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28B1 -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28B1
KR101542328B1 KR1020140123550A KR20140123550A KR101542328B1 KR 101542328 B1 KR101542328 B1 KR 101542328B1 KR 1020140123550 A KR1020140123550 A KR 1020140123550A KR 20140123550 A KR20140123550 A KR 20140123550A KR 101542328 B1 KR101542328 B1 KR 10154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insertion hole
shoe
str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544A (ko
Inventor
김진만
김기연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122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08091A/ko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102014012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이 신발끈 및 본 신발끈조임해제구과 결합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 신발을 조이고,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를 젖히거나, 당겨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는 간결한 구조로, 신발혀(shoe tongue)에 고정부착되면, 신발혀의 쳐짐과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신발끈을 묶고 푸는 번거로움과, 의도치 않게 신발끈이 풀리는 불편함이 없고, 미관을 개선하고, 기존 신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도, 신발의 탈착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신발끈조임해제구이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Device for tightenning up, or loosen a Shoelace}
본 발명은 신발끈의 조임 및 해제가 용이한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이하 신발끈조임해제구라 칭한다)에 관한 것으로,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 신발끈을 조이고,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를 당기거나 젖히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신발의 조임을 해제할 수 있고, 신발혀의 뒤틀림과 쳐짐을 방지하는 신발용 부품기술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상측부에 신발폭을 조정하고 고정하는 신발끈이 부착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끈을 풀고, 묶는 번거로움과, 신발끈의 매듭이 풀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외 선행기술로는,
US20110016680 SHOELACE FASTENNING DEVICE(미국특허:MAMMUT 외 수종의 완성신발에 적용)
10-0399950-0000 신발끈 결속장치(슬라이드되는 걸림공 구비)
20 2003 0016322 신발끈 핀(박판부재의 상시 탄성력 이용)
20 2008 0003492 신발끈 고정구(부재의 탄성이용, 가압부 등 3개의 이질부재 결합, 대한민국, 미국특허:마사이-워킹슈즈 외 수종의 완성신발에 적용)
10 2010 0059452 탄성밴드를 가진 버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걸림부, 탄성밴드, 로킹핀, 버클홀더, 슬라이드버클 등의 구성요소)
10 2010 0109013 신발끈 조임장치(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10 2009 0135992 신발끈 조임장치(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10 2010 0139660 신발끈 조임구(회전노브 방식으로 끈의 장력조절)
20 1999 0008522 버클이부착되는조임끈을가지는신발
10 2007 0090443 신발결속장치
10 2007 0013003 신발끈 결속구
10 2009 0050076 신발끈 결착 장치
20 2002 0022448 신발끈 고정구
20 2002 0031451 신발끈 조임용 버클
20 2007 0008524 신발끈 조임장치
20 2002 0019732 신발끈 패스너 및 신발끈패스너가 구비되는 신발
20 2001 0038532 신발용 끈 고정구
등 다양한 시도와 제안이 있었으나, 구조적인 복잡성, 신발의 구조변경, 원가상승의 문제 등으로 발명의 실시나, 시장진입에 애로를 겪고 있다.
신발끈을 묶고 푸는 번거로움이나 신발끈이 풀리는 불편함, 미관 등을 위해 신발끈의 단부를 외측으로 당겨 용이하게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나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조임해제조작부를 당겨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하는 단순하고 기능적인 구조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되,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를 신발본체에 고정부착하여 신발혀(shoe tongue)의 쳐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토록 하였다.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운동화, 구두, 캐주얼화, 군화, 작업화, 등산화 등 다양한 신발에 적용되며, 실용성과 편익의 제고, 경제성을 충족하는 단일부재기술로, 발명의 실시나 시장진입에 용이토록 발명,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발끈의 말단부를 연속하여 끼워 고리형을 이루어 겹쳐지도록, 나란히 연설된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과, 신발끈의 단부를 당길 때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끼워진 신발끈의 궤적 상에 설치되는 역변위방지턱과, 젖히거나 당기면, 상기 신발끈의 조임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가 구비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를 발명하였다.
즉, 조여진 신발끈의 장력과 역변위방지턱간의 상호간 압력, 작용반작용력, 마찰력 등으로 힘의 평형과 해제가 되는 구조로, 신발끈의 단부를 외측으로 당겨 신발끈을 조이고, 조임해제조작부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젖히거나, 당겨서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일측에 신발끈삽입공, 역변위 방지턱, 조임해제조작부가 구비되고 일측 타단부측은 신발본체에 고정부착을 위한 구조, 즉 고정부착부를 갖는 일측형 신발끈조임해제구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반대측은 바느질을 포함하여, 끈(밴드)를 이용한 봉제, 리베팅, 초음파융착, 일체형 부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역변위방지턱은, 신발끈 등에도 상호대응되는 요철이나, 톱니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남는 신발끈의 후처리는 도 1b의 57d, 57e, 57f, 57g, 57h, 57i, 57j에 도시된 방법 외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2차신발끈삽입공(201, 202a, 202b, 203a, 203b)을 구비하여 도 2의 205, 206과 같이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다.
또, 도2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2차신발끈삽입공(215, 217)의 측면에 슬릿(slit)형의 개구부(216, 218)를 두어 신발끈의 말단부가 아닌 단부측 중간부에 신발끈을 측면으로 삽입토록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 도 3을 참조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신발에 다양한 방법 즉, 바느질, 봉제, 리베팅, 초음파 열융착, 기타 신발을 구성하는 부재에 일체형으로 연설되는 수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 본체에 고정, 부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고정부착부(도3의 60a, 60b, 60c, 60d, 60e)를 이용하여 신발본체, 특히 신발혀(shoe tongue)에 부착하여 신발끈을 체결하면 신발혀의 쳐짐이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 군화나 등산화와 같이 신발목이 긴 경우,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간부를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하면, 신발의 착탈시 편익이 제고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재의 탄성을 이용한 구조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앙부가 좌우측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신발끈이 겹쳐진 상태로 신발끈 이동궤적이 구속,안내되도록, 역변위방지턱의 외측에 신발끈가이드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단일성형물(one piec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니바디(Uni-Body)로 구성된 간결한 구조로 작동불량, A/S가 감소되고, 양산율, 생산성 제고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현저히 제고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하나의 신발끈삽입공에 2개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기 다른 방향(예를 들어 발등과 발목둘레 등)에서 삽입된 신발끈을 조이거나, 조임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조임해제조작부는 단일통공부로 이루어진 신발끈삽입공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일단부가 고정된 레버(lever)형태로 구성되어져;
소정각도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일소재의 원피스(one piece)타입이 바람직하나, 디자인과 작동성이 제고되도록 별도 소재,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신발끈이 풀어질 염려가 없고, 신발끈을 묶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신발끈의 단부를 외측으로 당겨 용이하게 신발끈을 조이고,
엄지나 검지 등으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조임해제조작부를 후방으로 당겨 신발끈의 조임이 풀리도록 하는 구조로, 기존 신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편익과 미관을 제고하는 효과와, 신발본체에 고정부착하게 되면, 신발혀의 쳐짐과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좌우형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일실시예이다.
도 1a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b는 실제 작동 및 신발끈의 후처리 실시예이며, 57c는 적은 힘으로, 일측의 신발조임을 해제하는 실시예이다.
도 2는 2차신발끈삽입공의 실시예이다.
도 2a는 또 다른 실시예로, 2차신발끈삽입공 및 측면 슬릿의 예시이다.
도 3은 신발본체에 바느질, 융착, 리벳팅, 봉제, 밴드(띠) 등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착부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간부가 좌우로 분리,결합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일단부형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실시예로, 59를 참조하면, 2개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되는 신발끈조임해제구가 도시되고 있다.
도 6은 중간지지대가 레버형으로 구비되는 좌우형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실시예이다.
도 6a는 중간지지대가 레버형으로 구비되는 일단부형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청구항과 관련하여 상술한다. 설명을 위해 실시와는 무관한 색상과, 3D모델링 도면 및 실물사진을 활용하였다.
도 1은 좌우형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이하, 신발끈조임해제구라 칭한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로, 10, 20, 30은 각각 좌우형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상측과 전면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40, 50은 신발끈이 체결된 상측 및 전면측 사시도로,
파지가 용이한 조임해제조작부(31), 상기 조임해제조작부의 횡측 길이방향 양측으로, 중간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각각 2개 이상 형성된 신발끈삽입공(11a,11b);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신발끈삽입공에는 신발본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양측 단부가 안쪽 삽입공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삽입된 후 상기 중간지지대의 상부면을 지나 다시 바깥쪽 삽입공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깥쪽 삽입공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안쪽 삽입공의 하부로 삽입되는 신발끈과 겹치도록(12a, 12b) 구성되어지되,
상기 신발끈삽입공의 바깥쪽 삽입공의 외측으로 끼위진 신발끈의 조임방향 경로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역변위방지턱(21a, 21b);과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신발끈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역변위방지턱의 외측에 형성되는 신발끈가이드턱(41a, 41b);이 단일성형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가 개시되고 있다.
삭제
즉,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 신발끈을 조이거나,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를 파지 후 상방으로 당기거나(31) 일측(31a, 31b)을 젖혀, 신발끈의 조임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신발끈조임해제구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이다.
이는, 신발끈이 신발구멍 및 고리 등에 체결되고,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조여진 신발끈의 장력과 역변위방지턱(직각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1개 이상의 돌기 등이 바람직하다.)간의 상호간 압력, 작용반작용력이 작용하는 구조로,
신발끈의 일단부, 혹은 양단부를 외측으로 당기면 신발이 조여지고,
조인상태에서는, 역변위방지턱과 겹쳐진 고리부분에 작용하는 신발끈의 장력, 압력, 마찰력에 의해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어, 쉽게 풀어지지 않으며,
신발끈을 풀거나, 조임해제시에는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조임해제조작부를 상향으로 젖히도록 구성되었다.
즉, 임의의 위치(중앙부나, 양단부)를 당기거나 젖혀, 조임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일측 단부(31a, 31b)를 젖히는 방식으로, 각각 좌우의 신발끈 조임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지레의 원리가 응용되어 적은 힘으로도 쉽게 작동된다. 한편, 도1의 중간지지대(15a, 15b)는 역변위방지턱(21a, 21b)보다 상부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측형 신발끈조임해제구에 대해서는 도 5등에서 후술키로 한다.
도 1a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기성신발에 적용이 용이하며, 도 1a의 51, 52, 55a, 55b와 같이 좌우형 신발끈조임해제구는, 중복되는 가운데 1개의 신발끈삽입공을 포함하여, 3개의 신발끈삽입공으로도 소기의 목적달성이 용이하다.
도 1b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실시예로 신발끈 조이기(57a), 신발끈이 조여진 상태(57b), 일측의 신발끈만 느슨하게 하는 실시예(57c)와, 남는 신발끈의 다양한 후처리 및 연출예가 57d, 57e, 57f, 57g, 57h, 57i, 57j에 도시되고 있다. 즉, 신발끈 단부를 신발의 신발갑피내측으로 숨기거나, 중복 체결하거나, 외부노출 등 다양한 후처리가 용이하다.
또, 특히 상측 중앙부나, 일측에, 광고 및 완성신발업체의 브랜드로고 표현(도 2의 210, 211참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도 5의 58a, 58b를 참조하면,
일측은 신발본체에 고정부착이 되도록 구비된 고정부착부;와 타측은 젖힘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부착부와 상기 조임해제조작부 사이에 중간지지대를 두고 2개 이상 형성된 신발끈삽입공;를 구비하되,
상기 신발끈삽입공에는 신발본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일단부가 고정부착부쪽 삽입공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삽입된 후 상기 중간지지대의 상부면을 지나 다시 조임해제조작부쪽 신발끈삽입공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하부로 삽입되는 신발끈과 겹치도록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신발끈삽입공의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외측으로 끼위진 신발끈의 조임방향 경로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역변위방지턱;과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신발끈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역변위방지턱의 외측에 형성되는 신발끈가이드턱;이 단일성형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형 신발끈조임해제구가 개시되고 있다.
즉,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일측은 고정부착부(도3의 60d, 60e)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바느질, 끈(밴드)를 이용한 봉제, 리베팅, 초음파융착, 일체형 부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역변위방지턱은 신발끈 등에도 상호대응되는 요철이나, 톱니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일측은 상기 신발끈조임해제구의 구조를 구비하고, 타측은 신발본체에 고정부착을 위한 구조 즉, 고정부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남는 신발끈의 후처리는 도 1b의 57d, 57e, 57f, 57g, 57h, 57i, 57j에 도시된 방법외에 별도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2차신발끈삽입공(201, 202a, 202b, 203a, 203b)을 연설하여 도 2의 205, 206과 같이 기지런히 정리될 수 있다.
즉, 체결 후의 남는 신발끈 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별도의, 2차신발끈삽입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2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2차신발끈삽입공(215, 217)의 측면에 슬릿(slit)형의 개구부(216, 218)를 두어 신발끈의 말단부가 아닌 단부측 중간부에 신발끈을 측면으로 삽입토록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 도 3을 참조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고정부착부(60a, 60b, 60c, 60d, 60e)를 이용하여 신발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부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신발에 직접 바느질, 봉제로 부착되거나, 태그가 있는 끈 등을 이용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고정부착하거나, 리베팅, 초음파 열융착, 기타 신발을 구성하는 부재에 일체형으로 연설되는 수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 본체에 고정,부착될 수 있다.
특히 좌우형 신발끈조임해제구를 신발혀에 고정부착하게 되면, 신발혀(shoe tongue)의 쳐짐이나 뒤틀림이 방지된다. 즉, 도 3의 301, 302, 303, 304와 같이 신발본체에 고정부착이 용이토록 구비된 고정부착부(60a, 60b, 60c, 60d, 60e)를 이용하여, 신발혀의 소정위치에 고정부착하고, 도1b의 57d, 57e, 57f, 57g,57h, 57i의 예시와 같이, 신발끈을 체결하게 되면, 신발혀의 쳐짐이나 뒤틀림이 방지됨을 자명하게 알 수 있다.
한편, 군화나 등산화와 같이 목이 긴 신발일 경우,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앙부를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구성하면, 신발의 착탈시 편익이 더욱 제고된다.
다시 설명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앙부에서 좌우로 분리되어지되, 도 4의 예시와 같은 공지의 기술을 응용하여, 일측은 결합홈(결합요부:결합凹부)이 구비되고 타측은 결합턱(결합凸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 경우 좌우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앙부를 신발끈 겹침위치의 반대방향으로 당기거나,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결합을 좌우로 분리하여도 신발끈의 조임이 해제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즉, 도4의 401을 기본구성으로 하되, 도 4의 402, 403, 404과 같이 부재의 탄성을 이용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같은 방식은 각종 허리벨트나, 손목용체인, 모자 및 헬멧의 조임구나 물품의 묶음포장구로도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신발끈이 겹쳐진 상태로 신발끈의 이동이 구속,안내되도록, 신발끈가이드턱(도 1의 41a, 41b)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단일성형물(one piec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니바디(Uni-Body)로 구성된 간결한 구조로, 작동불량 및 A/S가 감소되고, 양산율, 생산성 제고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현저히 제고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5의 59를 참조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는 1개의 신발끈삽입공에 2개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기 다른 방향(예를 들어, 발등과 발목둘레 등)으로 신발끈을 조이거나, 조임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간지지대는, 단일통공부로 이루어진 각 신발끈삽입공 사이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유동되는 레버(lever)형태로 설치되어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실시예는, 도 6에서 일체형의 사출물로 구성된 전개 사시도(70a), 작동상태 사시도(70b, 70c)의 예시와 같이, 단일성형물(one piece)타입이 바람직하나, 디자인과 작동성이 제고되도록 별도 소재,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일통공부(71)는 도 6에서와 같이 폐곡면이 바람직하나, 신발끈의 삽입 및 체결편의를 위해 슬릿(slit)형태로 일부가 개방(도 6a)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또한 도 6a와 같이 일측형의 신발끈조임해제구로 실시될 때도 유용하다. 즉,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에 체결된 신발끈의 단부를 당겨 신발을 조이고, 미세한 조임의 해제시에는 신발끈이 휘감고 있는 중간지지대의 작동부(80c, 90c)를 유동시켜, 지레의 원리로 신발조임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이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10 : 상측 사시도 20 : 전면측 사시도 30 : 하측 사시도
40 : 신발끈이 체결된 상부 사시도 50 : 신발끈이 체결된 전면부 사시도
11a, 11b : 신발끈삽입공 12a, 12b : 신발끈 겹침부분
15a,15b : 중간지지대 21a, 21b : 역변위방지턱
31, 31a, 31b : 조임해제조작부 41a, 41b : 신발끈가이드턱
57a : 신발끈 조이기 57b : 신발끈이 조여진 상태
57c : 일측 신발끈풀기 60a, 60b, 60c, 60d, 60e : 고정부착부
71 : 단일통공부 72 : 레버(lever)형태의 중간지지대
70a : 일체형의 사출물로 구성된 전개도 70b, 70c : 작동상태도
80a : 레버형의 중간지지대 90a : 레버형의 중간지지대
80c, 90c: 레버형 중간지지대의 작동부

Claims (10)

  1. 파지가 용이한 조임해제조작부;,
    상기 조임해제조작부의 횡측 길이방향 양측으로,
    중간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각각 2개 이상 형성된 신발끈삽입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신발끈삽입공에는
    신발본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양측 단부가
    안쪽 삽입공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삽입된 후 상기 중간지지대의 상부면을 지나 다시 바깥쪽 삽입공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깥쪽 삽입공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안쪽 삽입공의 하부로 삽입되는 신발끈과 겹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신발끈삽입공의 바깥쪽 삽입공의 외측으로 끼위진 신발끈의 조임방향 경로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역변위방지턱;과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신발끈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역변위방지턱의 외측에 형성되는 신발끈가이드턱;이
    단일성형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2. 일측은 신발본체에 고정부착이 되도록 구비된 고정부착부;와
    타측은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조임해제조작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부착부와 상기 조임해제조작부 사이에 중간지지대를 두고 2개 이상 형성된 신발끈삽입공;를 구비하되,

    신발끈삽입공에는 신발본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일단부가 고정부착부쪽 삽입공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삽입된 후 상기 중간지지대의 상부면을 지나 다시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부착부쪽 신발끈삽입공의 하부로 삽입되는 신발끈과 겹쳐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신발끈삽입공의 조임해제조작부쪽 삽입공의 외측으로 끼위진 신발끈의 조임방향 경로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역변위방지턱;과
    상기 신발끈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신발끈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역변위방지턱의 외측에 형성되는 신발끈가이드턱;이
    단일성형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3. 제 1항과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발끈삽입공을 통과한, 신발끈의 남는 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1개 이상의, 2차신발끈삽입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신발혀(shoe tongue)의 소정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6. 제 1항에 있어서, 본 신발끈조임해제구의 중간부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일측은 결합홈;이 구비되고, 타측은 이에 대응하는 결합턱;이 구비되어,
    횡측 길이방향의 좌우로 분리 및 결합;이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7. 삭제
  8. 삭제
  9. 제 1항과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의 신발끈삽입공에 2개 이상의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10. 1항과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지지대는 단일통공부로 이루어진 신발끈삽입공 사이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유동되는 레버(lever)형으로 설치되어, 2개 이상의 신발끈삽입공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조임해제구.
KR1020140123550A 2013-09-21 2014-09-17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KR10154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50A KR101542328B1 (ko) 2013-09-21 2014-09-17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233A KR20140108091A (ko) 2013-02-27 2013-09-21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KR1020130112233 2013-09-21
KR1020140123550A KR101542328B1 (ko) 2013-09-21 2014-09-17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44A KR20150033544A (ko) 2015-04-01
KR101542328B1 true KR101542328B1 (ko) 2015-08-13

Family

ID=5305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50A KR101542328B1 (ko) 2013-09-21 2014-09-17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857A (zh) * 2016-02-05 2016-04-20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鞋子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207A (ja) * 1999-06-29 2001-01-23 Bauer It Spa 特に運動靴の紐締めつけデバイス
US20110016680A1 (en) * 2009-07-24 2011-01-27 Chao-Nan Chang Shoelace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207A (ja) * 1999-06-29 2001-01-23 Bauer It Spa 特に運動靴の紐締めつけデバイス
US20110016680A1 (en) * 2009-07-24 2011-01-27 Chao-Nan Chang Shoelace faste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857A (zh) * 2016-02-05 2016-04-20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鞋子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44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05432A1 (en)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JP2021000465A (ja) リールベースの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を含むようにフットウェアを後付け改装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709205B2 (en) Shoe lace 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lacing shoes
JP7418034B2 (ja) 履物閉鎖システム
US8056265B2 (en) Shoe tying aid and method
JP5352601B2 (ja) スポーツ用グローブ閉止システム
US20180116343A1 (en) Closure and fastening system for shoes
US776572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US20130160256A1 (en) Lace locking system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US9427045B1 (en) Shoelace tie assembly
KR101542328B1 (ko) 신발끈 조임 및 해제구
US20130097887A1 (en) Shoe closure system
US20080110003A1 (en) Shoelace holder
KR20140108091A (ko)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JP3223394U (ja) 靴紐係止具解除用のストラップ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WO2017164235A1 (ja)
KR10229825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WO2011157050A1 (zh) 鞋带穿系装置
JP3234117U (ja) 靴紐結束具
WO2017162863A1 (en) Buckle
TWM526834U (zh) 旁開式繩帶扣
WO2022056910A1 (zh) 自动穿脱鞋装置
JP2006122352A (ja) 履き脱ぎ容易な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