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446B1 -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446B1
KR101188446B1 KR1020120015584A KR20120015584A KR101188446B1 KR 101188446 B1 KR101188446 B1 KR 101188446B1 KR 1020120015584 A KR1020120015584 A KR 1020120015584A KR 20120015584 A KR20120015584 A KR 20120015584A KR 101188446 B1 KR101188446 B1 KR 10118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high pressure
harmful
shaf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우
Original Assignee
곽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102012001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백화현상시 발생되는 수중 암반이나 수중 구조물 표면의 침전물 즉, 객녹음을 제거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해생물 제거를 위해 전방으로 고압수를 분사시에 높은 분사 압력으로 인하여 다이버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하고, 다이버의 선택에 의해 고압수를 직진으로 분사시킬 수도 있고 회전시켜 분사시킬 수도 있고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어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는 축부; 상기 축부 전방에 구비되고,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전방분사부; 상기 축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분사부가 분사하는 고압수에 따른 추진력을 감쇠시키는 고압수가 분사되어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후방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harmfurl living organisms}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위하여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수중 암반이나 수중 구조물 표면의 침전물 즉, 갯녹음을 제거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해생물 제거를 위해 전방으로 고압수를 분사시에 높은 분사 압력으로 인하여 다이버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하고, 다이버의 선택에 의해 고압수를 직진으로 또는 회전시켜 또는 직진과 회전을 혼합하여 분사시킬 수도 있고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어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고, 가두리양식장의 그물망이나 선저에 부착된 유해생물과 부착물을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제거할 수 있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녹음 현상을 극복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핸 대책 방안의 하나로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바다숲 조성 사업은 갯녹음 해역내 인공 구조물인 해중림초에 해조류를 직접 이식하는 방법인 종묘이식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과 산란, 성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연안 정착성 수산생물은 물론 회유성 어류를 모이게 하여 생산성이 저하된 어장의 생산력 증강뿐만 아니라 어장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이다.
어장을 형성함에 있어 특히 해조류는 바다 연안의 일차생산자로서 과다한 영양염 흡수 및 이용, 용존산소의 대량 생산 및 탄소 고정 등 연안의 기초생산력의 증대와 어류의 산란장, 은신처 및 육성장 등 유용 수산자원의 번식과 성장을 위한 수단 생물의 보육장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식성의 전복, 소라, 고둥류, 자라돔, 쥐돔 등 유용 생물 자원의 먹이 역할을 하며 식용, 의약품 및 기능성 물질 활용 등 고부가 가치 수산자원으로의 어업인 소득원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인 바이오에너지 개발 재료로 해조류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해조류는 육상 작물과 달리, 생산에 따른 추가에너지 투입, 농약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거의 제한 없는 공간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는 육상 나무에 비해 효과가 높아 해조류의 유용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대형 갈조류의 하나인 다시마는 열대우림 보아 탄소 고정 능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년생 해조류 엽체가 해수운동과 반대로 운동함으로써 반대로 해조류 엽체와 물 사이에 상대운동이 적게 되어 유영력이 약한 생물이라도 암초에서 보다 정착이 쉬우며, 해조류 엽체 표면에 기생 및 부착하여 서식하는 작은 생물에게는 생활터전이 되는 것이다, 해조류 엽체에 서식하는 작은 생물은 작은 어류 등의 먹이 역할을 하여 어류 유집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바다숲은 패류 뿐만 아니라 어류의 서식장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중림초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을 함에 있어, 우선 선행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해중림초를 비롯한 인공어초, 그리고 바다속 갯바위와 같은 수중암반 등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 즉, 백화현상에 의해 수중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백화현상(갯녹음현상)이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러한 백화현상에 의해 바닷물 속에서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떠다니던 탄산칼슘이 침전해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이로 인해 전복, 멍게류 등 각종 어패류와 해조가 죽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해양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바다숲 조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침전물 즉 유해생물을 제거함에 있어 다이버가 수중에서 모든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하게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단순한 다이버의 힘만으로는 제거하지 못하여 원활한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생각하여 종래 등록특허 제10-639887호(2006.10.24)『갯바위 청소 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는 갯바위 표면을 청소함에 있는 선행으로 분쇄시킨 분쇄물을 고압으로 공기와 함께 갯바위 표면으로 분사시켜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는 수중에 공기압을 통해 분사를 시킴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압에 대한 매질이 물로서 서로 상이하여 고압으로 분사될수록 버블현상이 생겨 다이버의 시야를 가리게 되었으며, 또한 단순히 공기압으로만 제거되지 않는 유해생물에 대해서는 제거 자체가 안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후 등록특허 제10-0937729호(2010.01.12)『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가 고안되어 공기압이 아닌 고압수를 분사시켜 수중 구조물에 부착된 유해생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서는 분사총을 통한 고압수 분사시 발생하는 반동에도 안정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 하도록 와이어를 분사총에 연결하여 분사 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에 개시된 고정장치는 다이버가 작업을 할 때마다 와이어 및 고정앵커를 바닥면에 별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으로 기동성이 떨어지며, 더욱이 후방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장치는 수중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러기에 설치 위치 선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 등록특허 제10-0996694호(2010.11.19)『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 제거장치』가 고안되어 밀림방지수단을 이용하여 후방밀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996694호에 개시된 밀림방지수단은 고압수를 분사하는 전방에 배치되어 분사된 고압수가 부딪히는 추진판을 이용하여 후방밀림을 방지하고 있어서, 추진판이 해초나 수중 구조물에 걸리고 해초 등을 건드려 손상을 줄 우려가 있어 유해생물 제거작업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추진판이 분사된 고압수를 분산시키기에 유해생물에 도달되는 고압수의 힘을 약화시켜 유해생물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 제10-0937729호와 등록특허 제10-0996694호는 고압수를 직진시켜 분사시키고 있다. 직진되어 분사되는 고압수는 강력하여 구조물에 부착 또는 침전되어 있는 유해생물의 제거에는 좋지만, 해초에 침전되어 있는 유해생물이나 해초가 많은 구조물에 침전되어 있는 유해생물을 제거할 때에는 직직으로 분사된 고압수가 유해생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해초를 함께 제거시키거나 손상을 줄 위험이 다분하고, 직진하도록 분사된 고압수가 지나가는 영역이 넓지 아니하여 유해생물 제거작업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바다숲 조성사업과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어류를 가두리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망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해생물과 침전물이 부착되어 어류의 성장을 방해하고 병약하게 한다. 따라서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망에 부착되어 있는 유해생물이나 침전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그물망에 있는 어류를 다른 그물망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물망을 물 밖으로 끄집어낸 후에 유해생물이나 침전물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물망을 물 밖으로 끄집어내는 과정이나 유해생물 제거후 다시 물속으로 넣는 과정에서 그물망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어 상당히 고비용,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선박의 선저에도 어패류나 침전물 등이 부착되어 선박의 운항시 저항력을 높여, 선박의 운항 속도를 저하시키고 연료의 소모를 증가시는 문제가 있는데,
종래에는 선박을 물 밖으로 끄집어내어 도크에 올려 놓은 후에 삽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 역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도크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는 등 고비용,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해생물 제거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전방분사부 앞에 전방분사부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고압수의 분사를 방해하는 물체를 두지 아니하고, 전방분사부에 대응되어 후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후방분사부를 두어 기동성을 높이고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수를 분배하여 전방분사부와 후방분사부로 배출하고, 전방분사부와 후방분사부로 각각 배출되는 고압수의 수압을 다이버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도 보다 높인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방분사부는 고압수를 직진시켜 분사하는 것과 회전시켜 분사하는 것을 모두 구비하고, 주변의 해초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지역에서는 힘이 강하고 한곳으로 집중되는 직진 고압수를 분사시켜 유해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하고, 주변의 해초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는 힘이 분산되면서 보다 넓은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회전 고압수를 분사시켜 해초의 손상 없이 유해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축부 후방으로 파이프를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압력에 의해 수중작업자를 고수압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파이프에 홀을 천공하여 고압수가 분사됨에 따라 주변의 물이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유입된 물은 파이프에서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망이나 선저에 부착된 유해생물과 침전을 저비용 고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 제거장치는
축부;
상기 축부 전방에 구비되고,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전방분사부;
상기 축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분사부가 분사하는 고압수에 따른 추진력을 감쇠시키는 고압수가 분사되어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후방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수를 상기 전방분사부와 후방분사부로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방분사부는 다수개가 구비되되, 일부는 고압수를 직진 분사하고, 일부는 고압수를 회전시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축부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후방분사부를 감싸고, 상기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는 유해생물 제거 작업에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고압수 분사에 따른 후방밀림을 방지하여 다이버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분사되는 고압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수를 직진시켜 분사시킬 수도 있고 회전시켜 분사시킬 수도 있어, 주변에 해초가 없는 구조물에서는 강한 직진 고압수와 회전 고압수를 함께 분사시켜 넓은 면적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하고, 바위 틈새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강한 직진 고압수를 분사시켜 제거할 수 있고, 주변에 해초가 있는 때에는 다소 약한 회전 고압수를 분사시켜 고압수의 분사에 따른 해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유해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의 후방측에 파이프를 삽입하고, 파이프에는 분사된 고압수의 배출에 따라 주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천공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압력에 의해 수중작업자를 고수압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여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통해 다이버가 작업하는 상황을 도시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행물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제거장치의 사용상태 일례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제거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 일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생물제거장치(10)는 다이버가 직접 들고 수중에서 고압수를 분사시키는 것으로, 작업 효율을 위해 상기 유해생물제거장치(10) 외 다어버가 착용하는 잠수용 마스크(20)와 유해생물제거장치에 장착된 화상부(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확인하고 다이버와의 교신을 위한 지상통신수단(30)이 구비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표면에 대한 부착된 유해생물 제거 작업은 수면 위로 배가 위치하고, 다이버가 작업이 필요한 곳에 입수하여 유해생물 제거장치(10)를 이용하여 제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수시로 선상에 있는 지상통신수단(30)을 통하여 마스터와 다이버간 교신을 하고, 마스터가 화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선상에서 확인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거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 축부(110)의 전방측에 장착된 조명기구(190)가 고압수가 분사되는 유해생물 제거영역을 조명하여 어두운 해저에서 다이버의 시야를 확보하고, 선상의 마스터도 화상부를 통해 시야를 확보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제거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상에는 유해생물제거장치(10)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수압 펌프(P)가 구비되어, 고압수는 케이블(C)을 통하여 유해생물제거장치(10)까지 전송되고, 유해생물 제거장치의 축부(110)를 지나 전방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되어 유해생물을 제거한다.
이때, 케이블(C)을 통해 유해생물제거장치(10)로 유입된 고압수는 축부(10) 내부의 압력을 높이면서 축부(110)의 전방과 후방으로 분배되고, 축부의 전방과 후방으로 분배된 고압수는 전방분사부(120)와 후방분사부(16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개폐밸브(121, 161)의 개폐량에 따라 분사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제거장치(10)를 살펴보면, 축부(110), 전방분사부(120), 후방분사부(160), 분배몸체(150), 제1손잡이(130), 제2손잡이(140), 파이프(170), 접촉방지판(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축부(110)는 상기 분배몸체(150)의 전후방 양측으로 연결되고, 유입된 고압수가 흐를 수 있도록 파이프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분사부(120)와 후방분사부(160)는 각각 상기 축부(110)의 전방과 후방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외부로 분사한다.
상기 전방분사부(120)는 전방의 구조물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유해생물을 제거하고, 상기 후방분사부(160)는 후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전방분사부(120)가 고압수를 분사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다이버가 후방으로 밀리는 힘을 상쇠시켜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방분사부(120)와 후방분사부(160)에는 각각 고압수의 분사여부와, 고압수의 분사량을 다이버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밸브(121, 161)가 구비된다.
다이버는 전방분사부(120)의 개폐배브(121)와 후방분사부(160)의 개폐밸브(161)의 개폐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다이버가 후방(또는 전방)으로 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방으로 분사되는 고압수의 강약을 조절하게 된다.
참고로, 선상의 펌프(P)를 통해 유해생물제거장치(10)에 유입되는 고압수는 약 700bar의 압력을 갖고, 700bar의 고압수는 각각 전후방분사부(120, 160)로 분배되어 분사되게 된다. 다이버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방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는 일반적으로 350bar에서 500bar 사이가 된다.
상기 전방분사부(120)는 고압수를 직진시켜 분사시키는 것(120A)과 회전시켜 분사시키는 것(120B)을 구비하여, 유해생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직진되어 분사되는 고압수는 한곳으로 집중되어 나아가므로 힘이 약해지는 것이 최소화되어, 도3a와 같이 주변에 해초가 별로 없는 영역에서 사용하여 구조물에 붙어 있는 유해생물을 강한 힘으로 신속하고 깔끔하게 제거되는데 유용하고, 특히 바위 틈과 같이 좁은 곳에 부착되어 있는 유해생물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
반면, 회전되어 분사되는 고압수는 전방분사부(120B)에서 배출되면서 회전반경을 점차 늘려가며 나아가므로 힘이 분산되어 약해지고, 고압수의 진행방향도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과 회전하는 방향이 혼재하게 되므로, 도3b와 같이 주변에 해초가 많은 영역에서 사용하여 고압수에 의해 해초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면서 유해생물을 제거하는데 유용한다.
또한, 해초가 있긴 하지만 많지는 않은 지역에서는 직진하는 고압수와 회전하는 고압수를 함께 분사시키면서, 해초에는 회전하는 고압수만 접촉되도록 하면 해초의 손상 없이 유해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해초의 손상 우려가 적고 유해생물이 구조물에서 쉽게 떨어지는 곳에서는 직진하는 고압수와 회전하는 고압수를 함께 분사시켜 직진하는 고압수는 유해생물을 구조물에서 강력한 힘으로 떼어내고 회전하는 고압수는 넓은 영역에서 구조물에서 분리된 유해생물을 구조물에서 멀어지도록 하여 유해생물 제거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분사부(120)의 양측에는 유해생물 제거 작업 중에 전방분사부(120)나 전방의 축부(110)가 유해생물이 부착되어 있는 작업대상체(인공어초, 갯바위 등)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판(180)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방지판(180)은 인공어초나 갯바위 등과 같이 견고한 작업대상체에 전방분사부(120)나 축부(110)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선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작업 중에 전방분사부(120)가 선저에 부딪혀 전방분사부(120) 또는 선저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두리양식장의 그물망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작업 중에 전방분사부(120)가 접촉되어 그물망을 손상시키거나 전방분사부(120)에 그물망이 뒤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촉방지판(180)은 작업대상체에 접촉시에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방지판(180)의 회전축(181)에는 돌출부(183)이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83)의 양측에는 회전하는 돌출부(183)가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막는 막음부(185)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손잡이부(130)와 제 2 손잡이부(140)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이격시킨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다이버가 두 손으로 안정적으로 유해생물제거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손잡이(140)는 제 1 손잡이(130)가 형성되는 방향에 수직되어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다이버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압수는 선상의 수압 펌프(P)에서 축부(110)의 소정 부위로 유입되고, 축부로 유입된 고압수는 최종적으로 전방분사부(120)와 후방분사부(160)를 통하여 수중으로 분사되는데, 상기 제 1 손잡이(130)에는 고압수의 분사 여부를 조절하는 레버(131)가 구비되어 다이버가 유해생물 제거장치를 파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원하는 시점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분배몸체(150)는 전후방 양측으로 상기 축부(110)가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130)의 레버(131)에 연동 작동하여 유입된 고압수를 전후방 양측으로 배출 또는 차단한다. 즉, 다이버가 레버(131)를 잡아당기면 유로를 개방하여 고압수가 전후방 양측으로 축부(110)로 배출되도록 하고, 레버(131)를 놓으면 유로를 폐쇄하여 고압수가 축부(110)의 전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레버(131)의 작동에 연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분배몸체(150)에는 유로개폐기(156)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개폐기(156)는
상기 분배몸체(150)에 스크류결합되어 고정되고, 배수공(157a)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57)와,
상기 체결부(157) 하부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몸체(150) 내부의 유로(153)와 연통되는 연통홀(158a)이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158)와,
상기 연통부(158) 내부로 삽입되고, 스프링(159c)으로 탄지되고, 내측으로 고압수를 유입받고, 하부배출홀(159a) 및 상부배출홀(159b)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로드(15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손잡이(130)의 레버(131)를 잡아당기기 전에는 상기 스프링(159c)이 상기 배출로드(159)를 하강하도록 탄지한다. 상기 배출로드(159)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배출홀(159b)이 상기 연통홀(158a)에 배치되어 상부배출홀(159b)은 상기 배수공(157a)을 통해 유로(151)와 배수구(151)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축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고압수는 대부분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전방분사부(120)나 후방분사부(160)로는 강력한 고압수가 분사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손잡이(130)의 레버(131)를 잡아당기면 상기 배출로드(159)는 승강하여, 상부배출홀(159b)이 체결부(157) 내벽에 배치되면서 막혀 상기 배수구(151)를 통해 고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폐로드(159)의 하부배출홀(159a)은 상기 연통홀(158a)과 연통되어 유로(153)와 후방분사부(160)를 연결하여 고압수가 후방분사부(160)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수구(151)를 통해 고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음으로서 축부(110)로 유입되는 고압수에 의해 축부(110)의 내부 압력은 높아지고,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유입된 고압수는 전후방으로 밀려 전방분사부(120)와 후방분사부(160)를 통해 강력하게 외부 수중으로 분사된다. 이때 축부(110)로 유입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고압수는 바로 전방분사부(120)를 통해 수중으로 분사되고, 후방으로 향하는 고압수는 분배몸체(150)를 통과한 후에 후방분사부(160)를 통해 수중으로 분사된다. 물론 이는 도면과 같이 케이블(C)을 분배몸체(110)의 전방측에 연결하였을 때이고, 후방측에 연결하면 전방으로 향하는 고압수가 분배몸체를 통과한 후에 전방분사부(120)를 통해 수중으로 분사된다.
상기 파이프(170)는 상기 축부(170)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후방분사부(160)를 감싸고, 상기 후방분사부(160)가 인접한 부위에는 다수의 홀(171)이 천공된다.
상기 파이프(170)는 후방분사부(160)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따른 후방 분사압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상기 홀(171)은 후방분사부(160)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파이프(170)에서 배출될 때 주변의 물이 파이프로 유입되도록 하여 분사압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한다. 홀(171)이 없으면 고압수가 분사는 되지만 힘이 약해져 분사 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홀(171)을 통해 유입된 물은 후방분사부(160)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와 함께 회전하며 파이프 후방으로 배출되어, 작업자의 뒤로 밀림을 방지하고 수중에서 기동성 있게 원활할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유해생물제거장치
110 : 축부 120 : 전방분사부
130 : 제1손잡이 140 : 제2손잡이
150 : 분배몸체 160 : 후방분사부
170 : 파이프

Claims (4)

  1. 축부;
    상기 축부 전방에 구비되고, 유해생물 제거를 위한 고압수가 분사되는 전방분사부;
    상기 축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분사부가 분사하는 고압수에 따른 추진력을 감쇠시키는 고압수가 분사되어 후방밀림을 방지하는 후방분사부;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수를 상기 전방분사부와 후방분사부로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몸체;
    상기 전방분사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유해생물 제거 작업 중에 전방분사부나 전방의 축부가 유해생물이 부착되어 있는 작업대상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방지판은
    작업대상체에 접촉시에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촉방지판의 회전축에는 돌출부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는 회전하는 돌출부가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막는 막음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배몸체는 상기 축부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의 레버에 연동 작동하여 유입된 고압수를 전후방 양측으로 배출 또는 차단하고,
    상기 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분배몸체에는 유로개폐기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기는
    상기 분배몸체에 스크류결합되어 고정되고,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하부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몸체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 내부로 삽입되고,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내측으로 고압수를 유입받고, 하부배출홀 및 상부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몸체에는 배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출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배출홀, 연통홀 및 배수공을 통해 상기 분배몸체의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배출로드가 승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배출홀이 상기 체결부 내벽에 막혀 상기 분배몸체의 유로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분사부는 다수개가 구비되되, 일부는 고압수를 직진 분사하고, 일부는 고압수를 회전시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후방분사부를 감싸고,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20120015584A 2012-02-16 2012-02-16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118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584A KR101188446B1 (ko) 2012-02-16 2012-02-16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584A KR101188446B1 (ko) 2012-02-16 2012-02-16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446B1 true KR101188446B1 (ko) 2012-10-05

Family

ID=4728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584A KR101188446B1 (ko) 2012-02-16 2012-02-16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10B1 (ko) * 2014-02-26 2014-11-04 곽철우 저압수를 이용한 해파리 폴립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341B2 (ja) * 2003-04-24 2008-12-0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341B2 (ja) * 2003-04-24 2008-12-0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10B1 (ko) * 2014-02-26 2014-11-04 곽철우 저압수를 이용한 해파리 폴립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334B1 (en) Seabed organic material relocating apparatus
KR101050296B1 (ko) 수중 자연암반 및 인공구조물의 해조류 포자 인공착생방법
JP2011030442A (ja) 水生生物の養殖設備
KR101188446B1 (ko)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KR20140090735A (ko) 여과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시형 잘피 생태수조
JP2008237225A (ja) 魚の捕獲・運搬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運搬用浮体
KR20140143251A (ko) 십자형 해조류 종묘 이식 구조물
KR100937729B1 (ko)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KR101537910B1 (ko) 소거면적조절이 가능한 해조장 갯닦기장치
KR101349105B1 (ko) 갯벌 유해생물 제거장치
JP4423511B1 (ja) 有機物漁礁
KR101725957B1 (ko)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KR100468487B1 (ko)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KR100996694B1 (ko)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AU2013203731B2 (en) A submersible structure
KR100972783B1 (ko) 조식동물 및 부산물 수중제거장치
KR101427485B1 (ko)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
KR101464106B1 (ko)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CN206547653U (zh) 两用改底机
KR200197668Y1 (ko) 해저토질개선기
KR10187718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침선어초 시설방법
NZ545111A (en) Aquatic vege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H05146234A (ja) 赤潮の死滅除去方法
KR102538691B1 (ko) 자연 암반 복원 장치
JPH063013B2 (ja) 耕耘を伴う水底覆砂工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