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254A -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254A
KR20210126254A KR1020200043810A KR20200043810A KR20210126254A KR 20210126254 A KR20210126254 A KR 20210126254A KR 1020200043810 A KR1020200043810 A KR 1020200043810A KR 20200043810 A KR20200043810 A KR 20200043810A KR 20210126254 A KR20210126254 A KR 2021012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ight
rod
incisio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무
Original Assignee
노영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무 filed Critical 노영무
Priority to KR102020004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254A/ko
Publication of KR2021012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제1 및 제2로드가 소정길이비율로 분할되어 연결된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로드 중 하나의 로드에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유동-추를 선택적으로 세팅 고정함으로써 내림낚시, 중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의 찌톱 마디에서 똑똑 끊어지는 입질을 만들어내어 확실한 찌 움직임 감도를 갖는 낚시채비로 채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Rod refraction type 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추와 분할-추 사이에 소정비율로 분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로드 중 하나의 로드에 유동-추를 구비하여 미약한 입질에도 찌의 반응이 잘 표현됨은 물론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민물찌낚시는 낚시채비를 찌의 부력에 의한 순부력 추를 이용하여 던지고 물고기의 입질도 찌를 통해 알아채는 낚시형태이다. 이러한 민물찌낚시의 기법으로는, 내림낚시, 중층낚시(전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지형이나 물고기의 먹이활동특성에 따라 먹이를 흡입한 후 수중에서 찌가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반영한 기법이다.
상기 내림낚시나 중층낚시는 물고기가 먹이를 물었을 때 찌가 내려가도록 구현한 것이고, 바닥올림낚시는 물고기가 먹이를 물었을 때 찌가 올라오도록 구현한 것이다.
바람이 거의 없는 하우스 낚시터나 물고기의 활동이 별로 없는 계절인 겨울에는 민감한 조건의 내림낚시나 중층낚시 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바람에 의해 물결파고가 잦음은 물론 물고기의 입질이 왕성하면 입질표현이 둔한 조건을 만들어 내림낚시나 중층낚시 기법이 활용된다.
통상적인 낚시채비는 낚시-대로부터 연장된 원줄에 수심을 감안하여 막대형상의 고정 찌와 봉돌을 고정하고, 상기 봉돌에 회전도래를 통해 제2원줄을 연결한 다음, 상기 제2원줄 끝단의 링에 목줄을 통해 하나이상의 낚시 바늘을 연결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낚시채비를 이용하여 내림낚시에 있어서는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수면과 일치되어 찌의 상단인 찌톱이 소정높이만큼 수면위로 올라오도록 찌맞춤을 수행하고, 봉돌이 수중에 떠있으면서 상기 봉돌로부터 회전도래를 포함한 낚시 바늘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수중바닥 위에 떠있도록 하여 낚시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낚시 바늘의 먹이를 물고기가 흡입하여 먹으면 낚시 바늘과 함께 목줄이 사선방향으로 휘면서 당겨지는데, 분할-추와 제2원줄이 포물선과 같이 휘어질 뿐 찌가 내려가지 못하므로 입질표현을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02746호(이하, "문헌1"이라 함)에는 찌몸통과 이 찌몸통의 상부로 연장된 찌톱을 포함하는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찌톱을 따라 승강되는 유동-찌와 멈춤-링을 찌톱에 마련한 것이 그 특징이다.
이러한 문헌1의 낚시용 찌에 있어서는 찌톱에서 유동-찌가 상승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찌의 부력조절이 쉽고 찌의 부력조정이 편리함은 물론 찌의 상승 및 하강 폭을 크고 빠르게 하여 민감한 어신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위의 내림낚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그대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13465호(이하, "문헌2"라 함)에는 고리봉돌을 관통하여 그 상부와 하부로 각각 고리를 갖는 2개의 상부 및 하부기둥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기둥의 하부끝단에 회전도래를 통해 또 하나의 긴 기둥 목줄이 연결되며 상기 기둥 목줄의 하부끝단에 또 하나의 회전도래를 통해 기둥 목줄과 직교하여 역T자형을 이루도록 편대바늘걸이가 연결되고 상기 편대바늘걸이의 양단에 목줄을 통해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2의 낚시채비에 있어서는, 긴 기둥 목줄의 하단에 이와 역T자형을 이루고 연결되는 편대바늘걸이의 양쪽에 떡밥, 지렁이 등의 물고기먹이를 수평 즉 균형이 유지되게 달아 낚시를 하여야 하는데, 물고기먹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더라도 수평으로 균형이 유지되는 상태로 달음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초보자는 낚시를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찌의 영점을 맞춤에 있어, 고리봉돌, 기둥 목줄 및 편대바늘걸이 등을 통해 맞추나 너무 예민하여 찌의 영점맞춤이 어렵고 수온, 바람 등을 고려한 찌의 영점 조정이 너무 까다로운 것이었으며, 특히, 편대바늘걸이의 양쪽에 연결되는 목줄이 3~3.5㎝ 정도로 짧게 마련되는 것이어서 물고기가 입질을 하고 물고기먹이를 먹을 때 이물감을 느껴 바로 토해내므로 헛챔질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낚시채비를 낚시 포인트에 던질 때, 기둥 목줄과 이에 직교하여 역T자형을 이루는 편대바늘걸이 및 상기 편대바늘걸이의 양단에 연결된 낚시 바늘 등이 서로 꼬일 가능성이 높아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폐단이 있었다.
(문헌1) KR 20-0202746 Y1 (2000.08.31.등록) (문헌2) KR 10-2009-0013465 A (2009.02.0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인 2개의 제1 및 제2로드가 소정길이비율로 분할되어 연결된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로드 중 하나의 로드에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절개유동-추를 로드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세팅 고정함으로써 내림낚시, 중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인 제1 또는 제2로드에 각각의 절개슬롯을 통해 절개파이프와 절개유동-추를 끼운 다음 절개슬롯이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 내지 비틀어서 절개유동-추를 로드의 손상시킴 없이 간편하게 세팅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절개유동-추를 사용자가 낚시터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는 원줄에 낚시찌, 원추 및 분할 추와 함께 연결하여 사용하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비율을 가짐은 물론 단부의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제2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로드 중의 하나의 로드에는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유동-추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고 유동-추를 임의위치에 세팅 고정할 수 있는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은 절개유동-추와 절개파이프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상기 절개유동-추는 내면을 제1, 제2로드의 직경보다 3~10배로 크게 통형(筒形)으로 마련하고 상기 제1, 제2로드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절개슬롯을 마련한 것이며, 상기 절개파이프는 제1, 제2로드의 임의위치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통형(筒形)의 파이프로 마련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롯이 마련되고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은 절개유동-추의 내면으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로드의 외면을 파지하는 사이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파이프와 절개유동-추는 로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슬롯이 서로 어긋난 방향에 위치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개파이프는 절개유동-추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로드 및 절개유동-추와 고정되어야 하므로 절개유동-추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른 연질의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자면, 절개유동-추는 황동 등의 구리합금이라면 절개파이프는 알루미늄이나 수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유동-추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단에는 C형으로 된 보조유동-추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C형의 보조유동-추를 확실하게 고정함은 물론 파지할 수 있도록 절개파이프의 단부엔 플랜지나 헤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파이프는 절개유동-추의 양단에서 삽입되도록 2개로 마련될 수 있고 절개유동-추의 한쪽에서 삽입되어 절개유동-추의 양단에서 돌출되도록 1개로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긴 절개파이프로 마련한 경우 절개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소형인 볼 형의 절개유동-추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 사이에는 양단에 회전연결구가 구비된 회전도래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의 길이비율은 내림낚시, 중층낚시(전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로드의 기준길이에 대한 제2로드의 길이비율을 달리하는 수종의 낚시채비로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로드의 길이비율은 제1로드의 기준길이를 4라 할 때 제2로드의 길이는 1~6의 범위 내에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로드의 길이가 1미만이면 제2로드의 길이가 제1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짧아진 만큼 찌맞춤 여유(간격)가 작아지므로 찌맞춤이 어려워지고 약간의 물결파고나 작은 물고기의 초기 입질표현에 의해서도 제2로드가 쉽게 움직여서 낚시찌 또한 연동되어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헛챔질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반대로, 제2로드의 길이가 6을 초과하면, 제1로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2로드의 길이가 길어진 찌맞춤 여유(간격)이 커지므로 찌맞춤이 수월해지나 제2로드의 움직임이 비교적 커야지만 물고기의 입질이 전달될 정도로 입질표현이 둔감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로드의 길이에 비해 제2로드의 길이가 짧을수록 입질표현에 민감한 낚시채비가 된다.
상기 제1로드는 제2로드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로드로 마련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는 원형단면의 와이어나 속이 빈 파이프로 마련하여도 무방하고, 탄성이 좋으면서 부러지지 않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중에서도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강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다수가닥의 실을 소정직경으로 꼬아 합사하고 그 표면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합사로드, 방청 처리된 탄소강은 물론 카본, 합성수지 및 비철금속 중의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의하면, 2개의 제1 및 제2로드가 소정길이비율로 분할되어 연결된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로드 중 하나의 로드에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유동-추를 로드를 손상시킴 없이 세팅 고정함으로써 내림낚시, 중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의 찌톱 마디에서 똑똑 끊어지는 입질을 만들어내어 확실한 찌 움직임 감도를 갖는 낚시채비로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의하면, 로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제1 또는 제2로드에 각각의 절개슬롯을 통해 절개파이프와 절개유동-추를 끼운 다음 절개슬롯이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 내지 비틀어서 절개유동-추를 간편하게 세팅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절개유동-추를 사용자가 낚시터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서 요부인 로드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드에서 절개파이프와 유동-추를 분해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동-추가 로드에 억지로 끼워 맞춤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적용되는 유동-추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이용하여 바닥올림낚시로 활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과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서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서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는 낚시-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장된 원줄(10)의 끝단에 원추(20)과 로드(Rod, 30) 및 분할-추(40)가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분할-추(40)에 목줄(50)을 통해 낚시 바늘(60)이 연결된다.
상기 원추(20)는 찌의 자중 및 부력에 따른 원추(20)의 중량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통상 비중이 큰 연질의 동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드(30)는 소정길이비율의 제1로드(30a)와 제2로드(30b)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회전됨은 물론 굴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로드(30a)는 원줄의 수직적 안정감과 원줄 하단부의 휘어짐을 막아 입질에 의해 발생된 힘의 수직으로 전달하므로 작은 힘으로도 찌에 최대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로드(30b)는 유동-추(36)를 달아 무게중심을 하단에 주고 안정적인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는 정지관성이 잘 깨지도록 하므로 입질의 민감성 향상과 찌 오름이 커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양단은 상대적으로 굴절될 때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턱이나 절개부가 없는 원형 고리(31,32)로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길이비율은 내림낚시, 중층낚시(전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 등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로드(30a)의 기준길이에 대하여 제2로드(30b)의 길이를 달리한 수종의 낚시채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로드(30a)와 제2로드(30b)의 길이비율은 제1로드(30a)의 기준길이를 4라 할 때 제2로드(30b)의 길이는 1~6의 범위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로드(30b)의 길이가 1미만이면 제2로드(30b)의 길이가 제1로드(3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짧아진 만큼 찌맞춤 여유(간격)가 작아지므로 찌맞춤이 어려워지고 약간의 물결파고나 작은 물고기의 초기입질(예신)에 의해서도 제2로드(30b)가 쉽게 움직여서 낚시찌 또한 연동되어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헛챔질이 발생되기 쉬운 것이었다.
이와 반대로, 제2로드(30b)의 길이가 6을 초과하면, 제1로드(3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2로드(30b)의 길이가 길어진 찌맞춤 여유(간격)이 커지므로 찌맞춤이 수월해지나 제2로드(30b)의 움직임이 비교적 커야지만 물고기의 입질이 전달될 정도로 어신이 둔감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로드(30a)의 길이에 대해 제2로드(30b)의 길이가 짧을수록 입질표현에 민감한 낚시채비가 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직경 0.2~0.6㎜로 가늘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재료로는 탄성이 좋으면서 부러지지 않는 강성이 요구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직경이 0.2㎜미만이면 너무 가늘어서 강도가 약하여 로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물고기의 무게와 요동으로 인해 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직경이 0.6㎜를 초과하면 너무 굵어져 그 중량으로 인해 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원형단면 형상의 와이어나, 주사바늘과 같이 속이 비어있어 구조적으로 강성을 향상시킨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수중에서도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이외에 다수가닥의 실을 소정직경으로 꼬아 합사하고 그 표면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합사로드, 방청 처리된 탄소강은 물론 카본, 합성수지 및 비철금속 중의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로드(30)는 2개의 제1 및 제2로드(30a,30b)로 마련된 것으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1로드(30a)를 제2로드(30b)와 동일한 길이로 된 2개의 제1로드(30a)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1로드(30a)를 2개로 분할하면 다단굴절이 가능한 낚시채비로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 중의 하나의 로드에는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절개유동-추(36)를 로드의 손상 없이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끼움은 물론 소정위치에 세팅 고정할 수 있는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35)이 마련된다. 상기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35)은 도 1,2와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유동-추(36)를 제1 및 제2로드(30a,30b) 중 아래에 위치된 제2로드(30b)에만 마련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 및 제2로드(30a,30b)에 절개유동-추(36)를 마련하는 이유는 무게중심을 하단에 주고 안정적인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35)은 절개유동-추(36)와 이를 제1 또는 제2로드(30a,30b)에 세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절개파이프(37)로 구성된다.
상기 절개유동-추(36)는 내경을 제1, 제2로드(30a,30b)의 직경보다 3~10배로 크게 통형(筒形)으로 마련하되 그 길이방향으로 제2로드(30b)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절개슬롯(36a)을 마련하고 외측주면은 도 5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절개유동-추(36)의 외측주면형상은 도 5의 (a)와 같이 볼 형이나 도 5의 (b)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항아리 형은 물론 도 5의 (c)와 같이 단순히 길쭉한 튜브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개파이프(37)는 제2로드(30b)의 임의위치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통형(筒形)의 파이프로 마련되되 절개유동-추(36)의 양단에서 그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2개로 마련된다. 상기 절개파이프(37)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롯(37a)이 마련되고 한쪽끝단엔 절개파이프(37)를 파지 내지 가압하기 위한 헤드(37b)나 플랜지가 마련된다. 절개파이프(37)를 이루는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은 절개유동-추(36)의 내면으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외면을 파지하는 사이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파이프(37)는 절개유동-추(36)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제1, 제2로드(30a,30b) 및 절개유동-추(36)와 고정되어야 하므로 절개유동-추(36)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른 연질의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개유동-추(36)는 황동 등의 구리합금이라면 절개파이프(37)는 알루미늄이나 수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개파이프(37)를 무른 재료로 마련하면 절개파이프(37)를 잘라냄과 절삭이 용이하므로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35)의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바람대로 쉽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파이프(37)는 제1, 제2로드(30a,30b) 및 절개유동-추(36)와의 마찰증대를 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주면에 미세요철을 형성시키거나 거칠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절개파이프(37)와 절개유동-추(36)는 제1, 제2로드(30a,30b)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슬롯(37a,36a)이 서로 어긋난 방향에 위치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는 그 무게가 상기 원추(20)와 제1 및 제2로드(30a,30b)를 포함한 유동-추(36)는 물론 분할-추(40)에 이르기까지 상하수직으로 분산되고, 낚시채비의 총무게는 찌의 부력과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는, 일반적인 낚시의 찌맞춤방식으로 도 1과 같이, 찌(70)의 찌톱이 개략적으로 수면과 일치되게 찌맞춤을 행하되 찌(70) 부력이 70~80%정도 상쇄되게 원줄(10)에 원추(20)를 포함한 낚시채비를 달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낚시채비로 바닥올림낚시를 위한 찌맞춤은, 낚시채비를 수중에 던져 원추(20)와 제1 및 제2로드(30a,30b)를 포함한 절개유동-추(36)는 물론 분할-추(40)의 중량을 이용하여 찌의 상태가 바닥올림낚시를 할 때와 유사한 수면노출상태로 되어야 한다. 상기 원추(20)는 찌의 부력과 중력을 일치시키고 그 힘의 작용에 있어 수직으로 움직이는 운동관성의 주 역할인 수직관계(수직이동)운동관성을 주관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찌맞춤은 제2로드(30b)에 매달아 놓은 절개유동-추(36)를 찌 부력에 적합한 중량으로 채택하고 절개파이프(37)를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절개유동-추(36)를 교체함은 물론 제2로드(30b)에 세팅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30b)에 절개유동-추(36)를 세팅 고정하는 방법은 절개파이프(37)의 절개슬롯(37a)을 벌려 절개유동-추(36)를 매달고자하는 제2로드(30b)의 임의위치에 2개의 절개파이프(37)를 임시로 세팅한 다음, 절개유동-추(36) 또한 그 절개슬롯(36a)을 통해 2개의 절개파이프(37) 사이의 제2로드(30b)에 임시로 세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개유동-추(36)와 절개파이프(37)의 절개슬롯(36a,37a)이 서로 어긋나게 비틀거나 회전시킨 다음, 2개의 절개파이프(37)를 절개유동-추(3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누르게 되면 2개의 절개파이프(37)가 절개유동-추(36)의 내면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로드(30a,30b)의 외면을 파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절개유동-추(36)와 절개파이프(37)의 절개슬롯(36a,37a)이 서로 어긋나게 비틀리거나 회전된 상태로 제2로드(30b)에 세팅 고정되기 때문에 제2로드(30b)로부터 절개유동-추(36)가 빠져 분리 이탈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로 바닥올림낚시는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중의 바닥에 분할-추(40)의 하단이 살짝 닿은 상태로 되면서 찌(70) 하부의 원줄(10)과 원추(20), 제1 및 제2로드(30a,30b)는 물론 분할-추(40)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팽팽하게 늘어트린 상태로 낚시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닥올림낚시는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중의 바닥에 분할-추(40)의 하단이 닿아 어느 정도 누움은 물론 제2로드(30b)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찌(70) 하부의 원줄(10)에서 원추(20) 및 제1로드(30a)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팽팽하게 늘어진 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분할-추(40)는 목줄(50)의 안정감과 그 끝의 낚시 바늘(60)에 달린 물고기먹이의 위치를 잡아준다. 또, 초기에 작은 물고기의 흡입력에 의해서도 수평관계(수평이동)에 영향을 받는 상태이나, 안정감을 가지려는 분할-추(40)의 정지관성으로 인하여 수평으로의 영점을 파괴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은 힘으로 잡아주는 닻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로드(30b)가 도 6의 실선과 같은 수직상태에서 도 6의 기상선과 같이 임의방향으로 기울어져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는 물론 도 7과 같이 수평상태로 눕는 범위에 이르기까지 찌맞춤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초보자도 쉽게 찌맞춤을 하고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물고기가 낚시 바늘(60)을 감싸고 있는 물고기먹이를 먹는 초기입질(예신)시 제2로드(30b)로 곧바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제2로드(30b)는 제1로드(30a) 하단의 원형 고리(31)를 기준으로 도 6의 실선에서 도 6의 기상선과 같은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로드(30b)가 도 6의 실선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굴절되면 그 굴절각도에 상응하는 제2로드(30b)의 높이차이(제2로드의 기울어짐에 따른 높이차이: h)만큼 제1로드(30a)와 원추(20)를 통해 원줄(10)이 딸려 내려가므로 수면 상에 노출된 찌(70)의 찌톱이 순간적으로 내려가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찌(70)의 찌톱이 내려가 잠기는 것을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금방 어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곧바로 물고기가 물고기먹이를 먹고 상승함으로써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찌(70)의 찌톱이 올라오는 순간 낚시-대를 들어 올리는 챔질을 통해 물고기를 쉽게 낚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가상선과 같이 찌맞춤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 바늘(60)을 감싸고 있는 물고기먹이를 흡입하여 먹는 초기입질(예신)시 제2로드(30b)로 곧바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물고기먹이를 흡입하여 먹는 초기입질(예신)에 따라 상기 제2로드(30b)의 하단이 당겨지므로, 상기 제2로드(30b)는 제1로드(30a) 하단의 원형 고리(31)를 기준으로 더욱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찌맞춤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물고기가 낚시 바늘(60)을 감싸고 있는 물고기먹이를 흡입하여 먹는 초기입질(예신)시 제2로드(30b)를 통해 제1로드(30a)로 곧바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물고기먹이를 흡입하여 먹는 초기입질(예신)에 따라 상기 제1로드(30a)의 하단이 당겨지므로, 상기 제1로드(30a)는 원추(20)의 하단 고리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로드(30a)가 기울어짐에 따른 높이차이만큼 원줄(10)을 당겨지므로 상기 원줄(10)에 연결된 찌(70)의 찌톱이 순간적으로 내려가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찌(70)의 찌톱이 내려가 잠기는 것을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금방 어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의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내림낚시나 중층낚시를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찌(70)에서 원추(20)와 제1, 제2로드(30a,30b) 및 분할-추(40)에 이르기까지 직립하방으로 꺾임 없이 매달리되 상기 분할-추(40)가 수중바닥에 닿지 않고 목줄(50)끝단에 낚시 바늘(60)을 감싸는 상태로 달린 물고기먹이가 수중바닥에 닿는 상태나 닿지 않고 매달려있는 상태로 낚시채비의 찌맞춤을 하여 낚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의하여 찌맞춤이 이루어지면, 낚시 바늘(60)의 물고기먹이를 물고기가 흡입하여 먹는 초기입질시 제2로드(30b)로 곧바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물고기가 물고기먹이를 흡입하여 먹음에 따라 상기 제2로드(30b)는 제1로드(30a) 하단의 원형 고리(31)를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로드(30b)가 기울어져 굴절되면 그 굴절각도에 상응하는 제2로드(30b)의 높이차이(즉, 제2로드의 기울어짐에 따른 높이차이)만큼 제1로드(30a)와 원추(20)를 통해 원줄(10)이 딸려 내려오므로 수면 상에 노출된 찌(70)의 찌톱이 순간적으로 내려가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찌(70)의 찌톱이 내려가 잠기는 것을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금방 어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곧바로 물고기가 물고기먹이를 먹고 상승함으로써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찌의 찌톱이 올라오는 순간 낚시-대를 들어 올리는 챔질을 통해 물고기를 쉽게 낚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서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절개유동-추(36)의 상단이나 하단에 C형으로 된 보조유동-추(38)를 마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의하면, 절개유동-추(36)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맞출 수 없는 경우 C형으로 된 미세중량용의 보조유동-추(38)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미세하게 중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과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서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절개파이프(37)가 절개유동-추(36)의 한쪽에서 삽입되어 절개유동-추(36)의 양단에서 돌출되도록 길게 1개로 마련된 것이고, 도 11은 절개파이프(37)가 하나로 길게 마련되되 절개파이프(37)의 양단에 각각 소형인 볼 형의 절개유동-추(37)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절개유동-추(36) 및 절개파이프(37)는 이들의 절개슬롯(36a,37a)이 일치되게 조립하여 출하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또는 제2로드(30a,30b)에 절개슬롯(36a,37a)을 통해 한 번에 끼운 다음, 절개유동-추(36)와 절개파이프(37)를 상대적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세팅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개유동-추(37)는 절개파이프(37)의 양단에 각각 볼 형의 절개유동-추(37)를 마련하는 것으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절개파이프(37) 하부의 한쪽끝단에만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들의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에 의하면, 절개파이프(37)가 길게 1개로 마련되므로 조립작업이 수월하고 접촉면적의 증대로 확실하게 세팅 고정할 수 있으며, 절개파이프(37)의 양단에 각기 다른 중량을 갖는 볼 형의 절개유동-추(37)를 마련함으로써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절개유동-추를 사용자가 낚시터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애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 원줄 20: 원추
30: 로드 30a: 제1로드
30b: 제2로드 31,32: 원형 고리
35: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
36: 절개유동-추 36a,37a: 절개슬롯
37: 절개파이프 38: 보조유동-추
40: 분할-추 50: 목줄
60: 낚시 바늘

Claims (8)

  1. 원줄에 낚시찌, 원추 및 분할 추와 함께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적합한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비율을 가짐은 물론 단부의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제2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로드 중의 하나의 로드에는 낚시찌의 부력에 알맞은 중량의 유동-추를 끼우고 유동-추를 임의위치에 세팅 고정하는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추 세팅 고정유닛은 절개유동-추와 절개파이프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유동-추는 내면이 제1, 제2로드 직경보다 3~10배로 크게 통형(筒形)으로 마련되고 제1, 제2로드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절개슬롯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파이프는 제1, 제2로드의 임의위치에 간편하게 끼움이 가능하도록 통형(筒形)의 파이프로 마련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롯이 마련되고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은 절개유동-추의 내면으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로드의 외면을 파지하는 사이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파이프와 절개유동-추는 제2로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슬롯이 서로 어긋난 방향에 위치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추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C형으로 된 보조유동-추가 마련되고 상기 C형의 보조유동-추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절개파이프의 단부엔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파이프는 절개유동-추의 한쪽에서 삽입되어 절개유동-추의 양단에서 돌출되도록 길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파이프는 하나로 길게 마련되고 절개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볼 형의 절개유동-추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드는 내림낚시, 중층낚시 및 바닥올림낚시의 낚시기법에 따라 요구하는 입질감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로드와 제2로드의 길이비가 4:1~4:6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KR1020200043810A 2020-04-10 2020-04-10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KR20210126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10A KR20210126254A (ko) 2020-04-10 2020-04-10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10A KR20210126254A (ko) 2020-04-10 2020-04-10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54A true KR20210126254A (ko) 2021-10-20

Family

ID=7826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10A KR20210126254A (ko) 2020-04-10 2020-04-10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2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746Y1 (ko) 2000-04-26 2000-11-15 나호열 낚시용 찌
KR20090013465A (ko) 2007-08-02 2009-02-05 박병귀 낚시 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746Y1 (ko) 2000-04-26 2000-11-15 나호열 낚시용 찌
KR20090013465A (ko) 2007-08-02 2009-02-05 박병귀 낚시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US8832991B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float
US2792663A (en) Fish hook
KR200495851Y1 (ko) 유동형 낚시채비
JP2007117028A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US20060137238A1 (en) Slip-on hydrodynamic symmetrical fishing sinker
KR20210126254A (ko)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US20150201593A1 (en) Chaser Fishing Lure Enhancement
KR101089140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101567021B1 (ko) 낚시추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US3216143A (en) Fishing lure retrievers
CN205585135U (zh) 一种钓鱼装置
CN207322443U (zh) 多功能自动钓鱼坠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101076546B1 (ko) 낚시용 훌치기 채비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CN105766824A (zh) 一种主动式爆炸钩
US20020152670A1 (en) Floating bait harness
JPS599135B2 (ja) 魚釣り用底どりを兼用した天ビン重錘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0207873Y1 (ko) 낚시용 구멍찌
JP4629898B2 (ja) 仕掛け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