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106B1 -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106B1
KR101464106B1 KR1020140046089A KR20140046089A KR101464106B1 KR 101464106 B1 KR101464106 B1 KR 101464106B1 KR 1020140046089 A KR1020140046089 A KR 1020140046089A KR 20140046089 A KR20140046089 A KR 20140046089A KR 101464106 B1 KR101464106 B1 KR 10146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jetting
water
polyp
poly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황영옥
정영호
한상조
강인석
김현호
노홍길
정상철
배애란
노도성
박춘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유한회사 씨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유한회사 씨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녹음 지역에 자연암반 부착기질 복원을 통한 해중림 조성과 유절석회조류, 무절석회조류, 부늬 등 유용 해조류의 부착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유용 해조류 수중저연승시설, 모조주머니 시설, 해조류 포자 암반착생 시설로 해중림 조성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 어민 소득 증대바다숲 조성효과를 증대화 하기위한 해파리 폴립 제거용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Jellyfish polyp removal equipment and method }
본 발명은 갯녹음된 자연암반 부착기질 복원을 통한 해중림 조성과 기질 석회조류, 무기질 석회조류 등의 유용 해조류 부착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유용 해조류의 포자의 착생 시설로서 해중림 조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분사수를 빨아올려 분사호스로 고압 이동시켜, 분사호스와 연결된 분사수의 출력을 조절하는 손잡이, 출력된 분사수가 통과하는 몸체로 이루어진 연결부, 고압의 분사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노즐로 구성되는 해파리 폴립 제거 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파리(jellyfish)는 강장동물 히드라 충류와 해파리류의 부유시기와 유즐동물의 총칭으로, 수모 또는 해타라고도 한다. 몸은 주로 한천질로 헤엄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수면을 떠돌며 생활하고 해류와 같이 이동하여 전세계 바다에 널리 분포하며, 예외적으로 담수 및 기수에 살기도 한다.
해파리는 대부분 부착성 폴립 세대를 거치고, 먹이가 풍부한 내만이나 깊이 수 미터까지의 얕은 바다에 살며, 히드라충류의 경해파리의 경우 외양에 많이 분포하며, 관해파리의 경우에는 수백미터 이상 심해에 산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관찰되었고,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등의 영향으로 수온이나 기후가 변화되면서 보다 자주 관찰되고 있다.
해파리는 대부분 반폐쇄성 내만이나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먹이 사슬이 깨어진 환경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근래에 환경오염이 원인이 되어 원양에서 서식하는 해파리가 근해로 접근함으로 인해 주변 인근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그물에는 대다수의 해파리가 딸려 올라오는 문제로 인한 그물의 파손, 어획물의 신선도 저하로 인한 가격하락, 어획물과 해파리 분리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 및 조업포기에 의해 매년 2000-3000억원의 어업손해가 발생하는 등 해파리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민들은 하역부두 콘크리트 벽면이나 해상구조물 등에서 해파리 폴립(유생)을 제거하는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폴립(polyp)이란 강장동물의 기본적 체형으로, 몸은 원통형이고 윗가두리인 입 주위에 촉수가 배열되어 있으며 체내는 넓은 강장으로 되어 있는데 입으로 취한 먹이는 강장에서 소화되고 소화되지 않은 것은 다시 입을 통해 배출된다.
유생단계인 폴립은 암반이나 수중 구조물에 부착하여 살며 이 단계에서 무성생식에 의한 대량의 폴립이 생산되며 출아법에 의해 증식된다. 폴립은 히드라처럼 단체(單體)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석산호류나 히드라충류처럼 많은 폴립이 모여 나뭇가지와 같은 군체를 만들고 히드라충류는 폴립이 성숙하면 해파리로 변태하여 유성생식을 한다.
폴립제거 방법은 해파리 폴립이 펄 질의 바닥에서는 생존하지 못하는 특성에 따라 잠수사가 수중에서 폴립이 붙은 벽면을 청소하는 해파리 폴립 제거작업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잠수사가 끌 등을 이용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에 한계가 있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인력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해파리 폴립제거를 위한 장치와 폴립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587호에는 고압수가 물안개 발생 없이 균일하게 분사 되어 작업이 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마그네트와 고압 씰로 설계되어 있어, 보다 능률적이면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고압수 회전 분사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등록특허공보 제10-2011-0056910호에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과,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제공되는 격자 모양의 그리드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바다속 지형물로부터 해파리 폴립을 분리하기 위한 고압 분사장치와, 상기 해파리 폴립이 상기 그리드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제공되는 회전팬과, 상기 흡입된 해파리 폴립을 통과시킴으로써 파괴하는 복수 개의 오리피스를 가지는 오리피스 부재와, 상기 오리피스 부재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공동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공동현상을 이용한 공동현상을 이용한 해파리 폴립 제거 장치 및 공동현상을 이용한 해파리 폴립 제거 장치가 설치된 무인 잠수 로봇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090호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무인잠수정을 통해 부착면에 고정된 폴립을 부유시킨 후 이를 물과 함께 흡입하고, 흡입된 폴립만을 여과하여 저장하며, 폴립이 저장된 여과부를 무인 잠수정에서 탈착하여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무인 잠수정을 이용한 해파리 폴립제거로봇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해파리 폴립 제거를 위해, 고압수의 분사량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식 노즐과 단계별 방아쇠를 갖는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분사수를 고압펌프에 의해 분사호스로 전달하여 잠수부가 자연암반 등에 부착된 폴립을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상의 작업용 엔진, 고압 펌프, 분사수 저장탱크가 설치된 작업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펌프는 작업용 엔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달받아 분사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를 통해 분사수를 빨아올려 분사호스로 고압 이동시켜, 분사호스와 연결된 분사수의 출력을 조절하는 손잡이, 분사수가 통과하는 몸체로 이루어진 연결부, 고압의 분사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노즐부로 구성되는 수중 건을 통해 수중으로 고압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폴립 제거용 고압수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노즐부는 상광하협으로 상, 하가 개구되어 있는 구조의 연결간이 고정대응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결간의 하부 개구부는 고정대응부를 매개로 분사부와 연결되며, 연결간의 개구부 상부측면은 하부하우징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유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의 상부개구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부하우징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하우징은 상,하 방향으로 통공형태의 경사통로가 형성되어 경사통로의 하부는 돌출되어 있는 원기둥 형태로 하부 하우징의 유입부와 대응하여 연결되며, 분사수의 출력을 조절하는 손잡이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버튼에 따라 분사부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킬수 있도록 하며, 연결부 몸체는 신축성을 갖는 안테나 식으로 이루어진 해파리 폴립 제거용 고압수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작업선에 연결된 분사호스와 건이 연결되고 건은 조절부, 연결부, 분사부로 구성된 구조로 제거를 목적으로 하고자 하는 해파리 폴립의 개체수와 해파리 폴립이 분포하는 면적에 따라서 건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절부의 손잡이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고 연결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분사부의 고압수가 해수로 분사되는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된 분출구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어 분포한 해파리의 면적크기나 개체수에 따라 분출구를 바꿔서 고압수를 이용하여 폴립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해파리 폴립 구제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조절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조절부 변형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변형된 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몸체의 실시예 Type A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몸체의 실시예 Type B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가 연결부와 결합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 몸체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노즐부의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노즐부에 하부하우징이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상부하우징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하부하우징에 상부하우징이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 몸체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 몸체의 구성요소가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 몸체의 구성요소가 작동하여 고압수가 분사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을 이용하여 해파리 폴립을 제거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해파리 폴립 구제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다. 폴립제거 방법은 해파리 폴립이 펄 질의 바닥에서는 생존하지 못하는 특성에 따라 고압분사기(water jet)를 이용하여 폴립이 부착된 벽면에서 떼어내는 해파리 폴립 제거작업이 일반적이다. 폴립제거 작업은 면포를 이용하여 송정탑 표면을 쓸어내리는 수작업과 고압분사기를 이용하여 잠수사 1명은 수중작업을 전답하고 육상보조 1명은 육상에서 보조하는 방식인 수중분사작업을 병행하면서 이루어지고 수중 촬영을 통한 폴립의 밀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구제작업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구제작업은 해파리 폴립 1개체가 5,000마리로 분열하는 점을 감안하면, 폴립제거가 원활한 어업활동에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수중구조물 벽면에 붙어있는 해파리 폴립을 제거하기 위해서, 잠수사가 끌 등을 이용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에 한계가 있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인력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계화된 해파리 폴립제거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은 해파리 폴립 제거를 목표로 하는 장소의 해수표면에 작업선(10)을 정선하고 작업선에는 작업용 엔진(20), 고압펌프(30), 분사수 저장탱크(50)가 설치된다.
작업용 엔진은 휘발유 또는 경유를 연료로 하여 가동되고, 휘발유 엔진에서 가동하는 힘은 전기로 변환되어 고압펌프로 전달된다. 고압펌프는 흡입호스(40)와 분사호스(41)를 포함하고 흡입호스는 분사수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분사호스는 수중건(60)과 각각 연결된다.
작업용 엔진에서 전달된 힘으로 흡입호스(40)는 분사수 저장탱크에서 저장된 해수 또는 담수를 빨아올리고 고압펌프를 통해 분사호스(41)로 이동시켜서 폴립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로 잠수를 한 잠수부가 소지하는 분사호스와 이어진 수중 건(60)에 공급하게 된다. 해중에서 고압수를 해파리 폴립에 분사시키면 해파리 폴립이 부착된 면에서 떨어지고 폴립이 펄 질의 바닥에서는 생존하지 못하는 특성에 따라 해파리 폴립을 제거, 사멸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수중 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중 건(60)은 분사호스로부터 전달된 고압수를 공급하고 저지할 수 있는 조절부(70), 고압수를 해파리 폴립에 직접적으로 분사시켜 제거할 수 있는 분사부(90), 조절부와 분사부를 연결시키고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8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조절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조절부(70)는 건 모양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잠수부가 고압수의 공급과 저지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71)가 설치된다. 건 모양의 프레임에 수납신축 가능한 안테나 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되고 파이프 개구부에는 어느 한 측면에는 연결부와 조절부를 연결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와 대응할 수 있는 고정 대응부(200)가 형성되고 파이프 측면에는 연결부 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 프레임 조절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조절부 변형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시된 조절부의 손잡이는 방아쇠를 당겨서 고압수의 공급과 저지를 조절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조절부 변형도에서는 고압수의 공급 및 저지의 조절 뿐만 아니라 고압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71)가 3단 구성으로 형성되고 건 모양 프레임 측면에는 손잡이 조절장치(73)가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변형된 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손잡이는 A, B, C는 저, 중, 고압수의 세기를 공급할 수 있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고 버튼을 단계별로 누를 때마다 고압수의 세기가 증가하며 D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73)의 버튼을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면 손잡이 버튼이 전단계로 복구되어 고압수의 공급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손잡이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버튼과 연결된 밸브가 고압수통로를 개방함으로서 고압수의 방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연결부(80)의 연결부 몸체(81)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안테나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연결부 몸체의 양쪽 개구부에는 조절부와 분사부에 각각 고정과 연결을 시켜주는 고정장치(201)와 대응할 수 있는 고정 대응부가(200) 형성된다.
고정 대응부(200)의 외측면과 고정장치(201)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 내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장치의 통공은 고정대응부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암나사와 수나사가 접합하여 고정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고정장치는 분사부와 연결부 그리고 연결부와 조절부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2가지의 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몸체의 실시예 Type A를 나타낸다. Type A의 연결부 몸체는 자바라 방법으로 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부 측면에 설치된 연결부 프레임 조절장치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하면 안테나프레임과 같이 연결부 몸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연결부 몸체의 실시예 Type B를 나타낸다. Type B의 연결부 몸체는 각각 분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레임과 프레임 일측면에는 통공과 돌기(82)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기는 일정힘을 가하면 프레임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돌기를 눌러 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고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가 연결부와 결합되는 원리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분사부(90)는 연결부(80)에 형성되는 고정대응부(200)에 고정장치(201)를 매개로 고정하여 연결될 수 있다. 분사부(90)를 이루는 필수구성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분출구(95)가 앞쪽에 위치하고, 상, 하부로 연결된 통공 형태의 경사통로를 갖는 상부 하우징(93)이 상기 분출구와 밀착되고, 하부하우징(94)에 형성된 걸림돌기(100)가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걸림공(98)에 걸림 결합되고, 하부하우징에 노즐부(92)가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노즐부의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노즐부(92)는 하부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간(96)에 하부개구부에 파이프와 같은 구조의 고정대응부(2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대응부는 고정장치를 매개로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노즐부에 하부하우징이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하부 하우징(94)은 상,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프레임으로 상부 개구부는 상부하우징의 하부와 대응하고 하부 개구부는 노즐부와 대응되어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의 상부의 외부측면에는 걸림돌기(100)가 형성되고 하부 개구부 측면에는 노즐부 상부 개구부의 측면부와 대응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끼움부가 형성되어 노즐부 상부 개구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의 하부 내부에는 노즐부를 통해 유입된 고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9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상부하우징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하부하우징에 상부하우징이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부하우징(93)은 원기둥 구조이고 상, 하부 일정각도 비스듬한 방향의 통공형태로 구성된 경사통로(97)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통로의 하부는 하부 하우징의 유입부(99)와 대응할 수 있는 직경으로 돌출되어 유입부와 대응하고 있어 유입부에서 유입된 고압수가 경사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의 하부에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하우징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직경의 원띠 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홈 내부 측면에는 걸림공(98)이 형성되어 하부하우징에 설치된 걸림 돌기(100)가 걸림공에 거치함으로써 상부하우징이 돌아가거나 하부하우징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의 구성요소가 장착된 측면 단면도 및 상부, 하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분사부의 상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분출구(95)가 돌출 설치되고 하부측면에는 노즐부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이 통공이 형성되어있다.
분출구(95)의 하부 개구부는 상부하우징의 경사통로와 대응할 수 있는 직경과 위치에 형성되어 노즐부에 유입된 고압수가 경사통로를 통하여 분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여 고압수를 이용하여 해파리 플립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의 분사부의 구성요소가 작동하여 고압수가 분사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하부하우징의 걸림돌기가 상부하우징의 걸림공에 거치되면 상부 하우징이 돌아가는 것이 저지되고 경사통로는 크기가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와 연결되어 노즐부에 공급된 고압수가 이동되고 분출구를 통해 해파리 플립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다른 직경을 갖는 분출구를 통해 고압수를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하부하우징의 걸림돌기를 풀어 상부하우징을 회전시켜 상부하우징의 경사통로와 분출구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압 분사수의 분사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도 19).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분사수는 상부하우징의 경사통로가 일정의 직경을 갖는 분출구와 연결되어 이동한다(도 19의 좌측 도면). 다른 직경을 갖는 분출구를 통해 분사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19의 중앙에 도시된 도면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하부하우징에 압력을 가하면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림공과 분리되어 상부 하우징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9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부하우징을 수평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 경사통로는 또 다른 직경을 가진 분출구와 대응하여 연결됨으로서 고압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파리폴립이 강하게 밀집되어 착생된 좁은 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분출구를 이용하여 고압수를 분사시켜, 벽면 전체에 넓게 퍼져있는 구역의 해파리 폴립을 제거시에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분출구를 이용하여 고압수를 분사시켜서 효율적인 해파리 폴립제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방법은 조간대 어장환경 개선, 작업 방법, 작업결과로 나누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 실시예>
Ⅰ. 조간대 어장환경 개선
가. 갯닦기 작업
- 작업면적 : 0.3 ha
- 작업수심 : 4~6 m 수심에 갯녹음이 심화된 지역
- 작업해역의 우치 정보를 WGS-84 로 표기
- 작업은 1회를 기본으로 하되,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해당 작업구역에 대해 추가 작업 실시
나. 해중림 조성
- 해조류 수중저연승 시설
- 해조류 모조주머니 시설
- 해조류 포자 암반 착생 시설 등
수중 저연승 시설에 사용되는 해조류(감태)는 엽장 30cm 이상이어야 하며, 1m당 15개체 이상 부착된다. 모조주머니 시설 및 포자 암반착생 시설에 사용되는 해조류(감태) 엽체의 경우 엽체 1개체당 포자가 50%이상 함유되어 있는 신선한 모조를 사용한다. 해조류 육상 및 해상 운송시, 대상 해조류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운반시 외부 환경에 대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운반한다. 해조류 종묘 운송차량은 외부 환경 영향에 의해 엽체의 손상이 가지 않도록 운송한다.
다. 각 시설별 작업 전, 중, 후 수중촬영
카메라 및 비디오 장비를 갖추어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으로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 서식하는 해파리 폴립을 제거한 후의 영상을 수중 촬영하고, 영상자료 및 모식도를 활용하여 작업과정 및 결과물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비디오촬영 및 일부 영상은 육상으로 전송되고 사진은 3회의 접사촬영이 실시되었고 접사촬영을 근거로 한 폴립의 출현양을 산정하였다.
Ⅱ. 작업방법
1. 조간대 어장환경 개선
작업해역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마을어장 (10234호)
가. 조간대 갯닦기 작업
고압 살포기를 사용하여 암반 및 전석에 부착한 무절석회조류 및 퇴적물을 제거하고 해조류 부착기질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유용하지 않는 부착물을 70% 이상을 제거하였다.
나. 수중 갯닦기 작업
작업선에 저압 콤프레셔를 설치한 후 고압 살포기를 사용하여 암반 및 전석에 부착한 무절석회조류 및 퇴적물을 제거하고 해조류 부착기질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유용하지 않는 부착물을 70% 이상을 제거하였다.
다. 갯닦기 작업 과정 촬영
조간대 어장환경 개선을 위한 갯닦기 작업의 전체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Ⅲ. 작업결과
1. 조간대 어장환경 개선
11월 21일은 손죽리 마을어장(10234호)의 작업구역에서, 간조시에 고압분사기를 이용하여 무절석회조류 및 유용하지 않은 부착물의 70%이상을 제거하는 갯닦기 1차 작업을 실시하였다.
11월 22일은 같은 해역의 수심 4~6m 지점에서 고압분사기를 이용하여 1차 작업에서 동일한 무절석회조류 및 유용하지 않은 부착물의 70% 이상을 제거하는 갯닦기 2차 작업을 실시하여 해조류 부착기질이 충분히 확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12월 13일은 같은 해역의 수심 4~6m 지점에서 고압분사기를 이용하여 1~2차 작업에서 갯닦기 작업이 미흡한 부분을 찾아 무절석회조류 및 유용하지 않은 부착물의 70% 이상을 제거하는 갯닦기 3차 작업을 실시하여 해조류 부착기질이 충분히 확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을 이용하여 해파리 폴립을 제거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립이 펄 질의 바닥에서는 생존하지 못하는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건에서 분사되는 고압수를 이용하여 폴립제거가 깔끔하고 폴립을 부착된 면에서 떼어내어 구제작업에 필요한 구제시간과 노동력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및 제거방법을 이용함으로서, 해파리 폴립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바다숲 기반조성을 위한 해파리 폴립 구제의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서 노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어민들의 해파리에 따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산자원의 확보로 어업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0: 작업선 20: 작업용 엔진
30: 고압펌프 40: 흡입호스
41: 분사호스 50: 분사수저장탱크
60: 수중 건 70: 조절부
71: 손잡이 72: 연결부 프레임 조절장치
73: 손잡이 조절장치 80: 연결부
81: 연결부 몸체 82: 돌기
90: 분사부 91: 분사부 몸체 92: 노즐부
93: 상부 하우징 94: 하부 하우징 95: 분출구
96: 연결간 97: 경사통로 98: 걸링공
99: 유입부 100: 걸림돌기
200: 고정 대응부 201: 고정장치

Claims (5)

  1. 작업용 엔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달받아 분사수 저장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를 통해 분사수를 빨아올려 분사호스로 고압 이동시키는 고압펌프; 상기 분사호스와 연결되어 분사수의 출력을 조절하는 손잡이; 손잡이로부터 출력 조절된 분사수가 통과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고정대응부를 매개로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90)는 상광하협으로 개구된 형태의 하부 개구부가 고정 대응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외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유입부가 형성된 하부하우징이 노즐부와 결합되며;
    상,하면이 관통된 통공 형태의 경사통로가 형성되고, 측면 가장자리에는 걸림공(98)이 함입 형성되어, 하부하우징의 걸림돌기와 연결, 결합되고, 하부중앙에는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통공이 형성되어 하부하우징의 유입부와 연결되는 상부하우징;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분출구(95)가 상부하우징의 경사통로와 연결되고, 경사통로는 상부하우징의 인위적인 회전에 따라 분출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고압 분사수의 분사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폴립 제거용 고압수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수의 출력을 조절하는 손잡이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버튼에 따라 분사부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연결부 몸체는 신축성을 갖는 안테나 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폴립 제거용 고압수 분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46089A 2014-02-18 2014-04-17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KR10146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8189 2014-02-18
KR1020140018189 2014-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106B1 true KR101464106B1 (ko) 2014-11-25

Family

ID=5229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089A KR101464106B1 (ko) 2014-02-18 2014-04-17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40B1 (ko) 2019-07-02 2019-11-04 유태관 무인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4A (ko) * 2002-10-29 2004-05-07 이순치 비눗물 및 물 분사장치
KR100964499B1 (ko) * 2010-01-26 2010-06-21 곽철우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4A (ko) * 2002-10-29 2004-05-07 이순치 비눗물 및 물 분사장치
KR100964499B1 (ko) * 2010-01-26 2010-06-21 곽철우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40B1 (ko) 2019-07-02 2019-11-04 유태관 무인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6283B (zh) 水中自然岩石及人工构造物的藻类孢子人工附生方法
US20030094141A1 (en) Integrated system for shellfish production: encompassing hatchery, nursery, brood-stock conditioning and market conditioning phases; also water treatment, food supplement, propulsion, anchoring, security, and devices for the integration of neighborhood values and shellfish production.
CN103918622B (zh) 吸入式海参捕捞器及捕捞方法
JP2006304787A (ja) 魚分離部を備えた漁網
KR101537910B1 (ko) 소거면적조절이 가능한 해조장 갯닦기장치
KR101464106B1 (ko)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KR20190121726A (ko)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KR20150086208A (ko) 해물(海物)잡이 물총
KR100964499B1 (ko)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해생물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유해생물 제거장치어셈블리
CN209749525U (zh) 一种船载式埋栖型底栖动物捕捞器
US10182558B2 (en) Method, system, and harvesting apparatus for aquaculture trench maintenance and harvesting
JP2008092839A (ja) ポリプの死滅方法
KR100468487B1 (ko)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US3229404A (en) Process for directing fish and an apparatus used therein
Xu Experimental study of bio-fouling control of Limnoperna fortunei in water transfer tunnels
KR101442645B1 (ko) 해파리 파쇄망
KR101725957B1 (ko)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KR20200028927A (ko) 고압해수를 이용한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용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방법
JP2003289756A (ja) 噴流式ホタテ八尺
KR102538691B1 (ko) 자연 암반 복원 장치
KR101188446B1 (ko) 후방 밀림을 방지하는 유해생물제거장치
KR20000021653A (ko) 어패류 및 갑각류 포획기
KR100972783B1 (ko) 조식동물 및 부산물 수중제거장치
JP2008263919A (ja) 曳網方法及び曳網システム
Collins et al. Artificial ree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