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273A - 신발끈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신발끈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273A
KR20100092273A KR1020090011568A KR20090011568A KR20100092273A KR 20100092273 A KR20100092273 A KR 20100092273A KR 1020090011568 A KR1020090011568 A KR 1020090011568A KR 20090011568 A KR20090011568 A KR 20090011568A KR 20100092273 A KR20100092273 A KR 2010009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decorative body
accessories
pai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056B1 (ko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훈 filed Critical 한창훈
Priority to KR102009001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끈 체결편에 다열로 배치되며, 신발끈에 장착되는 신발끈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부에 신발끈이 통과하는 신발끈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장식적인 미감을 연출하는 장식체와;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신발끈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상기 신발끈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신발끈이 걸리는 고리부를 가지며, 상기 장식체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하는 상기 신발끈을 조임 및 조임해제하는 한 쌍의 걸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신발끈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시간도 단축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신발끈 액세서리{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끈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끈 체결편에 다열로 배치되며, 신발끈에 장착되는 신발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은 신발에 형성된 끈 체결편에 끼워서 조임으로써, 신발을 착용자의 발 사이즈 즉, 착용자의 발등 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신발끈은 운동화는 물론, 구두 등 다양한 신발에 적용되어 사이즈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최근에는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신발을 튜닝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신발끈으로 신발의 미감을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액세서리를 신발끈에 장착하여 한층 더 신발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신발끈 액세서리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신발끈 액세서리의 일 예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3381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끈 액세서리는 신발끈을 몸체부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우되, 삽입공에는 "I"형의 체결바를 올려놓고 신발끈이 체결바를 감싸는 형태로 꼬아 결합하여, 신발끈 액세서리가 신발끈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발끈 액세서리는, 신발끈이 감싸며 고정되는 체결바가 몸체부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발끈 액세서리에 신발끈을 끼울 때 몸체부의 양단부에 체결바들을 각각 위치시키고, 체결바를 잡은 상태에서 삽입공으로부터 인출된 신발끈을 체결바에 감싼 후 다시 삽입공으로 삽입시킨 후, 체결바를 몸체부에 정확하게 장착해야 하므로, 신발끈에 장착이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착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감성이 저하하며, 또한 체결바와 같은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분실될 염려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발끈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시간도 단축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는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발끈에 끼워진 각 장식체가 유동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며, 신발끈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신발의 끈 체결편에 다열로 배치되며, 신발끈에 장착되는 신발끈 액세서리에 있어서, 양단부에 신발끈이 통과하는 신발끈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장식적인 미감을 연출하는 장식체와;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신발끈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상기 신발끈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신발끈이 걸리는 고리부를 가지며, 상기 장식체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하는 상기 신발끈을 조임 및 조임해제하는 한 쌍의 걸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걸이구에는 상기 장식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장식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힌지핀이 회 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결합홈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 걸이구가 핀결합홈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되어, 신발끈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며 신발끈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식체에는 상기 신발끈이 상기 장식체에 조여지도록 상기 고리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형성함으로써, 걸이구가 안정적으로 장식체에 고정되므로 신발끈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이구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와; 상기 한 쌍의 걸이구본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신발끈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상기 신발끈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신발끈이 걸리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체의 일측면에 수직 절개된 고정홈과; 상기 장식체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신발끈 액세서리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신발끈에 끼워진 각 장식체는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신발끈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신발끈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시간도 단축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다. 또한, 신발끈에 끼워진 각 장식체가 유동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며, 신발끈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10)는 신발(1)의 전면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절개된 한 쌍의 끈 체결편(3) 사이에 다열로 배치되며, 신발끈(5)에 장착되어 신발(1) 전체의 미감을 연출한다.
신발끈 액세서리(10)는 장식적인 미감을 연출하는 장식체(11)와, 장식체(1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신발끈(5)을 조임 및 조임해제하는 한 쌍의 걸이구(31)를 포함한다.
장식체(11)는 개별적 내지는 다수의 결합을 통해 미감을 표현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장식체(11)는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장식체(11)는 장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발(1)이 만곡된 형태와 유사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체(11)의 배면에는 장식체(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식체(11)에 신발끈(5)이 끼워질 경우, 신발끈(5)이 단턱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외부에 서 보이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장식체(11)의 양단부에는 신발끈(5)이 통과하는 신발끈 삽입공(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발끈 삽입공(15)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모두 제작이 가능하지만,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신발끈 삽입공(15)의 양단에 위치한 장식체(11)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걸이구(31)의 고리부(37)가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홈(17)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홈(17)은 장식체(11)의 장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신발끈 삽입공(15)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체(11)의 양단부의 하측에는 부분 원호 단면형상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걸이구(31)의 힌지핀(35)이 결합되는 핀결합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각 핀결합부(19)에는 한 쌍의 힌지핀(3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핀결합홈(2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핀결합홈(21)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에 걸이구(31)가 핀결합홈(21)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되어, 신발끈(5)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며 신발끈(5)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핀결합홈(21)은 타원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이구(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장식체(1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신발끈 삽입공(15)을 통과하는 신발끈(5)을 조임 및 조임해제한다. 걸이구(31)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33)와, 한 쌍의 걸이구본체(33)를 상호 연결하는 고리부(37)를 가진다.
한 쌍의 걸이구본체(33)는 장식체(11)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즉, 장 식체(11)의 장변을 이루는 양측면을 부분 수용하도록 대향 배치되며, 한 쌍의 걸이구본체(33) 사이에는 신발끈(5)이 유동하는 경로가 형성된다. 각 걸이구본체(33)의 일단부에는 장식체(11)의 핀결합홈(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35)이 상호 대향하게 돌출되어 있다.
고리부(37)는 각 걸이구본체(33)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신발끈 삽입공(15)을 통과한 신발끈(5)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신발끈 삽입공(15)으로 삽입되도록 신발끈(5)이 걸린다. 또한, 고리부(37)는 신발끈(5)이 장식체(11)에 조이도록 장식체(11)의 장착홈(17)에 장착된다. 고리부(37)는 장착홈(17)에 장착시 신발끈 삽입공(15)을 가로지르며 장착되고, 이에 신발끈 삽입공(15)은 신발끈(5)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고리부(37)는 외력에 의해 쉽게 장착홈(17)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홈(17)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고리부(37)가 장식체(11)의 장착홈(17)에 착탈함에 따라 신발끈 삽입공(15)을 통과하는 신발끈(5)을 조임 및 조임해제하며, 고리부(37)가 장식체(11)의 장착홈(17)에 장착되면 걸이구(31)가 안정적으로 장식체(11)에 고정되어 신발끈(5)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10)는 장식체(11)의 일측면에 수직 절개된 고정홈(41)과, 장식체(11)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신발끈 액세서리(10)의 고정홈(41)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43)를 더 포함한다.
이에, 신발(1)의 전면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절개된 한 쌍의 끈 체결편(3) 사 이에 장식체(11)를 다열로 장착하는 경우, 상호 연접하는 한 쌍의 장식체(11)가 돌기(43)와 고정홈(41)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신발끈(5)에 끼워진 각 장식체(11)는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돌기(43)의 자유단부에는 돌기(43)의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돌턱(45)이 마련되어 있다. 돌턱(45)은 고정홈(41)의 두께부분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에 신발끈(5)에 끼워진 각 장식체(11)의 좌우 유동은 물론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5)은 장식체(11)의 신발끈 삽입공(15)을 통과하여, 장식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걸이구(31)의 고리부(37)를 거쳐 다시 신발끈 삽입공(15)으로 삽입된 후, 신발(1)의 끈 체결편(3)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인접하는 다른 장식체(11)의 신발끈 삽입공(15)으로 인출되어, 각 장식체(11)는 신발끈(5)에 장착된다.
이 때, 걸이구(31)의 고리부(37)를 감싸고 신발끈 삽입공(15)으로 다시 삽입된 신발끈(5)을 잡아당기고, 걸이구(31)의 고리부(37)를 장식체(11)의 장착홈(17)에 장착하면, 고리부(37)가 장식체(11)와의 밀착도가 더욱 높아지며 신발끈(5)과의 마찰이 증가하게 되어, 신발끈(5)은 장식체(11)에 조여지며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호 연접하는 한 쌍의 장식체(11)는 돌기(43)와 돌턱(45)이 고정홈(41)에 끼움 결합되어, 신발끈(5)에 끼워진 각 장식체(11)는 좌우 및 상하로 유동하지 않으며, 신발(1)의 끈 체결편(3)에 다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10)는 장식체(11)에 신발끈(5)이 걸리는 고리부(37)를 갖는 한 쌍의 걸이구(31)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신발끈(5)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시간도 단축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분실 염려도 없게 된다. 또한, 상호 연접하는 한 쌍의 장식체(11)가 돌기(43)와 고정홈(41)에 의해 끼움 결합됨으로써, 신발끈(5)에 끼워진 각 장식체(11)가 유동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끈(5)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가 적용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액세서리가 신발끈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3 : 끈 체결편
5 : 신발끈 10 : 신발끈 액세서리
11 : 장식체 15 : 신발끈 삽입공
17 : 장착홈 19 : 핀결합부
21 : 핀결합홈 31 : 걸이구
33 : 걸이구본체 35 : 힌지핀
37 : 고리부 41 : 고정홈
43 : 돌기

Claims (6)

  1. 신발의 끈 체결편에 다열로 배치되며, 신발끈에 장착되는 신발끈 액세서리에 있어서,
    양단부에 신발끈이 통과하는 신발끈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장식적인 미감을 연출하는 장식체와;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신발끈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상기 신발끈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신발끈이 걸리는 고리부를 가지며, 상기 장식체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하는 상기 신발끈을 조임 및 조임해제하는 한 쌍의 걸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에는 상기 장식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장식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힌지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결합홈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에는 상기 신발끈이 상기 장식체에 조여지도록 상기 고리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와;
    상기 한 쌍의 걸이구본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신발끈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신발끈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상기 신발끈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신발끈이 걸리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의 일측면에 수직 절개된 고정홈과;
    상기 장식체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신발끈 액세서리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KR1020090011568A 2009-02-12 2009-02-12 신발끈 액세서리 KR10101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68A KR101018056B1 (ko) 2009-02-12 2009-02-12 신발끈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68A KR101018056B1 (ko) 2009-02-12 2009-02-12 신발끈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73A true KR20100092273A (ko) 2010-08-20
KR101018056B1 KR101018056B1 (ko) 2011-03-02

Family

ID=4275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68A KR101018056B1 (ko) 2009-02-12 2009-02-12 신발끈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94B1 (ko) * 2013-07-09 2013-10-07 김은규 신발끈 조임장치
WO2014196678A1 (ko) * 2013-06-06 2014-12-11 주식회사 에스코니 신발끈 정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02B1 (ko) 2019-08-11 2021-03-05 주식회사 광운기술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858B1 (ko) * 1990-04-18 1992-06-19 정민우 신발끈 조임구
KR100733818B1 (ko) 2006-08-28 2007-07-02 한창훈 신발끈 악세서리
KR100807696B1 (ko) 2007-04-02 2008-02-28 한창훈 신발 끈 액세서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6678A1 (ko) * 2013-06-06 2014-12-11 주식회사 에스코니 신발끈 정리장치
KR101315194B1 (ko) * 2013-07-09 2013-10-07 김은규 신발끈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056B1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102B2 (en) Clasp and system
US20090205175A1 (en)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US20140366340A1 (en) Shoe enabling the adjustment of the tension of shoelaces
KR101018056B1 (ko) 신발끈 액세서리
KR101026079B1 (ko) 묶지않는 신발끈
US9700097B2 (en) Clasp and system
KR101037290B1 (ko) 신발용 장식구
JP3199351U (ja) 靴紐締め付け固定保持具
KR200425447Y1 (ko) 신발용 악세사리
KR101018057B1 (ko) 신발끈 액세서리
KR101482499B1 (ko) 설포 고정구가 구비된 신발
KR200450098Y1 (ko) 신발끈 고정장치
KR101106182B1 (ko) 신발의 액세서리
KR101002588B1 (ko)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CN203252052U (zh) 一种鞋
KR200433780Y1 (ko)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KR200451902Y1 (ko) 밴드형 신발끈
KR100848579B1 (ko) 신발 액세서리
KR20130002779U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0848580B1 (ko) 신발 액세서리 및 그 액세서리가 마련된 신발
CN210539227U (zh) 一种双重束紧的鞋子
JP3151198U (ja) 靴紐アクセサリー
JP3053098U (ja) ギブス用履物
KR101142949B1 (ko) 신발끈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