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345U - 모니터 작살낚시대 - Google Patents

모니터 작살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345U
KR20090012345U KR2020080007068U KR20080007068U KR20090012345U KR 20090012345 U KR20090012345 U KR 20090012345U KR 2020080007068 U KR2020080007068 U KR 2020080007068U KR 20080007068 U KR20080007068 U KR 20080007068U KR 20090012345 U KR20090012345 U KR 20090012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poon
fishing
fishing rod
moni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호
Original Assignee
김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2020080007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345U/ko
Publication of KR20090012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6Equipment for hunting fish unde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 끝에 장착된 소형카메라 및 플래시를 통해서 물속의 상황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낚시대와 연결된 낚시줄이 달린 소형 작살을 발사하여 물고기를 잡는 낚시대에 대한 것으로써,
낚시대 끝에는 소형카메라,조명을 위한 플래시,작살 발사장치 및 먹이유인장치가 장착되어있고 장치와 물 바깥쪽으로 연결된 선을 통하여 작살의 장전,발사,재장전 및 발사방향조정을 할 수 있다.
기존의 낚시와 같이 낚시바늘에 미끼를 꼽고 물속에 담근채 무작정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물 바깥에서 모니터장치를 통해 물속의 상황을 직접 보면서 마치 슈팅게임을 즐기듯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고안한 낚시장치이다.
Figure 112008038745414-UTM00001
모니터낚시, 작살낚시, 게임낚시, 모니터 작살낚시, 특수 낚시대, 작살 낚시대, 게임낚시대

Description

모니터 작살낚시대 {monitor spea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대에 연결된 소형카메라 및 조명용 플래시를 통하여 물속의 상황을 물 바깥에서 모니터하면서 낚시 끝에 장착된 작살발사장치를 통하여 소형 작살을 발사하여 물고기를 잡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써,
1. 낚시대 끝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물속을 들여다보면서 물고기를 잡을 수 있으며
2. 카메라 및 플래시가 장착되어 낮이든 밤이든 어두운 물속을 환하게 볼 수 있고
3. 작살의 발사각도 조정을 위하여 좌우,상하로 작살발사장치 및 플래시를 움직일 수 있도록하였으며
4. 한 번 발사 후에 빗나간 작살을 낚시대를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 즉 물속에서 바로 재장전할 수 있고.
5. 작살의 오발사고방지를 위하여 물 바깥에서는 작살이 발사되지 않도록한 안전장치가 있으며
6. 작살의 상하,좌우 발사각도 조정 및 작살발사 및 재장전을 위한 편리한 조정장치가 부착된 손잡이 부분의 권총모양의 조정장치가 달려있으며
7. 물고기 유인을 위한 소형 바늘낚시대가 달려있고
8. 낚시대의 입수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삼각대모양의 거치장치 및 일자형 자바라식 보조거치장치가 있음.
요즈음 개발된 소형카메라는 그 크기가 매우 작음애도 불구하고 해상도는 무척 선명하다. 이를 낚시대 장치기술에 응용함으로써 물고기를 눈으로 직접 모니터하면서 물고기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낚시대 끝의 작살발사장치를 자유롭게 콘트롤하여 물고기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기술을 착안하였다.
일반적인 낚시는 먹이를 낚시바늘에 꽂아 이를 물에 담그고 물고기가 와서 먹이를 물때까지 마냥 기다려야한다. 나름의 매력과 재미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좀 더 색다른 묘미를 즐길 수 있도록 고전적인 낚시대의 구조와 장치를 현대의 문화적 상황에 맞게 바꿀 필요는 분명히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한 게임이 무차별하게 보급됨으로써 현대인들의 여가활동은 더욱 집안으로 갖혀지고 있으며 특히 아이들과 청소년의 경우 그 부작용마저 참으로 심각하다. 본 고안장치를 통해 아이들과 함께 온가족이 강이나 바다 혹은 근처 저수지에 나가서 마치 컴퓨터 게임을 하듯이 낚시를 함께 즐길 수 있다면 어른은 어른대로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현대문명의 골치덩이 부작용인 컴퓨터관련 증후군에서 벗어나 좀 더 건강하고 진취적인 레크리에이션 취미생활 도구로 본 발명장치가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고전적 낚시대의 단점인 물속의 상황을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미끼를 넣고 마냥 기다려야만 하는 한계를 뛰어넘어서,
낚시대 끝에 소형카메라를 장착하고 플래시를 장착하여 물속의 상황을 직접 모니터할 수 있게 하였다.
소위 낚시바늘을 이용한 미끼낚시의 수동성을 넘어 본 장치를 통해 직접 물고기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작살을 발사하여 고기를 잡음으로써 좀 더 역동적인 낚시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하였다. 또한,
기존 낚시는 낚시바늘만을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낚시대에는 도3-8 도3-9와 같이 작살낚시장치와 함께 부착된 미끼유인장치에 기존 낚시바늘 낚시와 동일한 장치 역시 장착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상황을 모니터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작살을 발사하지 않고 고전적인 미끼를 통한 기존낚시를 모니터화면과 함께 즐길 수도 있도록 하였다.
1. 물속의 상황을 직접 모니터화면으로 보면서 낚시를 즐기는 재미
2. 본 고안 낚시대를 보급함으로써 컴퓨터게임 인터넷 등으로 방안에 갖혀지내는 현대인들 특히 아이들,청소년들을 방안에서 탈출하여 가족과 함께 야외에서 본 낚시를 즐길 수 있음으로써 게임중독 컴퓨터중독 등 현대문명의 부작용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3. 아빠만의 취미낚시가 아닌 온 가족이 함게 즐기는 놀이로 본 고안낚시가 자리잡을 수 있음으로 인한 가정화목에 있어서의 긍정적 효과.
4. 기존낚시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어든 미끼 및 낚시줄,낚시바늘 등으로 인한 낚시터오염 최소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낚시대를 간략하게 도면으로 그려본 것이다. 본 고안낚시대의 부분 은 크게 도1-14의 작살발사장치 부분과도1-10의 작살발사각도 조절레버가 부착된 손잡이 부분그리고 본 낚시대의 입수각도 및 깊이를 크게 조절할 수 있는 도1-7 부분의 낚시대 거치대부분으로나뉘어져 있다.
도3 및 도4는 작살발사장치 부분의 이해도이다. 도4에서 보듯이 작살발사장치 부분은 도6의 작살발사장치와 물속 상황을 촬영하는 도2의 소형카메라부분 그리고 밤 혹은 물속의 어둠을 밝게 비출 수 있는 도3의 카메라 그리고 물고기를 유인하기도 하고 또 고전적인 바늘낚시처럼 고기를 잡을 수도 있는 도9, 도8의 소형 일반낚시대가 달려있다.
본 고안낚시대에 도6-6과 같은 레버장치를 손잡이 부분에 설치해 수동 혹은 모터의 힘으로 작살을 장전한 후에 낚시대의 상하좌우 방향조절이 가능한 도7의 전용삼각대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원하는 장소에 입수 한 후에 도7-2의 레버를 조여 낚시대를 고정한 후에 도1-13, 도6-1의 모니터를 통해 물속의 상황을 보면서 도1-4에 장착된 물고기 미끼를 보고 물고기가 접근했을 때 도1-9의 권총모양손잡이를 잡고 도1-10, 도6-3의 작살발사장치 방향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정조준 한 후에 도1-8 도6-5의 작살발사 방아쇠를 당겨 도4-1의 작살을 발사하여 물고기를 잡은 후에 낚시대를 올려 물고기를 수거하는 것이다.
도4-1의 작살은 도6-11, 도1-5의 낚시줄과 연결되어 도1-1 도6-9의 낚시릴로 콘트롤 할 수 있으며 작살이 목표물에서 벗어나 다시 재장전 할 때 낚시대를 다시 꺼낼 필요 없이 위 도6-6의 장치로 도2-3의 스프링을 조여 재장전하고 도1-1 도6-9의 낚시릴을 돌려 낚시줄에 연결된 도4-1의 작살을 도2의 작살발사장치 통으로 재장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장치에 대한 도면들은 본 낚시대의 전체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의 그 모양은 다를 수 있을 것이며 모터 및 낚시릴 콘트롤 장치 및 포함될 전자제어장치 등의 세부도는 익히 알려진 일반화된 장치이기에 그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서 도 1-13의 모니터장치는 낚시대 몸통과 따로 분리하여 독립 설치할 수 있으며 손잡이 부분의 각 조절장치 역시 낚시대 몸통과 분리하여 콘트롤 할 수도 있다.
도1-3 도1-4 도3-9 도3-8과 같이 본 도안낚시대에 설치되어 미끼를 꽂아 물고기를 유인하는 장치는 물고기유인의 역할 뿐 아니라 기존의 낚시바늘 낚시대와 같이 물고기를 잡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 상황을 물바깥에서 모니터하면서 필요에 따라 작살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3-1 도3-2는 작살발사장치 부분의 움직임에 쓰이는 모터에 대한 이해도이다. 모터설치장소는 도면과 다를 수도 있을 것이고 모터 힘으로 장치의 각도를 바꾸는 원리에 대한 세부도는 일반적인 것이기에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고안낚시대의 안전장치이다. 작살이 물바깥에서 사람에게 발사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부력을 받는 물속에서만 작살발사장치의 안전핀이 뽑히도록 설계하였다. 도5-1의 부력공은 가벼운 스트로폼 제질로써 안전핀 도5-3과 연결되어있고 부력을 받지 않는 물 바깥에서는 압력스프링 도5-2에 의해 도2에서 보듯이 작살발사장치를 잠그고 있다. 물속에서는 부력이 발생되어 도2-1 도5-1의 부 력공에 부력이 작용되어 도2-5 도5-3의 안전핀이 뽑혀지게 됨으로써 도2-6 도 4-1의 작살을 발사할 수 있다.
도4-5는 본 안전장치의 부력공 모습이며 도4-3은 어두운 물속을 환하게 비출 수 있는 조명용 플래시장치이며 불빛의 밝기 및 점등소등의 콘트롤은 물바깥의 손잡이 장치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2-8은 작살이 아래쪽을 향했을 때 작살이 작살발사장치 통에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두드러운 재질의 바킹.
도2-4의 잠금장치가 풀리면서 작살은 격발되며 손잡이 부분의 방아쇠장치가 이를 콘트롤 한다.
도2-7은 도2-6 도4-1의 작살과 연결된 낚시줄로써 손잡이 부분의 낚시릴과 연결되어 물고기가 잡혔거나 재격발을 위한 작살의 재장전시에 릴을 감거나 풀면서 사용한다. 예로 작살발사장치의 스프링을 조여 재장전 한 후에 릴을 끝까지 감으면 작살 역시 작살통 안으로 위치지어 재장전된다. 또,
도1-2의 낚시대는 일반적인 낚시대 방식으로 안테나 처럼 알맞은 길이로 뽑아 레버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져 있으며 위 작살발사장치 부분의 무게를 감안하여 강화플라스틱 혹은 알미늄,두랄루민 재질을 사용하여 기존의 낚시대 보다 더 강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1-16 및 도8은 본 낚시대의 거치에 사용하는 보조거치대로서 낚시대의 균형을 잡아주고 또 일정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본 고안낚시대를 도7의 삼각대에 거치한 후에 입수방향 및 입수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선 상하좌 우 방향이동이 용이한 보조거치대를 삼각대 전면에 설치하면 편리할 것이다. 도1-16 도8 도9에서 보듯이 좌우상하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소위 자바라식의 봉을 활용하였다. 자바라식 봉의 유연성의 정도를 알맞게 제작하면 본 낚시대의 입수방향 조정 후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본 낚시대를 보조거치 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전체 이해도
도1-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줄을 감고 푸는 릴 부분
도1-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부분
도1-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물고기유인을 위한 소형 낚시대
도1-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물고기유인을 위한 소형 낚시대에 달린 낚시바늘 모습
도1-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줄
도1-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줄이 지나가는 링
도1-7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삼각대거치장치의 삼각대 발
도1-8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 격발을 위한 방아쇠
도1-9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손잡이 부분의 권총손잡이 모양 손잡이
도1-10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의 발사방향을 조정하는 레버
도1-1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장전을 위한 장전 레버장치 부분
도1-1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고 또 탈부착 할 수 있는 어댑터
도1-1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모니터
도1-1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
도1-1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삼각대거치장치에 낚시대를 올려놓고 방향조정 후에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 부분
도1-16은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보조거치대
도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 작살발사장치 및 안전장치 및 격발장치 및 작살고정장치의 이해도
도2-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에 장착된 부력안전장치의 부furrhd
도2-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안전장치 내부 스프링
도2-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의 스프링
도2-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격발장치
도2-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안전장치의 안전핀
도2-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부분
도2-7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과 연결된 낚시줄
도2-8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에 장착된 작살이 흘러 이탈되는 것을 막는 바킹
도2-9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를 당겨 장전시키기 위한 부분
도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대한 이해도.
도3-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의 좌우 각도이동을 위한 모터장치 이해도
도3-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의 상하 각도이동을 위한 모터장치 이해도
도3-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장착된 조명용 플래시
도3-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격발장치 부분
도3-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안전장치 부분의 부력공
도3-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장착된 소형카메라
도3-7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
도3-8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물고기 유인을 위해 보조로 장착된 소형낚시대에 달린 바늘
도3-9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물고기 유인을 위해 보조로 장착된 소형낚시대.
도3-10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도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대한 확대 이해도
도4-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에 장착된 작살
도4-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부착된 소형카메라
도4-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에 장착된 조명용 플래시
도4-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의 격발장치 부분
도4-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의 안전장치 부분의 부력공
도4-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도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안전장치의 이해도
도5-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안전장치의 부력공
도5-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안전장치의 스프링
도5-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안전장치의 안전핀
도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손잡이 부분의 각종 장치 이해도
도6-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된 모니터
도6-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손잡이 부분에 모니터를 장착하고 각도조절을 위한 어댑터
도6-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의 발사방향을 조정하는 레버
도6-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손잡이 부분의 권총손잡이 모양 손잡이
도6-5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 격발을 위한 방아쇠
도6-6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장전을 위한 장전 레버장치 부분
도6-7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삼각대거치장치의 삼각대 발
도6-8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삼각대거치장치에 낚시대를 올려놓고 방향조정 후에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 부분
도6-9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줄을 감고 푸는 릴 부분
도6-10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작살발사장치 부분
도6-1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줄
도7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삼각대모양 주 거치대
도7-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삼각대모양 주 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 하기 위한 어댑터
도7-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삼각대모양 주 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하고 방향을 조정한 후에 고정하기 위한 레버
도7-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삼각대모양 주 거치대에 거치된 낚시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한 공모양 장치
도7-4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삼각대거치장치의 삼각대 발
도8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자바라식 보조거치대
도8-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대로서 유연한 방향전환을 위한 자바라식 봉.
도8-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대에 낚시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어댑터 장치
도8-3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대를 땅에 밖을 수 있도록한 꼬챙이.
도9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와 자바라식 보조거치대가 거치되는 이해도
도9-1은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대로서 유연한 방향전환을 위한 자바라식 봉.
도9-2는 본 고안 모니터작살낚시의 낚시대 부분.

Claims (6)

  1. 낚시대 끝에 도4와 같이 소형카메라(도4-2), 작살발사장치(도4-6), 조명용 플래시(도4-3)가 장착되어 물 바깥까지 전선 및 선 혹은 무선으로 장치들을 연결하여 물 바깥에서 도6-1과 같이 모니터장치로 물속상황을 직접 보면서 위 도4의 소형카메라, 작살발사장치, 조명용 플래시를 내장된 모터(도3-1,도3-2) 및 전자장치를 이용 콘트롤 하여 작살발사장치의 발사 및 장전, 재장전 그리고 작살발사방향의 상하,좌우 각도조정, 발사된 작살의 재장전 등을 하여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
  2. 도3-9, 도3-8과 같이 본 고안 낚시대 끝 작살발사장치 전면에 미끼를 꽂을 수 있는 소형 낚시대(도3-9) 및 낚시바늘(도3-8)이 부착되어 낚시바늘에 물고기 미끼를 꿰어 작살 사정권 앞으로 물고기를 유인할 수도 있고 또 낚시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잡을 수도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작살과 일반적인 고전낚시바늘 낚시대가 결합되어있는 장치.
  3. 청구항 1의 장치에서 도6과 같은 낚시대 손잡이부분에 작살발사장치(도4, 도3)의 발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도6-3과 같은 360도 레버 콘트롤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도6-1의 모니터가 부착되어 있고 또 모니터를 탈부착 할 수 있는 도6-2의 어댑터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본장치의 모든 전기사용장치를 콘트롤 할 수 있는 조정 장치가 집합 부착되어있고 도6-4와 같은 권총손잡이 모양의 손잡이가 부착되어있고 손잡이에는 도6-5와 같이 작살을 발사할 수 있는 방아쇠장치가 부착되어있고 본 고안장치에 쓰이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혹은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 낚시대 손잡이 부분 장치.
  4. 청구항 1의 장치에서 물바깥에서 실수로 작살발사장치가 사람에게 발사되는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장치로써 도2와 도5에서 보듯이 도2-1 도5-1과 같은 부력공과 도2-2 도5-2의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부력장치가 부력을 받는 물속에서만 작살이 발사되고 부력이 없어지는 물바깥에서는 스프링 탄력에 의해 잠금장치가 작동되도록 고안된 안전장치가 부착된 장치.
  5. 청구항 1의 장치에서 도7 및 도6-7 도6-8 도1-7 도 1-15에서 보듯이 카메라 삼각대 혹은 기관총거치대와 같은 모양으로 본 고안 낚시대의 거치 및 입수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7-1과 같이 잠글수 있는 삼각대 어댑터에 낚시대를 고정 장착시킨 후 낚시대의 입수방향을 조정한 후에 도7-2의레버를 돌려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결합된 낚시대 거치를 위한 삼각대 장치.
  6. 청구항 1의 장치에 있어서 도1-16, 도 8, 도9에서 보듯이 낚시대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장치로서 도8-3과 같이 바닦에 꽂을 수 있는 꼬챙이 부분과 도2와 같은 낚시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어댑터 그리고 도8-1과 같이 상하좌우 방향을 자유 로이 움직일 수 있는 소위 자바라식거치대가 결합된 낚시대 거치장치.
KR2020080007068U 2008-05-29 2008-05-29 모니터 작살낚시대 KR200900123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68U KR20090012345U (ko) 2008-05-29 2008-05-29 모니터 작살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68U KR20090012345U (ko) 2008-05-29 2008-05-29 모니터 작살낚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45U true KR20090012345U (ko) 2009-12-03

Family

ID=4929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068U KR20090012345U (ko) 2008-05-29 2008-05-29 모니터 작살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34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23A (ko) 2015-01-28 2016-08-05 김유석 위치추적 방식의 낚시장치
KR20180129069A (ko) * 2017-05-25 2018-12-05 장선웅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CN109258589A (zh) * 2018-10-30 2019-01-25 湖南冬暖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无人机捕鱼的方法及其捕鱼装置
CN114451368A (zh) * 2022-03-09 2022-05-10 苏州吉品豪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深水自卸压捕鱼器
US11617358B2 (en) * 2017-10-12 2023-04-04 Atlantic Lionshare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23A (ko) 2015-01-28 2016-08-05 김유석 위치추적 방식의 낚시장치
KR20180129069A (ko) * 2017-05-25 2018-12-05 장선웅 수중 해적생물 포집장치
US11617358B2 (en) * 2017-10-12 2023-04-04 Atlantic Lionshare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CN109258589A (zh) * 2018-10-30 2019-01-25 湖南冬暖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无人机捕鱼的方法及其捕鱼装置
CN114451368A (zh) * 2022-03-09 2022-05-10 苏州吉品豪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深水自卸压捕鱼器
CN114451368B (zh) * 2022-03-09 2024-03-22 苏州吉品豪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深水自卸压捕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345U (ko) 모니터 작살낚시대
US9101119B2 (en) Bowfishing reel
JP2019525686A (ja) 水中フィッシングカメラ、スマートフィッシングカメラシステム、ならびに自動画像回転および安定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07308A (ko) 낚싯줄 발사체
US9402387B2 (en) Waterfowl decoy motion system and method
US9414583B2 (en) Waterfowl decoy motion system and method
US9474258B2 (en) Bowfishing reel with automatic bail open
WO2022257861A1 (zh) 一种射鱼设备
KR100332616B1 (ko)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US9968081B2 (en) Hunting decoy apparatus for luring wild game
JP5512778B2 (ja) 魚捕獲用銛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KR20160092723A (ko) 위치추적 방식의 낚시장치
US20170332621A1 (en) Decoy deployment and water fowl retrieval apparatus
US5237770A (en) Fly fishing rod and reel combination
KR100401329B1 (ko) 카메라일체형 낚시장치
US3468051A (en) Fishing line casting device
CN219556039U (zh) 一种云台射鱼设备
KR101019809B1 (ko) 낚시 장치
CN209251459U (zh) 一种利用无人机捕鱼的捕鱼装置
US11672239B2 (en) Automated and accurate fishing tackle cas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206699198U (zh) 一种察捕一体的猎鱼机及猎鱼装备
JP2008212060A (ja) 生物捕獲具及び生物捕獲具用水中カメラ
KR20200112760A (ko) 낚시발사대
US3797156A (en) Flying fish ga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