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202B1 -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02B1
KR102224202B1 KR1020190097889A KR20190097889A KR102224202B1 KR 102224202 B1 KR102224202 B1 KR 102224202B1 KR 1020190097889 A KR1020190097889 A KR 1020190097889A KR 20190097889 A KR20190097889 A KR 20190097889A KR 102224202 B1 KR102224202 B1 KR 10222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duct
delete delete
booth
member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979A (ko
KR102224202B9 (ko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운기술
Priority to KR102019009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02B1/ko
Publication of KR1022242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화벽을 관통하여 부스 덕트를 설치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함으로써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A BUS DUCT SYSTEM WITH AN EXCELLENT INSTALLABILITY AND A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차화 모듈을 현장에서 시공하기 편리하게 설계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 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 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 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할 수 있다.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 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부스 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 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물 내에 부스 덕트를 설치할 때 부스 덕트는 내화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어느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부스 덕트를 따라 화염이 계속 전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물 전체로 화재가 진행되어 대형 참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스 덕트를 따라 불길이 번지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사람들을 대피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8056호(2017.11.29.)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0302호(2018.12.07.)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내화벽을 관통하여 부스 덕트를 설치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함으로써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을 포함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부스 덕트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고, 부스 덕트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제1 부스 덕트와 제2 부스 덕트가 평행하게 연결되어 결합된 부스 덕트 조립체를 내화벽을 관통하여 설치한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하여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제1 및 제2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을 포함하되, 차화 모듈은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 조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공간에 설치되는 외측 차화 모듈과, 제1 부스 덕트와 제2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내측 차화 모듈을 가지는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외측 차화 모듈은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부스 덕트 조립체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외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 조립체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외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고, 부스 덕트 조립체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외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 조립체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외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내측 차화 모듈은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내측 차화 모듈은 제1 부스 덕트 쪽에 위치하는 제1 내측 멤버, 제2 부스 덕트 쪽에 위치하는 제2 내측 멤버 및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측 멤버를 제1 부스 덕트 쪽으로 밀고 제2 내측 멤버를 제2 부스 덕트 쪽으로 미는 끼움 내측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끼움 내측 멤버는 탄성을 가지고 끼움 내측 멤버의 두께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끼움 내측 멤버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에 삽입하면 끼움 내측 멤버가 제1 및 제2 내측 멤버를 양쪽을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끼움 내측 멤버는 중앙부의 두께가 주변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제1 측면의 부스 덕트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화벽을 관통하도록 부스 덕트를 설치하고, 내화벽과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차화 모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의 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부스 덕트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고, 부스 덕트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제2 측면의 부스 덕트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부스 덕트와 제2 부스 덕트를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 내화벽을 관통하도록 부스 덕트 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 내화벽과 부스 덕트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 차화 모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제1 부스 덕트와 제2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차화 모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의 시공 방법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외측 차화 멤버는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부스 덕트 조립체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외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 조립체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외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고, 부스 덕트 조립체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외측 차화 멤버와 부스 덕트 조립체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외측 차화 멤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내측 차화 멤버는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내측 차화 멤버는 제1 부스 덕트 쪽에 위치하는 제1 내측 멤버, 제2 부스 덕트 쪽에 위치하는 제2 내측 멤버 및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측 멤버를 제1 부스 덕트 쪽으로 밀고 제2 내측 멤버를 제2 부스 덕트 쪽으로 미는 끼움 내측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끼움 내측 멤버는 탄성을 가지며, 끼움 내측 멤버의 두께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끼움 내측 멤버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 사이에 삽입하면 끼움 내측 멤버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멤버를 양쪽을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끼움 내측 멤버는 중앙부의 두께가 주변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측면에서, 내측 차화 모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내측 멤버를 부스 덕트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 후 제1 및 제2 내측 멥버 사이의 공간에 끼움 내측 멤버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차화 모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부스 덕트를 따라 화재의 진행을 막을 수 있어 대형 화재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라는 표현은 순서,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킨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는 도 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도 2를 분해하여 도시하였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는 도 4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에는 도 5를 분해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내화벽(미도시)을 관통하여 부스 덕트(120)를 설치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과 부스 덕트(120)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함으로써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110)을 포함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일 수 있다.
부스 덕트(120)는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패널 유닛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하좌우 패널 유닛을 이용하여 내측에 도체(부스 바)를 수용할 수 있는 채널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스 덕트 상부 멤버(122)와 부스 덕트 하부 멤버(121)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 패널 유닛은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벳이나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체결할 수도 있다.
채널 내에는 부스 바(15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스 바(15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스 바(150)의 도체가 구리인 경우에는 도전율 99%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도전율 61%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체 표면은 각각 에폭시 코팅 등의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부스 바(15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재를 피복하여 절연하고, 채널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절연재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코팅(epoxy coating)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연 성능은 물론 130 ℃ 정도의 내열 성능도 확보할 수 있다. 절연재로는 에폭시 외에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Mic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스 바(150)의 구성은 부스 덕트(120)의 설치 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 바(150)는 R, S, T의 3개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 S, T, N의 4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부스 바(150)들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부스 바(150)들이 적층되는 방향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샌드위치 타입(sandwich type)으로 배열하여, 부스 덕트(12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부스 바(150)를 소형화하는 경우 발열이 증가하므로 방열 특성도 향상되어야 한다.
부스 덕트(120)의 채널의 외면에는 방열부(124,125)가 구비될 수 있다. 방열부(124,125)는 외함에 복수의 요(凹)부와 철(凸)부가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24,125)는 복수 개의 철(凸)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요(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124,125)는 복수 개의 철부 및 복수 개의 요부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철부 또는 복수 개의 요부는 채널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24,125)는 채널의 외면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화벽(미도시)이 차화 모듈(11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부스 덕트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내화벽에는 차화 모듈(110)의 단면에 상응하는 크기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차화 모듈(110)의 크기에 맞도록 내화벽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을 특정 크기로 대량 생산하고 이러한 차화 모듈(110)에 맞도록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관통공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차화 모듈(110)과 단면 형태와 크기가 대응될 필요가 있다.
차화 모듈(110)은 복수 개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 덕트(120)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 차화 모듈(110)은 3개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부스 덕트(12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차화 모듈(110)은 4개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이 분할되는 구조가 아니라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시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스 덕트(120)를 설치할 때에는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도록 부스 덕트(120)를 설치한 후에 부스 덕트(120)와 관통공 사이의 공간에 차화 모듈(110)을 장착한다. 차화 모듈(110)이 분할된 구조라면 분할된 각 멤버를 부스 덕트(120)와 관통공(미도시) 사이의 틈새 공간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을 것이지만, 반면에 차화 모듈(110)이 하나의 일체된 구조라면 차화 모듈(110)을 부스 덕트(120)와 관통공 사이의 틈새 공간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차화 모듈(110)를 구성하는 각 차화 멤버(111~114)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특정 형태의 차화 멤버(111~114)를 대량 생산하고 이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만약 각 차화 멤버(111~114)마다 형태가 각기 다른 경우 현장에서는 각 차화 멤버(111~114)를 별도로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하고 조립 시에도 마찬가지로 각 멤버별로 구분하여 조립해야 한다. 하지만 각 차화 멤버(111~114)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각 차화 멤버(111~114)별로 구분할 필요가 없이 바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은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120)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차화 모듈(110)을 구성하는 각 차화 멤버(111~114)는 부스 덕트(120)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부스 덕트와 접하는 부분은 부스 덕트의 외면의 형상에 맞도록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부스 덕트(120)와 차화 모듈(110)이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부스 덕트(120)를 따른 화재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차화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부스 덕트(120)의 단면이 원형, 정삼각형, 정사각형 등 정다각형일 때 모든 차화 멤버(111~114)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스 덕트(110) 내부에는 부스 바(150)가 적층되기 때문에 부스 덕트(120)의 단면 구조가 사각형인 것이 일반적이다. 부스 덕트(120)의 단면 구조가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때 4개의 모든 차화 멤버(111~114)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스 덕트(120)의 단면 구조가 직사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때에는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차화 멤버(111~114)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부스 덕트(120)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111)와 부스 덕트(120)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112)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고, 부스 덕트(120)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113)와 부스 덕트(120)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114)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부스 덕트(120)와 내화벽 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차화 멤버(111~114)를 삽입하여 장착한 경우 부스 덕트(120)의 상부 멤버(122)와 하부 멤버(121)를 체결한 체결구(123)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구 수용 공간(131~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스 덕트 체결구(12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각 차화 멤버(111~114)의 형상을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부 차화 멤버(111)와 하부 차화 멤버(112)가 대칭이고, 좌측 차화 멤버(113)와 우측 차화 멤버(114)가 대칭일 수 있다. 부스 덕트(120)의 상부 멤버(122)와 하부 멤버(121)를 체결하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23)가 부스 덕트(120)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경우 나머지 빈 공간으로 남은 공간에는 그 크기에 맞는 채움 멤버(미도시)를 끼워 넣음으로써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채움 멤버 또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대량 생산해 놓고 이를 빈 공간에 고민없이 쉽게 끼워 넣음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23)를 수용하는 체결구 수용 공간(131~134)에 있어서도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마찬가지로 채움 멤버(미도시)를 끼워 넣어 채울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는 혼합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가 화재로 인해 생성된 초기 탄화물을 규산계(SiO2)와 붕산계(B2O5)등을 혼합하여 재응고하게 하고 이로 인해 탄화막을 점증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열 및 차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혼합되어 만들어 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화재 시의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열 및 차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소시아네이트, 실리콘, 폴리올, 고무 등의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와, 인계 난연제와, 폴리인산암모늄(APP) 또는 폴리인산멜라민(MPP)와,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와, 붕산계 난연제와,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무기 팽창계 난연제 5~70 중량부, 인계 난연제 10~70 중량부, 폴리인산암모늄(APP) 또는 폴리인산멜라민(MPP) 10~30 중량부,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10~70 중량부, 붕산계 난연제 10~70 중량부,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 10~70 중량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무기 팽창계 난연제는 팽창흑연, 팽창진주암, 펄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250
Figure 112019082130187-pat00001
에서 발포하여 초기 화재에 대한 내화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인계 난연제는 비팽창성 난연제로서, 적인, phosphates, phosphine oxide, phosphine oxide diols, phosphites, phosphonate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300
Figure 112019082130187-pat00002
이하에서 화재를 극대화시키는 탄화수소(OH)와 수소(H)를 인산(H3PO4)이 탄화수소와 수소를 흡수하여 화재 확산을 억제하고, 열기류에 의해 약해진 차열층을 비팽창성 인계 난연제가 공극을 메워 형태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폴리인산암모늄(APP) 또는 폴리인산멜라민(MPP)은 앞서 팽창한 무기 팽창계 난연제의 비산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무기 팽창계 난연제가 한꺼번에 발포하지 않고 마치 시루떡처럼 층을 이루어 발포하여 견고한 차화 차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500
Figure 112019082130187-pat00003
이하에서 열에 의해 물분자를 방출하여 냉각 작용을 함으로써 단단한 차열층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붕산계 난연제는 750
Figure 112019082130187-pat00004
이하의 온도에서 작용하는데, 이후의 지속적인 화재로부터 장기간 동안 단단한 차열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붕산계 난연제로는 붕산염, 붕산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는 1,000
Figure 112019082130187-pat00005
이하에서 팽창하여 차열 기능을 수행하는데, 규산계 난연제로는 규산칼륨, 규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탄산계 난연제로는 탄산칼륨,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차화 모듈의 차열 차염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화재 발생 초기에 무기 팽창계가 팽창하여 차열층을 형성하고, 팽창성 인계 난연제가 무기 팽창계 난연제를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이후 형성된 차열층을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가 물 분자를 방출하여 보호하고, 이후 계속된 열 기류에 약해진 차열층을 비팽창성 인계 난연제가 공극을 메워서 부숴지지 않도록 하며, 이후 지속된 화염을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가 지켜내는 메커니즘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가 평행하게 연결되어 결합된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내화벽(미도시)을 관통하여 설치한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하여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제1 및 제2 부스 덕트(220a, 220b)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210)을 포함하되, 차화 모듈(210)은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 조립체(2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공간에 설치되는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과,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내측 차화 모듈(216~218)을 가지는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는 부스 덕트(120) 대신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채용한다는 점에서 앞의 측면과 상이하다. 각 부스 덕트에 관한 사항은 앞의 측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부스 덕트 조립체(220)는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은 조립 마감구(230)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 마감구(230)는 양 측단이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조립 마감구(230)의 일 측단이 부스 덕트(22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체결부(미도시)에는 제1 부스 덕트(220a)의 측면 유닛이 볼트 등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고, 조립 마감구(230)의 타 측단이 부스 덕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체결부(미도시)에는 제2 부스 덕트(220b)의 측면 유닛이 볼트 등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내화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설치하면 부스 덕트 조립체(220)와 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는 차화 모듈(210)을 설치할 수 있다. 차화 모듈(210)은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하여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제1 및 제2 부스 덕트(220a, 220b)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재가 틈새 공간을 통과하여 부스 덕트(22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측면의 차화 모듈(210)은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과 내측 차화 모듈(216~218)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부스 덕트 조립체(2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공간에 설치되는 차화 모듈일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외측 차화 멤버(215),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외측 차화 멤버(219)를 가질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이 분할된 다수의 멤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먼저 시공한 후에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을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공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의 각 멤버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좌측 외측 차화 멤버(215)와 우측 외측 차화 멤버(219)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각 멤버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짐으로써 어느 특정한 형태의 한 멤버를 대량 생산하고 이를 대칭적인 다른 멤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각 멤버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부스 덕트 조립체(220)는 복수 개의 부스 덕트(220a, 220b)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제작되며 각 부스 덕트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 덕트(220a, 220b) 2개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는 2개일 수 있고, 부스 덕트 3개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외측 차화 멤버는 3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특정한 형태를 여러 멤버로 활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 또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를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형태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1~214)로 활용할 수 있고, 시공 시 위치에 따라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를 구분하여 시공할 필요없이 동일한 형태의 멤버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1~214)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상 편의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내측 차화 모듈(216~218)은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차화 모듈일 수 있다. 즉 내측 차화 모듈(216~218)은 부스 덕트 조립체(220)에 있어서 부스 덕트(220a)와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차화 모듈을 가리킬 수 있다.
내측 차화 멤버(216~218)는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차화 멤버는 제1 부스 덕트(220a) 쪽에 위치하는 제1 내측 멤버(216), 제2 부스 덕트(220b) 쪽에 위치하는 제2 내측 멤버(218) 및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측 멤버(216)를 제1 부스 덕트(220a) 쪽으로 밀고 제2 내측 멤버(218)를 제2 부스 덕트(220b) 쪽으로 미는 끼움 내측 멤버(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를 각각 제1 부스 덕트(220a) 및 제2 부스 덕트(220b) 쪽에 설치한 후에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 사이에 끼움 내측 멤버(217)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 내측 멤버(216)는 제1 부스 덕트(220a)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2 내측 멤버(218)는 제2 부스 덕트(220b)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멤버와 부스 덕트 간 밀착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부스 덕트(220a)의 표면 형상과 제2 부스 덕트(220b)의 표면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가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 형태의 내측 멤버를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로 구분할 필요없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는 탄성을 가지고, 끼움 내측 멤버(217)의 두께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끼움 내측 멤버(217)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에 삽입하면 끼움 내측 멤버(217)가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를 양쪽을 밀어내는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내측 멤버(216) 및 제2 내측 멤버(218)가 각각 제1 부스 덕트(220a) 및 제2 부스 덕트(220b)에 더 밀착할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는 중앙부의 두께가 주변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끼움 내측 멤버(217)의 중심부에서 주변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퍼진 형상이나 볼록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의 주변부가 얇기 때문에 끼움 내측 멤버(217)를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 사이에 삽입할 때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부스 덕트(220a, 220b)와 내화벽 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외부 차화 멤버 및 내부 차화 멤버(211~219)를 삽입하여 장착한 경우 부스 덕트(220a, 220b)의 상부 멤버(221a, 221b)와 하부 멤버(222a, 222b)를 체결한 체결구(223a, 223b)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구 수용 공간(231~24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스 덕트 체결구(12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각 차화 멤버(211~219)의 형상을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부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차화 멤버(213, 214)가 대칭이고, 좌측 차화 멤버(215)와 우측 차화 멤버(219)가 대칭일 수 있다. 부스 덕트(220a, 220b)의 상부 멤버(221a, 221b)와 하부 멤버(222a, 222b)를 체결하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223a, 223b)가 부스 덕트(220)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경우 나머지 빈 공간으로 남은 공간에는 그 크기에 맞는 채움 멤버(미도시)를 끼워 넣음으로써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채움 멤버 또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대량 생산해 놓고 이를 빈 공간에 고민없이 쉽게 끼워 넣음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223)를 수용하는 체결구 수용 공간(231~246)에 있어서도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마찬가지로 채움 멤버(미도시)를 끼워 넣어 채울 수 있다.
차화 모듈(210)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에 관한 사항은 앞의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제1 측면의 부스 덕트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화벽(미도시)을 관통하도록 부스 덕트(120)를 설치하고, 내화벽과 부스 덕트(120)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부스 덕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차화 모듈(11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의 시공 방법일 수 있다.
부스 덕트(120)에 관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부스 덕트(120)를 먼저 설치하고 그 이후에 부스 덕트(120)와 내화벽(미도시) 사이의 틈새 공간에 차화 모듈(110)을 설치할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을 부스 덕트(120)에 미리 설치하거나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부스 덕트(120)를 먼저 시공 설치한 후에 차화 모듈(110)을 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차화 모듈(110)은 복수 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은 부스 덕트(1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데, 만약 차화 모듈(110)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지 않다면 부스 덕트(120)를 먼저 설치하고 그 이후에 차화 모듈(110)을 설치할 수 없어 부스 설치 당시에 먼저 차화 모듈을 장착하고 부스 덕트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부스 덕트(120)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111)와 부스 덕트(120)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112)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 외측 차화 멤버(111)를 하부 외측 차화 멤버(112)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형태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111, 112)로 활용할 수 있고, 시공 시 위치에 따라 상부 외측 차화 멤버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111, 112)를 구분하여 시공할 필요없이 동일한 형태의 멤버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111, 112)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상 편의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부스 덕트(120)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113)와 부스 덕트(120)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114)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차화 모듈(110)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팽창성 수지로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에 관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제2 측면의 부스 덕트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를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제작하는 단계, 내화벽(미도시)을 관통하도록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설치하는 단계, 내화벽과 부스 덕트 조립체(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차화 모듈(216~218)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의 시공 방법일 수 있다.
먼저,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를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제작할 수 있다. 부스 덕트에 관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부스 덕트 조립체(220)는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은 조립 마감구(230)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 마감구(230)는 양 측단이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조립 마감구(230)의 일 측단이 부스 덕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체결부(미도시)에는 제1 부스 덕트(220a)의 측면 유닛이 볼트 등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고, 조립 마감구(230)의 타 측단이 부스 덕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체결부(미도시)에는 제2 부스 덕트(220b)의 측면 유닛이 볼트 등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화벽을 관통하도록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설치할 수 있다. 내화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설치할 수 있다. 차화 모듈(211~219)을 부스 덕트 조립체(220)에 먼저 결합시키거나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먼저 시공 설치한 후에 차화 모듈(211~219)을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내화벽과 부스 덕트 조립체(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하여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과 제1 및 제2 부스 덕트(220a, 220b)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재가 틈새 공간을 통과하여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은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위쪽에 장착되는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왼쪽에 장착되는 좌측 외측 차화 멤버(215), 부스 덕트 조립체(220)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우측 외측 차화 멤버(219)를 가질 수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이 분할된 다수의 멤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스 덕트 조립체(220)를 먼저 시공한 후에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을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공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외측 차화 모듈(211~215, 219)의 각 멤버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좌측 외측 차화 멤버(215)와 우측 외측 차화 멤버(219)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각 멤버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짐으로써 어느 특정한 형태의 한 멤버를 대량 생산하고 이를 대칭적인 다른 멤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각 멤버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부스 덕트 조립체(220)는 복수 개의 부스 덕트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제작되며 각 부스 덕트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 덕트 2개(220a, 220b)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는 2개일 수 있고, 부스 덕트 3개를 평행하게 조립하여 부스 덕트 조립체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외측 차화 멤버는 3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외측 차화 멤버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특정한 형태를 여러 멤버로 활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외측 차화 멤버 또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를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형태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1~214)로 활용할 수 있고, 시공 시 위치에 따라 상부 외측 차화 멤버(211, 212)와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3, 214)를 구분하여 시공할 필요없이 동일한 형태의 멤버를 상부 및 하부 외측 차화 멤버(211~214)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상 편의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부스 덕트(220a)와 제2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에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차화 모듈(216~218)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내측 차화 모듈(216~218)은 부스 덕트 조립체(220)에 있어서 부스 덕트(220a)와 부스 덕트(2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차화 모듈을 가리킬 수 있다.
내측 차화 멤버(216~218)는 복수 개로 분할된 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차화 멤버는 제1 부스 덕트(220a) 쪽에 위치하는 제1 내측 멤버(216), 제2 부스 덕트(220b) 쪽에 위치하는 제2 내측 멤버(218) 및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측 멤버(216)를 제1 부스 덕트(220a) 쪽으로 밀고 제2 내측 멤버(218)를 제2 부스 덕트(220b) 쪽으로 미는 끼움 내측 멤버(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를 각각 제1 부스 덕트(220a) 및 제2 부스 덕트(220b) 쪽에 설치한 후에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 사이에 끼움 내측 멤버(217)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 내측 멤버(216)는 제1 부스 덕트(220a)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2 내측 멤버(218)는 제2 부스 덕트(220b)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멤버와 부스 덕트 간 밀착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부스 덕트(220a)의 표면 형상과 제2 부스 덕트(220b)의 표면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가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 형태의 내측 멤버를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로 구분할 필요없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는 탄성을 가지고, 끼움 내측 멤버(217)의 두께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끼움 내측 멤버(217)를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 사이에 삽입하면 끼움 내측 멤버(217)가 제1 및 제2 내측 멤버(216, 218)를 양쪽을 밀어내는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내측 멤버(216) 및 제2 내측 멤버(218)가 각각 제1 부스 덕트(220a) 및 제2 부스 덕트(220b)에 더 밀착할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는 중앙부의 두께가 주변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끼움 내측 멤버(217)의 중심부에서 주변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퍼진 형상이나 볼록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 내측 멤버(217)의 주변부가 얇기 때문에 끼움 내측 멤버(217)를 제1 내측 멤버(216)와 제2 내측 멤버(218) 사이에 삽입할 때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차화 모듈(210)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열팽창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에, 무기 팽창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 수산화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규산계 또는 탄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수지에 관한 사항은 앞의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0, 210: 차화 모듈 111: 상부 차화 멤버
112: 하부 차화 멤버 113: 좌측 차화 멤버
114: 우측 차화 멤버
120, 220, 220a, 220b: 부스 덕트(조립체)
121, 222a, 222b: 부스 덕트 하부 멤버
122, 221a, 221b: 부스 덕트 상부 멤버
123, 223a, 223b: 체결구
124, 125, 224a, 224b, 225a, 225b, 226a, 226b: 방열부
150: 부스 바 211, 212: 상부 외측 차화 멤버
213, 214: 하부 외측 차화 멤버 215: 좌측 외측 차화 멤버
219: 우측 외측 차화 멤버 216: 제1 내측 멤버
217: 끼움 내측 멤버 218: 제2 내측 멤버
231~246: 체결구 수용 공간 230: 조립 마감구
250a: 부스 바

Claims (25)

  1. 내화벽을 관통하여 부스 덕트를 설치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열에 의하여 팽창함으로써 상기 틈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 덕트는, 부스바가 적층되어 수용되고,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열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수용함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함의 좌측 세로 멤버는 상하로 연장되고 각각 좌측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각각 좌측 상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함의 우측 세로 멤버는 상하로 연장되고 각각 우측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각각 우측 상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화 모듈은 복수 개의 차화 멤버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 덕트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차화 멤버는 좌측 상부 날개부 및 우측 상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상부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 좌측 하부 날개부 및 우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하부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 좌측 상부 날개부 및 좌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좌측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 및 우측 상부 날개부 및 우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우측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화 멤버는 중심부가 계단 형상으로 돌출된 층상 구조를 가지고, 돌출된 끝단은 상기 수용함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부스 덕트와 상기 차화 멤버 사이에 체결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화 모듈은 상기 내화벽과 상기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상기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의 부스 덕트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화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부스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내화벽과 상기 부스 덕트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 상기 부스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차화 모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 덕트는, 부스바가 적층되어 수용되고,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열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수용함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함의 좌측 세로 멤버는 상하로 연장되고 각각 좌측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각각 좌측 상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함의 우측 세로 멤버는 상하로 연장되고 각각 우측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각각 우측 상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화 모듈은 복수 개의 차화 멤버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 덕트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차화 멤버는 좌측 상부 날개부 및 우측 상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상부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상부 차화 멤버, 좌측 하부 날개부 및 우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하부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하부 차화 멤버, 좌측 상부 날개부 및 좌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좌측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좌측 차화 멤버 및 우측 상부 날개부 및 우측 하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우측 공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우측 차화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화 멤버는 중심부가 계단 형상으로 돌출된 층상 구조를 가지고, 돌출된 끝단은 상기 수용함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부스 덕트와 상기 차화 멤버 사이에 체결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 공간이 형성되는,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의 시공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90097889A 2019-08-11 2019-08-11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22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89A KR102224202B1 (ko) 2019-08-11 2019-08-11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89A KR102224202B1 (ko) 2019-08-11 2019-08-11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979A KR20210018979A (ko) 2021-02-19
KR102224202B1 true KR102224202B1 (ko) 2021-03-05
KR102224202B9 KR102224202B9 (ko) 2021-08-23

Family

ID=7468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889A KR102224202B1 (ko) 2019-08-11 2019-08-11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654B1 (ko) 2021-06-22 2021-12-01 정미진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7854A (zh) * 2022-06-27 2022-10-18 南通鑫源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空气型母线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9144A (ja) * 2009-05-28 2010-12-09 Tigers Polymer Corp 熱膨張性耐火材料および耐火成形体および防火処理方法
KR101805156B1 (ko) * 2017-05-29 2017-12-05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56B1 (ko) 2009-02-12 2011-03-02 한창훈 신발끈 액세서리
KR101938732B1 (ko) 2017-05-29 2019-01-16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9144A (ja) * 2009-05-28 2010-12-09 Tigers Polymer Corp 熱膨張性耐火材料および耐火成形体および防火処理方法
KR101805156B1 (ko) * 2017-05-29 2017-12-05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654B1 (ko) 2021-06-22 2021-12-01 정미진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979A (ko) 2021-02-19
KR102224202B9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202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109196742B (zh) 电线管及线缆的火灾保护用突起型耐火结构体
CN109196743B (zh) 线缆桥架的火灾保护用突起型耐火结构体
BR112015026626B1 (pt) Equipamento elétrico, montagem de barramento, placa de montagem para uma montagem de barramento e blindagem para isolar uma montagem de barramento
KR102136448B1 (ko) 몰딩형 부스덕트
KR102463629B1 (ko)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CN219553799U (zh) 电池舱及车辆
KR102606754B1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용 주형틀
KR102063920B1 (ko) 통기성 및 차열 차염 성능이 우수한 차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74807B1 (ko) 열전도 차단성능이 우수한 케이블 트레이 연결 장치
KR102117751B1 (ko)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CN219351175U (zh) 一种抗冲击耐热阻燃mpp电力管
JP6713757B2 (ja) 建築部材の製造方法
KR102339372B1 (ko) 부스덕트 시스템
KR102335551B1 (ko) 시공성이 우수한 케이블용 차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차화 시스템
KR102124683B1 (ko) 몰딩형 부스덕트
CN215097050U (zh) 一种应用于车辆电池系统的结构集成式线束固定装置
CN104499689A (zh) 高层住宅的强弱电井
KR102095636B1 (ko) 기역형 행거 및 아이형 행거에 모두 장착 가능하고 차화 성능이 우수한 다용도 케이블 클리트
KR20100000401U (ko) 발열 거푸집 패널
KR102260306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00004444A (ko) 발열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KR102617615B1 (ko)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용 케이블 배관 트레이관리 시스템
KR101104692B1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의 절연체구조
KR102415610B1 (ko) 통기성 및 차화성이 우수한 덕트 및 전기시설물 스페이스용 차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