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385B1 -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385B1
KR101090385B1 KR1020110070754A KR20110070754A KR101090385B1 KR 101090385 B1 KR101090385 B1 KR 101090385B1 KR 1020110070754 A KR1020110070754 A KR 1020110070754A KR 20110070754 A KR20110070754 A KR 20110070754A KR 101090385 B1 KR101090385 B1 KR 10109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jection
unit
shaft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우
이순이
Original Assignee
이순이
곽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이, 곽철우 filed Critical 이순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82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시 높은 분사 압력으로 인하여 제거가 필요한 목표지점 외 주변에 있는 필요 생물들까지 분사로 인한 파편으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정확한 제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해 날림방지수단을 구비한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와, 그리고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사 목표지점 주변을 에워싸 분사 충격에 따른 주변 생물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APPARATUS ASSEMBLY FOR REMOVING THE ARMHFUL LIVING ORGANISM}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백화현상시 발생되는 수중 구조물 표면의 침절물 즉, 갯녹음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수 분사시 높은 분사 압력으로 인하여 제거가 필요한 목표지점 외 주변에 있는 필요 생물들까지 날려져 제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정확한 제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해 날림방지수단을 구비한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녹음 현상을 극복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대책 방안의 하나로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바다숲 조성 사업은 갯녹음 해역내 인공 구조물인 해중림초에 해조류를 직접이식하는 방법인 종묘이식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과 산란, 성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연안 정착성 수산생물은 물론 회유성 어류를 모이게 하여 생산성이 저하된 어장의 생산력 증강뿐만 아니라 어장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을 함에 있어, 우선 선행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해중림초를 비롯한 인공어초, 그리고 바다속 갯바위와 같은 수중암반 등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 즉, 백화현상에 의해 수중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즉, 백화현상(갯녹음현상)이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러한 백화현상에 의해 바닷물 속에서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떠다니던 탄산칼슘이 침전해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이로 인해 전복, 멍게류 등 각종 어패류와 해조가 죽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해양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바다숲 조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침전물 즉 유해생물을 제거함에 있어 다이버가 수중에서 모든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하게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단순한 다이버의 힘만으로는 제거하지 못하여 원활한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생각하여 종래 등록특허 제10-639887호(2006.10.24)『갯바위 청소 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는 갯바위 표면을 청소함에 있는 선행으로 분쇄시킨 분쇄물을 고압으로 공기와 함께 갯바위 표면으로 분사시켜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는 수중에 공기압을 통해 분사를 시킴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압에 대한 매질이 물로서 서로 상이하여 고압으로 분사될 수록 버블현상이 생겨 다이버의 시야를 가리게 되었으며, 또한 단순히 공기압으로만 제거되지않는 유해생물에 대해서는 제거자체가 안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후 등록특허 제10-0937729호(2010.01.12)『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가 고안되어 공기압이 아닌 고압수를 사시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서는 분사총을 통한 고압수 분사시 발생하는 반동에도 안정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를 분사총에 연결하여 분사 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 개시된 고정장치는 다이버가 작업 할 때마다 와이어 및 고정앵커를 바닥면에 별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으로 기동성이 떨어지며 더욱이 후방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고정장치는 수중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러기에 설치 위치 선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0-0996694호(2010.11.19)『밀림방지수단이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고안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0996694호는 앞서 언급된 등록특허 제10-639887호 및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실지로 수중 작업시 다이버가 고압수 분사에 따른 충격을 덜 받게 되고 후방밀림현상이 감소되어 안정된 갯닦기 작업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고압수라는 높은 압력으로 제거 목표 지점에 분사가 이루어지다보니 유해생물 제거작업시 생기는 파편들로 인해 제거대상만이 아니라 제거대상 주변에 위치한 무해 해조류까지 피해를 보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믈론 상기 언급된 문제는 등록특허 제10-0996694호만이 아니라 앞서 언급된 등록특허 제10-639887호 및 등록특허 제10-0937729호 모두에서 예견되는 문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유해생물에 대한 효율적 제거를 위해 고압수를 분사하면서도 분사로 인한 파편이 주변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림방지수단을 구비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날림방지수단에 있어 분사노즐과 목표지점간의 거리를 사용자가 수중 환경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분사거리 조절에 있어서도 수중이라는 환경을 고려하여 간편한 구조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날림방지수단은 파편의 날림을 방지하면서도 작업자가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방과 측방 사이 공간을 주어 추진력이 약화된 파편들이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갖추어지고 또한 수중환경에 따라 상기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는,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와, 그리고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사 목표지점 주변을 에워싸 분사 충격에 따른 주변 생물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날림방지수단은,
제거물이 측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가림판과,
상기 측면가림판과 연결형성되어 제거물이 전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가림판과,
상기 측면가림판과 축부를 연결하여 날림방지수단을 축부에 장착시키는 연결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목표지점과 분사부 간의 분사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거리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사거리조절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 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내부에 수용되어 전후진하는 진퇴축과, 상기 진퇴축에 구비되어 진퇴축의 전후진 동작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가림판과 측면가림판간의 결합은 전방가림판에 구비된 회전판이 측면가림판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측면가림판에 형성된 대응공에 특정 통공이 체결됨으로써 측면가림판에 대한 전방가림판의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고,
양 가림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의하면,
제거 목표지점 주변으로 날림방지수단이 위치함으로 고압 분사로 인해 제거대상이 아닌 주변생물까지 피해를 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전방가림판 일정 부분 작업자의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기존 유해생물제거장치에 비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갯닦기 작업이 가능해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보다 세부적으로는, 날림방지수단에 분사거리조절 기능을 부여함으로 인해 작업자는 수중환경에 맞게 분사거리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여 거리에 따른 분사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어
종국적으로는 주변 생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정밀한 유해생물제거작업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날림방지수단이 분시거리조절부에 의해 분사거리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속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10)는 다이버가 직접 들고 수중에서 고압수를 분사시키는 것으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해생물제거장치 외 다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20)와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장착된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확인하고 다이버와의 교신을 위한 지상통신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상통신수단(30)은 통상적으로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선상에서의 마스터와 다이버간의 교신을 위한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중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 제거 작업은 수면 위로 배가 위치하고,
다이버가 작업이 필요한 곳에 입수하여 유해생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하여 제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수시로 선상에 있는 지상통신수단(30)을 통하여 마스터와 다이버간 교신을 하고, 마스터가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선상에서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거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선상에는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수압 펌프(P)가 구비되어, 고압수는 케이블(C)을 통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까지 전송되고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110)를 지나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갯닦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유해생물제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10)는,
축부(110)와, 상기 축부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120)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130)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다른 한 손이 파지되는 제2손잡이부(140)와, 그리고
분사부(120)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사 목표지점 주변을 에워싸 분사 충격에 따른 주변 생물의 날림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날림방지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면 2 및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축부(110) 일측에는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150) 및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16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1 참조).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손잡이부(130)와 제2 손잡이부(140)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이격시킨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다이버가 두 손으로 안정적으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잡이부(140)는 제1 손잡이부(130)가 형성된 방향에서 수직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다이버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압수는 선상의 수압 펌프에서 상기 제1 손잡이부(130) 및 이와 연통된 축부(110)를 지나쳐 최종적으로 분사부(120)를 통하여 수중의 목표지점으로 분사되는데,
상기 제1 손잡이부(130)에는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레버(131)가 구비되어 다이버가 유해생물제거장치를 파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원하는 시점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레버를 통한 고압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것은 다른 기술분야에서 보편화된 기술이고, 본 발명에 대한 요지를 벗어날 수 있는 설명이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수중을 비춰주기 위한 조명부(150)가 축부(110)에 장착되고, 또한 수중 상태를 촬영하여 선상으로 전송하기 위한 화상부(160)가 장착된다.
*상기 조명부(150)는 효율적으로 수중을 밝히기 위하여 축부(110)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상부(160)는 조명부(150)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조명부가 위치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조명부는 서로 평각을 이루도록 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가 이루는 평각을 수직으로 나누는 위치에 화상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인 날림방지수단(40)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날림방지수단(40)은 분사부(120) 전방위치하여 제거를 원하는 목표지점의 주변을 에워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
물론 분사에 있어 측방으로 분사로 인한 파편들이 날려 측면에 위치한 주변 생물들에 피해를 주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목표지점 후방으로까지는 에워쌀 필요는 없다.
상기 날림방지수단(40)은,
제거물이 측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가림판(41)과,
상기 측면가림판과 연결형성되어 제거물이 전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가림판(42)과, 그리고
상기 측면가림판(41)과 축부(110)를 연결하여 날림방지수단을 축부에 장착시키는 연결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및 전방가림판(41, 42)은 목표지점에 대한 안정된 안착을 위하여 밑면이 평평한 구조를 취하게 되고 또한 제조 공정의 간소화하고 제작 단가를 줄이면서 각 가림판끼리의 용이한 연결을 도모하고 나아가 최대 가림면적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가림판(41)은 연결프레임(43)을 통해 축부(11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인데,
측면가림판과 전방가림판 등을 비롯한 각 부분들과의 안정된 연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 측면가림판 내측을 이음프레임(46)으로 연결한다.
또한 전방가림판(42)의 경우, 측면가림판과 접촉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가림판(41)을 기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져 양 가림판 사이에 빈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압 분사에 의한 분사 파편들이 가림판 내부에서만 멤돌지 말고 일정 부분에서는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함이다.
이 경우 파편들이 외부로 빠져나간다 하더라도 일단 측면가림판과 전방가림판에 의해 일차적으로 외부 방출이 저지된 상태여서 분사 파편의 힘이 약화되어 주변 생물이 이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전방가림판(42)과 측면가림판(41)의 결합은 전방가림판(42) 양측으로 구비된 회전판(42a)이 측면가림판(41)에 너트와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회전판(42a)은 부채꼴과 같은 형상으로, 회전판에는 부채꼴의 호를 따라 다수의 통공(42b)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림판(41)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42b) 중 하나의 통공과의 체결을 위한 대응공(41b)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회전판(42a)을 측면가림판(41)에 결합시킴에 있어 측면가림판(41)에 대한 전방가림판(42)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해 양 가림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중환경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측면가리판(4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장착된 전방가림판(42)의 경우, 고압 분사로 인한 주변 생물들의 날림을 방지하는 기능 외에도 다이버 작업시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일정 부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함께하게 되어 더욱 유용하다.
즉, 분사부를 통해 고압수가 분사되면 분사된 고압수는 목표 지점의 표면에 부딪혀 목표지점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
이와 함께 목표 지점에 부딪히면서 반사되는 고압수는 전방에 위치한 전방가림판과 충돌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방으로 전진하는 힘 즉 추진력이 형성되어
종국적으로 고압수 분사시 발생되는 반동에 의한 후진력이 상기 전방가림판을 통해 형성된 전방으로의 추진력에 의해 상쇄되어 다이버에게는 최소의 충격만이 전해지고 안정적인 수중 분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10)는 고압수 분사에 의해 주변생물을 해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안정적인 다이버 작업 역시 기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갯닦기를 원하는 목표지점에 날림방지수단을 위치시키면 자동적으로 이와 연결된 분사부의 위치 역시 함께 설정되기에 정확한 목표하는 지점으로 고압수 분사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날림방지수단(40)은 목표지점과 분사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거리조절부(44)가 연결프레임(43)에 더 구비된다.
즉 수중 작업시에는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필요한 분사 압력이 일정할 수 없기에 상기 분사거리조절부를 통해 목표지점과 분사부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분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분사거리조절부(44)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체(441)와, 상기 원통체 내부에 수용되어 전후진하는 진퇴축(442)과, 상기 진퇴축에 구비되어 진퇴축의 전후진 동작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부재(443)로 이루어진다.
특히 원통체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진퇴축의 전진(도 3 참조)과 후진(도 2 참조)이 이루어지는데, 상부와 하부의 양 단에는 걸림턱(441a)이 형성되어 원통체 내부에 구비된 텐션부재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텐션부재(443)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진퇴축에 감긴 상태로 진퇴축에 구비되는데, 상기 진퇴축(442)에는 대응걸림턱(442a)이 형성되어 상기 텐션부재(443)의 일면이 부착된다.
결국 본 발명의 대응걸림턱(442a)은 텐션부재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텐션부재가 최대 이완되는 경우 대응걸림턱은 원통체의 걸림턱(441a)에 걸려 진퇴축이 원통체로부터 분리되는 형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441)는 연결판(45)을 통해 측면가림판(41)과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판(45)은 2회 절곡된 구조로 3개의 구획된 면(45a, 45b, 45c)이 제공된다.
제1면(45a)은 측면가림판(41)과 결합되고, 제1면과 연결형성되는 제2면(45b)은 절곡(1회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면이고, 그리고 제2면과 연결형성되는 제3면(45c)은 절곡(2회 절곡)을 통해 원통체(441)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3면(45c)과 원통체(441)와의 결합은 고정성을 위해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면(45a)과 측면가림판(41)과의 결합은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면(45a)과 측면가림판(41) 간의 결합 역시 다공(多孔) 구조를 이용하에 이와 연결되는 분사부의 기울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면(45a)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측면가림판(41) 부위에는 다수의 결합공(41a)이 형성되어 제1면(45a)에 형성된 대응결합공(45a')이 다수의 결합공중 특정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분사부의 기울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상황에 따라 작업 전 연결판을 통해 분사부의 분사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각도 조절은 볼트와 너트 결합을 해제함으로서 간단히 이루어진다.
또한 각도 조절시 연결판(45)의 부드러운 회동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결판의 1회 절곡시 외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연결판과 측면가림판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였는바,
이후 연결판의 형성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측면가림판에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부드럽고 그리고 간편히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측면가림판(41)와 전방가림판(42)의 내면에는 고압수 분사에 의해 날아오르는 파편들의 이동력 내지 이동경로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판(47)이 형성된다.
특히 전방가림판(42)에 형성된 유도판(47)은 전방가림판(42)의 중심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다수 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결국 상기 유도판(47)은 일종의 저항부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유해생물제거장치"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해생물제거장치
110: 축부 120: 분사부
130: 제1손잡이부 140: 제2손잡이부
40: 날림방지수단
41: 측면가림판 42: 전방가림판 43: 연결프레임
44: 분사거리조절부
441: 원통체 441a: 걸림턱
442: 진퇴축 442a: 대응걸림턱
443: 텐션부재
45: 연결판 46: 이음프레임 47: 유도판

Claims (4)

  1. 축부;
    상기 축부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 및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사 목표지점 주변을 에워싸 분사 충격에 따른 주변 생물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날림방지수단은
    제거물이 측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가림판과,
    상기 측면가림판과 연결형성되어 제거물이 전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가림판과,
    상기 측면가림판과 축부를 연결하여 날림방지수단을 축부에 장착시키는 연결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목표지점과 분사부 간의 분사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거리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거리조절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 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내부에 수용되어 전후진하는 진퇴축과,
    상기 진퇴축에 구비되어 진퇴축의 전후진 동작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림판과 측면가림판간의 결합은 전방가림판에 구비된 회전판이 측면가림판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측면가림판에 형성된 대응공에 특정 통공이 체결됨으로써 측면가림판에 대한 전방가림판의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고,
    양 가림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20110070754A 2011-03-04 2011-07-18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1090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470 2011-03-04
KR20110019470 2011-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385B1 true KR101090385B1 (ko) 2011-12-07

Family

ID=4550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754A KR101090385B1 (ko) 2011-03-04 2011-07-18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468B1 (ko) * 2022-03-23 2022-09-27 곽철우 작업성을 높인 유주자 살포장치
KR20240100840A (ko) 2022-12-23 2024-07-02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마찰방식 휴대용 전동식 갯닦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270A (ja) * 2006-08-24 2008-03-06 Kajima Corp 高圧水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270A (ja) * 2006-08-24 2008-03-06 Kajima Corp 高圧水噴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468B1 (ko) * 2022-03-23 2022-09-27 곽철우 작업성을 높인 유주자 살포장치
KR20240100840A (ko) 2022-12-23 2024-07-02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마찰방식 휴대용 전동식 갯닦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578B1 (en) Cleaning and grooming water submerged structures using acoustic pressure shock waves
CN102215674B (zh) 原地进行水下网清洁和检查的装置
EP2084334B1 (en) Seabed organic material relocating apparatus
EP3735127A1 (en) A method or apparatus for collecting marine life
US1161735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KR101090385B1 (ko) 날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US20120168545A1 (en) Poultry litt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WO2004075132B1 (de) Verfahren zur anordnung zur abwehr und bekämpfung von piraten
WO2010087777A1 (en) Flushing system
CN111167765B (zh) 一种桥墩水下内凹狭槽的表面附着物的清洗方法及机器人
KR100964499B1 (ko)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JP6244493B1 (ja) 係留ロープ用洗浄装置
KR101537910B1 (ko) 소거면적조절이 가능한 해조장 갯닦기장치
KR102052049B1 (ko)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1725957B1 (ko)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WO2019134055A1 (es) Dispositivo limpiador de redes para acuicultura
CN111112190A (zh) 一种桥墩水下表面附着物清洗系统及结构改进的机器人
KR100996694B1 (ko)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UA127391C2 (uk) Удосконалена підводна система відлову
US9174711B2 (en) Device and system for manoeuvring cleaning apparatuses
KR101188446B1 (ko)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DE102016115762B4 (de) Ferngesteuerter Schwimmkörper
JP3799436B2 (ja) 海洋付着生物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KR101773604B1 (ko) 해저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시멘트를 타설하는 수중체
CA2319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ring aquatic vege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