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8139A1 - 신발 결속구 - Google Patents

신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8139A1
WO2015088139A1 PCT/KR2014/010413 KR2014010413W WO2015088139A1 WO 2015088139 A1 WO2015088139 A1 WO 2015088139A1 KR 2014010413 W KR2014010413 W KR 2014010413W WO 2015088139 A1 WO2015088139 A1 WO 2015088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
band member
hole
binding spher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4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40005998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76512Y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Priority to US14/786,55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43398A1/en
Priority to EP14870584.1A priority patent/EP3015013A1/en
Publication of WO2015088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81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4Fastenings fixed along the upper edges of the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hoe 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shoe ties that can replace the laces used for tying shoes and do not require knots.
  • a band member for tying a plurality of string holes formed in shoes such as sneakers or shoes has a circular or oval cross section and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by weaving a fabric.
  •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in the instep of the shoe and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 Prior Art 1 Korean Utility Model No. 96-19744
  • the prior art 1 is attached to the resin projections to the front and bottom of the sho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is high.
  •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0451160 discloses a band member loosening prevention device.
  • both ends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cover of the sho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to close the knot of the band member bound to the shoe to the foot cover to prevent the knot of the band member is loosened by shaking.
  • An anti-loosening member capable of being release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nti-loosening member is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anti-loos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by an elastic force, and a strap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step cover part
  • Fixing member when pressed in the stat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rap fixing member was to include a button member for pressing the elastic member to release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from the fixed state.
  • the shoe binding sphere is used to bind to the shoelaces formed in the shoes or sneakers so that the shoes can be worn firmly on the foot,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It can be achieved by a shoe binding sphere including a; pin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and member, the pi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of the shoe is fixed.
  • the pin member provided in the band member can be firmly fixed by hooking the strap hole of the sho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loosening and can be tied in a concise manner. There is no need to tie the effect is easy to use and can be quickly wor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sho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oe binding sphe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n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sphe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11 to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member'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to 18 is a front view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and 20 are side views showing the binding process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pplied to the shoe binding in accordance with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binding process of the shoe binding sphe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6-2)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view showing a binding process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6-3)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4 and 2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side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plan view showing a shoe binding spher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 bottom view showing a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pplied to the shoe binding spher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1 and 32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binding process of the shoe fastener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e or the sneaker has an inci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and the tongue 510 is attached to the incision to cover the instep.
  • a plurality of pairs of string holes 5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tout to face each other.
  • String hole 520 is usually the eyelet is coupled can be kept round, to reduce the wear of the string.
  • Shoe binding holes (A1, A2, A3)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connect a pair of string holes 520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hoe binding spheres (A1, A2, A3) may be coupled in a plurality of straight or cross-shaped in an X-shape.
  • Shoe binding sphere (A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bind to the shoelaces formed in the shoe or sneakers so that the shoes can be worn firmly on the foot,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 both ends
  • Band member 100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10;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band member 10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520 of the shoe 500 is caught and fixed.
  • the band member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y u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rod shape or a band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 a thin rod-like band member is applied to shoes, and a band-shaped ban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applied to sneakers.
  • Emboss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nd member 100, the feel can be improved, a specific logo is printed is formed.
  • the band member 100 is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s a flat band shape, both ends of which are bent downward, and the bent por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oupling part 110 in the string hole 520.
  • a narrow portion 120 having a width that can be inserted is formed.
  • the narrow portion 120 is formed to have a width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tring hole 520, preferably the same as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arrow portion 120.
  • Coupling portion 110 is formed in each end of the through-holes 112, the passage connecting the through-holes 112 of both end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therein, through the through-holes 112 and the passage through the pin member 200 ) Are combined.
  • the coupling part 11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 linear coupling portion 110 is form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shoe binding holes (A2) is coupled to the laces 520 formed in the shoes or sneakers to bind the shoes to be firmly worn on the foot It is used for the purpos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0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10a);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a of the band member 10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n member (200a) is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520 of the shoe is fixed, the coupling portion (110a) has a gentle curvature It has a curved shape bent to have.
  • the pin member 200a also has a curved shape bent to have a gentle curvature.
  • the curved curved portion 110a is formed at the bottom.
  • the pin member 200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head portion 220, 220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hole 112 of the coupling portion 110 is made of a ro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 Head 220, 220 ' is preferably any one of a spherical, conical, hemispherical.
  • Pin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band member 100 by interference fit or double injection.
  • Double injection means that the pin member 200 is a hard plastic material and the band member 100 is a soft resin material, so that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using a difference in hardness and a difference in curing point.
  • the double injection is to fix the hard member and the soft member by applying an adhesiv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pin member 200 to move left and right freely by double injection without applying the adhesive.
  • the heads 220 and 220 ' are coupled through the through-hole 112 of the coupling part 110, so that the shear is preferably formed in a spherical shape for easy insertion, and after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 the rear end is preferably formed stepped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pin member 200 is prevented.
  • the length of the pin member 200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rod 210 is formed to be about 1.5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10 by moving the pin member 200 to the coupling portion 110 after moving left and right Make sure you have some extra time to spare.
  •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110.
  •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one of circular, elliptical, and rhombus shapes to facilitate inse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31 and 232 may be combined.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assage of 110).
  • the pi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n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520 as shown in FIG. 3.
  • the pin member 200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520, the pin member 200 is pushed to one side and pushed into the string hole 520 from the elongated portion.
  • the first protrusion 23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of the passage of the coupling portion 110 by interference.
  • the pin member 200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again so as to be balanced on the coupling part 110.
  • the first protrusion 231 is released from the passage of the coupling portion 110,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disposed in a state close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110).
  • the shoe binding hole A3 is coupled to the lace hole 520 formed in the shoe or the sneaker so that the shoe is firmly worn on the foot. It is used for tying so that the band member 10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upling portion 110b is formed at both ends;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b) of the band member 100, the pin member (200b) is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520 of the shoe is fixed to; and configured, including the coupling portion (110b) to the ground I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 the pin member 200b may be fitted into the coupling par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520 while moving up and down.
  • Coupling portion 110b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slanted diagonally or ver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instep.
  •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n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n member 200c has a head portion 220c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12c of the coupling portion 110c at one end a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10c, the rod body 210c and the rod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nish (223c)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210c).
  • the finish hole 223c is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the hole 223-1, one side is formed to have a slit 223-2, the fitting portion by being pressed to fit snugly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210c) ( It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110c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pin member (200c).
  • the other end of the pin member 200c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ead portion 220c, but a protrusion 225c larger in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223-1 of the finishing hole 223c is formed to prevent the exit of the finishing hole 223c. To be abl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2c) of the coupling portion (110c).
  • the pin member 200 is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part 110. ) Is formed at both ends and consists of a rod body 220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10 is made in the shape of a janggu.
  • Head 2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can be fitted into the through-hole 112 of the coupling portion 110, through the through-hole 112 to allow the rod 220 to be coupled. After being combined in this way, the loss of the pin member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force of walking normally never falls out.
  • the coupling part 110 of the band member 100 is first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520, and then the pin members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mplete the fixing.
  • the pin member 200 has a length of the rod 22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10, so there is a clearance gap to move left and right, and the head 210 is formed in an oval shape of the rugby ball to press the instep Not comfortable to wear.
  • the band memb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pin member 200 may be damaged or deformed.
  • the band member 100a may minimize the force transmitted to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0a while the wrinkles 2 are formed and stretched.
  • the band member 100b has a bent portion 31 formed by thickening both ends thereof, and a thin recessed portion 3 is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and the recessed portion 3 increases when stretched. Whi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ent portion 31 of both ends.
  • the band member 100c has a bent portion 31 'formed by thickening both ends thereof, and a recessed portion 3' is formed by thinning the center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3 'is thick at both ends.
  • the step 32 is formed.
  •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10 protrudes convexly, so that the convex portion 119 is form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 the shoe binding device (A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hoe or sneakers to bind the shoe (S) to be worn firmly on the foot
  • the band member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elastic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engaging member 30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trude to the upper and lower.
  • the band member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y u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while being harmless to a human body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rod shape or a band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hoe S.
  • a thin rod-shaped band member 10 is applied to shoes, and a band-shaped band member 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applied to sneakers.
  • the band-shaped band member 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groove 104 is formed long.
  • the grooves 104 are increased when the grooves are stretched a lot, thereby minimizing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inclined portions 20 at both ends.
  • Bending grooves 25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nd member 10 to facilitate downward or upward bending, so that bending of the locking member 30 may be facilitated (see FIG. 22).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tegrally.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n approximately long axis and a short axis, and is formed to b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sharper than an upper part toward the bottom, and has an egg shape or an inverted drop shape.
  • the inclined portion 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and also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0, that is,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30 to be narrowed toward the lower end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L) of the string binding hole (H).
  • the inclined portion 20 and the locking member 30 have various connection positions.
  • the inclined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cking member 30 so that the upper length h1 and the lower length h2 of the locking member 30 are the same based on the connected portion (FIG. 16).
  • the inclined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30 so that the lower length h2 is longer than the upper length h1 of the locking member 30 based on the connected portion (see FIG. 17).
  • the inclined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30 so that the upper length h1 is longer than the lower length h2 of the locking member 30 based on the connected portion (see FIG. 18).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nstant thickness, the long axis length (L1) of the locking member 30 is conventional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diameter (L) of the string binding hole (H).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gg with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the lower part of which is more pointed than the upper part, and the thickness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constant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shortened length L2 of the center part.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binding hole (H).
  • both ends of the locking member 30,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drawing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the string binding hole (H),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center length (L1) of the locking member 30 is the string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larger than the diameter (L) of the binding hole (H), so that after being penetrated through the string binding hole (H)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and also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30 is flat Since it is a plate type, it does not irritate the instep even if it touches the foot so that it does not hurt.
  • the short axis length (L2) of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binding hole (H) is pressed in both sides of the locking member 30 to be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 (H) in a state of being retracted into an arc shape, and then inserted
  • the locking member 30 may be widened than the string binding hole H while being laterally opened by the restoring force, thereby becoming a locking state.
  • both ends or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36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point toward the outside.
  • the grip portion 36 Since the grip portion 36 is formed to be easy to hold by hand, the grip portion 36 is first passed through the string binding hole H, and then the catching member 30 is trapped together at the opposite side and passes through the string binding hole H together. It can be a guide means that can be combined.
  • the grip portion 36 may be provided with a roughness on the surface so that i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finger, and furthermore, the grip portion 36 does not slip from the finger when the gripper is gripped to expand the convenience of use.
  • Figure 22 is a view showing the binding process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6-2)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e binding hole A6-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etchable band member 10; A catching member 30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in a vertical direction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inclined portion 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and the locking member 30, the bending groove 2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0).
  • the gripping portion 36 is first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 H (Fig. 22 (a)) and then bent inward (Fig. 22 (b)) so that the locking member 30 lies down in a horizontal state. It becomes a locked state (FIG. 22C).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the binding process of the sho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6-3)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e binding hole A6-3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etchable band member 10;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and consists of both ends of the locking member 30, that is, a hold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and lower ends.
  • 36a and 36b are formed symmetrically.
  • Bending grooves 19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nd member 10 to facilitate downward or upward bending.
  • the band member 10 has a bent portion 31 formed by thickening both ends thereof, and a thin recessed portion 3 having a thin thickness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see FIG. 12).
  •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and vertically.
  • the locking member 30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cking member 30 to form grip parts 36a and 36b and is vertically formed.
  • the grip portions 36a and 36b have a thin rod shape and can be easily extended, and have elasticity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 the bending grooves 19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nd member 10 can easily bend the grip portions 36a and 36b up and down.
  • the grips 36a and 36b may be pulled upwards to be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s H, or the grips 36a and 36b may be pulled downwards to be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s H to be fastened. Can be.
  • the gripping member 36a or the gripping portion 36b is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 H (FIG. 23 (a)) and then bent downward (FIG. 23 (b)) to hold the locking member 30.
  • FIG. ) Is in a locked state by lying down in a horizontal state (Fig. 23 (c)).
  • the gripping member 36a or the gripping portion 36b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H where the gripping portion 36b is turned, and then bent upwards so that the locking member 30 is in a horizontal state (Fig. 23 (d), ( e)).
  • shoe binding spheres (A7, A8)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hoes or sneakers, shoes (S) is firm to the feet As used to bind so as to be worn,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tretchable band member 10; A pair of locking members 30 formed to protrude at right angles to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and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string binding hole H of the shoe S; And a gripping portion 40 for pulling the band member 10 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30.
  • the locking member 3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not to injure the wound without touching the foot.
  • the catching member 30 is formed to protrude at right angles to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10 so that one side of the band member 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2 to be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It is forme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atching portion 31 that forms a curved outer surface.
  • the fitting portion 32 is positioned downward, and the locking portion 31 is positioned upward, and the fitting portion 32 and the locking portion 31 are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 H and then perpendicularly inserted. It is configured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and member 10 by being caught while being kept in parallel with the band member 10 while being bent.
  • the band member 10 and the locking member 3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having the same elasticity.
  • the width of the locking member 3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band member 10, the fitting portion 32 is formed to narrow the width toward the outside and the en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ing binding hole (H) It is formed in width to form an approximately arrowhead shape.
  • the engaging portion 31 has an outer end portion having a round shape while maintaining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band member 10, and the outer portion is shaped like an exclamation mark when viewed from the front with the fitting portion 32.
  • the locking member 3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50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 a reinforcing member 50 made of a pin shape or a plate shap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locking member 30.
  • the holding portion 40 of the locking member 30 is made sharper toward one side.
  •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41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rip portion 40 to prevent sliding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band member 10.
  • One side of the band member 10 is stretched section of the band member 10 so as to have a thickness, for example, 1/2 of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ends that are caught in the string binding hole (H) for smooth stretching action
  • the groove 11 is formed in the inside.
  • the fitting portion 32 of the locking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strap binding hole H of the shoe S.
  • the fitting portion 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head so that the insertion is easily performed. It is possible.
  • the reinforcing member 50 is embedded in the locking member 30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locking member 30 of the silicon material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tring binding hole H without being deformed.
  • the locking member 30 Since the locking member 30 is naturally bent inwardly by the inclined portion 20 and parallel to the band member 10 to be parallel to the strap binding hole, the locking member 3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strap. Since it does not remain in the state is not separated from the string binding hole (H) is to prevent loosening.
  • band member 110 coupling por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결속구가 개시된다. 제시되는 신발 결속구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발 결속구
본 발명은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끈을 대체할 수 있고, 매듭이 필요없는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끈구멍을 묶는 밴드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직물을 직조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다수의 끈구멍은 신발의 발등 부위에 형성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밴드부재를 다수의 끈구멍을 관통하여 지그재그로 연결한 후 마지막에는 묶어서 매듭을 짓게된다.
그러나 밴드부재는 묶었을 때, 발목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묶여진 매듭이 쉽게 스스로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밴드부재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6-19744호(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잘 풀려지지 않는 밴드부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신발의 상/하 전면으로 수지돌기를 부착시킨 것으로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밴드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1160호(선행기술 2라 함)에는 "밴드부재 풀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신발의 발등 덮개부 겉면에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발에 결속된 밴드부재의 매듭을 발등 덮개부에 밀착시켜 밴드부재의 매듭이 흔들림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풀림방지부재, 이 풀림방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풀림방지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등 덮개부의 겉면에 고정되는 끈 고정부재, 상기 끈 고정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풀림방지부재를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는 밴드부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풀림방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여전히 끈구멍을 모두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또 매듭이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신발에 구비된 끈구멍에 압입 끼움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시켜 끈을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고, 매듭이 풀릴 염려가 없으므로 착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밴드부재에 마련된 핀부재를 신발의 끈구멍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간결한 방식으로 결속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모습과 크기, 유광 무광,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에 대한 정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다른 실시예(A6-2)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3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다른 실시예(A6-3)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저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1 및 도 32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나 운동화는 갑피의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에는 텅(510)이 부착되어 발등을 덮게 된다. 그리고 절개부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다수쌍의 끈구멍(520)이 형성된다.
끈구멍(520)은 대개 아일렛이 결합되어 있어 원형이 유지될 수 있고, 끈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 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A2,A3)는 한쌍의 끈구멍(520)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신발 결속구(A1,A2,A3)는 직선형태로 다수 결합되거나 또는 X자 형태로 교차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에 결합되며, 신발(500)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부재(1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형상의 밴드부재가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의 밴드부재가 적용된다.
밴드부재(100)에는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촉감이 향상될 수 있고, 특정의 로고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밴드부재(100)는 탄력을 갖는 신축성소재이며 편평한 띠형상이고,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결합부(110)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끈구멍(520)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협소부(120)가 형성된다.
협소부(120)는 끈구멍(520)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 길이로 형성되는데, 협소부(12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10)는 양단부에 각기 통공(112)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통공(112)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통공(112)과 통로를 관통하여 핀부재(200)가 결합된다.
결합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직선 형상의 결합부(110)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520)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a)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a)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결합부(110a)는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되어 핀부재(200a)도 완만한 곡율을 갖도록 구부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부러진 곡선 형상의 결합부(110a)가 하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핀부재(200)는 결합부(110)의 통공(112)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220,220')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진다.
머리부(220,220')는 구형, 원추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200)는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에 억지끼움이나 또는 이중사출로 결합된다. 이중사출이란 핀부재(200)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밴드부재(100)는 연질의 수지 재질이므로 경도의 차이 및 경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보통 이중사출은 접착제를 발라서 경질부재와 연질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본 발명은 접착제를 바르지 않고 이중사출을 해서 핀부재(200)가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억지끼움의 경우 머리부(220,220')는 결합부(110)의 통공(112)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단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며, 결합부(110)에 결합된 후에는 핀부재(2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후단은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핀부재(200)의 길이, 특히 봉체(210)의 길이는 결합부(110)의 길이보다 약 1.5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핀부재(200)가 결합부(110)에 결합된 후에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여유분을 갖도록 한다.
봉체(210)의 외주에는 결합부(110)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는 결합부(110)의 통로에 끼워질 수 있어야 하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마름모 형상 중 택일되고, 그 직경은 결합부(110)의 통로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핀부재(200)를 결합부(110)에 끼운 후 끈구멍(520)에 삽입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끈구멍(520)에 끼울때는 핀부재(200)를 일측으로 밀어 길게 된 부위부터 끈구멍(520)에 밀어넣는다. 제1돌기(231)는 결합부(110)의 통로의 안쪽으로 억지끼움으로 삽입된다.
이후 결합부(110)까지 끈구멍(520)을 통과한 후 수평되게 배치한다.
이후 핀부재(200)를 다시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결합부(110)에 균형되게 배치한다. 이때 제1돌기(231)는 결합부(110)의 통로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는 결합부(110)의 양단부에 근접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3)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520)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b)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b)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여기서 결합부(110b)는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핀부재(200b)를 상하방향으로 결합부에 끼워 결합시키고,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끈구멍(520)에 끼워넣을 수 있다.
끈구멍(520)에 끼워넣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110b)는 수직이거나 또는 발등의 곡률을 고려하여 약간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핀부재(200c)는 결합부(110c)의 통공(112c)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220c)가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110c)의 길이보다 긴 봉체(210c)와, 봉체(210c)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구(22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구(223c)는 중심에 통공(223-1)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슬릿(223-2)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봉체(210c)의 외주면에 꼭맞게 결합되도록 억지끼움됨으로써 결합부(110c)의 타측에 지지되어 핀부재(200c)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핀부재(200c)의 타단에는 머리부(220c) 보다는 작은 직경이지만 마감구(223c)의 통공(223-1) 보다는 직경이 큰 돌출부(225c)가 형성됨으로써 마감구(223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되 결합부(110c)의 통공(112c)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A4)에 따르면, 핀부재(2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결합부(110)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헤드(210)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110)의 길이보다 긴 봉체(220)로 이루어져 장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헤드(210)는 대략 구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부(110)의 통공(11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질 수 있고, 통공(112)을 통과하여 봉체(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된 이후에는 통상의 걸어다닐때의 힘만으로는 절대로 빠지지 않으므로 핀부재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를 먼저 끈구멍(520)에 끼워넣은 후 핀부재(200)를 결합시켜 고정이 완료된다. 핀부재(200)는 봉체(220)의 길이가 결합부(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간격이 있으며 또한 헤드(210)가 럭비공 형태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발등을 누르지 않아 착용감이 편하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는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신발을 신고 벗을때 밴드부재가 많이 늘어나게 되는데 밴드부재가 늘어나면서 양끝단 결합부(110)에 과도한 힘을 받으면 핀부재(2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밴드부재(100)의 형태를 중간부분을 많이 늘어나고 양끝단은 늘어나는 양을 최소화시켜서 양끝단의 결합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100a)는 주름부(2)가 형성되어 늘어날때는 주름부(2)가 펴지면서 양끝단에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100b)는 양끝단을 두껍게 하여 절곡부(31)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두께가 얇은 요부(3)가 형성되어, 늘어날때 요부(3)가 많이 늘어나면서 양끝단의 절곡부(31)에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100c)는 양끝단을 두껍게 하여 절곡부(31')가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을 얇게 하여 요부(3')가 형성되되 요부(3')는 양단부에 두꺼운 단턱(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밴드부재(100)가 늘어날때는 가운데의 요부(3')가 많이 늘어나면서 양끝단의 절곡부(31')에 전달시키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0)의 일측 외주연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부(119)가 형성됨으로써 끈구멍에 끼워넣기 쉽게 형성된다.
한편 도 14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5)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S)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10);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부재(1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발(S)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 형상의 밴드부재(10)가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 형상의 밴드부재(10)가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띠 형상의 밴드부재(10)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밴드부재(10)의 신축구간 내에는 요홈(104)이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밴드부재(10)의 가운데에 두께가 얇은 요홈(104)이 형성됨으로서 늘어날때 요홈(104)이 많이 늘어나면서 양끝단의 경사부(20)에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밴드부재(10)의 양측 상면 및 하면에는 하향 또는 상향 절곡이 용이하도록 절곡용 홈(25)이 형성되어 걸림부재(30)의 절곡이 용이해질 수 있다(도 22를 참고한다).
밴드부재(10)의 양측에는 걸림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부재(30)는 대략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장축이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상부보다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달걀 형상 또는 거꾸로 된 물방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밴드부재(10) 양단부와 걸림부재(30) 사이에는 끈 결속공(H)에 용이하게 삽입을 위한 경사부(20)가 형성된다.
경사부(20)는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또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경사부(20)의 말단, 즉 걸림부재(30)와 연결되는 부위의 폭 길이는 끈 결속공(H)의 지름(ℓ)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경사부(20)와 걸림부재(30)는 여러가지 연결 위치를 갖게된다.
일 예로서, 경사부(20)는 걸림부재(30)의 중앙에 연결됨으로써 이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걸림부재(30)의 상부 길이(h1)와 하부 길이(h2)가 동일하게 형성된다(도 16 참조).
또는 경사부(20)는 걸림부재(30)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이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걸림부재(30)의 상부 길이(h1) 보다 하부 길이(h2)가 길게 형성된다(도 17 참조).
또는 경사부(20)는 걸림부재(30)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이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걸림부재(30)의 하부 길이(h2) 보다 상부 길이(h1)가 길게 형성된다(도 18 참조).
물론 경사부(20)와 걸림부재(30)의 연결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0)는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두께가 일정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걸림부재(30)의 장축 길이(L1)는 통상의 끈 결속공(H)의 지름(ℓ)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재(30)가 끈 결속공(H)을 통과한 후 발등에 눌려서 눕혀지게 되고, 걸림부재(30)의 양측 끝부분이 끈 결속공(H)의 외측에 걸려지게 되어 고정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재(30)는 정면에서 보면 대략 타원형이되 하부가 상부보다 좀더 뾰족하게 형성되어 달걀형태로 형성되며, 두께는 상,하부가 일정하여 판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의 단축 길이(L2)가 끈 결속공(H)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림부재(30)의 양 끝부분, 도면상 상단 및 하단부가 둥근 형상이므로 끈 결속공(H)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특히 걸림부재(30)의 중앙의 폭 길이(L1)는 끈 결속공(H)의 지름(ℓ)보다 큰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끈 결속공(H)에 관통한 후에는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걸림부재(30)의 외면이 평평한 판형이므로 발등에 닿더라도 자극을 주지않고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였다.
중심부의 단축 길이(L2)가 끈 결속공(H)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30)의 양측면에서 가압하여 호형으로 오므린 상태로 끈 결속공(H)에 삽입하게 되고, 삽입된 후 걸림부재(30)는 복원력에 의해 옆으로 벌어지면서 끈 결속공(H) 보다 넓어지게되어 걸림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30)의 양단 또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하여 일정 길이로 된 파지부(36)가 형성된다.
파지부(36)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길게 형성되므로 끈 결속공(H)에 파지부(36)를 먼저 통과시킨 후 반대편에서 잡아덩겨 걸림부재(30)가 함께 끈 결속공(H)을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는 안내수단이 될 수 있다.
파지부(36)는 표면에 거칠기를 주어 손가락으로 협지하기 용이해질 수 있고, 아울러 협지했을때 손가락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22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다른 실시예(A6-2)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결속구(A6-2)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10);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30); 및 밴드부재(10)의 양단부와 걸림부재(30) 사이에는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20)가 형성되고, 경사부(20)의 하부에 절곡용 홈(25)이 형성된다.
따라서 파지부(36)를 먼저 끈 결속공(H)에 삽입한 후(도 22의 (a)) 안쪽으로 꺽어서(도 22의 (b)) 걸림부재(30)가 수평상태로 눕도록 하여 걸림상태가 된다(도 22의 (c)).
이때 절곡용 홈(25)에 의해 경사부(20)의 꺽임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23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다른 실시예(A6-3)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속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결속구(A6-3)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10);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30);로 구성되고, 걸림부재(30)의 양단부, 즉 상단 및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된 파지부(36a,36b)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밴드부재(10)의 양측 상면 및 하면에는 하향 또는 상향 절곡이 용이하도록 절곡용 홈(19)이 형성된다.
밴드부재(10)는 양끝단을 두껍게 하여 절곡부(31)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두께가 얇은 요부(3)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도 12를 참고한다).
걸림부재(3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걸림부재(30)의 상단 및 하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파지부(36a,36b)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형성된다.
파지부(36a,36b)는 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쉽게 신장될 수 있고, 탄력성이 있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밴드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용 홈(19)에 의해 파지부(36a,36b)를 상,하방으로 쉽게 꺽을 수 있다.
즉, 파지부(36a,36b)를 상부로 당겨서 끈 결속공(H)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고, 또는 파지부(36a,36b)를 하부로 당겨서 끈 결속공(H)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36a) 또는 파지부(36b)를 끈 결속공(H)에 삽입한 후(도 23의 (a)) 하방으로 꺽어서(도 23의 (b)) 걸림부재(30)가 수평상태로 눕도록 하여 걸림상태가 된다(도 23의 (c)).
또는 파지부(36a) 또는 파지부(36b)를 끈 결속공(H)에 삽입한 후 상방으로 꺽어서 걸림부재(30)가 수평상태가 되어 걸림상태가 된다(도 23의 (d),(e)참조).
한편 도 24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7,A8)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S)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10);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신발(S)의 끈 결속공(H)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30); 및 걸림부재(30)의 일단부에 상기 밴드부재(10)를 당기기 위한 파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부재(10)의 양측에는 걸림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걸림부재(30)는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발등에 닿더라도 자극을 주지않고 상처를 입지 않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30)는 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밴드부재(10)를 기준으로 일측이 끈 결속공에 삽입이 용이한 끼움걸림부(32)가 하부에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는 걸림부(31)가 형성된다.
끼움걸림부(32)는 하측으로 위치되고, 걸림부(31)는 상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끼움걸림부(32)와 걸림부(31)는 끈 결속공(H)에 삽입된 후 직각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밴드부재(10)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걸리게 됨으로써 밴드부재(1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밴드부재(10)와 걸림부재(30)는 동일한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이다.
걸림부재(30)의 폭은 밴드부재(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끼움걸림부(32)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끝부분은 끈 결속공(H)의 내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대략 화살촉 모양을 이룬다.
걸림부(31)는 밴드부재(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 외측 단부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걸림부(32)와 함께 정면에서 볼 때 외형이 느낌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30) 내부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50)가 더 포함된다.
걸림부재(30)의 내부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핀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50)가 형성된다.
걸림부재(30)의 파지부(40)는 일측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이루어진다.
파지부(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밴드부재(10)를 당기는 방향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41)가 형성된다.
밴드부재(10)의 일측면에는 원활한 신축 작용을 위하여 상기 끈 결속공(H)에 끼워져 걸리는 양단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2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재(10)의 신축 구간내에는 요홈(11)이 형성된다.
밴드부재(10) 양단부와 상기 걸림부재(30) 사이에는 상기 끈 결속공(H)에 용이하게 삽입을 위한 경사부(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 결속구 결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걸림부재(30)의 끼움걸림부(32)를 신발(S)의 끈 결속공(H)의 내측에 삽입하는데, 이때 끼움걸림부(32)는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걸림부재(30) 내부에 보강부재(50)가 삽입 방향으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의 걸림부재(30)는 변형되지 않고 끈 결속공(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끼움걸림부(32)의 끝부분이 끈 결속공(H)을 통과한 상태에서 끈 결속공(H) 반대쪽에 돌출된 끼움걸림부(32) 즉, 파지부(40)를 잡고 잡아당기는데, 이때 파지부(40)의 양측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41)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한번에 잡아당겨 걸림부재(30)를 끈 결속공(H)에 끼울 수 있게 된다.
이후 걸림부재(30)는 경사부(20)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밴드부재(10)와 나란하게 평행상태가 되어 끈결속공과 직각을 이루게 되므로 걸림부재(30)가 끈 결속고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끈 결속공(H)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도면 부호의 설명]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100 : 밴드부재 110 : 결합부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112 : 통공 120 : 협소부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200 : 핀부재 210 : 봉체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220,220' ; 머리부 231 : 제1돌기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232 : 제2돌기 520 : 끈구멍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10 : 밴드부재 11 : 홈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20 : 경사안내부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30 : 걸림부재 31 : 걸림부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32 : 끼움걸림부40 : 파지부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41 : 미끄럼방지돌기50 : 보강부재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S : 신발H : 끈 결속공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1.05.2015] 
신발끈을 대체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묶을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의 형상이므로 취향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에 각기 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통공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통로를 관통하여 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의 외주에는 결합부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와, 상기 봉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양끝단이 두껍게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두께가 얇은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8. 구두나 운동화의 갑피에 대칭 형성된 2개의 끈구멍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탄력을 갖는 신축성소재이며 양단부는 일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협소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협소부에 결합되어 끈구멍의 하부에 걸려지고 갑피의 하부에 밀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의 끝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의 통공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통공과 통로를 관통하여 상기 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타원구체 또는 원통형상이며, 길이는 끈구멍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헤드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져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양끝단이 두껍게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두께가 얇은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양끝단을 두껍게 하고 가운데 부분을 얇게 하여 요부가 형성되되 요부는 양단부에 두꺼운 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5.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 양단부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밴드부재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일정 길이로 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절곡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신축구간 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0.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외측면이 곡면을 이루는 걸림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끈 결속공에 삽입되는 끼움걸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 내부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 양단부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신축성이 높은 연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재는 신축성이 낮은 경질로 이루어져 밴드부재와 걸림부재는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신축 구간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양끝단을 두껍게 하여 절곡부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두께가 얇은 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양측 상면 및 하면에는 하향 또는 상향 절곡이 용이하도록 절곡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PCT/KR2014/010413 2013-12-11 2014-11-03 신발 결속구 WO20150881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86,551 US20160143398A1 (en) 2013-12-11 2014-11-03 Device for tying shoes
EP14870584.1A EP3015013A1 (en) 2013-12-11 2014-11-03 Device for tying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11U KR20150002376U (ko) 2013-12-11 2013-12-11 신발 결속구
KR20-2013-0010311 2013-12-11
KR20-2014-0005998 2014-08-11
KR2020140005998U KR200476512Y1 (ko) 2014-03-21 2014-08-11 신발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39A1 true WO2015088139A1 (ko) 2015-06-18

Family

ID=533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413 WO2015088139A1 (ko) 2013-12-11 2014-11-03 신발 결속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43398A1 (ko)
EP (1) EP3015013A1 (ko)
KR (1) KR20150002376U (ko)
WO (1) WO2015088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368B2 (en) 2010-10-13 2017-07-11 Angiodynam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ablating tissue of a patient
US8850675B2 (en) 2012-02-06 2014-10-07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538802B2 (en) 2012-02-06 2017-01-10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KR200476765Y1 (ko) * 2013-11-25 2015-03-31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ES1232995Y (es) * 2019-06-21 2019-10-18 Martinez Luciano Javier Jimenez Dispositivo de ajuste para calzad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692U (ja) * 1994-11-29 1995-05-30 株式会社システムサポートセンター 靴用スナップ
KR960019744U (ko) 1994-12-08 1996-07-18 임성조 잘 풀려지지 않는 신발끈
KR200451160Y1 (ko) 2009-03-19 2010-11-30 방규열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KR20130002779U (ko) * 2011-10-31 2013-05-08 윤상희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30002778U (ko) * 2011-10-31 2013-05-08 윤상희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8590121B1 (en) * 2005-09-07 2013-11-26 Jibbitz, Llc Elastomeric faste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692U (ja) * 1994-11-29 1995-05-30 株式会社システムサポートセンター 靴用スナップ
KR960019744U (ko) 1994-12-08 1996-07-18 임성조 잘 풀려지지 않는 신발끈
US8590121B1 (en) * 2005-09-07 2013-11-26 Jibbitz, Llc Elastomeric fastener
KR200451160Y1 (ko) 2009-03-19 2010-11-30 방규열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KR20130002779U (ko) * 2011-10-31 2013-05-08 윤상희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30002778U (ko) * 2011-10-31 2013-05-08 윤상희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76U (ko) 2015-06-19
US20160143398A1 (en) 2016-05-26
EP3015013A1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8139A1 (ko) 신발 결속구
WO2015034233A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WO2014098439A1 (ko) 와이어 조임장치
WO2018155732A1 (ko) 끈조절장치
US5074013A (en) Releasable shear-resistant fabric joining apparatus
US20140276318A1 (en) Orthotic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addressing foot drop
US6256847B1 (en) Strap fastener
CA2783849C (en) Sport sock support band
WO2013066004A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20251341A1 (ko)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및 와이어 릴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WO2012173362A2 (ko) 체중지지부가 구비된 기능화
WO2013122382A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WO2020184820A1 (ko)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WO2020209582A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JPH10179210A (ja) 新規な緊締部品を備えた靴
WO2017034222A2 (ko)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KR20040049723A (ko) 신발 조임구
WO2015080301A1 (ko)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WO2018030869A2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CN213785690U (zh) 一种便于穿戴的鞋子
GB2343701A (en) Improved cord clamp
WO2018117454A1 (ko) 타이즈 및 이의 사용 방법
WO2019054609A1 (ko) 끈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05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6551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05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05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