개로 조합시켜서 소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한 후,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리브에 상기 모발을 결착하는, 증모구의 제조 방법.
KR1020087009807A 2005-09-27 2006-09-25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1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0876A JP4883554B2 (ja) 2005-09-27 2005-09-27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5-00280876 200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43A KR20080055943A (ko) 2008-06-19
KR100991223B1 true KR100991223B1 (ko) 2010-11-01

Family

ID=378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07A KR100991223B1 (ko) 2005-09-27 2006-09-25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104486B2 (ko)
EP (1) EP1929890B1 (ko)
JP (1) JP4883554B2 (ko)
KR (1) KR100991223B1 (ko)
CN (1) CN100577047C (ko)
AU (1) AU2006296017A1 (ko)
CA (1) CA2621515C (ko)
DE (1) DE602006010414D1 (ko)
ES (1) ES2336143T3 (ko)
HK (1) HK1122709A1 (ko)
MY (1) MY143717A (ko)
PL (1) PL1929890T3 (ko)
RU (1) RU2404691C2 (ko)
TW (1) TWI313162B (ko)
WO (1) WO20070372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73B1 (ko) * 2016-12-21 2018-04-27 (주)하이모 가발과 그 매듭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EP2213188B1 (en) * 2007-11-20 2017-04-05 Aderans Company Limited Wi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419843B2 (ja) * 2010-10-13 2014-02-1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KR20140019037A (ko) 2010-11-05 2014-02-13 정 준 엔지 브루니안 링크를 만드는 장치 및 키트
JP5318296B1 (ja) 2013-03-25 2013-10-1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増毛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107614051B (zh) * 2015-04-27 2020-10-02 石匠株式会社 片状小片、包含该小片的生发促进用片、以及包含该小片的美白和皱纹改善剂
JP6727996B2 (ja) * 2016-09-08 2020-07-22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JP7125303B2 (ja) * 2018-08-17 2022-08-24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ベースに毛髪を結ぶ方法、かつらベースにおける毛髪の結び目、及びかつら
CN114224004A (zh) * 2021-12-07 2022-03-25 东华大学 一种假发种植打结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04B1 (ko) 1996-03-26 1999-08-16 오카모토 다카요시 증모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증모용구
KR100505556B1 (ko) 2000-12-25 2005-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의모재, 증모기구 및 증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889A (en) * 1907-01-19 1908-07-07 Martin O Rehfuss Fringed edging for fabrics.
US1740764A (en) * 1929-05-13 1929-12-24 Bong Emil Toupee and wi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122526A (en) * 1937-12-08 1938-07-05 Swiss Knitting Company Connection between two edges of textile material
US2814301A (en) * 1953-07-01 1957-11-26 Joseph H Schmitz Artificial hair pie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906224A (en) * 1957-11-18 1959-09-29 Henry Beulah Louise Method of forming lock stitch
GB1255273A (en) * 1970-07-10 1971-12-01 Top Piec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upees
US3645276A (en) * 1971-04-13 1972-02-29 Ideal Wig C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wigs and resulting products
US3709536A (en) * 1971-07-13 1973-01-09 A Huber Method for making a hand knotted pile fabric
JPS5212626B2 (ko) * 1971-11-01 1977-04-08
US3970092A (en) * 1973-10-01 1976-07-20 Nelson Charles W Method of attaching a hairpiece
US3862638A (en) * 1974-02-21 1975-01-28 Nu Look Fashions Inc Capless wig construction
JPS52106957A (en) * 1976-03-04 1977-09-08 Tokyo Gihatsu Seikei Co Ltd Planted hair and method of making it
JPS53143772A (en) * 1977-05-18 1978-12-14 Kanegafuchi Chemical Ind Flocking method
US4182527A (en) * 1978-04-27 1980-01-08 Meehan Frances R Latch hooking method
US4296765A (en) * 1978-12-18 1981-10-27 Bachtell Stephen R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hairpiece
US4372330A (en) * 1981-10-13 1983-02-08 Apollo Hai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hair units
US4799502A (en) * 1985-12-24 1989-01-24 Aderans Co., Ltd. Wig
US4793368A (en) * 1986-05-22 1988-12-27 Shiro Yamada Artificial hair for hair implant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4711476A (en) * 1986-11-21 1987-12-08 Helen L. Hanson Knot
JPH0519289Y2 (ko) * 1988-12-29 1993-05-21
JPH0768642B2 (ja) * 1989-12-31 1995-07-2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
US5406971A (en) * 1993-06-11 1995-04-18 Taylor Topper, Inc. Hair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5368052A (en) * 1993-08-02 1994-11-29 Hairline Creations, Inc. Hairpiece
JP3038402B2 (ja) * 1993-12-17 2000-05-08 邦夫 大野 増毛用毛髪の固着方法及びその固着装置
US5643293A (en) * 1993-12-29 1997-07-01 Olympus Optical Co., Ltd. Suturing instrument
US5573286A (en) * 1995-03-15 1996-11-12 Rogozinski; Chaim Knot
CN1093897C (zh) * 1995-10-09 2002-11-06 重机公司 链式线迹纽结成形方法及链式线迹缝纫机
US5728109A (en) * 1997-04-08 1998-03-17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knot and method for its formation
US6143006A (en) * 1998-04-18 2000-11-07 Chan; Kwan-Ho Apparatus and method for tying and tensioning knots
JP4650650B2 (ja) * 2000-07-31 2011-03-16 株式会社ユニヘアー 自毛活用型かつら
JP2002115115A (ja) * 2000-10-06 2002-04-19 Aderans Co Ltd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自毛活用型かつらの製造方法
US20030226571A1 (en) * 2002-06-11 2003-12-11 Rahman Khaliqah Ameenah Open loop hair extension
JP3928101B2 (ja) * 2002-11-29 2007-06-13 株式会社ダダ 毛髪用繊維の取付け方法
KR100593979B1 (ko) * 2004-11-04 2006-06-30 (주)하이모 스킨망을 이용한 모의 수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발
JP4883550B2 (ja) * 2004-12-28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の製造方法
JP4883551B2 (ja) * 2004-12-28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US7331351B1 (en) * 2005-05-18 2008-02-19 Teruyoshi Asai Wigs and methods of wig manufacture
JP4756694B2 (ja) * 2006-02-14 2011-08-24 株式会社ユニヘアー かつらの製造方法
US20090071492A1 (en) * 2007-09-13 2009-03-19 Chang Hyun Oh Extension hair production
EP2213188B1 (en) * 2007-11-20 2017-04-05 Aderans Company Limited Wi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04B1 (ko) 1996-03-26 1999-08-16 오카모토 다카요시 증모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증모용구
KR100505556B1 (ko) 2000-12-25 2005-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의모재, 증모기구 및 증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73B1 (ko) * 2016-12-21 2018-04-27 (주)하이모 가발과 그 매듭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3717A (en) 2011-06-30
ES2336143T3 (es) 2010-04-08
CA2621515C (en) 2013-05-07
US20100163069A1 (en) 2010-07-01
EP1929890B1 (en) 2009-11-11
JP2007092202A (ja) 2007-04-12
US8104486B2 (en) 2012-01-31
DE602006010414D1 (de) 2009-12-24
RU2008109366A (ru) 2009-11-10
CN101272705A (zh) 2008-09-24
TW200727803A (en) 2007-08-01
PL1929890T3 (pl) 2010-03-31
EP1929890A1 (en) 2008-06-11
JP4883554B2 (ja) 2012-02-22
CN100577047C (zh) 2010-01-06
AU2006296017A1 (en) 2007-04-05
EP1929890A4 (en) 2009-01-21
CA2621515A1 (en) 2007-04-05
HK1122709A1 (en) 2009-05-29
WO2007037200A1 (ja) 2007-04-05
TWI313162B (en) 2009-08-11
KR20080055943A (ko) 2008-06-19
RU2404691C2 (ru) 201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23B1 (ko)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RU2400111C2 (ru) Пар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JP6063198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US8671955B2 (en) Method for attaching a hair weaving tract
US20030226571A1 (en) Open loop hair extension
JP2002038323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1533909B1 (ko) 붙임머리와 붙임머리 제조 및 시술 방법
KR200392823Y1 (ko) 극사 망을 이용한 가발
US9314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non-mesh, hair-securement elongated strips for use with a doll
KR20160129690A (ko) 증모부재, 증모부재 조립체 및 증모방법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JP2008101320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JP2018090935A (ja) 増毛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増毛部材取付方法
JP6374667B2 (ja) かつら、かつらの製造方法及び毛髪セット
JP6643021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JPH02234903A (ja) 補毛具
KR100616111B1 (ko) 플렉시블소재의 서로 다른 길이의 줄을 갖는 줄 가발
JPH02264006A (ja) ヘアーピース及びそのヘアーピースを用いたヘアーメイク方法
JPH0241404A (ja) かつらの取付部の形成方法およびかつらの固定方法
JPH0310795Y2 (ko)
JP2018159168A (ja) かつら
JP2007016365A (ja) ドレッドヘア用増毛体及び留めバンド
JP2004065921A (ja) 髪飾り及びその取付方法
KR20160007189A (ko) 모발개수를 늘리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