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049B1 -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049B1
KR102052049B1 KR1020170064520A KR20170064520A KR102052049B1 KR 102052049 B1 KR102052049 B1 KR 102052049B1 KR 1020170064520 A KR1020170064520 A KR 1020170064520A KR 20170064520 A KR20170064520 A KR 20170064520A KR 102052049 B1 KR102052049 B1 KR 10205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derwater
pirate
pirates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069A (ko
Inventor
장선웅
Original Assignee
(주) 아이렘기술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렘기술개발 filed Critical (주) 아이렘기술개발
Priority to KR102017006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0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01K80/005Sleds running on the bottom for catching ground-living or underground-living aquatic 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6Equipment for hunting fish under water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이 포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발부;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로 구성된 포집장치가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한다.

Description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Underwater starfish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적생물의 표적 설정이 손쉽고 채집 후 분쇄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적생물의 채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해적생물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어 해적생물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가사리, 성게가 굴, 전복, 바지락 등 패류 양식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불가사리류는 자유 생활을 하는 해산 저서동물로 저서생태계 내에 서식하는 초대형 저서동물 생체량 중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분류군이다.
불가사리류는 해양의 저서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상위의 생태적 지위를 가진 저서생물로 높은 포식력으로 인해 패류 양식에 피해를 끼쳐 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불가사리는 대부분의 종이 5개의 팔을 방사 대칭형으로 뻗고 있으며, 팔은 재생력이 강하여 팔 하나가 잘려져도 다시 자란다. 불가사리의 외형은 극피 동물의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외골격 뒤는 관족으로 덮여 있어 사냥감을 감싸 안고 소화액을 내어 먹이를 먹는다.
이렇듯 불가사리는 외상에도 재생 능력이 뛰어나고, 자체 천적이 없는 종이기 때문에 그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전라남도 여자만 일대에서만 해도 연간 양식패류의 30~40%인 3천톤의 패류를 불가사리가 포식하면서 해양생물 생존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저인망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는, 해저를 훑어내어 해저환경 파괴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포획선에 한하여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포획선을 이용한 불가사리 구제장치를 이용하여 예인부에 로프를 연결해 선박으로 롤러구제수단을 예인(曳引)하여 해저를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불가사리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가사리를 짧은 시간에 다량으로 포획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롤러구제수단을 해저에서 굴림 회전시켜 불가사리를 포획하고자 하나 불가사리 이외의 다른 해양 자원까지 포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 불가사리 제거 작업은 인력을 통해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수작업은 잠수부가 직접 수중으로 들어가 손으로 구제하는 방법을 통해 불가사리 퇴치 작업이 진행되나, 잠수 작업의 한계 즉 수압 및 잠수시간 등의 여러 악조건에 의해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379027호,(2003.03.25.) 공개특허 제2007-0111077호,(2007.11.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의 표적 설정이 손쉽고 채집 후 분쇄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적생물의 채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해적생물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어 해적생물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을 채집하는 작살촉 및 이를 발사하는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 등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해적생물의 포획 능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을 채집하기 위한 수중 드론의 정밀한 운전이 필요없이 발사수단의 위치 조정을 통해 해적생물의 표적 추적이 보다 손쉬워 운전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이 포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발부;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로 구성된 포집장치가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발부는 틀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둘레에 포장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그물과,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채집부와 분쇄부를 지지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집부는 발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발사수단을 통해 내부공간에 설치한 작살촉을 발사하여 해적생물을 찔러 포획한 다음 작살촉을 이용하여 해적생물을 내부공간으로 인입시킬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집장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작살촉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해적생물을 내부공간의 통공 입구에 설치된 칼날에 의해 해적생물을 절단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발부는 양측단부 중 통공이 형성된 단부 반대쪽 단부가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집부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은 프레임에 지지되어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사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연동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외주연에 나사 체결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통해 제1하우징이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쇄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통공의 입구측 내부공간에 복수의 칼날을 설치하여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작살촉에 포획된 해적생물이 의해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 칼날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발사수단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제3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직진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살촉은 상기 제1하우징에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에 하나 이상으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된 서브바와, 상기 서브바 끝단에 형성된 바늘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된 환형의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작살촉의 후진 이동시 분기된 복수의 작살촉이 가이드부재에 안내되면서 벌어진 각도가 좁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이 포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발부;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로 구성된 포집장치가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한다.
이를 통해, 해적생물의 표적 설정과 포획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발사수단과 분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해적생물을 채집 후 분쇄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적생물의 채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해적생물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어 해적생물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을 채집하는 작살촉 및 이를 발사하는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 등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해적생물의 포획 능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해적생물을 채집하기 위한 수중 드론의 정밀한 운전이 필요없이 발사수단의 위치 조정을 통해 해적생물의 표적 추적이 보다 손쉬워 운전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발사수단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을 발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승강장치를 통해 발사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수중드론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종래기술의 불가사리 구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a,b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발사수단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을 발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승강장치를 통해 발사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의 작살촉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를 수중드론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같이,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10)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114)이 포장되어 내부공간(10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01)의 일측에 통공(115)이 형성되는 통발부(100);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200);로 구성된 포집장치(10)가 수중드론(11)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200)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한다.
즉, 수중드론(11)이 해저를 운항하면서 송출된 화면을 통해 해적생물의 표적 위치를 확인하면 수중드론(11)의 운항 추진력을 발생시켜 날카로운 작살촉(210)이 해적생물을 찔러 잡도록 한다.
상기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10)는 채집부(200)와 분쇄부(30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채집부(200)는 작살촉(210)을 발사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해적생물 포획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포획된 해적생물을 통발부 내부공간으로 내입시켜 별도로 포집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쇄부(300)는 통발부(100) 내부에 포획된 해적생물을 절단 및 분쇄하여 생존 확률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통발부(100)는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114)이 포장되어 내부공간(10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01)의 일측에 통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채집부(200)는 상기 내부공간(101)에 설치한 작살촉(210)을 발사하여 해적생물을 찔러 포획한 다음 작살촉(210)을 내부공간(101)으로 인입시킨다.
상기 분쇄부(300)는 상기 작살촉(210)에 의해 내부공간(101)으로 인입된 해적생물을 내부공간(101)의 통공(115) 입구에 설치된 칼날(310)에 의해 해적생물을 절단시킨다.
즉, 해적 생물의 위치가 파악되면 채집부(200)가 통발부(100) 외부로 작살촉(210)을 발사하여 해적생물을 포획한 다음 작살촉(210)을 통발부(100) 내부로 이동시켜 해적생물을 통발부(100) 내부로 인입시킨 후 분쇄부(300)를 통해 포획된 해적생물을 분쇄한다.
분쇄된 해적생물은 통발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수중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 육지에서 말려 재생 능력 또는 생명력을 원천적으로 상실시킨다.
상기 포집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통발부(100)는 틀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1)과, 상기 제1프레임(111)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프레임(112)과, 상기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 둘레에 포장되어 내부공간(101)을 갖는 그물(114)과, 상기 제1프레임(111) 또는 제2프레임(112)에 연결되어 상기 채집부(200)와 분쇄부(300)를 지지하는 제3프레임(113)로 구성한다.
즉, 환형의 틀 형태로 형성된 제1프레임(111)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직선으로 길이를 갖는 제2프레임(112)이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2프레임(112)에 수직으로 제3프레임(113)을 연결하여 상기 채집부(200)와 분쇄부(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둘레에 그물(114)을 포장하여 최종적으로 통발 형태를 갖는다.
또한, 그물(114)의 일측은 통공(115)이 형성되어 내부공간(101)과 연통되도록 하여 작살촉(210)이 내부공간(101)에서 통공(115)을 통해 내외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통발부(100)는 양측단부 중 통공(115)이 형성된 단부 반대쪽 단부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통발부(100) 내부공간(101)에 분쇄된 상태로 포획된 해적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반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채집부(200)는 상기 작살촉(210)을 통공(115)을 내부와 외부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발사수단(22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230)으로 구성한다.
먼저, 상기 발사수단(22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221)과, 상기 구동수단(2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드(222)와, 상기 로드(222)를 수용하는 장공(224a)이 형성되어 연동하는 제1하우징(223)과, 상기 제1하우징(223)의 외주연에 나사 체결되는 제2하우징(224)으로 구성하여 상기 구동수단(221)의 회전력을 통해 제1하우징(223)이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221)은 전기적 구동 방법을 갖는 엑츄에이터가 적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로드(222)는 구동수단(22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로드(222)의 끝단에는 직립된 방향으로 돌출턱(222a)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1하우징(223)은 끝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장공(224a)이 형성되어 로드(222)와 돌출턱(222a)이 내입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로드(222)의 일부분과 돌출턱(222a)은 장공(224a)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24)은 내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제1하우징(223)의 외주연과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렇게, 구성된 발사수단(220)은 구동수단(221)의 회전력이 로드(222)로 전달되고 제1하우징(223)은 로드(222)와 연동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2하우징(224)에서 제1하우징(223)이 회전되면서 나사 체결에 의한 리드 이동한다.
여기서, 구동수단(2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하우징(223)의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223)의 일측 단부에는 작살촉(210)이 결합된다.
상기 작살촉(210)은 상기 제1하우징(223)에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메인바(211)와, 상기 메인바(211)에 하나 이상으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된 서브바(212)와, 상기 서브바(212) 끝단에 형성된 바늘(213)로 구성한다.
여기서, 서브바(212)가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서브바(212)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사부는 구동수단(221)의 회전력을 통해 제2하우징(224)에 나사 체결된 제1하우징(223)이 직선 이동하여 통발부(100)의 통공(115) 외부로 작살촉(210)을 노출시킨다.
이때, 작살촉(210)은 제1하우징(223)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동시에 직선 이동하여 바늘(213)을 통해 해적생물을 찔러 포획한다.
해적생물 포획 이후 구동수단(22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공(115) 외부로 노출시킨 제1하우징(223)과 작살촉(210)을 통발부(100) 내부공간(101)으로 직선 이동시켜 포획된 해적생물이 통발부(100)의 통발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수납시킨다.
여기서, 작살촉(210)의 이동 과정에서는 회전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통공(115) 입구에 설치된 분쇄부(300)에 의해 해적생물이 분쇄되면서 내부공간(101)으로 절단된 해적생물을 포집한다.
상기 분쇄부(300)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통공(115)의 입구측 내부공간(101)에 복수의 칼날(310)을 설치하여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작살촉(210)에 포획된 해적생물이 내부공간(101)으로 인입되면 칼날(310)에 의해 절단 및 분쇄된다.
특히, 상기 제2프레임(112)과 연결된 환형의 가이드부재(214)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14)는 복수의 작살촉(210)이나 포획된 해정생물이 통공(11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작살촉(210)의 후진 이동시 분기된 가이드부재(214)에 안내되면서 벌어진 각도가 좁아지면서 후진 이동한다.
즉, 복수의 작살촉(210) 해적생물을 포획하고 난 후의 각도가 A°로 유지하다가 내부공간으로 내입되면서 가이드부재에 의해 각도가 a°로 좁아진다.
이는, 통발부(100) 내부로 해적생물을 포획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해적생물이 군집되거나 위치되는 장소가 해저의 바위, 바닥 등 다양한 해저 지형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살촉(210)이 해당 해적생물을 보다 쉽게 표적하기 위해 발사수단(22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승강수단(230)은 상기 발사수단(220)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제3프레임(113)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프레임(232)과, 상기 제4프레임(232)을 이동시키는 직진수단(233)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3프레임(113)은 통발부(100)의 제2프레임(11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프레임(232)은 제3프레임(113) 내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4프레임(232)의 일단이 발사수단(220) 외주연에 힌지 연결된다.
아울러, 제3프레임(113)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엑추에이터로 적용되는 직진수단(233)이 내장되고, 상기 직진수단(233)은 제4프레임(232)과 타단과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승강수단(230)은 한 쌍의 제4프레임(232)의 수직 이동 거리 만큼 발사수단(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제4프레임(232)의 수직 이동 거리를 차별시키면 발사수단(22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작살촉(210)의 상중하 표적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10)는 수중 드론(11)에 탑재되어 수중 이동한다.
즉, 원격 조정이 가능한 수중 드론(11)은 조정자와 협업하여 다양한 수중 작업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수중 드론(11)은 단순한 탐사 목적을 갖는 것으로 원격 조정과 제동 제어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작업을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해적생물이 군집되어 있는 해양 지역에 수중 드론(11)을 주행시켜 포집장치(10)를 통해 해적생물을 포획한다.
구체적으로 수중 드론(11)을 통한 해적 생물의 포획 과정은 아래와 같다.
조정자가 배에서 수중 드론(11)을 바다로 투입시킨 후 조정자가 불가사리를 발견할 때까지 수동으로 원격 조정하거나, 해적 생물이 군집한 해양 GPS 좌표값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수중 드론(11)이 좌표 값을 찾아가는 수중 운항하도록 한다.
이후, 조정자가 수중드론에서 송출한 화면을 확인하여 해적생물 유무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수중 상태를 실시간 송출 화면을 확인하면서 조정자는 포집장치(10)를 이용하여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중 드론(11)과 연계하여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10)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해적생물이 화면으로 송출되면 조정석에서 신호를 인가시켜 전기적으로 발사수단(220)을 구동시킨다.
이때, 포획 대상인 해적생물의 표적 각도 위치 등이 포집장치(10)의 작살촉(210)과 일치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작살촉(210)의 위치가 해적생물의 표적 위치가 불일치할 경우 승강수단(230)을 통해 발사수단(220)의 높이와 각도 등의 위치를 변경하여 해적생물과 작살촉(210)의 위치를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조정석의 발사 신호를 인가하면 구동수단(221)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프레임(111)이 제2프레임(112)에 나사 체결에 의해 회전 및 직선 이동하여 통공(115)을 통과하여 해적생물을 찔러 작살촉(210)에 채집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해적생물을 포집한 이후에는 구동수단(221)을 통해 회전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프레임(111)을 후진 이동시킨다.
이때 작살촉(210)은 연동하여 후진 이동하면서 회전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통발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작살촉(210)과 채집된 해적생물이 내입되는 시점에서 통공(115) 입구에 설치된 칼날(310)에 의해 해적생물이 절단 및 분쇄된다.
여기서, 상기 작살촉(210)의 후진 이동시 분기된 가이드부재(214)에 안내되면서 벌어진 각도가 좁아지면서 후진 이동한다. 이는 복수의 작살촉(210)이나 포획된 해적생물이 통공(11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통발부(100) 내부에 절단된 해적생물은 추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상기 통발부(100)는 양측단부 중 통공(115)이 형성된 단부 반대쪽 단부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의 표적 설정과 포획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발사수단과 분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해적생물을 채집 후 분쇄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해적생물의 채집 능력을 향상시키고 해적생물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어 해적생물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는 해적생물을 채집하는 작살촉 및 이를 발사하는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 등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해적생물의 포획 능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해적생물을 채집하기 위한 수중 드론의 정밀한 운전이 필요없이 발사수단의 위치 조정을 통해 해적생물의 표적 추적이 보다 손쉬워 운전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포집장치 11 : 수중 드론
100 : 통발부 101 : 내부공간
110 : 프레임 111 : 제1프레임
112 : 제2프레임 113 : 제3프레임
114 : 그물 115 : 통공
200 : 채집부 210 : 작살촉
211 : 메인바 212 : 서브바
213 : 바늘 214 : 가이드부재
220 : 발사수단 221 : 구동수단
222 : 로드 222a : 돌출턱
223 : 제1하우징 224 : 제2하우징
224a : 장공 230 : 승강수단
232 : 제4프레임 233 : 직진수단
300 : 분쇄부 310 : 칼날

Claims (11)

  1.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이 포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발부;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로 구성된
    포집장치가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하되,
    상기 채집부는 발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발사수단을 통해 내부공간에 설치한 작살촉을 발사하여 해적생물을 찔러 포획한 다음 작살촉을 이용하여 해적생물을 내부공간으로 인입시킬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사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연동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외주연에 나사 체결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통해 제1하우징이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부는,
    틀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둘레에 포장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그물과,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채집부와 분쇄부를 지지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 생물 포집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작살촉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해적생물을 내부공간의 통공 입구에 설치된 칼날에 의해 해적생물을 절단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부는 양측단부 중 통공이 형성된 단부 반대쪽 단부가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은 프레임에 지지되어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통공의 입구측 내부공간에 복수의 칼날을 설치하여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작살촉에 포획된 해적생물이 의해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9. 틀 형태의 프레임에 그물이 포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발부; 및
    해적생물을 포획하는 채집부;로 구성된
    포집장치가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운항 추진력에 의해 채집부가 표적한 해적생물을 찔러 채집하되,
    상기 통발부는,
    틀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둘레에 포장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그물과,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채집부와 분쇄부를 지지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채집부는 발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발사수단을 통해 내부공간에 설치한 작살촉을 발사하여 해적생물을 찔러 포획한 다음 작살촉을 이용하여 해적생물을 내부공간으로 인입시킬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집부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을 프레임에 지지되어 발사수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발사수단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3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직진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촉은,
    상기 제1하우징에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에 하나 이상으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된 서브바와,
    상기 서브바 끝단에 형성된 바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된 환형의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작살촉의 후진 이동시 분기된 복수의 작살촉이 가이드부재에 안내되면서 벌어진 각도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20170064520A 2017-05-25 2017-05-25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205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20A KR102052049B1 (ko) 2017-05-25 2017-05-25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20A KR102052049B1 (ko) 2017-05-25 2017-05-25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69A KR20180129069A (ko) 2018-12-05
KR102052049B1 true KR102052049B1 (ko) 2019-12-04

Family

ID=6474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20A KR102052049B1 (ko) 2017-05-25 2017-05-25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2846A1 (en) * 2020-08-27 2022-03-03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Underwater drone for harvesting marine sponges and method for harvesting marine spon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667B1 (ko) 2018-10-26 2022-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밸런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CN110371292A (zh) * 2019-06-25 2019-10-25 天津大学 一种无人机捕获回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616B1 (ko) * 1999-11-04 2002-04-17 한성희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KR100379027B1 (ko) 2001-07-09 2003-04-07 대한민국 롤러형 연속식 불가사리 구제장치
KR100424093B1 (ko) * 2002-01-17 2004-03-2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20070111077A (ko) 2006-05-16 2007-11-21 한재명 바다 속 불가사리 포집 시스템 및 불가사리 포집기
KR20090012345U (ko) * 2008-05-29 2009-12-03 김수호 모니터 작살낚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4B1 (ko) 2015-08-13 2015-12-31 김태심 자동 작살낚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2846A1 (en) * 2020-08-27 2022-03-03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Underwater drone for harvesting marine sponges and method for harvesting marine spo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69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049B1 (ko)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CA2410582A1 (en) Device for harvesting of and tending to shells and for cleaning of an associated shell collector in water
DE102012008074A1 (de) Bergeverfahren zum Bergen eines Unterwasserfahrzeugs, Bergevorrichtung, U-Boot mit Bergevorrichtung, Unterwasserfahrzeug dafür und System damit
CN105722385B (zh) 海藻养殖系统
US1161735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Jantzen et al. Reproductive behavior in the squid Sepioteuthis australis from South Australia: interactions on the spawning grounds
EP2663487A1 (de) Tiefseevorrichtung zur bergung zumindest eines tiefseeobjekts
Jeffs et al. Swimming behaviour of the puerulus of the spiny lobster, Jasus edwardsii (Hutton, 1875)(Decapoda, Palinuridae)
Hunt et al. The behaviour of Loligo opalescens (Mollusca: Cephalopoda) as observed by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CN204056236U (zh) 一种水葫芦收割打捞船
CN107873658A (zh) 遥控海参采捕机器人
KR100964499B1 (ko)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Slattery et al. Deposit feeding: a novel mode of nutrition in the Antarctic colonial soft coral Gersemia antarctica
Kilpatrick et al. Autonomous video camera system for monitoring impacts to benthic habitats from demersal fishing gear, including longlines
RU996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борк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методом очеса при прямом комбайнировании
Trujillo et al. Escape response kinematics in two species of tropical shark: short escape latencies and high turning performance
CN110558254B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养殖清理方法及其系统
CN207911834U (zh) 一种水生动物诱食诱捕装置
KR100996694B1 (ko)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CN206699198U (zh) 一种察捕一体的猎鱼机及猎鱼装备
CN104041432B (zh) 海珍品底播方法及其专用底播装置
CN204110326U (zh) 一种水草切割装置
CN110209155A (zh) 用于农割作业机器的图像采集装置及其处理方法
Murphy Evaluation of fishing gears modified to reduce ecological impacts in commercial fisheries
CN104855344B (zh) 一种基于小型船体的半机械化海产品捕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