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726A -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726A
KR20190121726A KR1020190127282A KR20190127282A KR20190121726A KR 20190121726 A KR20190121726 A KR 20190121726A KR 1020190127282 A KR1020190127282 A KR 1020190127282A KR 20190127282 A KR20190127282 A KR 20190127282A KR 20190121726 A KR20190121726 A KR 2019012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box
suction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민중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중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9012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726A/ko
Publication of KR2019012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폭염과 같은 하절기에 해상의 수온 상승과 아울러 오염 등으로 이상 증식되는 부유물을 걸러줌으로서 수질개선을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하천지역의 내수면은 이상기후 변화로 가뭄현상의 증가로 하천수의 흐름이 느려지며, 특히 하절기에 이상고온으로 인하여 부유물의 부패 및 적조와 청조 등의 프랭크톤 또는 해파리 등의 증식 밀도의 증가로 인한 독소가 발생함으로서, 특히 수면에서 용존산소 고갈과 용수의 부영양화로 가두리 양식장에서 어류의 폐사 원인에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현장 적용하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수면에서 부유되는 부기대(113)나 작업선(118)에 연결되는 걸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기대(113)나 작업선(118)에 전측을 지지시켜 주도록 걸름박스통(120)에서 돌출된 프레임(125)과, 상기 부기대(113)의 후측에 힌지(130)로 연결되는 걸름박스통(120)와,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상측에는 경사지는 유입구(115)와, 상기 유입구(115)용 프레임(125)에 고정되면서 걸름통박스(120)에 흡입공간(160)이 저,후측으로 설치시켜주는 고정철망체(133)와, 상기 유입구(115)을 형성시켜 주는 프레임(125)에 조립되면서 고정철망체(133)의 설치구간(171)에 구비되는 걸름포대(150)와, 상기 걸름통박스(120)의 후,저측면에 형성된 흡입공간(160)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흡입펌프(140)와, 상기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수면에서 부유되는 부유물(녹조)이 하천수와 같이 유입구(115)로 유입된 다음, 걸름포대(150)에 걸러주는 청소장치(100)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omitted}
본 발명은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폭염과 같은 하절기에 해상의 수온 상승과 아울러 오염 등으로 이상 증식되는 부유물을 걸러줌으로서 수질개선을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하천지역의 내수면은 이상기후 변화로 가뭄현상의 증가로 하천수의 흐름이 느려지며, 특히 하절기에 이상고온으로 인하여 부유물의 부패 및 적조와 청조 등의 프랭크톤 또는 해파리 등의 증식 밀도의 증가로 인한 독소가 발생함으로서, 특히 수면에서 용존산소 고갈과 용수의 부영양화로 가두리 양식장에서 어류의 폐사 원인에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저수지나 하천,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하절기의 폭염과 함께 증가하는 녹조, 남조류 세포 증식으로 형성되는 부유물에 대하여 수거하는 대책은, 부유물을 흡입하는 주입구의 상측부가 수면위로 노출시켜 주어야 되는 것이다.
또한 해수면에 형성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위하여, 부유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부유된 부유물에 대한 효과적인 수거대책이 미흡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제출된 부유물 제거장치에 걸러진 부유물찌거기에 대한 수거는, 해수면과 같은 작업 현장의 악 조건하에서 간단한 수거장치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이나 저수지의 수면에서 불어주는 바람으로 수면의 출렁이는 파도에 의하여 부유된 시설물은 충격으로 내구성이 미약하는 우려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어민들은 궁여지책으로 황토류를 가두리 양식장의 부근을 선회하면서 뿌려주고 있으며, 또한 가두리 양식장 전체를 이동으로 적조현상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저수지 또는 하천, 연안지역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이상증식으로 독성이 발생하는 적조 및 해파리와 같은 부유물을 흡입하여 여과하면서, 걸러진 부유물은 자동적인 포장으로 제거하는 여과장치와 동시에 자동으로 걸름포대를 분리로 인출함에 목적이 있다.
이는 흐름이 거의 정체상태로 늦은 하천은, 대부분 정체된 상태로 저장된 소호상태이므로, 특히 폭염이 발생하는 혹서기인 경우, 하천수의 수질악화의 요인이 발생하는데, 이때 증식하는 남조류, 녹조와 같은 부유물찌거기를 수면에서 걸름과 동시에 포장, 저장, 운반용으로 제공함으로서 수질개선이 이루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기대(113)에 고정되는 걸름박스통(120)과,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흡입펌프(140)가 결합된 유입구(115)와,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인출구(180)에 걸름포대(150)가 구비된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청소장치(100)에 구비된 걸름박스통(120)의 양측면을 연결장치(170)로 연결시켜서 체인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름박스통(120)"와,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을 관통하는 흡입펌프(140)(140')의 흡입력에 의한 청소장치(100)의 전진으로 걸름포대(150)가 펼쳐주는 설치공간(171)에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물(녹조)을 걸러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71)에는 걸름포대(150)의 내측면적인 흡입공간(160)에 맞춰주도록 흡입공간(160)을 형성하는 고정철망체(133) 구비와,
상기 걸름통박스(120)의 양측 단부를 연결장치(170)로 연결시켜서 체인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걸름통박스(120)의 전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입펌프(140)와, 상기 다수개의 흡입펌프(140)를 차등적으로 회전시켜서 넓은구간에 방향전환하도록 제공되는 청소장치(100)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는 저수지나 연안지역 등의 해수면에 설치되어서, 부유물 제거를 자동적인 수행으로, 적조 및 남조류, 기타 부유물 등의 피해를 친환경적인 상태로 줄여주는 유용한 발명이다.
따라서,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수질개선으로 부유물을 제거된 상태로 유지시켜서, 수중에 서식하는 어류의 서식이나 용수에 대한 수질개선에 대하여 유용한 환경제공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단면도
도 4은 도 3에서 작업 공정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요부의 확대된 부분 단면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장치에 대한 확대된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요부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에서 일부절개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전체 공정에 대한 일실시예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결름포대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도12의 요부가 인출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즉 도 1은 본 발명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요부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장치에 대한 확대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요부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에서 일부절개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전체 공정에 대한 일실시예의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결름포대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12의 요부가 인출된 상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100)에서 부유되면서 증식되는 남조류 및 녹조를 걸름으로서 재거시켜서 수질개선 제공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널이 흩어져 있어서, 하천수에 대한 산소 및 햇볕의 유입을 거의 차단시켜 주는 녹조를 청소하여 주도록,
해수면(135)에서 연속적인 부유로 떠있도록 소정의 넓이와 체적으로 형성되는 작업선(118)과, 상기 작업선(118)의 하측으로 힌지(130)조립으로서 하천수의 걸름작업 도중에, 해수면(135)에서 형성된 파도에 대한 적응력으로 작업선(118)의 내구성 증가와,
또한 후술로 설명되는 걸름포대의 인출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작업선(118)의 일측을 지지시켜 주는 프레임(125)과, 작업선(118)의 타측에는 힌지(130)의 결합으로서, 바람이 미풍인 경우 발생하는 파도에 따라 요동되도록 결합되는 걸름박스통(120)로, 본 발명의 목적인 걸름장치의 유입구(115)로 정수하려는 수면에서 하천수 유입이 보강되는 효과적인 걸름공정으로서, 수질개선을 위하는 청소장치를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고로 상기 청소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천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흡입펌프(140)가 결합되는 유입구(115)와, 작업선(118)의 상측에서 힌지(130)로 연결되는 걸름박스통(120)으로 수면에 부력된 상태로 작업선(118)을 수면에 유지시켜 준다.
또한 하천수에서 유입구(115)로 유입된 녹조를 걸러주도록 청소장치(100)에 구비된 걸름박스통(120)에 대한 설명은, 상기 프레임(125)에 고정되는 걸름통박스(120)의 인출구(180)에서 조립된 걸름포대(150)가 펼쳐주는 설치공간(171)과, 상기 설치공간(171)에는 걸름포대(150)의 내측면적인 흡입공간(160)에 맞춰주는 고정철망체(133)로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걸름통박스(120)의 이격된 내측면에는 흡입공간(160)을 형성시켜서, 후술로 설명되는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녹조가 걸러줌과 동시에 청소장치(100)가 전진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철망체(133)용 프레임(125)에 조립으로 형성된 인출구(180)에서 설치공간(171)으로 펼쳐주는 걸름포대(150)로, 하천에 부유된 녹조를 걸러주도록, 상기 고정철망체(133)의 구비로서 형성되는 흡입공간(160)으로 해수가 흘러주도록 구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인출구(180)와 설치공간(171)에서 하천수의 흐름으로 걸름포대(150)가 걸러주는 역할을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걸름통박스(120)의 전면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흡입펌프(140)와, 상기 흡입펌프(140)의 가동으로 형성된 흡입공간(160)의 흡입력으로,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물이 인출구(180)를 통과된 다음, 걸름포대(150)에서 부유물찌거기(가)로 걸러주는 청소장치(100)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걸름통박스(120)의 전면에는 유입구(115)로 유입되는 구간에서, 걸름포대(150)로 조립 및 인출공정이 용이하도록, 확대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인출구(180)와, 상기 인출구(180)에다 주입구가 확대된 걸름포대(150)의 조립 및 인출공정은, 후술로 설명되는 인출장치(195)에 의하여 해수면(135)에서 부유물의 청소작업을 하는 발명이다.
또한 해수면(135)의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 과정은, 상기 청소장치(100)을 만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필요하는 것인 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름통박스(120)의 전면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흡입펌프(140)의 회전속도에 따라, 하천수의 흡입력의 강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고로 걸름통박스(120)의 전면에 방향조절을 위한 다수개의 흡입펌프(140)를 구비하면서, 미도시된 사물인터넷과 같은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흡입펌프(140)의 회전력을 각각 조절로 추진방향을 만곡시켜 주도록 구성시켜 준다.
또한 해수면(135)이 바람에 의하여 형성하는 파도 등으로 출렁이는 물결에 대하여 부유 중인 청소장치의 내구성 보강을 위한 특징은, 첨부된 도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박스통(120)은 수중에 잠겨있으나 이를 부유시켜 주기 위한 작업선(118)은 수면에 떠있으면서 힌지(130)로 연결이 되어있으므로, 이에 대한 완충효과를 제공하여 주도록, 상기 프레임(125)의 상측부로 받쳐주는 작업선(118)의 저면에 조립하기 위하여, 프레임(125)의 상측단부에 돌출되는 스프링(141)이 조립된 완충봉(149)과, 상기 완충봉(149)을 작업선(118)의 저측에 구비된 삽입구(148)에 결합되는 완충장치(151)의 구비로서, 파도에 의하여 상,하측으로 출렁이는 작업선의 요동을 스프링(141)의 복원력에 힌지(130)를 중심으로 탄력적인 진동으로 내구성 피해를 방지시켜 주도록 한다.
고로 상기 흡입펌프(140)의 회전력으로 흡입되는 흡입공간(160)의 흡입력은, 해수면(135)에 떠있는 청소장치(100)가 전측으로 전진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저수지의 수면을 골고루 이동하면서 걸름공정을 수행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청소장치(100)를 다수개로 순차적인 연결은, 해수면에서 소정의 면적으로 청소작업을 확대하기 위함이며, 상기 청소장치(100)의 양측면, 즉 걸름박스통(120)를 체인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복수개로 연결된 걸름박스통(120)의 양측면에 구비된 연결장치(170)로 연결로서, 넓은구간을 동시에 걸러주도록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형성되는 추진력에 대한 방향이동을 만곡형태로 수행하여 주기 위하여, 작업선(118)의 상측구간에 소정의 면적을 사용토록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작업공간(175)과, 상기 작업공간(175)에서 결합으로 연결된 방향타(190)를 흡입펌프(140)의 배출구 부근에 설치로서 서행으로 이동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해수면(135)에 부유된 녹조나 남조류는 매우 유연한 물질이므로,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걸름포대(150)에 유입시켜서 걸림포대(150)에 형성된 메쉬(구멍)에 부유물을 걸러주고 해수는 흘러주는 공정이 매우 곤란한 상태로 노출되는 바, 이에 대한 걸러주는 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선(118)의 작업공간(175)에 적재된 왕겨, 목분과 같은 충진재(161)와, 상기 충진재(161)가 걸름박스통(120)의 투입구(166)로 공급시켜 주도록, 작업공간(175) 저면으로 관통된 투입구(166)에 충진재(161)가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작업선(118)의 작업공간(175)에서 투입구(166)로 충진재(161)가 골고루 공급되어서, 유입된 남조류와 혼합으로 걸름포대(150)에 부유물찌거기(가)가 걸러주도록 투입구(166)에 미도시된 제어장치와 연동되는 스크루(167)을 구비로서, 유입된 왕겨, 목분쇄품, 황토분과 같은 충진재와 같이 걸름포대(150)의 메쉬(관통구)에 걸러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름박스통(120) 전면의 유입구(115)에서, 하천수가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하천수의 유입을 확대시켜 주기 위하여, 걸름박스통(120)의 상측에는 조립되는 작업선(118)의 저면구간을 유선형으로 만곡시켜 주되, 상기 걸름박스통(120) 상측의 작업공간(175)을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서, 하천수의 유입면적을 확대시켜 준다.
또한 하천수의 유입으로 걸름포대(150)에 걸려지는 부유물찌거기는 효과적으로 걸름작업 및 인출을 위하여,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상측에 미도시된 걸이로 걸어주는 걸름포대(150)와, 상기 걸름포대(150)에서 장기간 수행으로 녹조가 채워진 걸름포대(150)를 인출시켜 주도록, 상기 걸름통박스(120)의 전측면에 구비된 인출구(180)과, 상기 인출구(180)에 개폐문(177)을 결합으로 걸름포대(150)의 인출 및 조립을 수행되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 설치공간(171)과 흡입공간(160)에서는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으로, 걸름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걸름포대(150)에 걸러서 담아진 부유물찌거기(가)가 인출장치(195)로 인출되어서 제2작업선(128)으로 선적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에 대한 설명은, 또한 태평양과 같은 거대 해수면(135)에서는 바람이나 해류의 영향에 의하여 형성되는 거대한 파도가 발생하면, 파도의 수면의 깊이와 걸러주는 폭에 대한 확대가 가능한 걸름장치를 제공하여서 효과적으로 부유물을 흡입으로 걸러주기 위하여,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115)와, 상기 유입구(115)용 걸름박스통(120)에 결합되는 프레임(125) 사이를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피스톤이나 인취기어(172)으로 구동되도록, 유입구(115)에 조립되는 조립틀(155)과, 상기 별도의 제어장치의 제어로 구동하는 피스톤이나 인취기어(172)로, 상기 걸름포대(150)의 주입구에 구비된 걸이용 링크구(162)가 조립되는 조립틀(155)로서, 상기 작업선(128)에서 연결된 로푸(164)의 구동으로 걸름포대(150)을 걸름박스통(120)의 설치공간(171)에 삽입하여 주되, 흡입펌프(140)의 고속회전으로 형성된 해수의 유입력으로 부유된 부유물이 걸러주도록 제공한다.
고로 상기 조립틀(155)에는 걸름포대(150) 걸이용 걸이(157)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조립틀(155)에서 연결되는 로푸(164)는 별도의 제2작업선(128)에 설치된 기중기(168)로 구동으로, 상기 걸름포대(150)의 주입부(152)에 결합된 조립대(159)의 링크구(162)로 구비된 조립틀(155)을 제공함이며, 또한 걸름박스통(120)에서 장방향의 설치구간(171)에 고정된 고정철망체(133)의 구비는 유입하는 해수의 흐름력으로 걸름포대(150)를 펼쳐주기 위함이며, 상기 설치구간(171)에는 부유물찌거기(가)가 여과공정으로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걸름포대(150)를 고정철망체(133)에 인접되는 설치공간(171)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걸름포대(150)의 저측으로 연결된 견인로푸(173)을, 별도로 연결된 제어장치의 구동으로 부유물의 청소과정에 맞추어서 견인로푸(173)를 견인 및 인출 등의 구동으로, 걸름포대(150)를 서로 접하여서 고정철망체(133)의 내측공간(171)으로 인입과 인출을 제공하여 준다. 상기 작업선(118)용 기중기(168)에 연결된 로푸(164)로 인입되는 걸름포대(150)가 고정철망체(133)와 밀착되는 공정은, 흡입펌프(140)의 흡입력에 의하여, 걸름통박스(120)의 추진력으로 설치공간(171)이 형성되면서 해수면(135)에 부유된 부유물(녹조)를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찌거기(가)가 담겨진 걸름포대(150)를 인출로서 제거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 13과 같이, 상기 조립틀(155)을 피스톤이나 조립기어(172)로 인출시켜 주는 공정과, 아울러, 상기 조립틀(155)의 걸이(157)에 고정되는 걸름포대(150)의 인출용 로푸(164)와, 상기 로푸(164)를 별도의 제2작업선(128)에 설치된 기중기(168)로 선적시켜줌으로서, 걸름포대(150)에 걸러진 부유물찌거기(가)가 인출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100 : 청소장치 115 : 유입구 118 : 작업선 120 : 걸름박스통
125 : 프리임 130 : 힌지 133 : 고정철망체 135 : 해수면
140 : 흡입펌프 141 : 스프링 140 : 완충봉 152 : 완충장치
150 : 걸름포대 151 : 완충장치 155 : 조립틀 160 : 흡입공간
162 : 링크구 164 : 로푸 166 : 투입구 170 : 연결장치
171 : 설치구간 175 : 작업공간 177 : 개폐문 190 : 방향타

Claims (2)

  1.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기대(113)에 고정되는 걸름박스통(120)과,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흡입펌프(140)가 결합된 유입구(115)와,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인출구(180)에 걸름포대(150)가 구비된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청소장치(100)에 구비된 걸름박스통(120)의 양측면을 연결장치(170)로 연결시켜서 체인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름박스통(120)"와, 상기 걸름박스통(120)의 전면을 관통하는 흡입펌프(140)(140')의 흡입력에 의한 청소장치(100)의 전진으로 걸름포대(150)가 펼쳐주는 설치공간(171)에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물(녹조)을 걸러주도록 제공하는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171)에는 걸름포대(150)의 내측면적인 흡입공간(160)에 맞춰주도록 흡입공간(160)을 형성하는 고정철망체(133) 구비와,
    상기 걸름통박스(120)의 양측 단부를 연결장치(170)로 연결시켜서 체인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걸름통박스(120)의 전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입펌프(140)와, 상기 다수개의 흡입펌프(140)를 차등적으로 회전시켜서 넓은구간에 방향전환하도록 제공되는 청소장치(100)를 제공하는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KR1020190127282A 2019-10-14 2019-10-14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KR20190121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82A KR20190121726A (ko) 2019-10-14 2019-10-14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82A KR20190121726A (ko) 2019-10-14 2019-10-14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56A Division KR20180025770A (ko) 2016-09-01 2016-11-14 저수지 또는 하천의 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039A Division KR20210044195A (ko) 2021-04-02 2021-04-02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26A true KR20190121726A (ko) 2019-10-28

Family

ID=6842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282A KR20190121726A (ko) 2019-10-14 2019-10-14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7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4608A (zh) * 2020-09-14 2020-12-11 陈建梅 一种能够将海上废弃的泡沫塑料颗粒回收的抽吸式设备
CN112695721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深水域漂浮物打捞装置
CN114016485A (zh) * 2021-12-15 2022-02-08 江苏维新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化控制的水面浮渣收集处理装置
CN114541322A (zh) * 2022-04-26 2022-05-27 中建八局西南建设工程有限公司 具有打捞污物功能的河堤防护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4608A (zh) * 2020-09-14 2020-12-11 陈建梅 一种能够将海上废弃的泡沫塑料颗粒回收的抽吸式设备
CN112064608B (zh) * 2020-09-14 2022-12-16 惠州市讴邦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将海上废弃的泡沫塑料颗粒回收的抽吸式设备
CN112695721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深水域漂浮物打捞装置
CN114016485A (zh) * 2021-12-15 2022-02-08 江苏维新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化控制的水面浮渣收集处理装置
CN114541322A (zh) * 2022-04-26 2022-05-27 中建八局西南建设工程有限公司 具有打捞污物功能的河堤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726A (ko)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CA284047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pollution from a body of water
RU24940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удн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уменьшения ущерба от нефти
CN110685258B (zh) 一种溢油收集装置及方法
CN102966085B (zh) 一种浮萍或沉水植物的采收装置
KR20210044195A (ko) 저수지 또는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US5457908A (en) Brine shrimp egg harvesting device
CA2821053A1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CN104631406A (zh) 一种基于双履式的新型海上溢油处理设备
JP6456007B1 (ja) 撹拌剥離式吸引装置、撹拌剥離式吸引システム及び撹拌剥離式吸引工法
CN110314873A (zh) 一种多功能收获机
CN210975774U (zh) 一种河道用水生态修复系统
CA2846047C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ollution from a body of water
CN109398627B (zh) 河道清理保洁船
US5566492A (en) Vacuum device for harvesting brine shrimp eggs
KR20180025770A (ko) 저수지 또는 하천의 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장치
US20170164587A1 (en) Method, system, and harvesting apparatus for aquaculture trench maintenance and harvesting
CN113737721B (zh) 一种用于保护海洋生态保护的护堤结构
CN213176086U (zh) 一种沉浮式水泵
CN209382209U (zh) 贝类采集装置
CN109281306B (zh) 一种河道浅层水体悬浮固体垃圾处理装置
CN202945587U (zh) 一种浮萍或沉水植物的采收装置
CN208509904U (zh) 一种可潜水作业的拖铲式采贝机械
CN104957110A (zh) 输送链耙式蛤仔采捕器
CN206844195U (zh) 水底吸污专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