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36Y1 -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36Y1
KR200480336Y1 KR2020140005840U KR20140005840U KR200480336Y1 KR 200480336 Y1 KR200480336 Y1 KR 200480336Y1 KR 2020140005840 U KR2020140005840 U KR 2020140005840U KR 20140005840 U KR20140005840 U KR 20140005840U KR 200480336 Y1 KR200480336 Y1 KR 200480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hoe
hole
connection portion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512U (ko
Inventor
서지애
Original Assignee
서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애 filed Critical 서지애
Priority to KR2020140005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3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36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착용하여 발을 감싸는 신발;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상면에 배치되는 장식덮개; 및 상기 장식덮개를 상기 신발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SHOES HAVING REMOVABLE DECORATIVE COVER}
본 고안은 장식덮개를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구비된 장식덮개를 기존의 신발에 탈부착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신발로 다양한 이미지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고, 때가 묻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들이 걷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발을 보호하는 기능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이 있는 도구이다.
신발들 중에서 운동화의 경우, 끈이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보행 중에 발이 신발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근래 들어 신발은 발의 보호 및 기능 향상의 면을 넘어 사용자의 요구 및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가지의 신발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테면, 활동시 보행용으로 많이 착용하는 단화, 각종 운동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운동화,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패션화 등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신발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신발을 구매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착용하지 않는 동안 대개 신발장에서 오랫동안 보관 및 방치됨으로 낡아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흙길이 있는 공원과 비포장도로 등을 보행하면 더러워져 세탁으로 인해 신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사용자들은 신발의 디자인에 많은 부분 신경을 씀으로 신발의 디자인이 식상하게 되면 신발을 방치하거나 버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867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은 다양한 무늬 모양 및 색체를 가진 형태로 제작되는 장신부와, 장신부 저면에서 핀의 형태로 절곡하되, 끝단은 상부로 상승하는 상승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라운드지게 절곡한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승시키며, 상승된 부위에 체결부를 구성한 단면 형상이 판형, 원형 및 다각 형상으로 제작된 삽입핀부 및 장신부의 하단에 삽입핀부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한 상태로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 끼워지는 장신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보행시 외부의 물체들과 부딪히거나 빠르게 보행할 경우에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만 끼워져 이를 제외한 운동화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경우에 그대로 노출되어 신발에 대해 지저분한 이미지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867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구비된 장식덮개가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신발로 다양한 이미지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고, 때가 묻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은, 착용하여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장식덮개; 및 상기 장식덮개를 상기 신발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벨크로 파스너, 밴드, 스프링, 똑딱이 단추, 자석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폭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체결걸쇠; 상기 신발본체의 갑피에 고정되는 체결기둥; 및 상기 체결걸쇠와 상기 체결기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걸쇠 또는 상기 체결기둥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체인 또는 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덮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걸쇠는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에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걸쇠의 길이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걸쇠의 굵기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덮개의 가장자리 또는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가 통과하거나 삽입되는 체결고리 또는 체결관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은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구비된 장식덮개가 기존의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신발로 다양한 이미지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은 때가 묻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하나의 신발을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은 발광효과를 가지는 장식덮개로 인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은 특히 여성들이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의 신발로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신발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장식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복수개의 체결부끼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연결부의 길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체결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장식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복수개의 체결부끼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연결부의 길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의 체결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1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본체(110), 장식덮개(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본체(110)는 사람이 착용하여 발을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발본체(110)는 운동화, 슬리퍼, 구두, 샌들, 장화 등으로 지면을 딛고 걸을 때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신발본체(110)는 크게 밑창(111)과 갑피(112)로 구성될 수 있다.
밑창(111)은 지면에 직접 접촉을 하는 것으로, 필요시 그 상면에는 중창이나 깔창이 적층되어 사용자에게 보행시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대체로 쿠션감이 우수한 우레탄이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갑피(112)는 통상적으로 합성섬유나 가죽 등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외부는 가죽소재로 형성되고, 내부는 발등과 발가락이 접촉하므로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신발본체(110)는 운동화, 슬리퍼, 구두, 샌들, 장화 등에서 슬리퍼를 예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덮개(120)는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표면에 형성되어 신발본체(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덮개(120)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표면에 페인팅을 하여 마음에 드는 다양한 무늬를 새겨 넣을 수 있거나 자기 취향에 맞는 큐빅과 같은 장식을 붙일 수 있다. 장식덮개(120)는 표면에 새겨 넣은 다양한 무늬나 큐빅이 발광효과를 가질 수도 있어 디자인뿐만 아니라 식별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장식덮개(120)는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와 같이 합성섬유나 가죽 그리고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방수 또는 보온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장식덮개(120)는 합성섬유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의 표면에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장식덮개(120)는 크기가 작으면서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장식덮개(120)를 복수개 휴대한 상태에서 언제든지 자신의 복장 및 장소에 알맞도록 신발본체(110)의 디자인을 바꾸어서 다양한 미적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장식덮개(120)의 평면 모양은 대략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식덮개(120) 그 자체만으로도 장식 느낌을 줄 수 있다.
장식덮개(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121)가 형성되고, 관통구(121)에 형성되는 마감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덮개(120)의 관통구(121) 및 마감부(122)는 체결부(130)의 갯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부(122)는 펀칭 작업으로 장식덮개(120)에 복수개의 관통구(121)를 만들고, 복수개의 관통구(121)에 원통 형상의 금속을 각각 삽입한 후, 원통 형상의 금속 양단부를 옆으로 눕혀 장식덮개(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감부(122)는 자성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100)의 다른 실시예인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형성된 자석(140)과 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100)은 장식덮개(120)가 체결된 신발본체(110)를 일정시간 동안 사용한 다음, 장식덮개(120)에 형성된 디자인이 식상하거나 변색 또는 복장 및 장소에 알맞지 않을 경우 또는 장식의 일부가 떨어질 경우에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시킬 수 있다.
교체할 장식덮개(120)는 체결부(130)를 통해 신발본체(110)와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킨 후, 신발본체(110)로부터 장식덮개(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새로운 무늬 또는 새로운 장식 그리고 복장 및 장소에 알맞은 장식덮개(120)는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130)를 통한 체결로 인해 신발본체(110)와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체결부(130)는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부착하거나 신발본체(110)에서 장식덮개(120)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0)는 체결걸쇠(131), 연결부(132) 및 체결기둥(13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걸쇠(131)는 폭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즉,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걸쇠(131)는 장방향 모양 뿐만 아니라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걸쇠(131)의 형태는 그 굵기가 관통구(12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길이는 관통구(121)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체결걸쇠(131)는 일단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체결걸쇠(131)를 기울여서 타단부를 장식덮개(120)의 관통구(121)를 통과시키고, 장식덮개(121)의 이면(하면) 즉, 마감부(122)의 하면에 삽입하여 밀어서 장식덮개(120)의 표면에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체결걸쇠(131)의 타단부는 다른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로 잡아당겨 나머지 일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체결걸쇠(131)는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에 걸린 상태로 마감부(122)에 밀착되어 신발본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디자인이 식상하거나 변색 등 여러 가지의 이유로 장식덮개(120)를 교체할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된 체결걸쇠(131)의 일단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기울여서 타단부를 장식덮개(120)의 표면(상면) 즉, 마감부(122)의 상면에 삽입하여 밀어서 관통구(121)를 통과시켜서 장식덮개(120)의 하면 쪽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내부로 삽입된 체결걸쇠(131)의 타단부는 다른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내부로 잡아당겨 나머지 일단부를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걸쇠(131)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신발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장식덮개(120)는 새로운 장식덮개를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다시 신발본체(1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걸쇠(131)의 길이는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에 체결된 체결걸쇠(131)가 보행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체결걸쇠(131)는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체결하기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주기 위한 장신구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체결걸쇠(13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원통형, 다각형, 타원형, 별 등 다른 형상으로도 바뀔 수도 있다.
연결부(132)는 복수개로 엮어서 일단은 체결걸쇠(131)의 일면 또는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부(132)는 복수개의 고리를 서로 엮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에 형성된 고리가 체결걸쇠(13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32)는 체결걸쇠(131)와 함께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일부를 다른 형상의 연결부로 변형하여 엮을 수도 있다.
연결부(132)는 체인, 링, 밴드, 고무줄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2)는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장착하는 효과를 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132)가 체인모양 또는 복수개의 고리를 연결한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부(132)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져야 체결되는 장식덮개(120)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기둥(133)은 기둥 형상으로,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일단이 고정되고, 연결부(132)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기둥(133)은 일단이 외력으로 인해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타단에는 구멍이 형성되되, 체결걸쇠(131)에 결합된 연결부(132)의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이 구멍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기둥(133)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은 연결부(13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부(132)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장식덮개(120)와 신발본체(110)의 체결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체결기둥(133)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부(132)가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부(132)가 체결기둥(133)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보다 유연하게 체결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체결부(130)는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장식덮개(120) 없이 복수개의 체결부(130)끼리 결합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체결부(130)는 보행시 신발본체(110)에 체결된 장식덮개(120)가 외부의 물체들과 부딪히거나 빠르게 보행할 경우에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데 체결부(13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체결부(130) 중 하나가 분리되더라도 나머지 체결부(130)로 인해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에 체결된 상태가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0)의 길이조절은 연결부(132)를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32)는 제1연결부(132a)와 제2연결부(132b)로 나뉠 수 있다.
제1연결부(132a)의 직경이 제2연결부(13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연결부(132b)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2a)는 양단부에 홈이 형성되되, 제2연결부(132b)가 삽입되는 각각의 끝단부에 나사산 형상의 제1돌출부(132a')가 복수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132b)는 제1연결부(132a)에 삽입되는 양단부에 제1연결부(132a)의 제1돌출부(132a')에 대응되는 제2돌출부(132b')가 복수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132b)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1연결부(132a)에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의 삽입을 통해 체결부(130)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132)는 복수개의 연결부(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만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전체의 연결부(132)에 대해서 길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만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같은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연결부(132) 전체보다 소수의 연결부만 조절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길이조절이 가능한 체결부(130)로 인해 본 고안은 관통구(121) 또는 마감부(122)의 위치가 상이한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부(130)를 통해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변형될 수 있거나, 붙였다 떼었다가 가능한 벨크로 파스너, 자석, 지퍼 또는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도 변형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복수개로 신발본체(110)에 장식덮개(120)를 체결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체결부(130)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크로 파스너 등의 다른 체결도구가 채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걸쇠(131)는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에 연장부(131a)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걸쇠(131)는 연결부(132)가 결합되는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부(131a)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결걸쇠(131)는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에 밀착되는 연장부(131a)가 위에서 마감부(122)를 누르고, 연장부(131a)가 연장 형성되는 일면이 마감부(122)에 밀착으로, 누름과 밀착을 통해 체결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걸쇠(131)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는다면 장식덮개(1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장식덮개(120)는 신발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심미감을 주는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에 체결되어 다양한 신발을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장식덮개(120)를 이용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연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가방 또는 의류 등에도 체결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본체(110)는 갑피(112)에 원판 형상의 자석(140)이 복수개로 고정될 수 있다.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고정된 자석(140)은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와 동일하게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는 자석(140)과의 사이에서 자력이 발생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덮개(120)는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어긋나게 배치될 경우에 일정한 간격으로만 유지되어도 자성체인 마감부(122)와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고정된 자석(140)의 자력으로 인해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자석(140)과 마감부(122)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져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자석(140)은 신발본체(110)에 체결되는 장식덮개(120)의 마감부(122)로부터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행하는 과정에서 자석(140)이 외부의 물체들과의 부딪힘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자석(140)으로 인해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신발본체(110)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길쭉하게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고무자석이나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등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다이아몬드 모양의 장식덮개(120)는 복수개의 끝단에 링 형상의 체결고리(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식덮개(120)의 가장자리 또는 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고리(123)는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체결된 체결부(130)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고리(123)는 링 형상으로 유연성을 갖는 끈이나 고무줄, 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밴드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체결부(130)와 함께 밴드로 이루어진 체결고리(123)로 인해 각각의 길이조절을 통해 위치가 상이한 장식덮개(120)가 신발본체(11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는, 체결고리(123)가 도 7에 도시한 자성체로 이루어진 마감부(12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고정된 복수개의 자석(140)과 체결될 수 있다.
자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고리(123)는 신발본체(110)의 갑피(112)에 고정된 복수개의 자석(140)에 일정한 간격으로만 유지되어도 자석(140)과의 사이에서 자력이 발생되어 자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자석(140)과 체결고리(123)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져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장식덮개(120)가 체결부(130)를 통해 신발본체(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장식덮개(120)를 신발본체(110)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거는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장식덮개의 가장자리 쪽, 예를 들면 상기 체결고리(123)가 붙은 곳에 체결고리 대신 체결관(작은 파이프 모양)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관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신발본체(110)에 구비하여 체결핀으로 형성되는 체결부(130)를 상기 체결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장식덮개를 신발본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110 : 신발본체
111 : 밑창 112 : 갑피
120 : 장식덮개 121 : 관통구
122 : 마감부 123 : 체결고리
130 : 체결부 131 : 체결걸쇠
131a : 연장부 132 : 연결부
132a : 제1연결부 132a' : 제1돌출부
132b : 제2연결부 132b' : 제2돌출부
133 : 체결기둥 140 : 자석

Claims (10)

  1. 착용하여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
    다양한 무늬 또는 장식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장식덮개; 및
    상기 장식덮개를 상기 신발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본체의 갑피에 고정되는 체결기둥;
    상기 체결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기둥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관통구로 통과되어 상기 관통구와 체결되는 체결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기둥은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신발본체의 갑피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체결기둥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상기 체결걸쇠의 일면에 대응되는 상기 체결걸쇠의 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체결걸쇠의 몸체 보다 두께가 얇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마감부에 밀착되고 상기 마감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벨크로 파스너, 밴드, 스프링, 똑딱이 단추, 자석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체인 또는 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걸쇠의 길이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걸쇠의 굵기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양단부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의 홈의 직경이 상기 제2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덮개의 가장자리 또는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가 통과하거나 삽입되는 체결고리 또는 체결관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KR2020140005840U 2014-08-04 2014-08-04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KR200480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40U KR200480336Y1 (ko) 2014-08-04 2014-08-04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40U KR200480336Y1 (ko) 2014-08-04 2014-08-04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12U KR20160000512U (ko) 2016-02-15
KR200480336Y1 true KR200480336Y1 (ko) 2016-05-12

Family

ID=5535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40U KR200480336Y1 (ko) 2014-08-04 2014-08-04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3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29Y1 (ko) * 2003-05-02 2003-09-29 장기선 팔찌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29Y1 (ko) * 2003-05-02 2003-09-29 장기선 팔찌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12U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TWI489953B (zh) 具有可換式趾部及跟部構件或其他裝飾的鞋類,服裝及其它衣著以及相關的方法及系統
US20090038181A1 (en) Footwear with detachable straps
US20100011623A1 (en) Replaceable ornament for flip-flop sandal
US7877903B2 (en) Interchangeable shoe-forming assembly
CN106488715B (zh) 一种模块化鞋子
US9609903B2 (en) Transition insoles
US20100186258A1 (en) Shoe and boot construction with attachable components
US20100184349A1 (en) Toy for mounting on a child's shoe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US10582738B2 (en) Shoe system
US20150143724A1 (en) Modifiable Footwear Cover
KR200480336Y1 (ko)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WO2013058805A1 (en) Shoe with attachable fashion accessories
KR100575601B1 (ko) 기능성 구두 뒷굽
JP3151863U (ja) パンプス用ホルダー
KR200489236Y1 (ko) 신발용 악세서리
US20170340065A1 (en) Crystal Hook
US20120324765A1 (en) Shoe Converters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JP3159178U (ja) 多様なスタイルの変化が可能な靴の装飾物及び固定構造
KR200431311Y1 (ko)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KR200471213Y1 (ko) 신발 결속구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AU2005100286A4 (en) Improved fashion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