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87B1 -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87B1
KR100468487B1 KR10-2003-0038602A KR20030038602A KR100468487B1 KR 100468487 B1 KR100468487 B1 KR 100468487B1 KR 20030038602 A KR20030038602 A KR 20030038602A KR 100468487 B1 KR100468487 B1 KR 10046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eabed
tidal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261A (ko
Inventor
송순종
김효숙
Original Assignee
송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종 filed Critical 송순종
Priority to KR10-2003-003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해저 갯벌 청소기 및 패류 채취장치가 여러 가지로 공지된 바 있었으나, 이중에서 형망방식은 패류 파손 및 이의 미수거 된 이물질에 의해 해저 갯벌을 더욱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고, 물 분사식은 해저의 갯벌을 분산시켜 분산된 갯벌이 해류에 의해 유실로 되게 하였기 때문에 해저 어패류의 서식처를 훼손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발명 요지는 선체와 연결된 예인로프(1a)에 의해 예인되는 굴착기 몸체(1)의 좌우 양측 및 후측에는 상하 작동이 가능한 덮개(25)가 힌지부(26)에 힌지 설치되고 앞쪽에는 흡입구(7)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분출호스(3)와 연결된 분출구(4a)(4b)가 있는 분출관(4)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굴착날(5)이 설치되고, 앞 양측에는 썰매판(24)을 장착하여 예인시 굴착기 몸체(1)가 갯벌 속에 침몰됨을 방지하며, 덮개(25)의 뒤쪽에는 배출관(9)이 체결되어 있으되 이 배출관(9)의 하부 및 좌우측에는 배출구(9a)가 형성되고, 이의 후측에는 써래판(10)이 힌지부(9b)에 의해 힌지 설치되며, 굴착기 몸체(1)의 상측에 설치된 닥트(2b)에는 흡입호스(2)가 연결되고 상기한 분출호스(3) 및 배출호스(8)의 상단부는 선체에 설치된 콤프레샤(11) 및 혼합통(22)과 연결되고 상기한 흡입호스(2)는 선체 내에 설치된 혼합통(22)의 유입수실(17)과 연결되고 유입수실(17)의 상부에는 여과망(18)이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1차, 2차 분쇄기(19)(19a)가 설치되며, 분쇄기(19)(19a)의 일측에는 이송로(20) 및 배수로(17a)를 개재한 혼합통(22)이 설치된 것으로 이를 실시할 때는 굴착기 몸체(1)를 해저에 투하하여 바닥에 닿으면 이때 선체가 굴착기 몸체(1)를 저속(2~6노트)으로 끌어가면 굴착기 몸체(1)가 약45°범위로 경사되면서 굴착날(5)은 갯벌을 파 헤치고 동시에 콤프레샤(11)와 연결된 분출호스(3)의 분출관(4)에 형성된 분출구(4a)를 통해 고압 공기를 분출하면 이때 부양되는 부유물체와 갯벌물은 흡입구(7)를 통해 흡입한 후 선체 위에 설치된 여과망(18) 위에 낙하시키고 이때 투하된 갯벌물은 배수로(17a)를 통해 혼합통(22)에 유입되고 어 ·패류와 진개물 등은 수작업으로 분리수거하되, 해저갯벌 개선에 유익한 물체는 개선제(황토, 소 ·생석회, 맥반석, 패각 등)와 함께 1차 ·2차 분쇄기(19)(19a)에 투입시켜 미세하게 분쇄한 후 이송로(20) 및 배수로(17a)를 통해 혼합실(22)에 투입되어 고압 공기로 혼합한 후 배출호스(8)와 연결된 배출관(9)에 설치된 배출구(9a)를 통해 해저 갯벌에 배출하면 그 후측에 힌지부(9b)에 설치된 써래판(10)이 자동으로 배출물을 갯벌 속에 매입 경지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저 갯벌에 산재하고 있는 진개물(불순물)의 청소 및 영양분 투입으로 해저 갯벌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해저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를 파손 없이 채취할 수 있어 어민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Shells picking and foreshore improving device of under sea}
본 발명은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저의 갯벌을 굴착날로 파 뒤엎는 동시에 고압 공기를 분출하여 부양되는 갯벌물과 부유물체를 흡입장치로 선체위로 흡상한 후 햇빛과 산소 및 갯벌 개선제를 투입, 혼합하여 다시 해저 갯벌로 되돌려 줌으로서 해저 갯벌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패류를 손상 없이 채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장비들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중에서 갈퀴를 해저 갯벌에 박아 끌고가는 방식은 패류의 파손과 미수거 된 이물질에 의한 해저 갯벌 파손으로 어민소득 감소를 유발시키는 폐단이 있었고, 물 분사식은 해저의 갯벌을 분산시켜 조류(민물, 썰물)에 의한 갯벌의 유실로 생태계를 파괴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수거망통 방식은 작업능률 등이 떨어져 경제성이 낮은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저속으로 항진하는 선체의 예인로프(1a)에 의해 예인되는 굴착기 몸체(1) 하측 선단에 설치된 굴착날(5)이 해저 갯벌을 굴착하고 동시에 선체에 설치된 콤프레샤(11)와 연결된 분출호스(3)의 분출압에 의해 부양하는 물체는 갯벌물과 함께 닥트(2b)를 통해 흡입호스(2)로 흡상한 후 선체에 설치된 여과망(18) 위로 낙하하면 갯벌물과 여과망(18) 구멍보다 작은 물체는 배수로(17a)를 통해 혼합통(22)에 유입되고 여과망(18)에 낙하된 낙하물 중에서 어ㆍ패류와 진개물 등은 분리 수거하고 해저 갯벌 개선에 유익한 물체는 개선제(황토, 소ㆍ생석회, 맥반석, 패각 등)와 함께 1차ㆍ2차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후 이송로(20)를 통해 혼합통(22)에 투입되면 콤프레샤(11)에서 분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혼합된 후 배출호스(8)를 통해 해저면에 배출될 때는 콤프레샤(11)에서 분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배출하되, 배출구(9a)를 통해 해저에 배출될 때는 써래판(10)에 의해 배출물이 해저 갯벌 속에 매입ㆍ경지(耕地)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내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C"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굴착기 몸체 1a-예인로프 2-흡입호스 2a-플렌지
2b-닥트 3-분출호스 4-분출관 4a-체결식 분출구
4b-고정식 분출구 5-굴착날 6-망판 7-흡입구
8-배출호스 9-배출관 9a-배출구 9b-힌지부
10-써래판 11-콤프레샤 12-혼합용 분배관
13-배출용 분배관 14-분출호스용 분배관 15-예비용 분배관
16-조절밸브 17-유입수실 17a-배수로 18-여과망
19, 19a-1, 2차 분쇄기 20-이송로 21, 21a-고압연결관
22-혼합통 23-고압분출관 23a-고압분출구 24-썰매판25-덮개 26-힌지부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인로프(1a)에 의해 예인되게 한 굴착기 몸체(1)의 좌우 양측 및 후측에는 상하작동이 가능한 다수 구멍이 있는 덮개(25)가 힌지부(26)에 의해 힌지 설치되어 굴착기 몸체(1)의 예인 시 좌우 및 후측에 생기는 공간을 막아줄 수 있게 하고, 앞쪽에는 흡입구(7)가 형성되고 선단 상측에는 분출호스(3)와 연결된 분출관(4)이 설치되어 있으되, 이 분출관(4)에는 내향 경사된 다수의 고정식 분출구(4b)가 설치되고 이의 양측단부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체결식 분출구(4a)가 설치되며, 이의 하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굴착날(5)이 나사 체결되고, 굴착기 몸체(1)의 앞측 양 옆에는 썰매판(24)을 장착하여 굴착기 몸체(1)가 해저 갯벌 속에 침몰됨을 방지하도록 하며 굴착기 몸체(1) 양측면에는 망판(6)이 설치되고, 상기한 덮개(25)의 후단부에는 해저의 흡상물이 분쇄된 물질과 갯벌 개선제(황토, 소ㆍ생석회, 맥반석, 패각 등)의 혼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9a)가 형성된 배출관(9)이 설치되어 배출호스(8)와 연결되고, 이 배출관(9)의 뒤편에는 전후 작동이 가능한 써래판(10)이 힌지부(9b)에 의해 힌지 설치되며, 굴착기 몸체(1)의 중앙 상측에는 닥트(2b)를 설치하고, 이의 상단에 체결된 흡입호스(2)는 플렌지(2a)를 개재하여 선체 위에 설치된 유입수실(17)과 연결되고, 굴착기 몸체(1)를 예인하는 선체에 설치된 콤프레샤(11)에는 압력조절밸브(16)가 부착된 혼합용 분배관(12), 배출용 분배관(13), 분출호스용 분배관(14), 예비용 분배관(15)이 연결되어 있으되 상기한 분출호스용 분배관(14)에는 상기한 분출호스(3)가 연결되고, 상기한 배출용 분배관(13)에는 고압연결관(21a)이 연결되고 혼합용 분배관(12)에는 고압연결관(21)을 개재하여 혼합통(22) 내에 설치된 격자 형식으로 된 고압분출관(23)이 연결되어 있으되 이 고압분출관(23)의 주면에는 다수의 고압 분출구(23a)가 형성되고 혼합통(22)의 일측에는 상기한 흡입호스(2)의 상단부와 연결된 유입수실(17)의 배수로(17a)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유입수실(17)의 상측에는 철로된 여과망(18)이 장착되고 그 일측에는 1차, 2차의 분쇄기(19)(19a)가 설치되어 여과망(18)에서 여과된 갯벌 개선제로 사용 가능한 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하며, 이 분쇄기(19)(19a)의 일측에는 분쇄물의 이송로(20)가 상기한 배수로(17a)와 연결되어 혼합통(22) 내에 유입되도록 하며, 이 혼합통(22)의 내측 하부 일측에 연결된 배출호스(8)의 상단부에는 콤프레샤(11)와 연결된 상기한 고압연결관(21a)의 단부가 근접 끼움되어 혼합물(갯벌 개선제)을 해저에 강제로 분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인바 이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인로프(1a)에 의해 선체와 연결된 굴착기 몸체(1)를 해저에 투하하여 갯벌에 닿으면 선체를 항진시켜 굴착기 몸체(1)가 시속 2~6노트로 예인되면 이 예인력에 의해 상기 굴착기 몸체(1)는 약 45°범위로 경사되면서 상기 굴착기 몸체(1)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된 굴착날(5)도 경사되면서 굴착한 해저 갯벌과 진개물, 어.패류 등은 선체에 장착된 콤프레샤(11)가 고압 공기를 분출호스(3) 및 이에 연결된 분출관(4)의 체결식 분출구(4a) 및 고정식 분출구(4b)를 통해 분출하면 이때 생기는 공기 특성(주변 물질을 감싸안고 부양하는 형상)으로 인해 상기한 굴착 날(5)로 파헤쳐진 진개물들이 갯벌물과 함께 자동으로 수압이 없는 닥트(2b)를 통해 흡입호수(2)로 흡입된 후 선체에 설치된 여과망(18) 위에 낙하하여 상기 여과망(18)의 구멍보다 작은 물체(벌물, 치패 등)는 상기 여과망(18) 밑에 설치된 배수로(17a)를 통해 혼합통(22)에 유입되고 상기한 여과망(18)에 걸린 물체 중 어ㆍ패류와 진개물 등은 수작업으로 분리 수거하고, 해저 갯벌 개선에 유익한 물체는 갯벌 개선제(황토, 소ㆍ생석회, 맥반석, 패각 등)와 함께 1차 및 2차 분쇄기(19)(19a) 내로 투입시켜 분쇄하되 1차는 조분쇄하고 2차는 미분쇄한 후 분쇄된 가루는 이송로(20) 및 배수로(17a)를 통해 혼합통(22) 내로 유입되어 격자 형상으로 된 고압분출관(23)의 고압 분출구(23a)에서 분출되는 고압 공기에 의해 혼합된 후 배출호스(8)로 배출될 시는 상기 콤프레샤(11)에 연결된 고압 연결관(21a)을 통해 혼합통(22)에 혼합된 물체들이 배출호스(8) 내로 강제 이송되어 배출관(9)의 배출구(9a)를 통해 해저 갯벌에 배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배출되면 배출관(9)의 뒤쪽에 장착된 써래판(10)이 자동적으로 배출물을 해저 갯벌 속에 매입시키는 경지 작업을 한다.
따라서 해저 갯벌을 개선시켜 패류 등의 해저 수산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또한 패류를 파손 없이 채취할 수 있어 어민 소득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인바, 이는 해저에 침하된 침전물과 어패류 및 갯벌을 끌어올려 햇빛과 공기를 접하게 하면서 패류와 진개물 등은 분리 수거하되, 이 수거물 가운데는 해저 갯벌 개선에 유익한 물질과 갯벌 개선제(황토, 소ㆍ생석회, 맥반석, 패각 등)를 분쇄기(19)(19a)에 투입하여 1차로 조분쇄, 2차로 미분쇄한 후 혼합통(22) 내에서 공기압으로 혼합하여 배출호스(8)와 배출관(9)의 배출구(9a)(9b)를 통해 해저의 원 위치로 되돌려 줌으로서 해저 갯벌을 개선시켜 해저 수산물의 성장촉진은 물론 손상되지 않는 패류의 채취로 어민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굴착기 몸체(1)의 양측 및 후측에는 덮개(25)가 힌지부(26)에 의해 힌지 설치되고 그 앞측 양옆에는 썰매판(24)을 장착하고, 그 사이에 형성된 흡입구(7)의 상측에는 다수의 분출구(4b)가 있는 분출관(4)이 설치되어 분출호스(3)와 연결되고, 흡입구(7)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굴착날(5)이 체결되며 그 양측면에는 망판(6)을 설치하고 굴착기 몸체(1)의 후측에는 배출구(9a)가 있는 배출관(9)이 설치되어 배출호스(8)에 연결되고 배출관(9)의 뒤쪽에는 써래판(10)이 힌지부(9b)에 의해 힌지 설치되며, 굴착기 몸체(1)의 상측에 설치된 닥트(2b)에는 흡입호스(2)가 연결되고 상기한 분출호스(3)의 상단에는 선체 위에 설치된 콤프레샤(11)와 조절밸브(16)를 개재하여 설치된 분출호스용 분배관(14)이 연결되며 상기한 흡입호스(2)의 상단부는 선체 위에 설치된 혼합통(22)과 배수로(17a)에 의해 연결된 유입수실(17)의 상부에 설치된 여과망(18)과 연결되고 상기한 유입수실(17)의 일측에는 이송로(20)가 있는 1차 및 2차 분쇄기(19)(19a)가 설치되고, 상기한 콤프레샤(11)에 연결된 혼합용 분배관(12)의 선단에는 고압이송관(21)을 개재한 혼합통(22) 내에 설치된 다수의 고압 분출구(23a)를 가진 고압 분출관(23)이 연결되고, 상기한 혼합통(22)의 일측에는 배출호스(8)가 연결되어 있으되 이 배출호스(8)의 단부에는 콤프레샤(11)와 연결된 고압 분출관(21a)이 근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KR10-2003-0038602A 2003-06-16 2003-06-16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KR10046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02A KR100468487B1 (ko) 2003-06-16 2003-06-16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02A KR100468487B1 (ko) 2003-06-16 2003-06-16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02U Division KR200327121Y1 (ko) 2003-06-16 2003-06-16 어·패류 채취를 겸한 해저환경 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61A KR20030063261A (ko) 2003-07-28
KR100468487B1 true KR100468487B1 (ko) 2005-02-02

Family

ID=3222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602A KR100468487B1 (ko) 2003-06-16 2003-06-16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528U (ko) * 2007-02-16 2007-05-08 송순종 해저 환경 개선 장치
CN103719048A (zh) * 2013-12-13 2014-04-16 谢鑫建 水上操控管吸式海参捕捞装置
CN104872087A (zh) * 2015-04-30 2015-09-02 浙江海洋学院 滩涂贝类自动化采收机
CN106818659A (zh) * 2017-02-16 2017-06-13 许昌义 捕泥鳅机
KR101781480B1 (ko) 2016-07-20 2017-10-23 송순종 신형망(新形網)
KR102292584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패류 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4500A (zh) * 2020-11-25 2021-02-05 朱士波 一种基于烟花爆炸原理的分散式鱼料投射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528U (ko) * 2007-02-16 2007-05-08 송순종 해저 환경 개선 장치
CN103719048A (zh) * 2013-12-13 2014-04-16 谢鑫建 水上操控管吸式海参捕捞装置
CN104872087A (zh) * 2015-04-30 2015-09-02 浙江海洋学院 滩涂贝类自动化采收机
KR101781480B1 (ko) 2016-07-20 2017-10-23 송순종 신형망(新形網)
CN106818659A (zh) * 2017-02-16 2017-06-13 许昌义 捕泥鳅机
CN106818659B (zh) * 2017-02-16 2019-11-22 台州缔亚时洁具有限公司 捕泥鳅机
KR102292584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패류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61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334B1 (en) Seabed organic material relocating apparatus
US20230157265A1 (en) Harvesting system and method for bottom-dwelling marine organisms
US4854058A (en) Dredging apparatus having a diver-operated hand-held dredge head for quasi-closed loop system
US7334358B1 (en) Portable dredging equipment
KR100468487B1 (ko)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KR100764893B1 (ko) 패류채취기
US6237259B1 (en) Shellfish dredging apparatus
KR20120057729A (ko) 해조류인 가시파래 수초의 절단/제거 장치 및 그 제거방법
US6357213B1 (en) Water vegetation removal system
KR200398151Y1 (ko) 어패류 채취 기능을 겸하는 해저 환경 개선장치.
KR101537910B1 (ko) 소거면적조절이 가능한 해조장 갯닦기장치
AU2018285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fish farming or marine harvesting
KR100310893B1 (ko) 해저 청소기
JPH0643A (ja) 海底植食動物を採取するための装置
KR101781480B1 (ko) 신형망(新形網)
US7867390B1 (en) Floating weed and debris remova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0327121Y1 (ko) 어·패류 채취를 겸한 해저환경 개선장치
KR20070000528U (ko) 해저 환경 개선 장치
KR101464106B1 (ko)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CA2065253A1 (en) Scallop fishing equipment
JP4266735B2 (ja) 浮き取水管方式アオコ回収装置
WO20182310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fish farming or marine harvesting
NZ545111A (en) Aquatic vege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H10262493A (ja) 養魚用敷設砂の洗浄システム及びコレクタユニット
AU3314699A (en) Pond wast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