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091A -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091A
KR20140108091A KR1020130112233A KR20130112233A KR20140108091A KR 20140108091 A KR20140108091 A KR 20140108091A KR 1020130112233 A KR1020130112233 A KR 1020130112233A KR 20130112233 A KR20130112233 A KR 20130112233A KR 20140108091 A KR20140108091 A KR 2014010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clip
shoe
lev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김기연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102013011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091A/ko
Publication of KR2014010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091A/ko
Priority to KR1020140123550A priority patent/KR10154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이 신발 및 본 신발끈클립과 결합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젖혀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나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 조임해제조작부를 수직상방으로 젖혀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는 간결한 구조로,
신발끈간의 장력과, 역변위방지턱과의 마찰력 등으로 상호간 작용반작용력이 작용하는 원리로 작동되며,
신발끈을 묶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패션적인 미관을 개선하고, 기존 신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직관적이고도, 적은 비용으로 신발의 탈착을 쉽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새로운 슈레이싱시스템(SLS ; Shoe Lacing System)이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The Shoes equipped with Shoestrings-Clip}
본 발명은 신발끈의 조임 및 해제가 용이한 클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용이하게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 신발끈을 조이고, 상기 조임해제클립의 일측을 젖히는 방법으로 쉽게 조임을 해제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의 상측부에 신발폭을 조정하고 고정하는 신발끈이 부착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을 벗거나, 벗은 후 다시 신을 때, 신발끈을 풀거나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신발끈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며, 바지 밑부분이 걸려리기도 하며, 미관상 좋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외의 선행 특허 및 실용신안기술로는,
20 2003 0016322 신발끈 핀(박판부재의 상시 탄성력 이용)
20 2008 0003492 신발끈 고정구(부재의 탄성이용, 가압부 등 3개의 이질부재 결합, 대한민국, 미국특허)
10 2010 0059452 탄성밴드를 가진 버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걸림부, 탄성밴드, 로킹핀, 버클홀더, 슬라이드버클 등의 구성요소)
10 2010 0109013 신발끈 조임장치(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10 2009 0135992 신발끈 조임장치(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10 2010 0139660 신발끈 조임구(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20 1999 0008522 버클이부착되는조임끈을가지는신발
10 2007 0090443 신발결속장치
10 2007 0013003 신발끈 결속구
10 2009 0050076 신발끈 결착 장치
20 2002 0022448 신발끈 고정구
20 2002 0031451 신발끈 조임용 버클
20 2007 0008524 신발끈 조임장치
20 2002 0019732 신발끈 패스너 및 신발끈패스너가 구비되는 신발
20 2001 0038532 신발용 끈 고정구
등 다양한 시도와 제안이 있었으나, 구조적인 복잡성, 신발의 구조변경, 원가상승의 문제 등으로 발명의 실시나, 시장진입에 애로를 겪고 있다.
신발끈을 묶고 푸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 미관제고 등을 위해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젖혀 용이하게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나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 조임해제조작부를 젖혀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되,
운동화, 구두, 캐주얼화, 군화, 작업화, 등산화 등 다양한 신발에 적용되며, 실용성과 편익의 제고, 간결성, 경제성을 충족하는 독자적 구조로, 발명의 실시나 시장진입에 용이한 신발끈클립이 구비된 신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발끈을 연속하여 끼우면 고리형이 되도록 나란히 연설된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과,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서 조일 때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끼워진 신발끈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역변위방지턱과; 엄지나 검지 등으로 젖히면, 상기 신발끈의 조임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가 구비된 신발끈클립;을 구비한 신발을 발명하게 되었다.
즉, 신발끈이 통상의 신발끈 구멍, 고리 등에 체결되고, 본 신발끈클립와 결합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장력과 역변위방지턱간의 상호간 작용반작용력, 마찰력 등으로 힘의 평형과 해제가 되는 구조로,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젖혀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와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 조임해제조작부를 상방으로 젖혀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해제조작부는 신발끈클립의 임의의 위치를 엄지와 집게손가락 등으로 신발 상부쪽으로 잡아젖혀 조임을 해제할 수도 있으나, 단부를 젖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지레의 원리가 응용되어 적은 힘으로도 쉽게 작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변위방지턱은 클립, 혹은 신발끈 등에도 상호 대응되는 요철이나, 톱니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신발끈클립에 일체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신발끈클립은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다양한 종류의 기존, 기성신발에 적용이 용이하며, 신발끈 단부를 신발의 갑피내측으로 숨기거나, 중복체결커나, 외부노출 등 다양한 후처리가 용이하며, 특히 상측 중앙부나, 일측에, 광고 및 완성신발업체의 브랜드로고 표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의 신발끈 삽입공, 역변위 방지턱, 조임해제조작부는 일측, 혹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대칭형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단일통공부로 이루어진 신발끈 삽입공 사이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단부가 고정된 레버(lever)형태로 구성되어져;
일측은 조임해제조작부 역할을 하고, 타측은 고정되어, 휨-탄성유동되거나, 회전유동(hinge)토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일소재, 원피스(one piece)타입이 바람직하나, 디자인과 작동성이 제고되도록 별도 소재,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신발끈 삽입공에 각기 다른 방향성을 갖는 2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기 다른 방향으로 신발을 조이거나 조임해제가 용이하도록 각기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동일소재, 단일체(one piec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유니바디, 유니메터리얼(Uni-Body, Uni-Material)로 구성되어 생산성 제고와 간결한 구조가 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체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사출성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신발상부에 봉제, 리베팅, 열융착, 일체형 부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통상의 등산화, 군화, 구두 등과 같이 신발끈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울 때에는 신발끈의 이동궤적이 안내되도록 신발끈가이드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신발끈을 묶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젖혀 용이하게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나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 조임해제조작부를 후방으로 젖혀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하는 구조로, 기존 신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편익과 미관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양단부형 신발끈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실제 작동상태의 사진이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일단부형 신발끈 클립과, 2이상의 조임 및 해제방향을 갖는 신발끈 클립이 도시되고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조임해제조작부가, 별도의 레버형으로 구비된 신발끈클립의 실시예이다.
도 3a는 휨탄성유동레버 및 힌지유동레버를 갖는 일단부형 신발끈클립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보다 명료한 설명을 위해 실시와는 무관한 색상과 3D모델링 도면 및 실물사진을 활용하였다.
도 1은 양단부형 신발끈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로, 10, 20, 30은 각각 단일소재, 일체형의 본 신발끈클립의 상측과 전면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40, 50은 신발끈이 체결된 상측 및 전면측 사시도로,
신발끈을 연속하여 끼워 고리형이 되도록, 나란히 연설된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11a,11b);과,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서 조일 때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끼워진 신발끈의 조임방향 경로 상에 설치되는 역변위방지턱(21a, 21b)과;
당기면, 상기 신발끈의 조임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31a, 31b);가 구비된 신발끈클립;과 신발끈이 1개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이다.
즉, 통상의 신발끈이 신발의 구멍이나, 고리 등에 체결되고, 본 신발끈클립와 결합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장력과 역변위방지턱(직각삼각형을 이루는 톱니 등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다.)간의 상호간 작용반작용력이 작용하는 구조로,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당기면 신발이 조여지고,
조인상태에서는, 역변위방지턱과 겹쳐진 고리부분에 작용하는 신발끈의 마찰력, 장력, 작용반작용력으로 인해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어, 쉽게 풀어지지 않으며,
신발끈을 풀거나, 조임해제 및 장력조정시에는 본 신발끈 조임해제조작부를 상향으로 젖히면, 조임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조임해제조작부는 신발끈클립의, 임의의 위치(중앙부 등)나, 양단부를 동시에 신발과 수직상방으로 당겨, 조임을 해제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위치도 조임해제 조작부가 될 수 있으나, 일측 단부(31a,31b)를 젖히는 방식으로, 지레의 원리가 응용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통상의 등산화, 군화, 구두 등과 같이 신발끈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울 때에는 신발끈의 이동이 구속, 안내되도록 신발끈가이드턱(41a, 41b)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신발끈클립은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다양한 종류의 기존, 기성신발에 적용이 용이하며, 신발끈 단부를 신발의 갑피내측으로 숨기거나, 중복 체결하거나, 외부노출 등 다양한 후처리가 용이하며, 특히 상측 중앙부나, 일측에, 광고 및 완성신발업체의 브랜드로고 표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본 신발끈클립은 동일소재, 단일체(one piec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니바디, 유니메터리얼(Uni-Body, Uni-Material)로 구성되어 생산성 제고와 간결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일례로, 슬라이딩코어가 없는 금형을 이용한 일체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사출성형이 바람직한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도 1a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 1b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의 실제사진으로 신발끈 조이기(57a), 신발끈이 조여진 상태(57b), 신발끈 풀기(57c)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도 1은 상기의 신발끈 삽입공, 역변위 방지턱, 조임해제조작부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된 클립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2는 일측에만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 경우, 본 신발끈클립의 반대측은 봉제, 리베팅, 열융착, 일체형 부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상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역변위방지턱은 본 클립뿐 아니라, 신발끈 등에도 상호 대응되는 요철이나, 톱니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59를 참조하면, 본 신발끈클립은 신발끈 삽입공에 각기 다른 방향성을 갖는 2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기 다른 방향으로 신발끈을 조이거나, 조임해제가 용이하도록 각기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신발끈클립은 단일통공부(71)로 이루어진 신발끈 삽입공 사이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단부가 고정(73)된 레버(lever)(72)형태로 구성되어져;
일측은 조임해제조작부(74) 역할을 하되, 부재의 휨-탄성유동이나, 회전유동(hinge)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3에서 일체형의 사출물로 구성된 전개 사시도(70a), 작동상태 사시도(70b, 70c)의 예시와 같이, 단일소재, 원피스(one piece)타입이 바람직하나, 디자인과 작동성이 제고되도록 별도 소재,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일통공부(71)는 부재구조상으로는 도시와 같이 폐곡면이 바람직하나, 신발끈의 삽입 및 체결편의를 위해 슬릿형태 등으로 일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또한 도 3a와 같이 일측형의 신발끈클립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부재의 휨과 탄성을 이용한 유동레버(80a)나, 힌지형 유동레버(90a)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또한 신발끈클립에 체결된 신발끈을 젖혀 신발을 조이고, 해제시에는 조임해제조작부(80c, 90c)를 젖혀 지레의 원리로 신발조임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이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10 : 상측 사시도 20 : 전면측 사시도 30 : 하측 사시도
40 : 신발끈이 체결된, 상측의 사시도 50 : 신발끈이 체결된, 전면측의 사시도
11a, 11b : 신발끈삽입공 21a, 21b : 역변위방지턱
31a, 31b : 조임해제조작부 41a 41b : 신발끈가이드턱
57a : 신발끈 조이기 57b : 신발끈이 조여진 상태 57c : 신발끈 풀기
71 : 단일통공부 72 : 일단부가 고정된 레버(lever)형태
70a : 일체형의 사출물로 구성된 전개도 70b, 70c : 작동상태도
80a : 부재의 휨과 탄성을 이용한 유동레버 90a : 힌지형 유동레버
80c, 90c: 조임해제조작부

Claims (6)

  1. 신발끈을 연속하여 끼워 고리형이 되도록, 나란히 연설된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과,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끼워진 신발끈의, 조임방향경로상에 설치되는 역변위방지턱과;
    상기 신발끈의 조임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가 구비된 신발끈클립;과 신발끈;이 1개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신발끈가이드턱;이 구비된;
    신발끈클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동일소재, 단일체(one piece)로 구성된;
    신발끈클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발끈삽입공, 역변위방지턱, 조임해제조작부가 일측, 혹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된;
    신발끈클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발끈 삽입공에 2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신발끈클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임해제조작부는
    단일통공부로 이루어진 신발끈 삽입공 사이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측은 고정되어 유동되는 레버(lever);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측이 조임해제조작부 역할을 하는, 신발끈클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30112233A 2013-02-27 2013-09-21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KR20140108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233A KR20140108091A (ko) 2013-02-27 2013-09-21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KR1020140123550A KR101542328B1 (ko) 2013-09-21 2014-09-17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607 2013-02-27
KR1020130021607 2013-02-27
KR1020130112233A KR20140108091A (ko) 2013-02-27 2013-09-21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91A true KR20140108091A (ko) 2014-09-05

Family

ID=5175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233A KR20140108091A (ko) 2013-02-27 2013-09-21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615B1 (ko) * 2019-07-30 2020-02-06 김재성 끈 조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615B1 (ko) * 2019-07-30 2020-02-06 김재성 끈 조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4484B1 (en) Device for connecting up laces
JP3084683U (ja)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US6735829B2 (en) U-shaped lace buckle
JP7418034B2 (ja) 履物閉鎖システム
US8739373B1 (en) Shoelace clasp
US20100192411A1 (en) Device for locking flexible strands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US8991018B2 (en) Shoelace fastener system
US20050022428A1 (en) Shoe fastening and closu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561196B2 (en) Shoe with exchangeable upper
WO2008120903A1 (en)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US3103725A (en) Shoe lace fastener
US20110289742A1 (en) Shoelace fastener
JP2000014410A (ja) 自動紐締め及び紐解き機能を具えた靴
US20140041167A1 (en)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KR20140108091A (ko)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KR101542328B1 (ko)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KR101140424B1 (ko) 신발 끈 정리 장치
WO2009103224A1 (zh)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US20080110003A1 (en) Shoelace holder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JP4741711B2 (ja)
KR20100092273A (ko) 신발끈 액세서리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