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063A - 신발 끈 마감구 - Google Patents

신발 끈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063A
KR20090105063A KR1020080030307A KR20080030307A KR20090105063A KR 20090105063 A KR20090105063 A KR 20090105063A KR 1020080030307 A KR1020080030307 A KR 1020080030307A KR 20080030307 A KR20080030307 A KR 20080030307A KR 20090105063 A KR20090105063 A KR 2009010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present
storage
tip
fi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모
Original Assignee
권익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모 filed Critical 권익모
Priority to KR102008003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063A/ko
Publication of KR2009010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6Releasable ends of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쥬얼 신발이나 운동화 끈의 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신발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 끈의 단부가 헤져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 끈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신발 끈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구가 구비된 상부수납구 및 하부수납구와, 상기 상부수납구와 하부수납구의 대향면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는 돌출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조로운 신발끈을 신발 장식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감구를 신발끈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신발끈의 끝이 헤지지 않는다.
신발끈, 신발, 끈, 팁

Description

신발 끈 마감구 {Shoes string ornament}
본 발명은 캐쥬얼 신발이나 운동화 끈의 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신발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 끈의 단부가 헤져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 끈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신발 끈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일부 캐주얼 신발과 운동화는 신발끈을 묶어서 사용자의 발에 신발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끈은 원래 신발을 사용자의 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신발의 장신구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성을 돋보이는 장신구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사용자는 신발끈을 다양한 형태로 매듭을 짓거나, 신발끈의 단부에 인형과 같은 소형의 장신구를 착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발끈의 단부에 인형과 같은 소형의 장신구를 일일이 부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신발끈의 단부에 부착한 소형의 장신구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신발끈의 단부에는 신발끈이 풀어 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끈 단부를 합성수지로 압착하여 구성된 팁이 있는데, 신발끈을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상기 팁이 파손되어 신발끈의 끝이 점점 헤지고 그에 따라 신발끈을 운동화의 구멍에 삽입하여 매듭을 다시 짖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발끈의 단부에 여러 가지 형태와 모양으로 성형된 마감구를 체결함으로써 단조로운 신발끈을 신발 장식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감구를 신발끈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신발끈의 끝이 점점 헤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마감구에 의해 신발끈 매듭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신발 끈 마감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구가 구비된 상부수납구 및 하부수납구와; 상기 상부수납구와 하부수납구의 대향면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는 돌출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발 끈 마감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발 끈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납구와 하부수납구는 힌지로 연결된 신발 끈 마감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발 끈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경사진 면이 형성된 신발 끈 마감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발 끈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된 팁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신발 끈 마감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발끈의 단부에 여러 가지 형태로 성형된 마감구를 체결함으로써 단조로운 신발끈을 신발 장식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감구를 신발끈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신발끈의 끝이 점차 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구를 신발끈에 체결함으로써 신발끈의 매듭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매듭을 맺기에는 짧은 길이의 신발끈이더라도 본 발명의 마감구를 체결함으로써 매듭 없이 짧은 신발 끈으로도 신발을 발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마감구(100)는 캐쥬얼 신발 또는 운동화의 신발끈(10)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신발의 미감을 높이고, 신발끈(10)의 단부가 점차 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끈 마감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평편한 대향면(107)이 형성된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가 힌지(105)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대향면(107)에는 오목한 홈 형채의 수납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3)에는 돌기(104)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발 끈 수납구(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끈(10)의 팁(11) 부분을 절단하고, 팁(11)이 절단된 신발 끈(10)을 상부수납구(101) 또는 하부수납구(102)의 수납부(103)에 안착한 후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를 회전 결합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끈(10)이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수납부(103)에서 돌기(104)의 압착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를 회전시켜 결합하면,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대향면에 구성된 결합구(106)가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결합구(10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와 걸림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 끈(10)의 팁(11)을 절단하는 이유는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돌기(104)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의 팁(11)을 파고 들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마감구(100)를 신발끈(10)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신발 끈(10)의 팁(11)을 절단하여 마감구(100)를 체결함으로써, 돌기(104)가 신발 끈(10)을 파고 들어 마감구(10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신발끈(100)의 단부에 본 발명의 마감구(100)가 체결됨으로써 신발 끈(10)의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신발 끈(10)의 끝이 헤져 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끈(10)이 삽입 고정되는 마감구(100)의 수납부(103)는 수납부(103) 내측의 점점 좁아지도록 수납부(103)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구(100)가 신발 끈(10)의 단부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 끈(10)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팁(11)을 절단하여 마감구(100)를 체결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팁(11)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마감구(1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평편한 대향면(107)이 형성된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가 힌지(105)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대향면(107)에는 오목한 홈 형채의 수납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3)에는 돌기(104)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03)의 일측에는 팁 수납부(10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발 끈(10) 수납구(10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끈(10)의 팁(11) 부분을 절단하기 않고 팁(11)을 상부수납구(101) 또는 하부수납구(102)의 팁 수납부(108)에 삽입 안착하고, 신발 끈(10)의 팁(11)을 제외한 끈(10) 부분을 수납부(103)에 안착시킨 후,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대향면(107)이 마주보도록 회전 체결하면 결합구(106)의 의해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가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03)의 돌기(104)가 신발 끈(10)을 파고 들어 팁(11)을 포함한 신발 끈(10)의 단부에 마감구(100)가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일측이 힌지(105)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였으나,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연결수단인 힌지(105)의 구성없이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별도로 구성된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를 대향면(107)이 마주보도록 체결하면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결합구(106)에 의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신발끈(10)의 단부에 마감구(100)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마감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끈
11 : 팁
100 : 마감구
101 : 상부수납구
102 : 하부수납구
103 : 수납부
104 : 돌기
105 : 힌지
106 : 결합구
107 : 대향면
108 : 팁수납부

Claims (4)

  1. 결합구(106)가 구비된 상부수납구(101) 및 하부수납구(102)와;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의 대향면(107)에 형성된 수납부(103)와;
    상기 수납부(103)에는 돌출된 형성된 돌기(10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마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납구(101)와 하부수납구(102)는 힌지(105)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마감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3)는 경사진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마감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3)의 일측에 형성된 팁 수납부(1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마감구.
KR1020080030307A 2008-04-01 2008-04-01 신발 끈 마감구 KR2009010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307A KR20090105063A (ko) 2008-04-01 2008-04-01 신발 끈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307A KR20090105063A (ko) 2008-04-01 2008-04-01 신발 끈 마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063A true KR20090105063A (ko) 2009-10-07

Family

ID=4153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307A KR20090105063A (ko) 2008-04-01 2008-04-01 신발 끈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0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35B1 (ko) * 2009-03-30 2011-03-31 조공기 끈의 끄트머리용 끼움 팁
KR101433740B1 (ko) * 2012-11-12 2014-08-27 최경수 신발결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35B1 (ko) * 2009-03-30 2011-03-31 조공기 끈의 끄트머리용 끼움 팁
KR101433740B1 (ko) * 2012-11-12 2014-08-27 최경수 신발결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4289B2 (en)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US20040187346A1 (en) Coupling device for a detachable shoe upper on a shoe
KR101026079B1 (ko) 묶지않는 신발끈
KR200418045Y1 (ko) 신발끈 조임수단이 구비된 신발
KR20090105063A (ko) 신발 끈 마감구
JP2007215845A (ja) ブーツの締め付け構造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AU2009227985B2 (en) Footwear
US20190261727A1 (en) Sandal with Magnetically Connected Upper Straps
KR102212826B1 (ko) 신발끈 고정구
KR200422160Y1 (ko) 신발끈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200420803Y1 (ko) 교체가 용이한 운동화용 밑창의 결합구조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0273526Y1 (ko) 신발끈 결속장치
JPH0810005A (ja) 靴用芯材
KR200242103Y1 (ko) 신발용 체결구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200433348Y1 (ko) 탈부착이 되는 아이젠을 구비한 등산화.
KR200188558Y1 (ko) 신발끈의 매듭덮판구조
KR200181824Y1 (ko) 샌달용 끈 결속구조
KR200259660Y1 (ko) 선회 카운터 부분을 갖춘 신발
KR20110007917U (ko) 신발끈 매듭 고정기
JP3126107U (ja) 履物
KR100446688B1 (ko)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