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694B1 -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694B1
KR100996694B1 KR1020100042930A KR20100042930A KR100996694B1 KR 100996694 B1 KR100996694 B1 KR 100996694B1 KR 1020100042930 A KR1020100042930 A KR 1020100042930A KR 20100042930 A KR20100042930 A KR 20100042930A KR 100996694 B1 KR100996694 B1 KR 10099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plate
diver
shaft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우
최호익
곽승근
곽승수
Original Assignee
이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이 filed Critical 이순이
Priority to KR102010004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에 따른 다이버의 후방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후방밀림 방지기능을 다이버가 수중의 동일 위치에서 손쉽게 부여할 수 있도록 기동성을 높이고 또한 수중 내에서의 작업 환경에 따라 후방밀림방지 정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설계되어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백화현상시 발생되는 수중 구조물 표면의 침전물 즉, 갯녹음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APPARATUS ASSEMBLY FOR REMOVING THE ARMHFUL LIVING ORGANISM}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백화현상시 발생되는 수중 구조물 표면의 침전물 즉, 갯녹음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수 분사에 따른 다이버의 후방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후방밀림 방지기능을 다이버가 수중 동일 위치에서 손쉽게 부여할 수 있도록 기동성을 높이고 또한 수중 내에서의 작업 환경에 따라 후방밀림방지 정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설계된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녹음 현상을 극복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대책 방안의 하나로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바다숲 조성 사업은 갯녹음 해역내 인공 구조물인 해중림초에 해조류를 직접이식하는 방법인 종묘이식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과 산란, 성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연안 정착성 수산생물은 물론 회유성 어류를 모이게 하여 생산성이 저하된 어장의 생산력 증강 뿐만 아니라 어장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이다.
어장을 형상함에 있어 특히 해조류는 바다 연안의 일차생산자로서 과다한 영양염 흡수 및 이용, 용존산소의 대량 생산 및 탄소 고정 등 연안의 기초생산력의 증대와 어류의 산란장, 은신처 및 육성장 등 유용 수산자원의 번식과 성장을 위한 수단 생물의 보육장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식성의 전복, 소라, 고둥류, 자라돔, 쥐돔 등 유용 생물 자원의 먹이 역할을 하며 식용, 의약품 및 기능성 물질 활용 등 고부가 가치 수산자원으로의 어업인 소득원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인 바이오에너지 개발 재료로 해조류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해조류는 육상 작물과 달리, 생산에 따른 추가에너지 투입, 농약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거의 제한 없는 공간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는 육상 나무에 비해 효과가 높아 해조류의 유용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대형 갈조류의 하나인 다시마는 열대우림 보아 탄소 고정 능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년생 해조류 엽체가 해수운동과 반대로 운동함으로써 반대로 해조류 엽체와 물 사이에 상대운동이 적게 되어 유영력이 약한 생물이라도 암초에서보다 정착이 쉬우며, 해조류 엽체 표면에 기생 및 부착하여 서식하는 작은 생물에게는 생활터전이 되는 것이다, 해조류 엽체에 서식하는 작은 생물은 작은 어류 등의 먹이 역할을 하여 어류 유집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바다숲은 패류 뿐만 아니라 어류의 서식장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을 함에 있어, 우선 선행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해중림초를 비롯한 인공어초, 그리고 바다속 갯바위와 같은 수중암반 등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 즉, 백화현상에 의해 수중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즉, 백화현상(갯녹음현상)이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러한 백화현상에 의해 바닷물 속에서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떠다니던 탄산칼슘이 침전해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이로 인해 전복, 멍게류 등 각종 어패류와 해조가 죽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해양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바다숲 조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침전물 즉 유해생물을 제거함에 있어 다이버가 수중에서 모든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하게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단순한 다이버의 힘만으로는 제거하지 못하여 원활한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생각하여 종래 등록특허 제10-639887호(2006.10.24)『갯바위 청소 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는 갯바위 표면을 청소함에 있는 선행으로 분쇄시킨 분쇄물을 고압으로 공기와 함께 갯바위 표면으로 분사시켜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는 수중에 공기압을 통해 분사를 시킴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압에 대한 매질이 물로서 서로 상이하여 고압으로 분사될 수록 버블현상이 생겨 다이버의 시야를 가리게 되었으며, 또한 단순히 공기압으로만 제거되지 않는 유해생물에 대해서는 제거자체가 안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후 등록특허 제10-0937729호(2010.01.12)『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가 고안되어 공기압이 아닌 고압수를 분사시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서는 분사총을 통한 고압수 분사시 발생하는 반동에도 안정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를 분사총에 연결하여 분사 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 개시된 고정장치는 다이버가 작업을 할 때마다 와이어 및 고정앵커를 바닥면에 별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으로 기동성이 떨어지며,
더욱이 후방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장치는 수중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러기에 설치 위치 선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고압수 분사에 따른 후방 밀림을 차단할 수 있는 밀림방지수단을 구비하되, 다이버가 간단한 작업을 통해 밀림방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동성이 우수한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압수가 대상체 표면을 통해 반사되는 힘으로 전방으로 움직이는 추진력을 형성하도록 함에 있어 형성되는 추진력의 강약을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수중 구조물에 대한 표면 청소 작업시 탈리되는 부산물들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통공을 형성시켜 추진력에 저해가 되지 않는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수단을 비롯한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장착된 기능부들은 모두 축부를 기준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하여 다이버의 신체 조건 내지 수중 환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수중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해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는,
축부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와,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축부에는 분사시 대상체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에 의해 전방으로 움직이는 추진력이 형성하여 고압수 분사에 따른 후방밀림 최소화를 위한 밀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림방지수단은 대상체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가 부딪히는 추진판과, 상기 추진판을 축부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추진판의 회동 변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에 있어,
상기 밀림방지수단의 추진판은 면적을 달리하는 여러 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형성된 판상이되 상기 추진판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림방지수단은 축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 또는 수중환경에 따라 축부를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으로의 밀림이 방지되어 고압수 분사시 발생되는 반동에도 다이버의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후방밀림기능을 다이버가 간편한 작업을 통해 손쉽게 형성할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 수중 작업에 따른 우수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분사되는 량 내지 수중구조물의 표면 상태에 따라 추진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고, 분사시 제거되는 부산물로 인해 추진력이 약화되는 문제를 해결하게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밀림방지수단을 비롯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이 모두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되 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이버는 다이버 및 수중환경에 맞추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이버의 안정적인 수중 작업을 도모하였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통해 다이버가 작업하는 상황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유해생물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다른 기능들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10)는 다이버가 직접 들고 수중에서 고압수를 분사시키는 것으로, 작업 효율을 위해 상기 유해생물제거장치 외 다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20)와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장착된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확인하고 다이버와의 교신을 위한 지상통신수단(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상통신수단(30)은 통상적으로 선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선상에서의 마스터와 다이버간의 교신을 위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표면에 대한 부착된 유해생물 제거 작업은 수면 위로 배가 위치하고,
다이버가 작업이 필요한 곳에 입수하여 유해생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하여 제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수시로 선상에 있는 지상통신수단(30)을 통하여 마스터와 다이버간 교신을 하고, 마스터가 화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선상에서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거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선상에는 유해생물제거장치(10)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수압 펌프(P)가 구비되어, 고압수는 케이블(C)을 통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10)까지 전송되고,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110)를 지나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10)를 살펴보면(참고로 도 2는 축부(110)에 제1 및 제2손잡이부(130, 140)와 분사부(120)와, 그리고 밀림방지수단(170)만으로 이루어진 유해생물제거장치(10)를 도시한 도면임),
이는 축부(110)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120)와,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130)와,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다른 한 손이 파지되는 제2손잡이부(140)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밝히기 위한 조명부(150)와, 상기 축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화상부(160)와,
그리고 상기 축부(110)에는 분사시 구중 구조물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에 의해 전방으로 움직이는 추진력이 형성되어 다이버의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수단(17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손잡이부(130)와 제 2 손잡이부(140)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이격시킨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다이버가 두 손으로 안정적으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손잡이(140)는 제 1 손잡이(130)가 형성되는 방향에 수직되어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다이버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압수는 선상의 수압 펌프(P)에서 상기 제1 손잡이부(130) 및 이와 연통된 축부(110)를 지나쳐 최종적으로 분사부(120)를 통하여 수중으로 분사되는데, 상기 제 1 손잡이부(130)에는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레버(131)가 구비되어 다이버가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파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원하는 시점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레버를 통한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것은 다른 기술분야에 보편화된 기술이고, 본 발명에 대한 요지를 벗어날 수 있는 설명이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수중을 비춰주기 위한 조명부(150)가 축부(110)에 장착이되고, 또한 수중 상태를 촬영하여 선상으로 전송하기 위한 화상부(160)가 장착된다.
상기 조명부(150)는 보다 효율적으로 수중을 밝히기 위하여 축부(110)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상부(160)는 상기 조명부(150)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조명부가 위치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조명부(150)는 서로 평각을 이루도록 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가 이루는 평각을 수직으로 나누는 위치에 화상부(160)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밀림방지수단(170)을 설명한다.
즉 수중에서 고압수를 분사하게 되면 분사시 그 반동에 의해 다이버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밀림방지수단(170)은 고압수 분사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이 발휘되면서도 원활한 수중 작업을 위해 기동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보다 중점을 둔 구조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밀림방지수단(170) 또한 축부(1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중구조물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가 부딪히는 추진판(171)과, 상기 추진판을 축부(1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173)와, 상기 추진판의 회동 변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175)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추진판(171)은 반사되는 고압수를 통한 추진력 형성을 위하여 분사부(11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즉 상기 분사부(120)를 통해 고압수가 분사되면 분사된 고압수는 수중 구조물(즉, 대상체)의 표면에 부딪혀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들을 제거하고 이와 함께 수중 구조물에 부딪히면서 반사되는 고압수는 전방에 위치한 추진판(171)과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방으로 전진하는 힘 즉, 추진력이 형성되어
종국적으로 고압수 분사시 발생되는 반동에 의한 후진력이 상기 추진판(171)을 통해 형성된 전방으로의 추진력에 의해 상쇄되어 다이버는 아무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중 분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진판(171)은 절곡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판에는 다수 개의 통공(172)이 형성된다.
즉, 추진판을 절곡형성시켜 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수중 구조물 표면에서 반사되는 고압수가 부딪힘에 있어 부딪히는 힘을 모아줘 강한 추진력을 형성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추진판(171)에는 통공(172)을 다수 형성하여 수중 구조물에서 탈리되는 분사물들이 통공(17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히였는데,
결국 분사물 배출을 위해 형성된 통공(172)으로 인해 약해질 수 있는 추진력을 추진판(171)을 중심을 향하여 절곡형성시킴으로 인해 모아줌으로써 추진력을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73)는 추진판(171)을 축부(110)에 연결시키되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의 회동은 연결부 양 단에 구비되어 연결부에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핀(173a)과 회동축(173a)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부(173b)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림방지수단에는 추진판(171)의 회동 변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175)이 구비되는데,
추진판(171)의 상부 이동 변위를 제한하는 상부이동제한부(175a)가 핀 형태로 상기 회동핀(173a) 형성된 위치 전방에 구비되는데, 추진판(171)에 대한 상부방향으로의 회동각을 많이 주고자 한다면 상기 상부이동제한부(175a)를 회동핀(173a)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구비하게 되고,
추진판(171)에 대한 상부방향으로의 회동각을 적게 주고자 한다면 상부이동제한부(175a)를 회동핀(173a)으로부터 가까이 형성시키게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이동제한부(175a)는 후술하게 되는 장착부(181)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큰 회동각을 주기 위해 축부(110)에 바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는 장착부(181)의 외주면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상부이동제한부(175a)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진판(171)의 하부 이동 변위를 제한하는 하부이동제한부(175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73)에 형성되되, 축부(11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한하고자 하는 회동각 정도에 따라 상기 하부이동제한부(175b)의 포물선 정도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동제한수단(175)에 의하여,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버는 작업이 필요한 수중구조물의 전방으로 추진판(171)을 위치시키고 고압수 반사각을 고려하여 분사부(120)가 구비된 축부(110)를 아랫 방향으로 회동시켜 수중구조물 표면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시킨다(상황에 따라 반대반향으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고압수가 분사되면 수중 구조물 표면에서 반사된 고압수는 전방에 위치한 추진판(171)과 충돌하면서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형성되어 이는 분사시 반동에 의해 발생되는 후진력을 상쇄시켜 다이버의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판(171)의 양 단을 축부(11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173)에는 뒤틀림 방지를 위한 결합핀(177)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밀림방지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봐와 같이 형성될 수 도 있는데,
역시 본 발명의 밀림방지수단(170)은 수중 구조물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가 부딪히는 추진판(171)과, 추진판을 축부(1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173)와, 그리고 추진판의 회동 변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175)으로 이루어지고, 사용 방식은 앞서 설명된 밀림방지수단과 동일하다.
그리고 추진판(17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을 달리하는 여러 개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분사에 따른 추진력의 강약을 조절하게 된다.
즉, 고압수가 충돌하는 면적이 크면 클수록 강한 추진력이 형성되는 것으로 강한 추진력을 원하는 경우 다이버는 수중 구조물에서 반사되는 고압수가 최전방에 위치한 최대 면적을 가지는 추진판(171a)과 충돌하도록 각을 조절하고, 반대인 경우에는 최후방에 위치한 최소 면적을 가지는 추진판(171b)과 충돌할 수 있도록 각을 조절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해생물제거장치는 축부(110)를 기준으로 이에 장착된 각종 부품들, 즉 밀림방지수단(170)을 비롯한 조명부(150), 화상부(160), 제 2 손잡이부(140)는 모두 축부(110)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착탈이 가능하기에 다이버의 신체 조건 내지 수중 상태에 맞게 축부에 대한 각 구 부품들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조명부와 화상부가 끌칼부 후방에 위치를 하였으나,
반대로 조명부와 화상부의 후방에 끌칼부를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 손잡이부를 축부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게 되고,
원하는 추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밀림방지수단(170)의 위치 또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각 구성부품을 고정시키는 원통형상의 장착부(180)가 상기 축부(110)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인데,
특히 도 2, 4 및 6에 도시된 분해하시도를 참조하면,
밀림방지수단(170)은 제1 장착부(181)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되고, 조명부(150)와 화상부(160)는 제2 장착부(182)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되고, 제2 손잡이부(140)는 제3 장착부(183)를 통해 축부(110)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들 특히, 제1 장착부(181)를 참조하여, 이의 측면에는 축부(110)로 관통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81a)이 구비되어 있어,
원하는 축부(110) 위치에 제1 장착부(181)을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공(181a)을 통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181b)를 삽입하여 이들을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제1 장착부(181)가 축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체결공(181a)에 대한 조임부재(181b)의 조임과 풀림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임부재(181b)는 나비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이버는 수중에서도 원하는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앞선 설명은 제1 장착부(181)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장착부(182) 및 제32 장착부(183)에도 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축부와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에는 부구(190)를 장착하도록 하는데, 상기 축부에 장착 즉, 끼워짐이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부구(190)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부구 또한 축부에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원하는 조건에 따라 부구의 갯수 및 축부에 장착되는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해생물제거장치
110: 축부 120: 분사부 130: 제 1 손잡이부
140: 제 2 손잡이부 150: 조명부 160: 화상부
170: 밀림방지수단
171: 추진판 173: 연결부 175: 회동제한수단
195a: 상부이동제한부 195b: 하부이동제한부
172: 통공
180: 장착부
181:제1장착부 182:제2장착부 183:제3장착부
181a: 체결공 181b: 조임부재
190: 부구
20: 잠수용 마스크 30: 지상통신수단

Claims (5)

  1. 축부;
    상기 축부 일단에 착탈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부; 및
    상기 축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이버의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축부에는 분사시 대상체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에 의해 전방으로 움직이는 추진력을 형성하여 고압수 분사에 따른 후방밀림 최소화를 위한 밀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밀림방지수단은
    대상체 표면을 통해 반사된 고압수가 부딪히는 추진판과,
    상기 추진판을 축부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추진판의 회동 변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수단의 추진판은 면적을 달리하는 여러 개의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수단의 추진판은 절곡형성된 판상이되 상기 추진판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수단은 축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다이버 또는 수중환경에 따라 축부를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20100042930A 2010-05-07 2010-05-07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099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30A KR100996694B1 (ko) 2010-05-07 2010-05-07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30A KR100996694B1 (ko) 2010-05-07 2010-05-07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694B1 true KR100996694B1 (ko) 2010-11-25

Family

ID=4341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930A KR100996694B1 (ko) 2010-05-07 2010-05-07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57B1 (ko) * 2016-10-18 2017-04-11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680A (ja) 2000-03-23 2001-09-25 Ngk Insulators Ltd 曝気装置および曝気方法
KR100722318B1 (ko) 2006-04-14 2007-05-28 국성종합건설(주)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JP4190341B2 (ja) 2003-04-24 2008-12-0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KR100937729B1 (ko) * 2009-08-26 2010-01-20 임동열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680A (ja) 2000-03-23 2001-09-25 Ngk Insulators Ltd 曝気装置および曝気方法
JP4190341B2 (ja) 2003-04-24 2008-12-0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KR100722318B1 (ko) 2006-04-14 2007-05-28 국성종합건설(주)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KR100937729B1 (ko) * 2009-08-26 2010-01-20 임동열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57B1 (ko) * 2016-10-18 2017-04-11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umette et al. Arsenobetaine formation in plankton: a review of studies at the base of the aquatic food chain
JP5054727B2 (ja) 海の森作り用多機能トンネル型人工漁礁
US7310905B2 (en) Controllable fishing lure
KR100964499B1 (ko)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MX2009005146A (es) Jaula sumergible y conjunto para criar peces.
US8919033B2 (en) Snagless bladed fishing lure
CN101624820A (zh) 一种治理湖泊水华的自动化除藻船
US10829649B2 (en) Methods and coatings for protecting surfaces from bio-fouling species
KR100996694B1 (ko)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Montuelle et al. Food capture in vertebrates: a complex integrative performance of the cranial and postcranial systems
KR20170002916U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Hunt et al. The behaviour of Loligo opalescens (Mollusca: Cephalopoda) as observed by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Sabaj et al. Spawning behaviors in the bluehead chub, Nocomis leptocephalus, river chub, N. micropogon and central stoneroller, Campostoma anomalum
KR20150086208A (ko) 해물(海物)잡이 물총
Matthews et al. Depth distribution of Campostoma grazing scars in an Ozark stream
KR20180129069A (ko)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KR101537910B1 (ko) 소거면적조절이 가능한 해조장 갯닦기장치
CN209120996U (zh) 一种人工鱼礁
KR101188446B1 (ko)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Chang et al. Effects of burial on the heart cockle Clinocardium nuttallii and the Dungeness crab Cancer magister
KR101725957B1 (ko)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KR20130129064A (ko) 불가사리 제거를 위한 수중로봇 시스템과 제어방법
Samuelson et al. Description of a unique solitary feeding strategy observed i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in the Biloxi Marsh, Louisiana
Brooks et al. Pelagic Sargassum mediates predation among symbiotic fishes and shrimps
KR102593045B1 (ko) 갯벌 양식장 경운용 농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