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778U -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 Google Patents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778U
KR20130002778U KR2020110009649U KR20110009649U KR20130002778U KR 20130002778 U KR20130002778 U KR 20130002778U KR 2020110009649 U KR2020110009649 U KR 2020110009649U KR 20110009649 U KR20110009649 U KR 20110009649U KR 20130002778 U KR20130002778 U KR 201300027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inding
coupling hole
str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319Y1 (ko
Inventor
윤상희
Original Assignee
윤상희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희, 김병기 filed Critical 윤상희
Priority to KR2020110009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19Y1/ko
Priority to PCT/KR2012/008860 priority patent/WO2013066004A1/ko
Publication of KR20130002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매듭을 묶을 필요없이 끈부재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몸체를 부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본 고안은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끈부재의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재가 신발의 결합공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끈 매듭을 묶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고, 풀림이 방지될 수 있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끈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일직선으로 직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 끈부재는 묶었을 때, 발목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묶어진 끈이 쉽게 스스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끈부재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6-19744호(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잘 풀려지지 않는 끈부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신발의 상/하 전면으로 수지돌기를 부착시킨 것으로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끈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1160호(선행기술 2라 함)에는 "끈부재 풀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신발의 발등 덮개부 겉면에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발에 결속된 끈부재의 매듭을 발등 덮개부에 밀착시켜 끈부재의 매듭이 흔들림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풀림방지부재, 이 풀림방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풀림방지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등 덮개부의 겉면에 고정되는 끈 고정부재, 상기 끈 고정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풀림방지부재를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는 끈부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풀림방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여전히 끈 결속공을 모두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이러한 매듭짓는 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는 끈부재의 단부에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끈 결속공에 끼우는 방법만으로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착용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이고, 양단에 폭이 좁아져 상기 끈 결속공에 삽입되는 협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소부에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결합공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봉체이며, 중간에는 상기 결합공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부재의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 하부에 직각이 되도록 연결부가 각기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결합공은 끈부재와 평행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끈부재와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결합공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봉체이며, 중간에는 상기 결합공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하단은 걸림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부재의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끈부재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결한 결속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모습과 크기, 유광 무광,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탄성조절이 가능하여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하며, 물에 젖지 않고, 견고하여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신발을 벗거나 신을때, 걸을때, 뛸때 매우 편하다.
그리고 외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캐릭터를 부착하여 아이들이 좋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여러가지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여러가지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10)이 형성된 끈부재(1); 상기 끈부재(1)의 결합공(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11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끈부재(2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형상의 끈부재가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의 끈부재가 적용되고 있다.
끈부재(1)의 상면에 특정 문양을 갖도록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2)는 양단이 결합공(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봉체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위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홈(22)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22)은 결합공(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재(2)를 결합공(10)에 끼워넣으면 끈부재(1)가 신축성을 갖고 있어 결합공(10)이 늘어나면서 억지끼움이 가능해지고, 홈(22)이 결합공(10)에 끼워지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끈부재(1)의 결합공(10)에 걸림부재(2)를 끼워넣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는 수직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걸림부재(2)는 일단부터 신발(100)의 일측에 형성된 끈 결속공(110)에 삽입하여 타단까지 완전히 삽입시키면 걸림부재(2)의 전체 길이가 끈 결속공(110)의 직경보다 길어 가로질러 걸려지게 되어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끈부재(1)의 타측에 결합된 걸림부재(2)도 반대편에 형성된 끈 결속공(110)에 삽이하여 걸어 고정시킨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로서, 끈부재(1-2)의 양단부에 다른 부위보다 폭이 좁아지게 하여 협소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협소부(12)의 끝단에 결합공(10-2)을 갖는 결합부(13)가 형성된다.
결합부(13)는 협소부(12)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0-2)에 걸림부재(2)가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끈부재(1-2)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3) 및 걸림부재(2)를 끈 결속공(120)에 삽입된 후 양측으로 가로질러 배치됨으로써 걸려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식을 통해 대향 형성된 한쌍의 끈 결속공(110)에 한개의 신발 결속구(A1)를 결합시키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쌍의 끈 결속공(110)에 각기 신발 결속구(A1)를 결합시킨다.
신발 결속구(A1)는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응되는 한쌍의 끈 결속공(110)에 한개의 신발 결속구(A1)를 수평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총 6개의 신발 결속구(A1)가 사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신발 결속구(A1)의 착용 상태는 이후에 설명되는 실시예 2에 따른 신발 결속구(A2)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그 착용상태에 대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 하부에 직각이 되도록 연결부(15)가 각기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5)의 하부에 결합공(10)이 형성된 끈부재(1'); 상기 끈부재(1')의 결합공(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11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끈부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돌출된 형태로 연결부(15)가 형성된다.
끈부재(1')의 상면에 특정 문양을 갖도록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의 결합공(10)은 끈부재(1')와 평행되게 형성되므로 이 결합공(10)에 결합되는 걸림부재(2)는 끈부재(1')와 평행되게 결합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부재(1')의 연결부(15)의 하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리브(13')가 연결부(15)와 직각되게 더 형성되며, 이 리브(13')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공(10-3)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브(13')의 결합공(10-3)에 결합된 걸림부재(2)도 끈부재(1')와 직각되게 결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형상으로 결합된 경우 걸림부재(2)와 연결부(15)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어 강도가 증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걸림부재(2)는 상기 결합공(1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봉체이며, 중간에는 상기 결합공(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홈(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5)의 하단은 걸림부재(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걸림부재 5 : 캐릭터 몸체
21 : 수평부 22 : 걸림구
23 : 클립 24 : 끈부재
100 : 신발 120 : 끈 결속공
200 : 끈부재

Claims (8)

  1.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양단에 폭이 좁아져 상기 끈 결속공에 삽입되는 협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소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결합공에 상기 걸림부재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양단이 결합공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봉체이며,
    중간에는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이고,
    상기 끈부재의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5.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 하부에 직각이 되도록 연결부가 각기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리브가 연결부와 직각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리브에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결합공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봉체이며, 중간에는 상기 결합공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이고,
    상기 끈부재의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20110009649U 2011-10-31 2011-10-31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68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49U KR200468319Y1 (ko) 2011-10-31 2011-10-31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PCT/KR2012/008860 WO2013066004A1 (ko) 2011-10-31 2012-10-26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49U KR200468319Y1 (ko) 2011-10-31 2011-10-31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78U true KR20130002778U (ko) 2013-05-08
KR200468319Y1 KR200468319Y1 (ko) 2013-08-06

Family

ID=513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49U KR200468319Y1 (ko) 2011-10-31 2011-10-31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12Y1 (ko) * 2014-03-21 2015-03-06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신발 결속구
KR200476765Y1 (ko) * 2013-11-25 2015-03-31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CN104544739A (zh) * 2014-12-31 2015-04-29 黎初胜 一种可取代鞋带的自动扣接装置
WO2015088139A1 (ko) * 2013-12-11 2015-06-18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신발 결속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85Y1 (ko) * 2002-12-07 2003-03-15 이종경 신발 조임구
KR100733818B1 (ko) * 2006-08-28 2007-07-02 한창훈 신발끈 악세서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65Y1 (ko) * 2013-11-25 2015-03-31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WO2015088139A1 (ko) * 2013-12-11 2015-06-18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신발 결속구
KR200476512Y1 (ko) * 2014-03-21 2015-03-06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신발 결속구
CN104544739A (zh) * 2014-12-31 2015-04-29 黎初胜 一种可取代鞋带的自动扣接装置
CN104544739B (zh) * 2014-12-31 2016-08-24 黎初胜 一种可取代鞋带的自动扣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19Y1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5127B2 (ja) 履物の改良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76765Y1 (ko) 신발 결속구
KR20150002376U (ko) 신발 결속구
KR200473618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68320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200471213Y1 (ko) 신발 결속구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102254490B1 (ko) 목도리용 결속구
KR101279787B1 (ko)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운동화끈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TWM544812U (zh) 繩尾定位扣
JP3131450U (ja) サンダル
KR102543189B1 (ko) 발등보호대
KR200177790Y1 (ko) 스스로 풀리지 않는 신발끈.
CN211383743U (zh) 一种体育运动用防滑装置
KR20140006345U (ko) 끈 정리 및 설포 고정구조를 갖는 운동화
KR101509923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JP3082371U (ja) 運動靴
KR20140053039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75992Y1 (ko) 신발의 설포 지지구
KR200362334Y1 (ko) 신발끈 조임구
KR20140053040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