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499B1 -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499B1
KR100964499B1 KR1020100007101A KR20100007101A KR100964499B1 KR 100964499 B1 KR100964499 B1 KR 100964499B1 KR 1020100007101 A KR1020100007101 A KR 1020100007101A KR 20100007101 A KR20100007101 A KR 20100007101A KR 100964499 B1 KR100964499 B1 KR 10096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mage
unit
di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우
최호익
곽승근
곽승수
Original Assignee
곽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102010000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분사물이 분사되는 분사부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선상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물은 고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와,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들고있는 다이버가 장착하는 것으로 선상에서와의 교신이 가능한 교신수단이 구비된 잠수용 마스크와, 그리고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고, 다이버와의 교신이 가능한 지상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APPARATUS ASSEMBLY FOR REMOVING THE ARMHFUL LIVING ORGANISM}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수를 분사하여 수중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해생물제거장치와, 다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와, 그리고 선상에서 수중 상황을 모니터링 하면서 지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상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유해생물 제거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녹음 현상을 극복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대책 방안의 하나로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바다숲 조성 사업은 갯녹음 해역내 인공 구조물인 해중림초에 해조류를 직접이식하는 방법인 종묘이식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과 산란, 성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연안 정착성 수산생물은 물론 회유성 어류를 모이게 하여 생산성이 저하된 어장의 생산력 증강 뿐만 아니라 어장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이다.
어장을 형상함에 있어 특히 해조류는 바다 연안의 일차생산자로서 과다한 영양염 흡수 및 이용, 용존산소의 대량 생산 및 탄소 고정 등 연안의 기초생산력의 증대와 어류의 산란장, 은신처 및 육성장 등 유용 수산자원의 번식과 성장을 위한 수단 생물의 보육장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식성의 전복, 소라, 고둥류, 자라돔, 쥐돔 등 유용 생물 자원의 먹이 역할을 하며 식용, 의약품 및 기능성 물질 활용 등 고부가 가치 수산자원으로의 어업인 소득원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인 바이오에너지 개발 재료로 해조류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해조류는 육상 작물과 달리, 생산에 따른 추가에너지 투입, 농약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거의 제한 없는 공간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는 육상 나무에 비해 효과가 높아 해조류의 유용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대형 갈조류의 하나인 다시마는 열대우림 보아 탄소 고정 능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년생 해조류 엽체가 해수운동과 반대로 운동함으로써 반대로 해조류 엽체와 물 사이에 상대운동이 적게 되어 유영력이 약한 생물이라도 암초에서보다 정착이 쉬우며, 해조류 엽체 표면에 기생 및 부착하여 서식하는 작은 생물에게는 생활터전이 되는 것이다, 해조류 엽체에 서식하는 작은 생물은 작은 어류 등의 먹이 역할을 하여 어류 유집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바다숲은 패류 뿐만 아니라 어류의 서식장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을 함에 있어, 우선 선행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해중림초를 비롯한 인공어초, 그리고 바다속 갯바위와 같은 수중암반 등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 즉,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는 유해생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함에 있어 다이버가 수중에서 모든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하게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단순한 다이버의 힘만으로는 제거하지 못하여 원활한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생각하여 종래 등록특허 제10-639887호(2006.10.24)『갯바위 청소 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는 갯바위 표면을 청소함에 있는 선행으로 분쇄시킨 분쇄물을 고압으로 공기와 함께 갯바위 표면으로 분사시켜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는 수중에 공기압을 통해 분사를 시킴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압에 대한 매질이 물로서 서로 상이하여 고압으로 분사될 수록 버블현상이 생겨 다이버의 시야를 가리게 되었으며,
또한 단순히 공기압으로만 제거되지 않는 유해생물에 대해서는 제거자체가 안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수중에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해 분사되는 분사물을 고압수로 하여 기존 문제되었던 버블현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유해생물제거장치에서는 수중에서의 상황을 선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수중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화상부를 구비하며, 화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선상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 되면서 선상의 마스터와 다이버과 서로 교신이 가능한 유해생물제거장치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있어,
단순히 고압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유해생물을 다이버의 수작업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끌칼부를 더 구비하여 작업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또한 부구를 장착하여 일정 수심에서 다달았을 때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장착된 기능부들은 모두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하여 다이버의 신체 조건 내지 수중 환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수중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해생물제거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어셈블리는,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분사물이 분사되는 분사부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선상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물은 고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와,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들고있는 다이버가 장착하는 것으로 선상에서와의 교신이 가능한 교신수단이 구비된 잠수용 마스크와, 그리고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고, 다이버와의 교신이 가능한 지상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유해생물 제거장치는 고압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유해생물제거를 위한 끌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끌칼부와 제2손잡이부와 조명부와 화상부는 축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 또는 수중환경에 따라 축부를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에는 부력유지를 위한 부구가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고압수를 통해 수중에서 분사가 이루어지기에 버블현상을 최소화시켜 다이버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으며,
더욱이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함께 다이버가 수작업을 통해 유해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끌칼부를 더 구비하여 유해생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유해생물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이 모두 착탈식으로 이루어지고, 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에 다이버 및 수중환경에 맞추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축부에는 부구를 더 부착하여 수중에서 가라앉지 않고 특정 수심에서 안정적으로 다이버가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어셈블리에 의하면 수중상황이 촬영되어 선상의 마스터에게 전송이 되기에 선상에서 수중 상황을 수시로 파악을 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긴급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며,
선상과 다이버의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긴급상황 등에 대한 대처방안을 다이버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통해 다이버가 작업하는 상황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잠수용 마스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어셈블리의 각부 및 각부간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정리하여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어셈블리는 다이버가 직접 들고 수중에서 고압수를 분사시키는 유해생물제거장치(10)와, 다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20)와,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장착된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확인하고 다이버와의 교신을 위한 지상통신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상통신수단(30)은 통상적으로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선상에서의 마스터와 다이버간의 교신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표면에 대한 부착된 유해생물 제거 작업은 수면 위로 배가 위치하고,
다이버가 작업이 필요한 곳에 입수하여 유해생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하여 제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수시로 선상에 있는 지상통신수단(30)을 통하여 마스터와 다이버간 교신을 하고, 마스터가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선상에서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거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즉 상기 지상통신수단(30)은 수중에서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어 마스터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지상영상출력부(310)와, 마스터와 다이버간의 교신이 이루어지는 지상교신장치(320)로 구성된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20)에는 마스터의 음성이 다이버에게 전달되는 스피커(210)와 다이버의 음성이 마스터에게 전달되는 마이크(220)로 이루어지는 교신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상에는 유해생물제거장치(10)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수압 펌프(P)가 구비되어, 고압수는 케이블(C)을 통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10)까지 전송되고,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110)를 지나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10)를 살펴보면, 이는
축부(110)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분사물이 분사되는 분사부(120)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130)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다른 한 손이 파지되는 제2손잡이부(140)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150)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16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에서는 제 1 손잡이(130)와 제 2 손잡이(140)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이격시킨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다이버가 두 손으로 안정적으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손잡이(140)는 제 1 손잡이(130)가 형성되는 방향에 수직되어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다이버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고압수는 선상의 수압 펌프(P)에서 상기 제1 손잡이(130) 및 이와 연통된 축부(110)를 지나쳐 최종적으로 분사부(120)를 통하여 수중으로 분사되는데,
상기 제 1 손잡이(130)에는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레버(131)가 구비되어, 다이버가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파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원하는 시점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레버를 통한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것은 다른 기술분야에 보편화된 기술이고, 본 발명에 대한 요지를 벗어날 수 있는 설명이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10)의 전방에는 끌칼부(170)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수중 구조물 표면에 밀착되어 있어 고압수를 통해 제거하지 못한 유해생물을 다이버가 수작업을 통해 제거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착된 것이다.
상기 끌칼부(1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 즉, 호부분과 지름부분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끌칼날(171)과, 상기 끌칼날을 축부(110) 측에 연결을 시켜주는 연결대(17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끌칼날(171)에 있어 호 부분이 아니라 지름부분쪽으로 날을 형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으로 쉽게 다이버가 제거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이버는 상기와 같은 유해생물제거장치 구성으로 인해, 유해생물 제거 작업에 있어 수중 구조물 표면 상태에 따라 적절히 분사부와 끌칼부를 채택하여 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은 되었으나,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에는 수중을 비춰주기 위한 조명부(150)가 축부(110)에 장착이되고, 또한 수중 상태를 촬영하여 선상으로 전송하기 위한 화상부(160)가 장착된다.
상기 조명부(150)는 보다 효율적으로 수중을 밝히기 위하여 축부(110)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상부(160)는 상기 조명부(150)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조명부가 위치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조명부(150)는 서로 평각을 이루도록 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가 이루는 평각을 수직으로 나누는 위치에 화상부(160)가 구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축부(110)를 기준으로 이에 장착된 각종 부품들, 즉, 끌칼부(170), 조명부(150), 화상부(160), 제 2 손잡이부(140)는 모두 축부(110)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착탈이 가능하기에 다이버의 신체 조건 내지 수중 상태에 맞게 축부에 대한 각 구 부품들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조명부와 화상부가 끌칼부 후방에 위치를 하였으나,
반대로 조명부와 화상부의 후방에 끌칼부를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 손잡이부를 축부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각 구성부품을 고정시키는 원통형상의 장착부(180)가 상기 축부(110)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인데,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끌칼부(170)는 제1 장착부(181)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되고, 조명부(150)와 화상부(160)는 제2 장착부(182)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되고, 제2 손잡이부(140)는 제3 장착부(183)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들 특히, 제1 장착부(181)를 참조하여, 이의 측면에는 축부(110)로 관통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81a)이 구비되어 있어,
원하는 축부(110) 위치에 제1 장착부(181)을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공(181a)을 통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181b)를 삽입하여 이들을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제1 장착부(181)가 축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체결공(181a)에 대한 조임부재(181b)의 조임과 풀림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임부재(181b)의 내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였는바,
작업자는 상기 다각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공구를 사용하여 손쉽게 조임부재의 조임 및 풀림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선 설명은 제1 장착부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장착부(182) 및 제32 장착부(183)에도 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축부와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에는 부구(190)를 장착하도록 하는데, 상기 축부에 장착 즉, 끼워짐이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부구(490)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부구 또한 축부에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원하는 조건에 따라 부구의 갯수 및 축부에 장착되는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셈블리를 통해,
다이버는 유해생물장치의 분사부(120)와 끌칼부(170)를 통해 수중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게 되고,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수중 영상은 선상의 지상통신수단인 지상영상출력부(310)를 통해 마스터가 확인하면서,
마스터는 다이버와의 교신의 통해 수시로 작업 진행 상황을 체크하고 지시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화상부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선상의 지상통신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동일한 구조의 화상부가 잠수용 마스크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선상에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부착된 화상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기와, 잠수용 마스크에 부착된 화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기를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유해생물 제거장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해생물제거장치
110: 축부 120: 분사부 130: 제 1 손잡이부
140: 제 2 손잡이부 150: 조명부 160: 화상부
170: 끌칼부 171: 끌칼날 172: 연결대
180: 장착부
181:제1장착부 182:제2장착부 183:제3장착부
181a: 체결공 181b: 조임부재
190: 부구
20: 잠수용 마스크
210: 스피커 220: 마이크
30: 지상통신수단
310: 지상영상출력부 320:지상교신장치

Claims (4)

  1.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분사물이 분사되는 분사부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손잡이부의 장착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축부에 장착되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선상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물은 고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들고있는 다이버가 장착하는 것으로 선상에서와의 교신이 가능한 교신수단이 구비된 잠수용 마스크; 및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화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고, 다이버와의 교신이 가능한 지상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에는 고압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유해생물제거를 위한 끌칼부와 부력유지를 위한 부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끌칼부와 제2손잡이부와 조명부와 화상부와 부구는 축부를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부구의 이동은 부구가 도넛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부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끌칼부와 제2손잡이부와 조명부와 화상부의 이동은 상기 축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장착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축부에 대한 장착부의 착탈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장착부 측면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 회전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07101A 2010-01-26 2010-01-26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KR10096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01A KR100964499B1 (ko) 2010-01-26 2010-01-26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01A KR100964499B1 (ko) 2010-01-26 2010-01-26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499B1 true KR100964499B1 (ko) 2010-06-21

Family

ID=4237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101A KR100964499B1 (ko) 2010-01-26 2010-01-26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44B1 (ko) 2012-05-31 2013-03-19 (주)비엔씨하이텍 어망용 유압식 고압 세척 장치
KR101464106B1 (ko) * 2014-02-18 2014-11-25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KR20190006773A (ko) 2017-07-11 2019-01-21 최태봉 갯닦기 작업중 탈락물질 회수장치
KR102447468B1 (ko) * 2022-03-23 2022-09-27 곽철우 작업성을 높인 유주자 살포장치
KR20240015408A (ko) 2022-07-27 2024-02-05 손미화 표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도색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119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다용도 청소용 건
JP2007198839A (ja) * 2006-01-25 2007-08-09 Hitachi Ltd サプレッションチェンバ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8049270A (ja) * 2006-08-24 2008-03-06 Kajima Corp 高圧水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119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다용도 청소용 건
JP2007198839A (ja) * 2006-01-25 2007-08-09 Hitachi Ltd サプレッションチェンバ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8049270A (ja) * 2006-08-24 2008-03-06 Kajima Corp 高圧水噴射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244B1 (ko) 2012-05-31 2013-03-19 (주)비엔씨하이텍 어망용 유압식 고압 세척 장치
KR101464106B1 (ko) * 2014-02-18 2014-11-25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KR20190006773A (ko) 2017-07-11 2019-01-21 최태봉 갯닦기 작업중 탈락물질 회수장치
KR102447468B1 (ko) * 2022-03-23 2022-09-27 곽철우 작업성을 높인 유주자 살포장치
KR20240015408A (ko) 2022-07-27 2024-02-05 손미화 표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도색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499B1 (ko)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US933274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of artifacts and eradication of invasive species in aquatic environments
MX2009005146A (es) Jaula sumergible y conjunto para criar peces.
JP2009261341A (ja) 海底生物採取機
WO2019135070A1 (en) A method or apparatus for collecting marine life
CN105966577B (zh) 一种渔业用多功能水下作业装置
JP2016165230A (ja) 船上からの採貝・採藻作業システム
KR20170002916U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KR20150086208A (ko) 해물(海物)잡이 물총
KR20120057729A (ko) 해조류인 가시파래 수초의 절단/제거 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0996694B1 (ko)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1725957B1 (ko)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JP5954807B1 (ja) 船上からの採貝・採藻作業システム
KR20170061335A (ko) 가두리양식장 보호 시스템
WO2020199107A1 (zh) 海产品养殖浮漂和海产品水产养殖装置
JPH05146234A (ja) 赤潮の死滅除去方法
KR101090385B1 (ko)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2187660B1 (ko) 고압해수를 이용한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용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방법
KR101464106B1 (ko)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Ferdiansyah et al. Inventarization of Coral Reefs in the Waters of Rakata Island, Krakatau Islands
CN213508371U (zh) 一种海洋环境污染治理的捕捞设备
Seo et al. Acute Nitrate Nitrogen Toxicity in Juvenile Blackhead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EP2140069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of artifacts and eradication of invasive species in aquatic environments
JP3177667U (ja) 海底面下に噴射ノズルを突き出した海底耕運装置
KR19980069001A (ko) 적조생물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